KR101448698B1 - 허스롤 - Google Patents

허스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698B1
KR101448698B1 KR1020130027943A KR20130027943A KR101448698B1 KR 101448698 B1 KR101448698 B1 KR 101448698B1 KR 1020130027943 A KR1020130027943 A KR 1020130027943A KR 20130027943 A KR20130027943 A KR 20130027943A KR 101448698 B1 KR101448698 B1 KR 10144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flange
roll body
roll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830A (ko
Inventor
송호진
Original Assignee
대한동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동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동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3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허스롤의 몸체부에 플랜지를 밀착하기 위한 탄성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탄성수단의 설치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의 증가가 없도록 구성한 허스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허스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롤몸체;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 및 상기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롤몸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장공형태의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슬라이더와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롤몸체의 양단에는 테이퍼(taper)외면이 형성되고, 일측플랜지는 상기 테이퍼외면에 밀착되는 테이퍼진 경사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스롤 {Hearth Roll}
본 발명은 제철소의 소둔로 등에 설치되는 허스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허스롤에서 플랜지의 회전력이 롤러몸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플랜지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롤러몸체와 플랜지를 밀착시키는 구조의 허스롤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이루어지는 강판스트립의 열처리는 내부가 고온을 유지하는 소둔로에서 이루어지고, 소둔로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판스프립을 지지하고 그 진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허스롤(Hearth Roll)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허스롤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5986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허스롤은 상기 타측 플랜지(2b) 내측에 연결되고 슬리브(1)를 지나 일측 플랜지(2a)와 일측 회전축(4a)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5)와, 상기 지지바(5) 외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7)와, 상기 지지바(5)에 끼워져 스토프부재(7)와 일측 회전축(5)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6)의 탄성력이 일측 회전축(4a)에 가해져 일측 회전축(4a)에 설치된 일측 플랜지(2a)가 슬리브(1)를 가압하게 되고, 슬리브(1)가 일측 플랜지(2a)와 타측 플랜지(2b) 사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러나, 도 1의 허스롤의 구성은 일측 회전축(4a)의 외측으로 일측 회전축(4a)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스프링(6)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한 구성은, 허스롤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고, 탄성스프링(6)이 노출됨으로써 파손의 위험 및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스프링(6)의 노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스프링(6)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일측 회전축(4a) 주위에 커버체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이는 허스롤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장치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작고 간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허스롤의 몸체부에 플랜지를 밀착하기 위한 탄성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탄성수단의 설치에 따라 허스롤의 전체적인 길이의 증가가 없도록 구성한 허스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스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롤몸체;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 및 상기 일측회전축부와 상기 타측회전축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롤몸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상기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장공형태의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롤몸체의 양단에는 테이퍼(taper)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플랜지는 상기 테이퍼외면에 밀착되는 테이퍼진 경사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일측플랜지에는 상기 경사내면의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환형의 접촉연장테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롤몸체에는 상기 테이퍼진 외면의 내측에 상기 접촉연장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허스롤은, 롤몸체와, 상기 롤몸체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플랜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허스롤에 있어서, 상기 일측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면을 따라 상기 일측 플랜지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일측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연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공 내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플랜지를 상기 롤몸체에 밀착시키는 가압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롤몸체의 양단에는 테이퍼(taper)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플랜지는 상기 테이퍼외면에 밀착되는 테이퍼진 경사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에는 상기 경사내면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표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환형의 접촉연장테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롤몸체에는 상기 테이퍼외면의 내측에 상기 접촉연장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허스롤은, 탄성수단이 허스롤의 회전축부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회전축부를 연장하여 구성하거나, 허스롤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스프링의 외부노출이 없고 회전축부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이물질의 끼임에 의한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보호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스롤은 일측플랜지가 접촉연장테에 의해 샤프트의 표면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일측플랜지와 사프트 사이의 유격발생이 감소하고 흔들림이 없으며, 동심인 결합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연장테가 롤몸체의 환형안착홈에 밀착되어 롤몸체와 일측플랜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회전중심축을 서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스롤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고정된 타측플랜지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스롤(10)은 롤몸체(20)와, 상기 롤몸체(20)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와,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롤몸체(2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상기 롤몸체(20)는 회전축(11)이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부(40)를 따라 다수의 세라믹디스크가 적층되어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 세라믹디스크는 회전축(1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표면을 연마하여 롤몸체(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롤몸체(20)는 상기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몸체(20′)의 외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슬리브(25)와 슬리브(25)의 내부에 샤프트(24)가 끼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24)의 중심부에는 지지바(12)가 관통하도록 끼워질 수 있고, 또는 도 2와 같은 회전축부(4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는 상기 회전축(11)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롤몸체(2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롤몸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의 선단 외주면에는 롤몸체(20)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롤몸체(20)의 양단부가 플랜지(31,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테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31b)의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롤몸체(20)의 양단의 모따기된 부분(21)과 밀착된다.
상기 일측플랜지(31)는 회전축부(40)가 관통하고 회전축부(40)의 표면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연결수단(35)이 삽입되어 슬라이더(51)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플랜지(31)를 측방향에서 관통하는 연결수단장착공(3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4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허스롤(10)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플랜지(31)에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41)와 타측플랜지(33)에서 돌출되는 타측회전축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회전축부(41)는 일측플랜지(31)가 회전축(1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타측회전축부(43)는 타측플랜지(33)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회전축부(41)와 타측회전축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롤몸체(20)도 회전축부(40)가 관통하고 있고, 회전축부(40)의 표면상에서 롤몸체(20)가 회전축(1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40)는 일측플랜지(31)로부터 돌출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된 중공부(45)를 가진다.
상기 중공부(45)는 회전축부(40)의 내부에서 회전축(11)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40)의 일측에서 개방구(41c)를 가진다. 중공부(45)는 회전축부(4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측플랜지(31)가 설치되는 위치까지의 일측회전축부(4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45)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전축부(40)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41a)이 형성된다. 연결공(41a)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그 장공은 회전축(11) 방향으로 그 길이방향이 배치된다. 또한, 연결공(41a)은 중공부(45)로부터 일측회전축부(41)를 관통시켜, 일측회전축부(41)의 중간에 상하로 2개가 설치되어 연결수단(35)이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는 연결수단장착공(31a)과 상하의 연결공(41a)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35)은 연결공(41a) 내에서 회전축부(40)의 길이방향 즉, 회전축(11)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수단(35)은 일측플랜지(31)와 중공부(45) 내부의 슬라이더(51)를 연결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연결수단(35)은 일측플랜지(31)의 연결수단장착공(31a)을 관통할 수 있는 나사봉이 바람직하고, 연결공(41a)을 통해 중공부(45)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결수단(35)은 후술하는 슬라이더(51)가 밀어내는 힘을 중공부(45) 내에서 일측플랜지(31)에 전달하도록 일측플랜지(31)에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중공부(45)에는 상기 연결수단(35)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플랜지(31)를 상기 롤몸체(20)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장치(50)는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과,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5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51)는 중공부(45)에 삽입되어 회전축(1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관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51a)에 연결수단(35)이 통과함으로써 슬라이더(51)와 일측플랜지(31)가 연결수단(35)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1)가 일측플랜지(31)에 결합된 연결수단(35)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4)은 회전축부(40)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탄성수단(53)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수단(54)은 중공부(45)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41c)를 막는 플러그가 바람직하고, 내부의 탄성수단 등의 부품 교체 및 설치시에 회전축부(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나선결합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수단(53)은 코일스프링이 가장 바람직하고,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탄성수단(53)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수단(54)이 일측회전축부(4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수단(53)은 슬라이더(51)에 회전축부(4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회전축부(40)의 중공부(45) 내에서 탄성수단(53)이 슬라이더(51)를 회전축부(4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가하게 되고, 슬라이더(51)는 연결공(41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수단(35)을 매개로 일측플랜지(31)를 롤몸체(20) 방향으로 밀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4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롤몸체(20)는 타측플랜지(33)에 밀착됨과 함께 일측플랜지(31)도 밀착하게 되어 회전축부(40)의 회전력이 롤몸체(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51)를 변형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51′)에 연결수단(35)이 관통하여 설치되지 않고, 슬라이더(51′)의 타단에 연결수단(35)이 안착되는 오목한 연결수단안착부(51′c)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안착부(51′c)가 설치됨으로써 연결수단(35)과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한 상태에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51′)에 연결수단(35)이 관통하여 결합하지 않고 일단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탄성수단(53)이나 슬라이더(51′)의 교체작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파손이나 손상된 탄성수단(53) 및 슬라이더(51′)의 교체를 위해 일측플랜지(31)와 연결수단(35)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없고, 회전축부(40) 일측의 단부에서 고정수단(54)만을 제거한 후 탄성수단(53)과 슬라이더(51)의 제거 및 재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수단(54)으로 사용되는 플러그가 나선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정도에 따라 탄성수단(53)의 탄성력의 크기조절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타측플랜지(33)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를 관통하는 지지바(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2)는 롤몸체(20′)를 이루는 샤프트(24)와 슬라이더(51″)의 중심에 설치되는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것으로 지지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2)는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를 관통하여 중공부(45)까지 연장되어 있다. 중공부(45)에 위치하는 지지바(12)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12a)가 설치되어 탄성수단(53′)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수단(53)은 스토퍼(12a)와 슬라이더(51″)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51″)는 지지바(12)가 관통하는 중심공이 회전축(11)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바(12)가 끼워지고, 슬라이더(51″)의 상하면에는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여 끼워진 연결수단(35′)이 상하면의 나선결합공(51″a)에 각각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탄성수단(53′)이 지지바(12)의 스토퍼(12a)에 일측 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51″)를 밀게 되면 슬라이더(51″)와 연결수단(35′)에 의해 결합된 일측플랜지(31)가 롤몸체(20′)를 밀어 밀착된다.
상기 롤몸체(20′)를 이루는 샤프트(24)는 지지바(12)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므로 롤몸체(20′)는 타측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타측플랜지(33)에 밀착되고, 양측에서 일측플랜지(31)와 타측플랜지(33)가 밀착하여 회전축부(40)의 회전력이 롤몸체(20′)에 전달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4는 개방부를 막는 플러그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에서 고정되는 플랜지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100)은 롤몸체(200)와, 상기 롤몸체(200)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플랜지(310,330)와,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0,33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롤몸체(2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샤프트(420)가 끼워진다. 상기 샤프트(420)는 양측에 결합되는 일측회전축부(410) 및 타측회전축부(430)와 함께 회전축부(400)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0,330)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롤몸체(20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롤몸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일측 및 타측플랜지(310,330)의 선단에는 롤몸체(200)의 양단과 각각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롤몸체(200)의 양단부가 일측 및 타측플랜지(310,33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테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311)이 형성되고, 그 돌출된 부분(311)의 내측에 테이퍼진 형상의 경사내면(31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내면(312)은 롤몸체(200)의 양단의 테이퍼 외면(210)과 밀착된다.
상기 일측플랜지(310) 및 타측플랜지(330)는 샤프트(420)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플랜지(330)는 고정핀(353,354)에 의해 샤프트(420)에 고정된다.
일측플랜지(310)에도 샤프트(420)를 관통하는 연결핀(351,352)이 설치되나, 샤프트(420)의 표면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수단(530)의 탄성력에 의해 롤몸체(200) 측으로 밀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회전축부(410)는 회전축(110)을 따라 관통되어 있는 중공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450)에는 가압장치(500)가 설치된다.
상기 중공부(450)는 일측회전축부(410)의 내부에서 회전축(110)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400)의 일측에서 개방된다. 그 개방된 부분은 고정수단(540)인 플러그가 설치됨으로써 막힌 상태가 된다.
상기 중공부(450)의 소정위치에는 일측회전축부(410)를 상기 회전축(1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공(411)이 형성된다. 연결공(411)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형태이고, 그 장공은 회전축(110) 방향으로 길이방향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공(411)은 중공부(450)를 기준으로 일측회전축부(410)를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연결핀(351)이 일측플랜지(310)의 연결핀장착공(314)과 일측회전축부(410)의 연결공(411)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측회전축부(410)가 끼워지는 샤프트(420)에도 장공형태의 샤프트측 연결공(421)이 일측회전축부(410)의 연결공(411)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연결핀(351)이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핀(351)은 연결공(411) 내에서 회전축(110)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핀(351)은 중공부(450) 내부의 슬라이더(510)가 밀어내는 힘을 중공부(450) 내에서 일측플랜지(310)에 전달하도록 슬라이더(510)와 일측플랜지(310)에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중공부(450)에는 상기 연결핀(351)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플랜지(310)를 상기 롤몸체(200)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장치(5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장치(500)는 슬라이더(510)와, 고정수단(540)과, 슬라이더(510)와 고정수단(5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53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510)는 중공부(450)에 삽입되어 회전축(1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결합공(51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511)은 연결핀(351)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슬라이더(510)와 연결핀(351)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 결합공(511)에 연결핀(351)이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510)가 일측플랜지(310)를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40)은 일측회전축부(410)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탄성수단(530)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수단(540)은 중공부(450)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막는 플러그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내부의 탄성수단(530) 등의 부품 교체 및 설치시에 일측회전축부(4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나선결합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수단(530)은 코일스프링이 가장 바람직하고, 슬라이더(510)와 고정수단(540)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탄성수단(530)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수단(540)이 일측회전축부(4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수단(530)은 슬라이더(510)에 회전축부(40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일측회전축부(410)의 중공부(450) 내에서 탄성수단(530)이 슬라이더(510)를 회전축부(40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받게 되고, 슬라이더(510)는 연결공(4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연결핀(351)을 매개로 일측플랜지(310)를 롤몸체(200) 방향으로 밀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4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롤몸체(200)는 타측플랜지(330)에 밀착됨과 함께 일측플랜지(310)도 밀착하게 되어 회전축부(400)의 회전력이 롤몸체(20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측플랜지(310)과 슬라이더(510)을 연결하는 연결핀(351)은 그것의 파손시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조연결핀(352)을 교차하는 방향에서 더 설치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일측플랜지(310)는 샤프트(420)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접촉연장테(315)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샤프트(420)의 표면을 타고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연장테(315)는 롤몸체(200)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안착홈(21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일측플랜지(310)가 샤프트(420)의 표면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일측플랜지(310)와 샤프트(420) 사이의 유격발생이 감소하여 흔들림이 거의 없고, 접촉연장테(315)가 롤몸체(200)의 환형안착홈(215)에 안착됨으로써 롤몸체(200)와 일측플랜지(310)의 회전 중심축을 서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연장테(315)와 샤프트(420)의 환형안착홈(215)는 타측플랜지(330)에도 설치된다.
도 12는 타측플랜지(330)가 타측회전축부(430)에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샤프트(420)와 타측플랜지(330)는 샤프트(420)의 타측 단부에서 고정핀(35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고정핀(353)의 파손을 대비하여 보조고정핀(354)가 교차하는 방향에서 추가적으로 더 설치된다.
샤프트(420)의 타측 단부에는 타측회전축부(430)가 결합되어 회전축부(400)를 형성하고, 타측회전축부(430)의 단부에 키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슬리브 2a,2b; 플랜지
4a,4b; 회전축 5,12; 지지바
6; 탄성스프링 7; 스토퍼부재
10,100; 허스롤 11,110; 회전축
12a; 스토퍼 20,20′,200; 롤몸체
21; 모따기된 부분 24,420; 샤프트
25; 슬리브 31,33,310,330; 플랜지
31a; 연결수단장착공 31b; 돌출된 부분
35,35′; 연결수단 40,400; 회전축부
41; 일측회전축부 41a,411; 연결공
41c; 개방구 43; 타측회전축부
44; 플러그 45; 중공부
50,50′; 가압장치 51,51′,51″,510; 슬라이더
51a,511; 결합공 51″a; 나선결합공
51′c; 연결수단안착부 53,53′,530; 탄성수단
54,540; 고정수단 210; 테이퍼 외면
215; 환형안착홈 311; 돌출된 부분
312; 경사내면 314; 연결핀장착공
315; 접촉연장테 351; 연결핀
352; 보조연결핀 353,354; 고정핀
410; 일측회전축부 421; 샤프트측 연결공
430; 타측회전축부 431; 키홈
450; 중공부 500; 가압장치

Claims (3)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롤몸체;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 및 상기 일측회전축부와 상기 타측회전축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롤몸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상기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장공형태의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롤몸체의 양단에는 테이퍼(taper)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플랜지는 상기 테이퍼외면에 밀착되는 테이퍼진 경사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에는 상기 경사내면의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환형의 접촉연장테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롤몸체에는 상기 테이퍼진 외면의 내측에 상기 접촉연장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2. 롤몸체와,
    상기 롤몸체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플랜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허스롤에 있어서,
    상기 일측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면을 따라 상기 일측 플랜지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일측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연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공 내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플랜지를 상기 롤몸체에 밀착시키는 가압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롤몸체의 양단에는 테이퍼(taper)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플랜지는 상기 테이퍼외면에 밀착되는 테이퍼진 경사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에는 상기 경사내면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표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환형의 접촉연장테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롤몸체에는 상기 테이퍼외면의 내측에 상기 접촉연장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3. 삭제
KR1020130027943A 2013-03-15 2013-03-15 허스롤 KR10144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43A KR101448698B1 (ko) 2013-03-15 2013-03-15 허스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43A KR101448698B1 (ko) 2013-03-15 2013-03-15 허스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30A KR20140113830A (ko) 2014-09-25
KR101448698B1 true KR101448698B1 (ko) 2014-10-10

Family

ID=5175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43A KR101448698B1 (ko) 2013-03-15 2013-03-15 허스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40B1 (ko) * 2017-01-12 2019-02-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CN109166947B (zh) * 2018-08-30 2019-12-20 深圳市拉普拉斯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轴可调的悬挂支撑装置
KR102015480B1 (ko) * 2019-01-02 2019-08-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386Y1 (ko) 2003-04-04 2003-07-12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용 허스롤의 슬리브 장착구조
KR100711391B1 (ko) 2005-11-02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세라믹 허스롤 조립체
KR100742852B1 (ko) 2005-09-13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허스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386Y1 (ko) 2003-04-04 2003-07-12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용 허스롤의 슬리브 장착구조
KR100742852B1 (ko) 2005-09-13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허스롤 장치
KR100711391B1 (ko) 2005-11-02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세라믹 허스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30A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698B1 (ko) 허스롤
US9439542B2 (en) Vertica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US20170068064A1 (en) Cable pulling assembly
KR101646934B1 (ko) 유체 도포 롤러
MY163386A (en) Handle device
TW200804042A (en) Universal joint with coupling mechanism for detachably engaging tool attachments
JP6796199B2 (ja) 内視鏡ヘッドと、内視鏡ヘッドに取付可能なアルバランレバーとを有する内視鏡
CN105155958A (zh) 快速拆装式铰链
KR101266439B1 (ko) 허스롤
US20150216349A1 (en) Capsule coffee machine
US20130003013A1 (en) Interchangeable Eyewear
US9016348B2 (en) Spring-loaded roller shade gudgeon
KR101598932B1 (ko)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JP583040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90310491A1 (en) Device for attaching component parts of spectacles frames and spectacles comprising said attachment device
WO2017059818A1 (zh) 快速安装接头
JP6191510B2 (ja) 通信光検知用アダプタ及び通信光検知構造
JP6200862B2 (ja) コネクタガイド機構
JP2008257256A (ja) 眼鏡用ばね蝶番
JP5285184B2 (ja) 移動に対して直角に圧迫力が加えられる制御摩擦線形装置
US20140074046A1 (en) Releasable Blocking System of A Catheter
JP2016533793A (ja) 電動歯ブラシハンドル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取り付けの方法
JP2016533793A5 (ko)
CN204876959U (zh) 快速拆装式铰链
JP6727485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