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257A - X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X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257A
KR20150129257A KR1020140055777A KR20140055777A KR20150129257A KR 20150129257 A KR20150129257 A KR 20150129257A KR 1020140055777 A KR1020140055777 A KR 1020140055777A KR 20140055777 A KR20140055777 A KR 20140055777A KR 20150129257 A KR20150129257 A KR 20150129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otation
unit
rotat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331B1 (ko
Inventor
박무용
우재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31B1/ko
Priority to US15/308,604 priority patent/US10172571B2/en
Priority to CN201580030629.3A priority patent/CN106456089B/zh
Priority to PCT/KR2015/004626 priority patent/WO2015170926A1/ko
Publication of KR2015012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7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combined acquisition of different diagnostic moda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76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7Alignment of source unit to detect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8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detect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을 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수단만으로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을 통해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X선 소스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 하단에 축회전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제1센서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축회전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축회전수단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X선 촬영장치{X-RAY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T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을 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수단만으로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아 및 각종 치주질환을 치료하거나 치열의 교정 등을 목적으로 치아 및 치조골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가 설치된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X선 촬영장치는 일정량의 X선을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인 치아 부분에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X선의 세기를 감지하며, 상기 X선 세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보내며, 이때, 상기 컴퓨터는 신체촬영부위의 각 점의 X선의 세기를 구해 이것을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상술한 X선 촬영장치로서, 삼차원적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CT(Computerized Tomography)용 X선 촬영장치 및 이차원적 평면으로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CT용 X선 촬영장치는 일반촬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신체의 단층면상을 나타내는 영상장치로, X선을 360도에 걸쳐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인체에 투사하고, 투과한 X선을 센서 등의 검출기를 통해 수집하여, 인체의 단면에 대한 흡수치를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단층촬영장치이다.
또한,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는 X선 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으로 전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전체 치아상태와 턱관절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CT용 X선 촬영장치는 단층 화상만을 획득할 수가 있는 반면,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는 파노라마 화상만을 획득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CT용 X선 촬영장치는 CT 영상밖에 얻을 수 없고, 상기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는 파노라마 영상밖에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 하나의 X선 촬영장치에서 CT 촬영뿐만 아니라 파노라마 촬영을 겸할 수 있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94563호(등록일자 2008년01월08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T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을 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수단만으로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을 통해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X선 소스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 하단에 축회전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제1센서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축회전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축회전수단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축회전수단의 회전반경 상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1힌지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2힌지부; 및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타측 하단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된 중공형 고정바디 및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센서바디가 설치된 중공형 회전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의 상부에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이드블록과 레일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의 대응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고정판의 일지점에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판을 상기 소스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주는 탄성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장방형 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양측 상면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링크의 중앙부에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CT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을 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수단만으로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수단만으로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동시에 구현함에 따른 결과로서, X선 소스부와 센서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X선 소스부와 수진자의 두부 사이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파노라마 영상촬영 또는 CT촬영에 적절한 배율로 조절하여 두 가지 촬영을 모두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돌출핀을 연동링크로 연결하는 바와 같이 간단한 링크 구조를 통해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연동시켜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의 중앙부에 길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센서부의 회전과 회전부의 슬라이딩 이동의 연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판을 소스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주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기 고정판과 회전부 간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0), X선 소스부(200), 센서부(300) 및 작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수단(110)을 통해 회전축(10)의 하단에 구비되며,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00)는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회전부(100)의 중앙부분에는 장방형 홀(100h)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 홀(100h)을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축(1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장방형 홀(100h)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회전축(10)과 간섭없이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수단(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0)의 하단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 고정판(111), 상기 고정판(111)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블록(112) 및 상기 가이드블록(112)과 레일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판(111)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100)의 대응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11)은 판상의 부재로서, 중앙부에는 회전축(1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홀(111h)이 형성되고, 양측 상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그 탄차면에 가이드블록(112)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12)은 상기 회전부(1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의 배열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LM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3)은 상기 가이드블록(112)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부(100)의 대응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00)의 내측 저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레일(113)은 상기 장방형 홀(100h)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100)의 저면에 한 쌍으로 구성된 LM레일로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111), 가이드블록(112) 및 가이드레일(113)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라이딩수단(110)을 통해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회전축(10)에 대해 X선 조사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11)은 상기 X선 소스부(200)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판(111)을 상기 X선 소스부(200)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주는 탄성수단(114)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114)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1)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부(100)의 일지점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114)은, 상기 고정판(111)을 상기 X선 소스부(200) 측으로 항상 탄성적으로 당겨줌에 따라서 상기 고정판(111)의 미세한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111)의 일지점, 예를 들어, 상기 고정판(111)의 일측저면에는 제2힌지부(도 6의 '422')가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연동수단(420)에 대한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부(1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수단(110)을 통해 상기 회전부(100)가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탄성수단(114)을 통해서 상기 고정판(111)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X선 소스부(200)는 상기 회전부(10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0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X선 소스부 결합홀(h2)에 축결합된다.
상기 X선 소스부(200)는 X선을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300) 측으로 조사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X선 소스부(200)에서 조사된 X선이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후 상기 센서부(300)의 제1센서(331) 또는 제2센서(332)로 검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X선 소스부(200)를 통해 X선 촬영을 위한 X선을 센서부(300)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00)의 타측 하단에 축회전수단(310)을 개재하여 설치된 센서바디(320), 상기 센서바디(320)의 일측에 구비된 제1센서(331), 상기 센서바디(320)의 타측에 구비된 제2센서(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바디(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센서바디(320)의 일측면에는 제1센서(331)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바디(320)의 타측면에는 제2센서(332)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331)는 파노라마 촬영용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센서(332)는 CT 촬영용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바디(320)는 상기 회전부(100)의 타측 하단에 축회전수단(310)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축회전수단(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00)의 타측 하단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된 중공형 고정바디(311) 및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센서바디(320)가 구비된 중공형 회전바디(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가 상기 회전부(100)의 타측 하단에 형성된 센서부 결합홀(h1) 상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와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는, 예를 들어,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통해 상호 동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311)를 기준으로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의 상부의 회전방경 상의 일지점에 제1힌지부(421)가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연동수단(420)에 대한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센서부(3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축회전수단(310)을 통해 상기 센서바디(320)가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센서(331) 또는 제2센서(332)가 선택적으로 상기 X선 소스부(200)의 X선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400)는 구동수단(410) 및 연동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10)은 상기 축회전수단(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축회전수단(3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제1센서(331)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와 상기 제2센서(332)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로 전환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수단(410)은,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기어(411), 상기 제1기어(411)와 치합된 제2기어(412) 및 상기 제2기어(4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1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기어(41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기어(412)와 치합된 제1기어(41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4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기어(411)는 웜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기어(412)는 웜휠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13)는 회전량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13)는 상기 제1센서(331)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 또는 상기 제1회전상태에서 180°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센서(332)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로 정밀하게 전환되도록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동수단(420)은 상기 축회전수단(310)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100)를 도 5의 X 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축회전수단(310)의 회전반경 상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1힌지부(421), 상기 슬라이딩수단(110)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2힌지부(422) 및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4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42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링크(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연동수단(420)은 상기 구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축회전수단(310)을 구성하는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힌지부(421), 제2힌지부(422) 및 연동링크(423)가 연동되어 링크 구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연동링크(423)의 중앙부에는 길이조절부(423a)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부(423a)를 통해 상기 센서바디(320)의 초기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상기 제1센서(331)와 제2센서(332)의 초기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31)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 또는 상기 제2센서(332)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421)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링크의 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센서(331)와 제2센서(332)로 연결되는 전원선, 데이터 전송선 등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부(4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센서부(300)의 제1센서(331)와 제2센서(332)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200)를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X선 촬영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331)인 파노라마 촬영용 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200)와 마주하도록 회전된 제1회전상태에서는 파노라마 영상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X선 소스부(200)와 수진자의 거리는 ‘d1’이 되고, 상기 X선 소스부(200)와 상기 제1센서(331)의 거리가 ‘d2’가 되어 설정된 배율로 파노라마 영상촬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13)가 상기 제2기어(41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기어(41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4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180°회전되어 상기 제2센서(332)인 CT 촬영용 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200)와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제2회전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CT 영상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가 180°회전함에 의해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3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힌지부(421)가 상기 소스측에 근접한 위치로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링크(423)와 제2힌지부(422)의 링크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판(111)에 대해 상기 회전부(100)가 도면의 'X'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X선 소스부(200)와 상기 제1센서(331)의 거리는 ‘d2’로 유지되지만, 상기 X선 소스부(200)와 수진자의 거리가 ‘d1'’가 되어 CT 촬영을 위한 촬영배율이 조절되어 CT촬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회전축 100:회전부
100h:장방형 홀 110:슬라이딩수단
111:고정판 112:가이드블록
113:가이드레일 114:탄성수단
200:X선 소스부 300:센서부
310:축회전수단 311:중공형 고정바디
312:중공형 회전바디 320:센서바디
331:제1센서 332:제2센서
400:작동부 410:구동수단
411:제1기어 412:제2기어
413:구동모터 420:연동수단
421:제1힌지부 422:제2힌지부
423:연동링크

Claims (8)

  1. X선 조사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을 통해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X선 소스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 하단에 축회전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제1센서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1회전상태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X선 소스부를 향하는 제2회전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축회전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축회전수단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축회전수단의 회전반경 상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1힌지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일지점에 형성된 제2힌지부; 및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타측 하단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된 중공형 고정바디 및 상기 중공형 고정바디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센서바디가 설치된 중공형 회전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의 상부에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공형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이드블록과 레일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의 대응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고정판의 일지점에 핀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을 상기 소스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주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장방형 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양측 상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의 중앙부에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KR1020140055777A 2014-05-09 2014-05-09 X선 촬영장치 KR10162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77A KR101620331B1 (ko) 2014-05-09 2014-05-09 X선 촬영장치
US15/308,604 US10172571B2 (en) 2014-05-09 2015-05-08 X-ray imaging apparatus
CN201580030629.3A CN106456089B (zh) 2014-05-09 2015-05-08 X射线成像设备
PCT/KR2015/004626 WO2015170926A1 (ko) 2014-05-09 2015-05-08 X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77A KR101620331B1 (ko) 2014-05-09 2014-05-09 X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57A true KR20150129257A (ko) 2015-11-19
KR101620331B1 KR101620331B1 (ko) 2016-05-13

Family

ID=5439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777A KR101620331B1 (ko) 2014-05-09 2014-05-09 X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72571B2 (ko)
KR (1) KR101620331B1 (ko)
CN (1) CN106456089B (ko)
WO (1) WO2015170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5526A1 (en) * 2015-02-27 2016-09-01 Trophy Bite block for cbct imaging device
KR101725642B1 (ko) * 2015-07-17 2017-04-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및 방법
KR102043357B1 (ko) * 2017-10-18 2019-11-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영상 확대율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2072684B1 (ko) 2018-02-07 2020-02-03 주식회사 뷰웍스 맘모그래피 장치
JP6894870B2 (ja) 2018-06-08 2021-06-3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X線ct撮影装置
JP6903608B2 (ja) * 2018-07-25 2021-07-1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X線ct撮影装置
IT201800007817A1 (it) * 2018-08-03 2020-02-03 De Gotzen Srl Apparato per l’imaging digitale di una regione della testa del paziente
JP7460426B2 (ja) 2020-03-31 2024-04-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X線ct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886A (ja) * 1998-05-20 1999-11-24 Asahi Roentgen Kogyo Kk X線ct撮影をも行えるパノラマx線撮影装置
KR100794563B1 (ko) 2005-08-08 2008-01-17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1034676B1 (ko) 2009-03-24 2011-06-13 (주)바텍이우홀딩스 이비인후과 및 치과 겸용 x선 촬영장치
ITBO20110566A1 (it) * 2011-10-05 2013-04-06 Cefla Coop Dispositivo per l'acquisizione di radiografie panoramiche e radiografie volumetriche cbct
KR102023025B1 (ko) * 2012-10-11 2019-09-20 주식회사바텍 X선 촬영 장치
US9888891B2 (en) * 2014-06-26 2018-02-13 Palodex Group Oy X-ray imaging unit for medical im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2571B2 (en) 2019-01-08
KR101620331B1 (ko) 2016-05-13
US20170188981A1 (en) 2017-07-06
CN106456089B (zh) 2019-11-05
WO2015170926A1 (ko) 2015-11-12
CN106456089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31B1 (ko) X선 촬영장치
KR100794563B1 (ko)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1401927B1 (ko) 치과용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x선 촬영장치
WO2003084407A1 (en) X-ray ct tomographic equipment
KR101725642B1 (ko) X선 촬영장치 및 방법
JP4724760B2 (ja) X線撮影装置
KR101661055B1 (ko)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600609B1 (ko) 엑스선 촬영장치의 정렬 바이트 및 이를 갖는 엑스선 촬영장치
JP6220253B2 (ja) 歯科用x線撮影システム
KR101337239B1 (ko) 치과용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x선 촬영장치의 회전암 구동 구조체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536072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2067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5827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536073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21228B1 (ko) 엑스레이 장비용 콜리메이터의 촬영 위치 및 영역 표시장치
KR101602248B1 (ko)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KR101767965B1 (ko) 정렬빔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
KR20160048275A (ko) X선 촬영장치
KR101649413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12624B1 (ko) X선 촬영장치
JP2007143948A (ja) コーンビームx線ct装置
JP2019054895A (ja) X線ct装置
KR101579007B1 (ko) X선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