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710A -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710A
KR20150130710A KR1020140057628A KR20140057628A KR20150130710A KR 20150130710 A KR20150130710 A KR 20150130710A KR 1020140057628 A KR1020140057628 A KR 1020140057628A KR 20140057628 A KR20140057628 A KR 20140057628A KR 20150130710 A KR20150130710 A KR 20150130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unit
support frame
rot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540B1 (ko
Inventor
임국건
Original Assignee
임국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건 filed Critical 임국건
Priority to KR102014005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팔이 위치되는 스탠드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는, 운전시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적어도 운전자의 팔이 놓이는 스탠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연동유닛; 및 상기 연동유닛의 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회동유닛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전방 이동과 상방 이동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사용자의 신체적 피로도 감소와, 작업용 차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Adjusting device of stand for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작업용 차량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장착되고, 레버의 위치가 곡선 궤도를 따라 조절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작업용 차량은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으로 건설 및 토목 공사 등과 같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차량 또는 물품의 제조 또는 소재의 가공 등과 같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차량 그리고, 농사나 산림 작업 등과 같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차량 등이 있을 수 있다.
건설 및 토목 공사 등과 같은 현장에서는 땅이나 암석 등을 파거나 뚫는데 사용되는 건설기계인 굴착기와, 굴착에 의해 나온 흙이나 암석 등을 이송하기 위하여 운송차량에 싣는데 사용되는 로더 등이 대표적인 작업용 차량이다.
또한, 물품의 제조 또는 소재의 가공 등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는 무거운 물품의 이동 또는 적재 등과 같은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크레인과, 생산된 물품 또는 생산을 위한 소재를 이송 또는 적재하는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지게차 등이 대표적인 작업용 차량이다.
그리고, 농사나 산림 작업 등과 같은 현장에서는 농작물의 이송 등과 같은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트랙터와, 농작물의 수확에서 탈곡까지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콤바인 등이 대표적인 작업용 차량이다.
이와 같은, 작업용 차량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도구가 장착되고, 이러한 작업 도구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레버가 제공된다.
굴착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굴착기에는 땅을 파기 위하여 버킷이 장착되고, 운전자가 위치하여 운전하는 공간인 운전실에는 상기 버킷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장착된다.
상기 운전실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그 측면에는 운전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는 운전자의 착석을 위한 운전시트가 장착된다. 상기 운전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버킷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장착된다.
이처럼, 운전자는 상기 운전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버킷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75520호에는 굴삭기의 콘트롤 스탠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3276호에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75520호에는 굴삭기의 콘트롤 스탠드에 전달되는 차체의 상하 방향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줄 수 있게 한 콘트롤 스탠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운전석 좌, 우측 차체 바닥면에 돌출된 브라켓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타측 저부는 차체 바닥면을 기점으로 변형 마름모꼴 운동을 하는 사절 링크기구의 정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링크기구는 관절부를 관통하는 나사축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링크기구의 마주보는 관절부에는 각각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굴삭기의 콘트롤 스탠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구성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3275호에는 최적의 운전자세에서 조정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조정레버 높낮이를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고, 프레임에 고정되며 콘솔박스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의 구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는, 운전시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적어도 운전자의 팔이 놓이는 스탠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연동유닛; 및 상기 연동유닛의 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회동유닛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는, 운전시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팔이 놓이는 스탠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래칫의 형태로 장착되고, 구동유닛에 의해 연동하는 연동유닛이 회동유닛을 회동시키면서 스탠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래칫의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구동유닛과 연동하는 연동유닛에 의해 회동유닛이 회동하면서 스탠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탠드는 곡선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스탠드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스탠드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가장 편한 위치에 스탠드를 위치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인체 피로도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작업용 차량을 이용한 작업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운전시트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운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지지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가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의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가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용어이므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 접속될 수 있지만,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 접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각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 및 접속될 수도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되거나 결합 및 접속되어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거나 결합 및 접속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운전시트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은 굴착기이다. 굴착기는 땅을 파거나, 암석 등을 채굴 또는 뚫어서 파낸 흙이나 채굴 또는 뚫린 암석 등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작업용 차량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굴착기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행하게 되는 주행체(40)와, 상기 회전체(10)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회전체(10)는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이동 및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실(20)과, 상기 동력실(20)의 일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행체(40)는 상기 굴착기의 위치 이동을 위하여 주행하게 되는 부분으로 무한궤도 또는 바퀴 등이 장착되어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굴착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첨부되는 도면에는 상기 주행체(40)가 무한궤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도시된다.
상기 회전체(10)에는 상기 작업체(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업체(50)는 붐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붐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붐이 결합되는 붐에 대하여 굴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업체(50)의 한쪽 끝 부분에는 버킷(51)이 장착되어 굴착된 토양 등을 퍼 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버킷(51)은 필요에 따라 다른 작업 도구가 장착될 수 있어 작업 현장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운전실(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는 도어(3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31)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을 통해 운전자가 상기 운전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하게 된다.
상기 도어(31)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도어(31)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장착되고, 이러한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31)는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운전실(30) 내부 공간의 운전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작업 중 운전자의 낙상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실(30)의 적어도 전면과 상기 도어(31)의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가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운전실(30)의 하면과 상기 주행체(40)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운전실(30)의 틸팅을 위한 틸팅장치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틸팅장치는 굴착기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굴착기의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운전실(30)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시트(32)가 마련된다. 상기 운전시트(32)는 후측에서 운전자를 지지하는 후방시트(321)와, 하측에서 운전자를 지지하는 하방시트(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시트(321)는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방시트(322)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실(30)로 전달되는 진동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 예를 들어, 스펀지 등과 같은 소재로 내부 공간이 충진된다.
상기 후방시트(321)와 상기 하방시트(322)의 외면은 외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소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죽 또는 고분자 복합소재 등으로 충진 소재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방시트(322)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운전자가 상기 굴착기를 운전하거나,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팔이 놓이는 스탠드(60)가 제공된다.
상기 스탠드(6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에는 운전자가 작업용 차량의 작업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조작부에는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와 조작버튼 등이 제공되며, 이러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는 작업용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탠드(60)가 상기 하방시트(322)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탠드(60)가 상기 하방시트(322)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경우 설치되지 않는 방향의 구성을 제외하면 된다.
상기 스탠드(6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조작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 수신하고,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가 장착되는 메인기판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운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지지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운전시트(32)의 하측에는 상기 운전시트(3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이 위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3)은 상기 하방시트(322)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운전시트(32)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3)은 다수의 빔이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상기 스탠드(6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33)은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비어있는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빔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3)에는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80)는 상기 지지프레임(33)에 지지되면서 상기 스탠드(60)와 결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장치(70)는 각각의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양측에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하나의 상기 스탠드(60)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른 스탠드(60)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상기 조절장치(70)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양측에 장착되는 상기 스탠드(60)의 위치가 모두 조절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각각의 상기 스탠드(60)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장치(70)를 장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조절장치(70)를 각각의 상기 스탠드(60)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면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스탠드(60)는 상기 지지프레임(3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 보강용 빔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동력 전달용 빔으로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즉, 어느 하나의 상기 스탠드(60)에 장착되는 상기 조절장치(70)에 의해 양측의 상기 스탠드(6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장치(7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용 빔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조절장치(70)에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동력 전달용 빔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양측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동력 전달용 빔은 빔의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동력 전달부재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동력 전달부재(331)는 다음에 설명할 회전축(도 5의 731)과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33)에 지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조절장치(70)는 상기 스탠드(60)와 결합되면서,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직선 형태의 궤적을 가지는 높낮이 조절 또는 전후 방향의 위치 조절이 아닌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궤적을 따라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에 상기 스탠드(60)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궤적을 따라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 이동과 상하방향 이동이 동시에 진행되어, 상기 스탠드(60)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적합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좌측에는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7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71)과, 상기 구동유닛(71)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연동유닛(72)과, 상기 연동유닛(72)의 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유닛(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60)는 상기 회동유닛(73)과 결합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절장치(70)는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일 측면에 장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조절장치(70)는 상기 지지프레임(33)에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서 장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로 상기 조절장치(70)가 장착되더라도 운전자 즉,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절장치(70)를 사용하는 모든 인원을 통칭하여 사용자라 칭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구동유닛(71)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레버(711)와, 상기 구동레버(711)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체(7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711)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구동레버(711)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레버(71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조작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구동레버(71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레버(711)와 연결되는 상기 구동체(712)가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레버(711)와 상기 구동체(712)가 회전 운동이 아닌 병진 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써 상기 구동레버(711)가 버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712)가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동유닛(71)은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레버(711)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래칫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래칫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구동레버(711)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71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13)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레버(711)를 회전 운동하도록 조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레버(711)는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구동체(712)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 끝 부분은 상기 구동레버(711)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체(712)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다음에 설명할 상기 연동유닛(72)과 결합되면서 상기 연동유닛(7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712)의 중앙 부분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면서, 상기 구동체(712)가 회전 운동하더라도 상기 구동체(712)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구동체(712)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레버(711)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구동체(712)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레버(711)가 함께 이동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체(712)의 일 부분에 베어링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체(711)는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3)에는 상기 구동체(712)를 고정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또는 지지판 등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체(712)가 원 기둥의 형태가 아닌 사각 또는 육각 등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동유닛(72)과의 결합과 동작을 위하여 원형 기둥의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동체(712)의 후반부 외면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기 구동체(712)의 후반부에 상기 연동유닛(72)이 관통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체(712)는 전체적으로 환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후반부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유닛(72)은 중앙부에 상기 구동체(712)가 관통하도록 관통홀(721)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관통홀(721)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동유닛(72)과 상기 구동체(712)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유닛(72)의 상기 관통홀(721)의 내면에는 상기 구동체(712)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유닛(72)과 상기 구동체(712)는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체(712)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연동유닛(72)이 병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유닛(72)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구동유닛(71)과 교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동유닛(72)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좌우 방향으로 누운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721)이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체(712)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유닛(72)의 길이 방향 한쪽 끝 부분에는 상기 회동유닛(73)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73)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유닛(73)은 상반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연동유닛(72)의 한쪽 끝 부분과 결합된다.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가 상기 연동유닛(72)의 한쪽 끝 부분과 결합되면,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유닛(73)은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유닛(72)과 결합되는 부분의 하측에는 상기 회동유닛(73)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73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31)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331)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31)과 상기 동력 전달부재(331)가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지지프레임(33)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로 절제되거나,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개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동력 전달부재(331)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동유닛(72)이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될 때, 상기 회전축(7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동유닛(73)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731)이 일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연동유닛(72)이 상기 구동체(712)의 외면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유닛(73)은 상기 회전축(7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운동하게 된다.
이때,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회동유닛(73)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절제 또는 절개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회전축(7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동유닛(72)이 직선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더라도 상기 회동유닛(73)이 상기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회전축(7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경우 상기 회동유닛(73)이 상기 회전축(731)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려면,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 궤적이 직선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어야만 함에 따라 상기 구동체(712)가 곡선 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동유닛(72)이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회전축(731)은 상기 연동유닛(72)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73)이 회전 운동하게 될 때 회전 중심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731)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유닛(73)의 상하 방향 길이는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731)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회동유닛(73)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회전축(7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회동유닛(73)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축(731)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측의 이동 범위에 대하여 하측의 회전 각도를 늘림으로써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유닛(73)은 상기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닛(73)은 상기 회전축(731)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는 상단부의 이동 범위에 대하여 더욱 큰 회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탠드(60)의 위치를 더욱 세분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적합한 위치에 상기 스탠드(6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탠드(60)와 결합되는 결합부(74)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74)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탠드(60)의 하반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탠드(60)와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74)가 상기 스탠드(60)를 관통하지 않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합부(74)가 환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탠드(60)의 하반부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이처럼, 상기 결합부(74)가 상기 스탠드(60)의 하반부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유닛(7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탠드(60)는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71)의 후단부 후측에는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75)가 더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75)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5)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되고, 절곡된 면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동유닛(73)의 회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상기 연동유닛(72)이 상기 구동유닛(71)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일정 정도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75)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2)과 결합된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가 상기 구동유닛(71)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75)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 회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토퍼(75)는 상기 회동유닛(73)의 회동 제한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73)과 결합되는 상기 연동유닛(7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가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의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의해 스탠드가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713)를 파지하여 상기 구동레버(7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레버(7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체(712)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체(712)가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체(712)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연동유닛(72)이 상기 구동체(712)의 후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2)과 결합되는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가 상기 구동체(712)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731)과 상기 동력 전달부재(331)는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측면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연동유닛(72)의 후방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2)과 체결되는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 궤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유닛(73)의 상단부가 상기 구동체(712)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유닛(73)은 상기 회전축(7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서 하단부가 상기 구동체(712)의 전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는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궤도를 따라 상기 구동체(712)의 전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축(7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상의 원을 그리면서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처럼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가 가상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유닛(73)의 하단부가 가상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74)가 동일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스탠드(60)가 동일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탠드(60)가 가상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스탠드(60)는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탠드(60)가 전방과 상방으로 동시에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스탠드(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60)가 전방과 상방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60)의 전방 이동과 상방 이동을 각각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는, 전방 이동과 상방 이동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스탠드가 사용자가 원하는 적합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스탠드를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피로도 감소와, 작업용 차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많은 장점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는 작업용 차량의 생산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회전체 20. 동력실
30. 운전실 31. 도어
32. 운전시트 321. 후방시트
322. 하방시트 33. 지지프레임
331. 동력 전달부재 40. 주행체
50. 작업체 51. 버킷
60. 스탠드 70. 조절장치
71. 구동유닛 72. 연동유닛
73. 회동유닛 74. 결합부
75. 스토퍼

Claims (10)

  1. 운전시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적어도 운전자의 팔이 놓이는 스탠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연동유닛; 및
    상기 연동유닛의 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회동유닛과 결합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체; 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래칫 형태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나사 결합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하측의 상하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 부분에 대하여 상측 부분이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의 회전 중심은 상기 연동유닛과 결합되는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시트의 하측에는 상기 조절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연동유닛 또는 상기 회동유닛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시트의 하측에는 상기 조절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연동유닛의 운동 동력을 다른 스탠드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가 더 제공되는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KR1020140057628A 2014-05-14 2014-05-14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KR10160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28A KR101607540B1 (ko) 2014-05-14 2014-05-14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28A KR101607540B1 (ko) 2014-05-14 2014-05-14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10A true KR20150130710A (ko) 2015-11-24
KR101607540B1 KR101607540B1 (ko) 2016-03-30

Family

ID=5484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28A KR101607540B1 (ko) 2014-05-14 2014-05-14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165A (zh) * 2017-12-27 2018-06-08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调节支架、八向调节机构及工程车
CN114655097A (zh) * 2020-12-23 2022-06-24 格拉默公司 用于商用车辆座椅的高度可调控制杆支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165A (zh) * 2017-12-27 2018-06-08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调节支架、八向调节机构及工程车
CN108128165B (zh) * 2017-12-27 2023-07-18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调节支架、八向调节机构及工程车
CN114655097A (zh) * 2020-12-23 2022-06-24 格拉默公司 用于商用车辆座椅的高度可调控制杆支架
EP4019327A1 (de) * 2020-12-23 2022-06-29 Grammer Ag Höhenverstellbarer steuerhebelträger für einen nutzfahrzeugsitz
CN114655097B (zh) * 2020-12-23 2024-01-12 格拉默公司 用于商用车辆座椅的高度可调控制杆支架
US12017562B2 (en) 2020-12-23 2024-06-25 Grammer Ag Height-adjustable control lever carrier for a commerical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540B1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200B1 (ko) 유압 셔블
CN103732524B (zh) 悬臂结构
JP5756171B2 (ja) 建設機械
WO2009157230A1 (ja) ローダ作業機
RU2008120399A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CN112673134A (zh) 作业机械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KR101607540B1 (ko)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US20180050588A1 (en) Crawler belt-type tractor
JP5996122B2 (ja) 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その製造方法
EP2980320A2 (en) Front loader frame, front loader equipped with front loader fram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front loader
KR101547857B1 (ko) 작업용 차량의 레버스탠드 조절장치
US20210331307A1 (en) Controller, adjustment device, and adjustment system
KR101345223B1 (ko)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JP2004092191A (ja) 油圧ショベル用作業装置とその旋回機構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7091206B2 (ja) 作業用車両
JP7094848B2 (ja) 作業用車両
JP7080567B2 (ja) 作業用車両
KR20130042729A (ko) 중장비의 운전실 틸팅 장치
EP4183933A1 (en)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rotation operation of work tool
JP6687984B2 (ja) 開脚型油圧ショベル
US10392773B2 (en) Linkage assembly for machine
WO2008135944A2 (en) Excavation machine
JP6769920B2 (ja) 開脚型油圧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