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723A -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723A
KR20150130723A KR1020140057667A KR20140057667A KR20150130723A KR 20150130723 A KR20150130723 A KR 20150130723A KR 1020140057667 A KR1020140057667 A KR 1020140057667A KR 20140057667 A KR20140057667 A KR 20140057667A KR 20150130723 A KR20150130723 A KR 2015013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side mirror
providing system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526B1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5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중에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사이드 미러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사이드 미러를 접고,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로 인한 주행 소음(풍절음)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IMAGE PROVIDING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후방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는 운전석과 조수석 도어에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로 인해 차량의 공기 저항이 증가하여 연비가 악화될 뿐만 아니라 주행 소음(풍절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차량의 도어에 장착된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공기 저항 및 주행 소음(풍절음)을 줄이기 위해 도어(D)에 사이드 미러(10) 대신 카메라(C)가 장착된 차량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이드 미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 카메라(C)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round View Monitoring; AVM) 시스템을 구성하려면 별도의 카메라를 추가로 장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사이드 미러를 접고,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로 인한 주행 소음(풍절음)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중에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사이드 미러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접힘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접힘 신호를 수동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미러 구동부가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기 전에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하방 또는 후방 촬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접힘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기 전에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전에, 상기 영상을 하방 또는 후방 촬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사이드 미러를 접고,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로 인한 주행 소음(풍절음)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도어에 장착된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이드 미러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며, 단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가 아니라면 복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되,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은 차량(V)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한 쌍의 카메라(10A, 10B), 차량(V)의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20), 및 차량(V)의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4개의 카메라(10A, 10B, 20, 30)에는 어안 렌즈(Fish-eye Lens)와 같은 광각 렌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V)에 장착된 4개의 카메라(10A, 10B, 20, 30)로 차량(V)의 주변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V)에 장착된 4개의 카메라(10A, 10B, 20, 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하여 차량(V)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주차 또는 주행 시에 이러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round View Monitoring; AVM) 시스템을 이용하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을 위해 차량(V)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한 쌍의 카메라(10A, 10B)를 차량(V)의 후방을 촬영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카메라(10A, 10B, 20, 30)가 차량(V)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개수는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V)의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20)와 차량(V)의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3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이드 미러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이드 미러(10)의 하부에는 카메라(10A, 10B)가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보다 낮거나 카메라(10A, 10B)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이드 미러(10)를 펼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며, 이때 사이드 미러(10)에 장착된 카메라(10A, 10B)는 차량의 측하방을 촬영함으로써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를 넘어서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 미러(10)를 걸윙(Gull-wing) 방식으로 접은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며, 이때 사이드 미러(10)에 장착된 카메라(10A, 10B)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리어뷰(Rear-view)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10)로 인한 주행 소음(풍절음)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10)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 측면에서 문제가 없으며, 별도의 카메라를 추가로 장착하지 않고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을 위해 장착된 기존의 카메라(10A, 10B)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차량 정보 수집부(110), 사용자 조작부(120), 사이드 미러 구동부(130), 데이터 저장부(140), 데이터 통신부(160), 영상 입력부(170), 영상 처리부(180) 및 영상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중앙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차량 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 조작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를 수동으로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버튼(Button), 키패드(Keypad),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마이크(Mike)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 구동부(130)는 차량의 주행 중에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카메라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사이드 미러를 접는 역할을 하며, 주행 중에 사이드 미러가 접힘에 따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미러 구동부(130)가 사이드 미러를 접기 전에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는 차량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 조작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발생된다.
데이터 저장부(140)는 중앙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메모리(Memory) 소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Unit; M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미도시됨),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등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하며, 유선 네트워크 모듈 또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네트워크 모듈은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DMA; WCDMA),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UWB),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70)는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영상 처리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하방 또는 후방 촬영 모드, 즉 사이드 미러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90)는 영상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 후(S110 단계),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단계). 이때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중에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사이드 미러가 접힌다는 것을 경고한다(S130 단계). 이어서, 사이드 미러를 접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한 후(S142 단계),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후방 촬영 모드로 영상 처리한다(S152 단계).
한편, 차량의 주행 중에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이드 미러를 펼침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한 후(S141 단계),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하방 촬영 모드로 영상 처리한다(S151 단계). 이어서, 상기 S151 단계 또는 상기 S152 단계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S160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사이드 미러를 접고,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로 인한 주행 소음(풍절음)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클래스 구성요소, 태스크 구성요소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어레이, 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110 : 차량 정보 수집부
120 : 사용자 조작부
130 : 사이드 미러 구동부
140 : 데이터 저장부
150 : 중앙 제어부
160 : 데이터 통신부
170 : 영상 입력부
180 : 영상 처리부
190 : 영상 출력부

Claims (10)

  1.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차량의 주행 중에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사이드 미러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접힘 신호가 발생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접힘 신호를 수동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 구동부가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기 전에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하방 또는 후방 촬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7.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접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접힘 신호가 발생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는 단계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접기 전에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전에,
    상기 영상을 하방 또는 후방 촬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40057667A 2014-05-14 2014-05-14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9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67A KR102193526B1 (ko) 2014-05-14 2014-05-14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67A KR102193526B1 (ko) 2014-05-14 2014-05-14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23A true KR20150130723A (ko) 2015-11-24
KR102193526B1 KR102193526B1 (ko) 2020-12-21

Family

ID=5484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67A KR102193526B1 (ko) 2014-05-14 2014-05-14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97A1 (en) * 2017-07-26 2019-01-31 Lg Electronics Inc. EXTERIOR MIRROR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071A (ja) *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転支援画像生成装置
JP2013001298A (ja) * 2011-06-20 2013-01-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071A (ja) *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転支援画像生成装置
JP2013001298A (ja) * 2011-06-20 2013-01-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監視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97A1 (en) * 2017-07-26 2019-01-31 Lg Electronics Inc. EXTERIOR MIRROR FOR A VEHICLE
KR20190012052A (ko) * 2017-07-26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
CN111183063A (zh) * 2017-07-26 2020-05-19 Lg电子株式会社 用于车辆的侧镜
US10843629B2 (en) 2017-07-26 2020-11-24 Lg Electronics Inc. Side mirror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526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8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pproaching object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80017799A1 (en) Heads Up Display For Observing Vehicle Perception Activity
US9580014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nd displaying obstacles and data associated with the obstacles
KR101677856B1 (ko) 차량용 후방 카메라 시스템
KR20170115544A (ko) 환경적 장면 조건 검출
JP6669240B1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US201802200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rearview display
CN107839598B (zh) 车内生命检测警告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17066956A1 (zh) 车载监控方法及装置
US11146728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29486B1 (ko) Avm 시스템에서의 사각 지대 감시 방법 및 그 avm 시스템
JP2020504694A (ja) 自律運転車両下方の監視のためのシステム
US20200039435A1 (en) Onboard camera system for eliminating a-pillar blind areas of a mobile vehicl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220176912A1 (en) Automatic Vehicle Window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93526B1 (ko) 차량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4604253A (zh) 用于检测车辆驾驶员的分心驾驶的系统和方法
KR101760050B1 (ko)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오토 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1762726B1 (ko) Avm 시스템에서의 탑뷰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avm 시스템
KR10254519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35005A1 (en) Monitoring camera, camera parameter determin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80222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ront view images
KR102292505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주차 충격 이벤트 영상 선별 저장방법
KR20150104859A (ko)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의 전방위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CN108960091B (zh) 监控系统、方法、可读存储介质及汽车
KR20210060690A (ko) 차량 및 그 후방 영상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