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413B1 - X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X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413B1
KR101649413B1 KR1020140151079A KR20140151079A KR101649413B1 KR 101649413 B1 KR101649413 B1 KR 101649413B1 KR 1020140151079 A KR1020140151079 A KR 1020140151079A KR 20140151079 A KR20140151079 A KR 20140151079A KR 101649413 B1 KR101649413 B1 KR 10164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filter
plate
shieldin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294A (ko
Inventor
박무용
우재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4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35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source being combined with a filter or gr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폐부와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절판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슬릿판의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함과 함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슬릿판,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차폐부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구비된 조절판을 포함하는 X선 설정부; 및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X선 촬영장치{X-RAY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폐부와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절판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슬릿판의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함과 함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아 및 각종 치주질환을 치료하거나 치열의 교정 등을 목적으로 치아 및 치조골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가 설치된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X선 촬영장치는 일정량의 X선을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인 치아 부분에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X선의 세기를 감지하며, 상기 X선 세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컴퓨터는 신체촬영부위의 각 점의 X선의 세기를 구해 이것을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상술한 X선 촬영장치로서, 삼차원적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CT(Computerized Tomography)용 X선 촬영장치 및 이차원적 평면으로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CT용 X선 촬영장치는 일반촬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신체의 단층면상을 나타내는 영상 촬영장치이다.
상기 CT용 X선 촬영장치는 X선을 360도에 걸쳐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인체에 투사하고, 투과한 X선을 센서 등의 검출기를 통해 수집하여, 인체의 단면에 대한 흡수치를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내 준다.
상기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는 X선 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으로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장치이며, 전체 치아상태와 턱관절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10)는 건물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대(11), 상기 받침대(1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대(11) 상에 구비된 지지기둥(12a), 상기 지지기둥(12a)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슬라이딩레일(12b), 상기 슬라이딩레일(2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대략 'ㄱ' 자 형태로 형성된 승강부(13), 상기 승강부(13)의 하부에 선형이동 및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을 통해 결합된 갠트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갠트리(14)의 일측에는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15a)와 상기 X선 소스(15a)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콜리메이터(15b)가 구비된다.
상기 갠트리(14)의 타측에는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되어 수진자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16)가 구비된다.
수진자는 촬영에 임할 때 손잡이(17)를 잡고, 턱을 받침대(18)에 고정하게 되며, 조작자는 터치엘씨디(19)를 조작하여 영상촬영 조건을 설정한 후 수진자를 촬영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콜리메이터(15b)는, 메인 플레이트(15b-1), 모드 변경을 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15b-1) 상에서 레일(15b-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서브 플레이트(15b-3), 상기 서브 플레이트(15b-3)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모터(15b-4), 상기 서브 플레이트(15b-3)의 일측에 구비된 성인용 영상 촬영용 납(15b-5), 상기 서브 플레이트(15b-3)의 타측에 구비된 아동용 영상 촬영용 납(15b-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5b-4)에 의해 상기 서브 플레이트(15b-3)가 상기 레일(15b-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성인용 영상 촬영용 납(15b-5)을 X선 소스(15a)와 정렬시켜 성인 모드로 촬영하거나 상기 아동용 영상 촬영용 납(15b-6)을 X선 소스(15a)와 정렬시켜 아동 모드로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성인, 아동을 분류하여 2개의 조리용 납(15b-5, 15b-6)의 위치를 조절하여 X선 소스(15a)와 선택적으로 정렬되게 하여 노출되는 X선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2가지 경우에 국한된 촬영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두상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두상을 가진 수진자에게는 불필요한 엑스선이 과다하게 피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서 상기 2개의 조리용 납(15b-5, 15b-6)을 메인 플레이트(15b-1)에서 분리하고, X선 소스(15a)의 광경로 상에 캘리브레이션용 필터가 위치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통해 캘리브레이션용 필터를 부착한 후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해야하고, X선 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캘리브레이션용 필터를 탈거한 후 다시 2개의 조리용 납(15b-5, 15b-6)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과 캘리브레이션용 필터를 작업자가 휴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63523호(등록일자 2012년07월02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부와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절판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슬릿판의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함과 함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슬릿판,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차폐부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구비된 조절판을 포함하는 X선 설정부; 및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동종 재질로 일체형성되고,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슬릿홈을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홈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한 X선의 차폐율을 조절하기 위한 조율판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율판은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에 중공홈이 형성되거나 필터판이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이종 재질로 일체형성되고, 서로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차폐부의 일측면에 차폐용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필터용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용 삽입홈에는 차폐용 판재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용 삽입홈에는 필터용 판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용 판재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용 판재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상기 필터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도록,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절판과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이 축삽입되는 이동스크루; 상기 이동스크루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베어링브라켓; 상기 이동스크루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이동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블록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폐부와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절판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슬릿판의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함과 함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차폐부와 필터부를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상기 필터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하는 간단한 방식을 통해 조절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차폐부와 필터부를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필터부의 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함에 따라 차폐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필터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차폐부와 필터부를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슬릿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홈에 조율판을 삽입함에 따라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X선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차폐부와 필터부를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차폐부의 일측면에 차폐용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필터용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차폐용 삽입홈에는 차폐용 판재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용 삽입홈에는 필터용 판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의 기능을 반대로 이용하거나 X선의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치과용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X선 설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X선 설정부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는, X선 소스부(도 1의 '15a'에 대응됨), X선 설정부(100), X선 센서부(도 1의 '16'에 대응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X선 소스부는 X선 촬영을 위한 X선을 생성하여 수검자의 두부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부분이고, 상기 X선 센서부는 상기 X선 소스부로부터 수검자의 두부로 조사된 후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X선 설정부(100)는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며, 수검자의 신장, 성인 또는 아동 여부 등에 따라 X선의 조사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선 설정부(100)는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릿(110s)이 형성된 슬릿판(110), 상기 슬릿(110s)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차폐부(120A)와 상기 슬릿(110s)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는 필터부(120B)가 구비된 조절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릿판(110)은 베이스 플레이트(BP) 상에 형성된 베이스 홀(BP-h)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릿(110s)은 베이스 홀(BP-h)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된 X선이 상기 슬릿(110s)과 베이스 홀(BP-h)을 통과하여 상기 X선 센서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릿판(110)은 납과 같이 X선이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된 X선은 상기 슬릿(110s)으로만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판(120)은 차폐부(120A)와 필터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부(120A)는 상기 슬릿(110s)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필터부(120B)는 상기 슬릿(110s)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도록 사용된다. 특히, 상기 필터부(120B)는 상기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도록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120)은 구동부(200)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부(120A)가 상기 슬릿(110s)의 상측 부분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슬릿(110s)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X선의 조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B)가 상기 슬릿(110s)을 전체적으로 가리도록하여 상기 슬릿(110s)을 통과하는 X선을 필터링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조절판(120)과 결합되는 이동블록(210), 상기 이동블록(210)이 축삽입되는 이동스크루(220), 상기 이동스크루(220)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이동블록(21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베어링브라켓(230), 상기 이동스크루(2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210)이 상기 이동스크루(22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모터(240) 및 상기 이동블록(21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40)의 정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스크루(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스크루(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21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40)의 역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스크루(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스크루(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2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절판(12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조절판(120)의 차폐부(120A)가 상기 슬릿(110s)의 상측 부분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거나 상기 조절판(120)의 필터부(120B)가 상기 슬릿(110s)을 전체적으로 가리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선 설정부(100)의 조절판(12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20)의 차폐부(120A)와 필터부(120B)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종의 재질(알루미늄, 구리 등)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120A)와 상기 필터부(120B)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120B)의 일면에 홈부(h1)를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120A)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차폐부(120A)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21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폐부(120A)의 두께는 상기 X선을 충분히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B)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하여 X선을 필터링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X선 설정부(100)의 조절판(12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20)의 차폐부(120A)와 필터부(120B)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종의 재질(알루미늄, 구리 등)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120A)와 상기 필터부(120B)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120B)의 상부 일측면에 내측을 향하도록 슬릿홈(h2)을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120A)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차폐부(120A)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21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폐부(120A)의 두께는 상기 X선을 충분히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B)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하여 X선을 필터링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슬릿홈(h2)의 두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합산된 두께가 X선을 필터링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홈(h2)에는 상기 필터부(120B)를 통한 X선의 차폐율을 조절하기 위한 조율판(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홈(h2)에 조율판(130)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X선 센서부를 캘리브레이션하기에 적당한 X선의 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X선의 세기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율판(130)이 복수의 판(130a)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율판(130)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판(130a)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여 X선의 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X선의 투과도가 서로 다른 알루미늄, 구리 등의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판(130a)을 조합하여 X선의 투과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필터링 기능을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X선 설정부(100)의 조절판(120)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20)의 차폐부(120A)와 필터부(120B)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종의 재질(알루미늄, 구리 등)로 형성되며, 서로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120A)와 상기 필터부(120B)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120B)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에 중공홈(h3)이 형성되거나 필터판(140)이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필터부(120B)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에 중공홈(h3)이 형성되거나 알루미늄, 구리 등의 재질로 필터판(140)이 내장되도록 함에 따라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필터링 기능을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X선 설정부(100)의 조절판(120)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20)의 차폐부(120A)와 필터부(120B)는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가 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부(120A)는 X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뤄지고, 상기 필터부(120B)는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에 요구되는 X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X선 설정부(100)의 조절판(120)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120A)와 상기 필터부(120B)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차폐부(120A)의 일측면에 차폐용 삽입홈(h4)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B)의 일측면에 필터용 삽입홈(h5)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용 삽입홈(h4)에는 차폐용 판재(150)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용 삽입홈(h5)에는 필터용 판재(16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용 판재(150)와 상기 필터용 판재(16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차폐용 판재(150)는 X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뤄지고, 상기 필터용 판재(160)는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에 요구되는 X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용 판재(150) 또는 상기 필터용 판재(160)는 복수의 판(160a)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 판(160a)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X선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10:슬릿판 110S:슬릿
120:조절판 120A:차폐부
120B:필터부 130:조율판
140:필터판 150:차폐용 판재
160:필터용 판재 200:구동부
210:이동블록 220:이동스크루
230:베어링브라켓 240:구동모터
250:LM가이드 h1:홈부
h2:슬릿홈 h3:중공홈
h4:차폐용 삽입홈 h5:필터용 삽입홈

Claims (14)

  1.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슬릿판,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차폐부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절판을 포함하는 X선 설정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 및
    상기 차폐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X선의 조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상기 필터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X선 필터링하도록,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X선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X선 센서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동종 재질로 일체형성되고,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슬릿홈을 형성하여 상기 차폐부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한 X선의 차폐율을 조절하기 위한 조율판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판은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에 중공홈이 형성되거나 필터판이 내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이종 재질로 일체형성되고, 서로 같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필터부는 하나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차폐부의 일측면에 차폐용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일측면에 필터용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용 삽입홈에는 차폐용 판재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용 삽입홈에는 필터용 판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용 판재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용 판재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각 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절판과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이 축삽입되는 이동스크루;
    상기 이동스크루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베어링브라켓;
    상기 이동스크루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이동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블록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KR1020140151079A 2014-11-03 2014-11-03 X선 촬영장치 KR10164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079A KR101649413B1 (ko) 2014-11-03 2014-11-03 X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079A KR101649413B1 (ko) 2014-11-03 2014-11-03 X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294A KR20160053294A (ko) 2016-05-13
KR101649413B1 true KR101649413B1 (ko) 2016-08-22

Family

ID=5602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079A KR101649413B1 (ko) 2014-11-03 2014-11-03 X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92A1 (ko) * 2018-11-30 2020-06-04 (주)아우라케어 방사선 촬영 및 치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75B1 (ko) * 2009-06-29 2010-01-12 신정수 엑스레이 조사범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59Y1 (ko) * 2008-12-05 2010-08-25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KR101163523B1 (ko) 2009-11-20 2012-07-06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필터부가 구비된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47114B1 (ko) * 2012-09-10 2019-11-20 (주)바텍이엔지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75B1 (ko) * 2009-06-29 2010-01-12 신정수 엑스레이 조사범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92A1 (ko) * 2018-11-30 2020-06-04 (주)아우라케어 방사선 촬영 및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294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6173B2 (ja) X線画像撮影装置及びx線画像撮影方法
KR101620331B1 (ko) X선 촬영장치
KR101401927B1 (ko) 치과용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x선 촬영장치
KR101659177B1 (ko) 치과용 두부 정렬장치
US10517551B2 (e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59489A (ko)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JP2009131656A (ja) X線撮影装置
KR10162067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49413B1 (ko) X선 촬영장치
KR101536072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61055B1 (ko)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JP6220253B2 (ja) 歯科用x線撮影システム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536073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12624B1 (ko) X선 촬영장치
JPH07116149A (ja) X線診断装置
KR101579007B1 (ko) X선 촬영장치
KR101767965B1 (ko) 정렬빔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
JP6307639B1 (ja) X線撮影装置およびx線撮影方法
KR101658279B1 (ko) X선 촬영장치
JP5798016B2 (ja) X線撮影装置
KR20140033810A (ko)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KR102022780B1 (ko) 엑스레이 촬영 환자 자세 가이드 장치
JP5618293B2 (ja) 医療用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