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992A -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992A
KR20150130992A KR1020157022529A KR20157022529A KR20150130992A KR 20150130992 A KR20150130992 A KR 20150130992A KR 1020157022529 A KR1020157022529 A KR 1020157022529A KR 20157022529 A KR20157022529 A KR 20157022529A KR 20150130992 A KR20150130992 A KR 2015013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 according
tungsten
salt
treatment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563B1 (ko
Inventor
알마잔 이그나시오 카날스
부지에 아그네스 아르바트
Original Assignee
옥소라이프,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9999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309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옥소라이프, 에스.엘. filed Critical 옥소라이프,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5013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USE OF TUNGSTEN (VI) SALTS FOR THE TREATMENT OF FEMALE INFERTILITY IN NON-DIABETIC MAMMALS}
본 발명은 생식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컷 불임의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불임은 1년의 규칙적 비보호 성관계 기간 내에 수태 실현 불능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여성 불임은 수태 불능 및/또는 수태 지속 불능을 지칭할 수 있다. 불임의 유병률을 추정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여성 4명 중 1명은 생식가능 연령 중 특정 단계에서의 불임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성 가운데 불임의 주요 원인은 배란 기능 장애, 생식관 병증, 저하된 난모세포 퀄리티 및 노화로 인한 여포 고갈을 포함한다. 하지만, 불명성 불임, 소위 특발성(idiopathic) 불임을 가진 여성도 또한 상당한 비율로 존재하며, 이의 가능한 원인 중 하나는 착상 과정 중의 결함과 관련될 수 있다.
특히, 여성 불임의 수많은 생물학적 원인 중, 여포 발생, 배란, 미성숙 난자(난모세포)의 이동뿐만 아니라, 후속 수태 및 자궁벽에의 접합자 착상을 조절하는 호르몬 자극의 장애와 관련된 원인이 강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체 과정은 특정 내분비 기관, 예컨대 뇌하수체, 시상하부 및 갑상선 등의 호르몬 분비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배란 장애, 예컨대 배란 부족뿐만 아니라, 접합자 착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식관 및 자궁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장애와 관련된 병증이 불임의 주요 원인 중에서 강조될 수 있다.
호르몬 문제, 예컨대 배란 장애와 관련된 불임을 치료하는 약품의 투여뿐만 아니라, 시험관 수정 및 자궁내 수정 기법을 비롯한 여성 불임의 상이한 치료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치료에 의해 실현되는 수태의 비율은 다소 한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즉 스틸벤 패밀리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배란이 불규칙하거나 없는 여성의 치료는 높은 비율로 배란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수태율은 낮게, 대략 50% 이하로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시험관 수정 치료는 난모세포 수정 단계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착상률(자궁벽에의 태아 착상)이 낮다. 이것은 각 시험관 수정 주기에 다중 태아 착상을 유도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더 높은 비율의 고위험 다중 수태가 뒤따른다.
마지막으로, 대사 이상, 예컨대 당뇨병 또는 비만은 생식의 제한을 수반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손상된 생식 기능을 가진 혈당증, 인슐린혈증 및/또는 비만 체중 또는 당뇨병의 암컷 마우스의 부분 또는 완전 회복은 생식에 있어 개선을 수반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이한 약리학적 치료, 예컨대 메트포르민 또는 텅스텐 (VI) 염, 또는 심지어 생활방식의 변화가, 생식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회복시키는 것을 실현함으로써 당뇨병 또는 인슐린 장애, 예컨대 인슐린 결핍 또는 인슐린 저항 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텅스텐산 나트륨의 특정 경우에, 스트렙토조토신 주입 유도성 인슐린감소증(insulinopenia) 및 당뇨병을 가진 레트가 부분 역전 당뇨병의 결과로서 텅스텐산 나트륨에 의한 장시간의 치료(10주) 후 순환 인슐린 수준을 부분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당뇨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회복된 전술된 암컷 레트를 건강한 수컷 레트와 교배시켰을 때, 당뇨병으로부터의 부분 회복과 평행하게, 암컷 레트는 이의 생식 능력도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음이 관찰된다. 특히, 텅스텐산 나트륨에 의한 치료 후 당뇨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회복된 암컷 마우스에 있어서 양성 소파술의 횟수와 관련한 출산 비율은 최대 66% 증가하고, 이러한 비율은 비율이 100%인 당뇨병이 없는 암컷 마우스보다 낮다는 것이 관찰된다(예, 문헌[J. Ballester et. al., "Tungstate administration improves the sexual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female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Human Reproduction, 2007, vol. 22, pp. 2128-2135]).
요약하자면, 여성 불임 치료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이의 비실효성(ineffectiveness)으로 인해 여전히 오늘날 이용가능한 치료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없는 환자가 존재한다. 따라서, 여전히 더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여성 불임 치료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을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의 사용이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록 텅스텐산 나트륨이 당뇨병 암컷 마우스에서 혈당치를 정상화시키기 때문에 생식 기능 장애를 부분적으로 역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텅스텐산 나트륨이 암컷 불임의 치료에 대해 암컷 생식계의 기능에 있어 그 자체로 활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으로 기술하지도 제안되지도 않는다.
최근에는 텅스텐산 나트륨이 포도당 수준의 정상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음이 지적되어야 한다. 특히, 문헌 EP1400246에는 제1 당뇨병(IDDM) 또는 제2 당뇨병(NIDDM)을 가진 인간에서 혈당증을 감소키기 위한 텅스텐 (VI) 화합물의 약학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텅스텐 (VI) 염이 포도당 대사작용의 변화 또는 체중의 변화에 상관없이 배란의 회복 및/또는 난모세포 착상의 증가에 효과적인 치료이며, 이에 따라, 텅스텐 (VI) 염의 투여는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측면은 또한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로서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과 함께 발생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을 상기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기술되는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는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용 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또한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텅스텐 (VI) 염, 또는 상기 염의 용매화물뿐만 아니라,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과 함께 발생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의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란 치료적으로 유효한 텅스텐 (VI) 염을 형성하고 수의학적 또는 약학적 요법에 사용하기에 적당할 수 있는 임의의 비독성 무기 또는 유기 허용가능한 양이온을 지칭한다.
텅스텐산염 음이온은 항상 중성 텅스텐산염 염을 형성하는 양이온 기를 동반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텅스텐 (VI) 염은 알칼리 토류 또는 알칼리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 기를 포함하는 염이다.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 기의 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텅스텐 (VI) 염은 텅스텐 (VI)의 나트륨 염이다.
텅스텐 (VI) 염의 용매화물 및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이의 용도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용매화물은 상기 정의된 텅스텐 (VI) 염의 2수화물 용매화물이다. 바람직하게는, 텅스텐 (VI) 염의 용매화물은 구입 가능한 텅스텐산 나트륨 2수화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텅스텐 (VI) 염은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암컷 불임의 치료용 약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질병 또는 병태는, 특히, 다낭성 난소 증후군, 대사 증후군, 고프로락틴혈증, 자궁내막증, 식이 장애, 비만, 갑상선기능저하증,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홍반성 낭창, 간경변, 셀리악병, 만성 신부전 및 특발성 원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텅스텐 (VI) 염은 암컷 특발성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용어 "특발성 불임" 또는 "명백한 원인이 없는 불임" 또는 "불명성 불임"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혼용된다. 상기 용어는 표준 불임 테스트에서 수태 실현 불능의 원인을 밝히지 못한 불임 케이스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텅스텐 (VI) 염은 식이 장애로 인한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식이 장애는, 특히,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폭식증을 포함한다.
용어 "배란"은 암컷이 자궁 내에 난모세포를 방출하는 과정으로서 이해되며, 용어 "배란 회복"은 월경 주기가 재확립되는 과정으로서 이해되는데, 즉, 배란되지 않거나(무배란) 또는 불규칙하게 배란되는(희소배란) 암컷에서 자궁 내에 난모세포를 규칙적으로 방출하는 과정을 재확립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표 1의 결과에서 명확하게 확인되는 바와 같이, 텅스텐 (VI) 염의 투여는 치료된 비당뇨성 암컷 마우스의 100%가 (치료 시작 이래로 단지 7일 후) 발정 주기를 신속하게 회복하도록 하였다. 배란은, 본 발명의 텅스텐 (VI) 염의 투여가 치료된 암컷 마우스의 체중 또는 혈당증을 변화시키지 않은 기간 내에 회복된다(예, 표 3 및 4).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배란을 회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정의된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편, 실시예의 표 2의 결과에서 명확하게 확인되는 바와 같이, 텅스텐 (VI) 염의 투여는 정상 발정 주기를 회복한 치료된 비당뇨성 암컷 마우스의 80%에서 평균 5마리의 착상된 배아 또는 새끼의 착상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자궁벽에서 접합자 착상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정의된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접합자 착상을 증가시키는"은 자궁 내 난모 세포의 착상의 효율이 증가되는 과정으로서 이해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텅스텐 (VI) 염이 자궁에 착상되는 난모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다중 수태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성공적인 수태의 기회를 향상시키는 것에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배란을 회복하고 자궁벽에서 접합자 착상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정의된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텅스텐 (VI) 염의 사용은 수태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컷 불임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치료는 배란을 정상화시키고/시키거나 자궁벽에서 난모세포 착상을 증가시키는 이미 현존하는 치료와 관련된 대안적 약리학적 치료로서, 또는 착상 단계에서 배아 착상률을 증가시키는 자궁내 수정 및/또는 시험관 수정 기술과 관련된 치료로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텅스텐산염 염이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일부인 경우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조성물이다. 고체 경구용 조성물, 예컨대 정제 및 캡슐, 및 액체 경구용 조성물, 예컨대 경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이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는 의학 용도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기술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성분, 부형제 및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성분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또한, 타당한 위험/이득 비율을 가지고 과도한 독성, 과민증, 알레르기성 반응, 또는 기타 면역원성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또는 동물 조직 또는 기관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당하여야 한다.
텅스텐 (VI) 염은 비만 또는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요법에 사용되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투여하였을 때, 본 발명에서 규정된 암컷 불임의 치료에 충분한 텅스텐 (VI) 염의 양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텅스텐 (VI) 염의 특정 용량은, 예컨대 투여된 염, 투여 경로, 투여된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특정 상황을 둘러싼 케이스뿐만 아니라, 특히, 키, 체중 및 연령을 포함하는 환자의 특성; 및 질병의 성질 및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50∼500 mg/kg/일을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텅스텐 (VI) 염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치류에서, 상기 정의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은 100∼350 mg/kg/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학적 유효량은 150∼280 mg/kg/일을 포함한다.
동물 모델명 IRS-/-에 있어서 비당뇨성 포유동물의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증되었다. 상기 암컷 마우스는 우수한 비당뇨성 불임 마우스 모델이다. 더하여, 상기 동물 모델은 또한 비당뇨성 불임 암컷에 우수한 모델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용어 "포함하다" 및 이의 변형예는 다른 기술적 특징부, 첨가제, 성분 또는 단계를 제외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더하여, 용어 "포함하다"는 "이루어진다"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부를 어느 정도는 본 발명의 설명 및 어느 정도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이해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1. 동물 모델의 설명( IRS2 -/- 암컷 마우스)
IRS2-/- 마우스 모델은 Irs2 유전자 넉아웃 마우스 모델이다(Burks et. al., "IRS-2 pathways integrate female reproduction and energy homeostasis", Nature, 2000, vol. 407, pp. 377-382). Irs2 유전자 결실은 생식 및 당질 대사와 관련하여 명확한 성적 이형으로 번역된다.
상기 모델의 수컷 마우스는 초기 연령에 시작되는 중증 과혈당증 및 인슐린 저항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암컷 마우스는 늦은 연령(4∼5개월) 때까지 비교적 정상혈당(euglycemic)을 유지한다.
IRS2-/- 암컷 마우스는 대부분의 마우스에서 발정 주기의 부재를 동반한 낮은 여포 발생 및 지속적 무배란을 나타낸다.
IRS2-/- 암컷 마우스의 수태율은 IRSwt (IRS-2+/+ 야생형) 암컷 마우스의 100% 비율과 비교하여 9%였다.
2. 배란, 착상 및 수태 연구
A. 동물
10마리의 IRS2-/- 암컷 마우스의 연령은 6주와 8주 사이를 포함하였다.
6마리의 "야생형"(IRS2wt) 수컷 마우스의 연령은 6주와 8주 사이를 포함하였다.
암컷 및 수컷 마우스를 정상 조건에서, 즉, 12시간 광/암 주기 및 제어된 수분 및 온도에서 따로 사육하였다. 동물에게 표준 먹이 규정식을 자발적으로 (또한 소위 임의로) 공급하였다.
B. 방법
치료전 단계
새로운 환경 순응(acclimation) 기간 후, IRS2-/- 암컷 마우스를 케이지 당 4∼6마리의 마우스 군으로 사육하였다. 치료전 단계(2주) 동안 상기 동물에게 텅스텐산염-불포함 식수를 투여하였다.
치료 단계
치료전 단계 후(치료 0일) 및 동물 희생 전 최대 4주 동안 증류수 중 텅스텐산 나트륨 2수화물(Carlo Erba에서 구입)의 2 mg/㎖ 용액에 의해 텅스텐산 나트륨을 (임의로) 식수로 투여하였다. 마우스에 의해 섭취된 텅스텐산 나트륨의 1일 용량은 체중 1 kg 당 약 180 mg이었다.
교배
치료 첫 3주 후, IRS2-/- 암컷 마우스를 IRS2wt 수컷 마우스와 함께 둘씩 짝을 지어 연속적으로 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수태 또는 출산의 징후를 찾아서 매일 마우스를 관찰하였다. 4주 후, 케이지 사이에서 수컷 마우스를 교환하고 추가 4주 동안 상기 케이지에 두었다.
텅스텐산염의 투여는 수컷 및 암컷 마우스가 함께 사육되는 8주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8주 후, 치료를 중단하고 수컷 및 암컷 마우스를 추가 4주 동안 함께 사육하였다.
희생
상기 기관 경과 후, 암컷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수태 조짐을 찾아서 생검하였다.
C. 결과
배란 연구 결과
치료전 기간 동안 및 치료 첫 3주 동안, 마우스들이 속해있는 발정 주기 단계를 측정하기 위해 -8일; -5일; -2일; -1일; 7일; 8일; 14일; 15일 및 22일에 6마리의 무작위로 선택된 암컷 마우스에서 질세포검사를 수행하였다.
Pasteur 피펫으로 마우스의 질 내에 1∼2 ㎖의 식염 용액을 도입하였다. 질 삼출물을 동일한 피펫으로 수집하고 슬라이드 상에 침착시켰다. 일단 공기 건조하고, 고정하고 Papanicolaou 기법으로 염색하였다.
Papanicolaou 기법은 다음과 같이 슬라이드 상에 고정된 질세포검사물을 염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 50% v/v 알콜 중 10회 침지;
- 3분 동안 Harris 헤마톡실린 용액 중 침지;
- 유수로 세척;
- 산 알콜(1% 염산) 중 10회 침지;
- 유수로 세척;
- 95% v/v 알콜 중 10회 침지;
- 30초 동안 OG-6 용액 중 침지;
- 96% v/v 알콜 중 10회 침지;
- 1분 동안 에오신 용액 중 침지;
- 96% v/v 알콜 중 10회 침지;
- 86% v/v 알콜 중 10회 침지; 및
- 크실롤 중 10회 침지.
제제는 관찰자 경향을 제거하는 단순 맹검 방식으로 코드를 사용하여 훈련된 스태프에 의해 분석되었다.
샘플을 다음 단계로 확인하였다: 발정휴지기, 발정전기, 발정기 , 발정후기, 비발정기 또는 비-평가기. 4∼6일의 기간에서 4단계의 주기는 정상 발정 주기의 지표인 반면, 상기 주기의 부재 및 비발정기, 발정휴지기 또는 발정전기 단계의 지속은 발정 주기의 부재의 지표이다.
연구 하에서 10마리의 암컷 마우스 중, 표 1에는 상기 IRS2-/- 암컷 마우스 중 6마리에서 수행된 질세포검사물의 발정 주기의 단계가 요약된다.
Figure pct00001
발정 주기의 단계는 A: 비발정기, D: 발정휴지기, P: 발정전기, E: 발정기, 및 M: 발정후기이다.
표 1의 IRS2-/- 암컷 마우스의 질세포검사물에서 발견된 발정 주기 단계는, 치료전 단계 동안 모든 마우스가 발정전기(P) 또는 발정휴지기(D) 단계에 속해 있다, 즉 발정 주기의 부재에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하지만, 텅스텐산염의 투여를 시작한 후, IRS2-/- 암컷 마우스는 정상 발정 주기의 회복의 지표인 발정 주기, 발정기(E) 및 발정후기(M)의 후기 단계에 속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텅스텐 (VI) 염의 투여가 분석된 마우스 100%인 불임의 비당뇨성 IRS2-/- 암컷 마우스에서 발정 주기의 빠른 회복(치료 7일째)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착상 및 수태 연구의 결과
섹션 B 방법의 교배 기간이 경과한 후, 암컷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수태의 징후를 찾기 위해 생검하였다.
표 2에는 치료 시점의 연령, 수태 여부 및 암컷 마우스 당 배아의 숫자를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는 미치료된 IRS2-/- 암컷 마우스의 수태율이 9%인 반면, 텅스텐산염으로 치료된 IRS2-/- 암컷 마우스의 수태율은 최대 80% 증가한 것이 확인된다.
더하여, 이러한 결과는 또한 암컷 마우스 수태 당 새끼/착상된 배아의 평균 수는 약 5인 것이 확인되고, 이 수는 암컷 마우스의 새끼의 수와 유사한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표 1 및 2의 결과는 텅스텐 (VI) 염이 배란을 회복시키고/시키거나 난모세포 착상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치료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정의된 텅스텐 (VI) 염의 투여는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 치료에 효과적이다.
3. 혈당증 및 체중 연구
A. 동물
6마리의 IRS2-/- 암컷 마우스의 연령은 6∼8주 사이에 포함된다.
암컷 마우스를 정상 조건, 즉 12시간 광/암 주기 및 제어된 수분 및 온도에서 사육하였다. 상기 동물에게 표준 먹이 규정식을 자발적으로 (또한 소위 임의로) 공급하였다.
B. 방법
치료 단계
새로운 환경 순응 기간 후, 치료전 단계 후(치료 0일) 및 12일 동안 증류수 중 텅스텐산 나트륨 2수화물(Carlo Erba에서 구입)의 2 mg/㎖ 용액에 의해 텅스텐산 나트륨을 (임의로) 식수로 투여하였다.
C. 결과
치료 기간 중 0일, 2일, 5일, 7일, 9일 및 12일에 체중을 모니터링하고, 각 전술된 날짜 상에서 단식 6시간 후 꼬리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포도당 센서(Roche AccuTrend Glucose Sensor. Mannheim, Germany)에 의해 혈당을 측정하였다.
표 3은 혈당증 수준(mg/dl)을 요약하고, 표 4는 연구 하에 있는 마우스의 체중(g)을 요약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표 3 및 4의 결과는 텅스텐산 나트륨의 투여 동안 체중 또는 혈당증에 있어서 치료 첫 12일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동일 기간에 테스트된 암컷 마우스에서의 배란이 치료 시작 7일만에 이미 성공적으로 재확립되었음을 나타낸다(비교, 표 1).
따라서, 표 1 내지 4의 결과는 텅스텐 (VI) 염이 체중의 변화 및 당질 대사의 변화와 무관하게 배란을 회복시키고/시키거나 난모세포 착상을 증가시키기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정의된 텅스텐 (VI) 염의 투여는 암컷 생식계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비당뇨성 암컷 포유동물에서 불임의 치료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Claims (15)

  1.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의 암컷 불임 치료용 약품의 제조를 위한,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 기를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은 인간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이온 기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류 양이온인 용도.
  4. 제3항에 있어서, 양이온 기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5. 제4항에 있어서, 텅스텐 (VI) 염은 텅스텐 (VI)의 나트륨 염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매화물은 2수화물인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암컷 불임 치료는 배란을 회복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암컷 불임 치료는 자궁벽에 접합자 착상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암컷 불임이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와 함께 일어나는 것인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대사 증후군, 고프로락틴혈증, 자궁내막증, 식이 장애, 비만, 갑상선기능저하증,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홍반성 낭창, 간경변, 셀리악병, 만성 신부전 및 특발성(idiopathic) 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변화는 특발성 원인으로 인한 것인 용도.
  12. 제10항에 있어서, 식이 장애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폭식증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텅스텐 (VI)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일부인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조성물인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액체 조성물인 용도.
KR1020157022529A 2013-01-22 2014-01-21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 KR102182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201330071 2013-01-22
ES201330071A ES2478790B1 (es) 2013-01-22 2013-01-22 Uso de sales de tungsteno (VI) para el tratamiento de la infertilidad femenina en mamíferos no diabéticos
PCT/EP2014/051141 WO2014114644A1 (en) 2013-01-22 2014-01-21 Use of tungsten (vi) salts for the treatment of female infertility in non-diabetic mamm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992A true KR20150130992A (ko) 2015-11-24
KR102182563B1 KR102182563B1 (ko) 2020-11-25

Family

ID=4999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529A KR102182563B1 (ko) 2013-01-22 2014-01-21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9675638B2 (ko)
EP (1) EP2948156B1 (ko)
JP (1) JP6045721B2 (ko)
KR (1) KR102182563B1 (ko)
CN (1) CN105188721B (ko)
AU (1) AU2014209987B2 (ko)
BR (1) BR112015017483A2 (ko)
CA (1) CA2898953C (ko)
CL (1) CL2015002047A1 (ko)
CY (1) CY1118287T1 (ko)
DK (1) DK2948156T3 (ko)
ES (2) ES2478790B1 (ko)
HK (1) HK1217442A1 (ko)
HR (1) HRP20161611T1 (ko)
HU (1) HUE031910T2 (ko)
IL (1) IL240062B (ko)
LT (1) LT2948156T (ko)
MX (1) MX356851B (ko)
NZ (1) NZ710583A (ko)
PL (1) PL2948156T3 (ko)
PT (1) PT2948156T (ko)
RS (1) RS55418B1 (ko)
RU (1) RU2635507C2 (ko)
SG (1) SG11201505701WA (ko)
SI (1) SI2948156T1 (ko)
SM (1) SMT201700018B (ko)
WO (1) WO2014114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627A (ko) * 2014-07-21 2017-03-15 옥소라이프, 에스.엘. 비당뇨병 암컷 포유류에서 불임 치료를 위해, 수정 및 정상 생식을 자극하기 위해, 및 보조 생식 기술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텅스텐(vi) 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1828B1 (es) * 2014-05-21 2016-09-12 Oxolife S.L. Composiciones alimentarias que comprenden sales de tungsteno (VI)
ES2639588B1 (es) * 2014-05-21 2018-09-06 Oxolife, S.L. Uso de una sal de tungsteno (VI) para favorecer la fertilidad y la reproducción normal en un mamífero hembra no diabético
EP4368577A1 (en) * 2022-11-08 2024-05-15 Oxolife, S.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ungsten (vi) salt hydra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2209B2 (en) * 2001-05-16 2006-10-17 Quimica Farmaceutica Bayer S.A. Or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on-diabetic obese mammals, including huma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134A (en) * 1980-05-06 1982-05-04 Schally Andrew Victor Anorexigenic peptides
ES2108642B1 (es) * 1995-07-26 1998-08-16 Quimica Farm Bayer Sa Composiciones de tungsteno (vi) para el tratamiento oral de la diabetes mellitus.
RU2141361C1 (ru) * 1998-03-12 1999-11-20 Перм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ановуляторного бесплодия при ожирении
WO2004030687A1 (en) * 2002-10-02 2004-04-15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Long-acting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270684C1 (ru) * 2005-01-20 2006-02-27 Анатолий Григорьевич Гриценко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витасорб"
EP1972342A4 (en) * 2005-07-29 2011-01-12 Univ Barcelona PHARMACEUTICAL TREATED SALT (VI)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EGENERATIVE DISORDERS, IN PARTICULAR ALZHEIMER DISEASE AND SCHIZOPHRENIA
US20060100154A1 (en) * 2005-10-13 2006-05-11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ong-acting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2209B2 (en) * 2001-05-16 2006-10-17 Quimica Farmaceutica Bayer S.A. Or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on-diabetic obese mammals, including huma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rks et al, Nature. 2000 Sep 21;407(6802):377-38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627A (ko) * 2014-07-21 2017-03-15 옥소라이프, 에스.엘. 비당뇨병 암컷 포유류에서 불임 치료를 위해, 수정 및 정상 생식을 자극하기 위해, 및 보조 생식 기술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텅스텐(vi) 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2948156T1 (sl) 2017-02-28
ES2611776T3 (es) 2017-05-10
LT2948156T (lt) 2016-12-27
ES2478790B1 (es) 2015-05-06
US9675638B2 (en) 2017-06-13
JP6045721B2 (ja) 2016-12-14
CL2015002047A1 (es) 2016-01-04
JP2016505057A (ja) 2016-02-18
KR102182563B1 (ko) 2020-11-25
EP2948156A1 (en) 2015-12-02
CA2898953C (en) 2018-01-02
BR112015017483A2 (pt) 2017-07-11
IL240062B (en) 2018-11-29
EP2948156B1 (en) 2016-10-26
US20150359820A1 (en) 2015-12-17
ES2478790A1 (es) 2014-07-22
SMT201700018B (it) 2017-03-08
HRP20161611T1 (hr) 2017-01-27
MX2015009364A (es) 2016-03-08
PL2948156T3 (pl) 2017-07-31
WO2014114644A1 (en) 2014-07-31
DK2948156T3 (da) 2017-01-02
RS55418B1 (sr) 2017-04-28
AU2014209987B2 (en) 2016-09-01
HUE031910T2 (en) 2017-08-28
SG11201505701WA (en) 2015-08-28
NZ710583A (en) 2016-06-24
PT2948156T (pt) 2016-11-30
RU2015135578A (ru) 2017-03-02
CA2898953A1 (en) 2014-07-31
HK1217442A1 (zh) 2017-01-13
CN105188721A (zh) 2015-12-23
RU2635507C2 (ru) 2017-11-13
CN105188721B (zh) 2017-10-31
MX356851B (es) 2018-06-18
AU2014209987A1 (en) 2016-01-21
CY1118287T1 (el) 2017-06-28
IL240062A0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shing The hypophysis cerebri clinical aspects of hyperpituitarism and of hypopituitarism
O'toole et al. Vitamin A deficiency and reproduction in rhesus monkeys
KR102182563B1 (ko) 비당뇨성 포유동물에서 암컷 불임 치료를 위한 텅스텐 (vi) 염의 용도
Renz et al. new macrofilaricidal drug screen, Onchocerca ochengi
CN113768945A (zh) 京尼平苷在制备治疗少弱精子症药物中的用途
WO2001022961A1 (fr) Nouvelle application de modafinil et de son enantiomere d/l
US20150132390A1 (en) Pathogenic attenuation via the administration of an equilibiotic compound
CN112402428B (zh) 瑞马唑仑在制备治疗阿片类药物诱发的术后痛觉过敏的药物中的应用
EP2133082B1 (en) THE USE OF GINSENOSIDE Rg1, ITS METABOLITES GINSENOSIDE Rh1 AND/OR PpT
Yildiz et al. Changes in the uterus and vagina of rats with experimentally induced diabetes and the effect of lycopene on the changes.
RU274491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эндометрита у коров
JP6534439B2 (ja) 非糖尿病の雌性哺乳動物において生殖能力及び正常な妊孕力を刺激するための及び生殖補助医療の有効性を改善させるための、不妊症の治療に使用されるタングステン(vi)塩
CN109045014B (zh) 牡荆素在制备治疗糖尿病性功能及生育力低下药物中的用途
EL-Din et al. Echinchrome Pigment Isolated from Sea Urchin Improves Female Rat’s Fertility
Marius Deac et al. Including Natural and Synthetic PGF2α in a 11-day FGA-Based Estrus Synchronization Protocol in Sheep: an Efficacy Comparison of Dinoprost and Cloprostenol.
Deac et al. Including Natural and Synthetic PGF2α in a 11-day FGA-Based Estrus Synchronization Protocol in Sheep: an Efficacy Comparison of Dinoprost and Cloprostenol
Noori et al. A Histomorphological Comparative Effects of Metformin, Pioglitazone, Repaglinide and Acarbose on Polycystic Ovary in Mice.
CN113476440A (zh) 芝麻素在制备治疗生精功能障碍药物中的用途
CN114452274A (zh) 高原儿茶酸在制备治疗多囊卵巢综合症的药物中的应用
CN117695324A (zh) 杜仲雄花花粉和/或杜仲雄花的新用途以及包含其的组合物
CN116473992A (zh) 甜菜碱药物组合物在输卵管治疗上的应用
Sowiński et al. Smoking and thyroid disease–review of literature
Brink Diseases of the pituitary body
Mirvish Clinical applications of some recent advances in endocrinology
ES2639588A2 (es) Uso de una sal de tungsteno (VI) para favorecer la fertilidad y la reproducción normal en un mamífero hembra no diabé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