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692A - 전파 레벨 미터 - Google Patents

전파 레벨 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692A
KR20150128692A KR1020157024275A KR20157024275A KR20150128692A KR 20150128692 A KR20150128692 A KR 20150128692A KR 1020157024275 A KR1020157024275 A KR 1020157024275A KR 20157024275 A KR20157024275 A KR 20157024275A KR 20150128692 A KR20150128692 A KR 2015012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circuit board
transmission
reception circuit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059B1 (ko
Inventor
사토시 이토
마사오 키시모토
아키라 홋타
Original Assignee
도쿄 케이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케이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쿄 케이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3Hollow waveguides with a complex or stepped cross-section, e.g. ridged or grooved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7Transitions to a dielectric wave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lines or devices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01P5/107Hollow-waveguide/strip-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level-measurement devices, e.g. for level gauge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수평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반사/손실을 억제하여, 송수신 회로기판과 안테나부를 접속하는 접속구조를 가지는 전파 레벨 미터를 제공한다. 몸체(12) 내에 송수신 회로기판(32)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송수신 회로기판(32)에 형성되는 급전단자(32a)로부터 급전되는 도파관(W1~W3)에 의해 접속구조가 구성된다. 도파관은,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안테나부를 향하여, 송수신 회로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도파관(W1), 상기 원형도파관(W1)에 연결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도파관(W2), 상기 사각형도파관에 추가로 연결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원형도파관(W3)을 갖는다.

Description

전파 레벨 미터{RADIO-WAVE LEVEL METER}
본 발명은, 전파에 의해 피측정물의 레벨을 측정하는 전파 레벨 미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에 내장되는 송수신 회로기판과,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를 갖는 전파 레벨 미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파 레벨 미터에서는, 몸체에 내장되어 송수신 회로가 형성되는 송수신 회로기판과,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하여 피측정물이 수용되는 용기 내로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이 때문에, 이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안테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의 접속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예에서는, 몸체 내에 송수신 회로기판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몸체와 프로브(안테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를 구비한다. 접속구는 중심도체를 구비하고, 중심도체의 일단이 송수신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직접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있고, 중심도체의 타단이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구성으로는, 송수신 회로기판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면적을 점유하여 수평방향의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전파 레벨 미터가 설치되는 현장에서는, 그 외의 기기 등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일이 많아, 수평방향의 소형화가 요망된다. 또한, 접속구의 중심도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구멍의 위치가 송수신 회로기판의 거의 중앙위치가 되도록 제약되기 때문에, 송수신 회로기판의 설계자유도가 작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송수신 회로기판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 특허문헌 1의 종래기술(Fig.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몸체 내에 송수신 회로기판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동축케이블이 연장된다. 그리고, 이 동축케이블과 안테나부를 접속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플러그 접속식 접속구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플러그 접속식 접속구는,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 안테나부 측의 동축선로의 단부에 접속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면, 플러그 측 내도체와 소켓 측 내도체가 접속되고, 플러그 측 외도체와 소켓 측 외도체는 유전체를 통하여 용량결합에 의해 접속되고, 이에 따라, 송수신 회로 측의 그라운드와 안테나 측의 그라운드와의 절연을 이루며 송수신 회로와 안테나부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송수신 회로기판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하면 수평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면, 동축선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손실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축선로로부터 안테나부로의 급전점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미국등록특허 제7,450,055호 공보 특허문헌 2: 미국등록특허 제6,778,04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평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반사, 손실을 억제하여, 송수신 회로기판과 안테나부를 접속하는 접속구조를 갖는 전파 레벨 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에 내장되는 송수신 회로기판;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부; 송수신 회로기판과 안테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를 가지고, 전파에 의해 피측정물의 레벨을 측정하는 전파 레벨 미터에 있어서,
몸체 내에서 송수신 회로기판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속구조는, 송수신 회로기판에 형성된 급전단자로부터 급전되는 도파관에 의해 구성되고, 도파관은,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안테나부를 향하여, 송수신 회로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도파관; 상기 원형도파관에 연결되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도파관; 상기 사각형도파관에 추가로 연결되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원형도파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과의 경계부분에 걸쳐, 도파관 내에는 유전체가 충진될 수 있다.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과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유전체의 주위에는 송수신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도체와 몸체와의 절연을 행하는 절연용 유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의 사각형도파관측 단부와 제2원형도파관 측 단부는, 각각 선단을 향하여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 외주의 일부에 전파흡수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는, 기단 측 단면이 사각형이고, 선단 측 단면이 원형인 유전체 로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 회로기판, 송수신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도체, 비도전성 케이스 및 상기 유전체 로드가 유닛으로서 몸체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내에서 송수신 회로기판이 연직방향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접속구조를 도파관으로 구성하고, 연직방향에 배치되는 송수신 회로기판과 안테나부를 원형도파관, 사각형도파관, 제2원형도파관으로 접속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전파의 진행방향을 원활하게 수평방향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송수신 회로기판에 형성된 급전단자는, 반드시 송수신 회로기판의 기판 중심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원형도파관의 위치가 급전단자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면 되기 때문에, 급전단자의 위치자유도가 높다.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과의 경계부분에 걸쳐 유전체를 설치함으로써,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과의 이행부에서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과의 경계부분에서 송수신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도체와 몸체와의 절연을 행하기 위해 절연용 유전체를 설치할 경우에, 도파관으로부터의 전파 누출 또는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파 레벨 미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고, (b)는 (a)중의 b 화살표 시점의 도면이고, (c)는 (a)중의 c-c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며, (d)는 (a)중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유전체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몸체 내의 부분파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회로유닛을 몸체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파 레벨 미터(10)는, 크게, 금속으로 이루어진 몸체(12)를 상측에 구비하고, 안테나부(14)를 하측에 구비하며, 안테나부(14)는 그 선단으로부터, 용기에 수용되는 피측정물을 향하여 전파를 방사하고, 피측정물까지의 전파 왕복시간을 송수신 회로로 계측함으로써, 피측정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측정물의 레벨을 구하도록 되어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몸체(12)에 가까운 쪽을 기단측, 안테나부(14)에 가까운 쪽을 선단측이라 한다.
몸체(12)는, 그 내부에 중심축이 연직방향을 향한 저부의 대략 원기둥형상의 내부공간(12a)를 이루고(도 1, 4 참조), 또한,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의 저부로부터는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보다도 작은 직경인 원형단면의 원형중심공(12b)를 이루고, 원형중심공(12b)은 안테나부(14)에 연결된다. 또한, 몸체(12)의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상부개구를 덮도록 캡(24)이 탈착이 자유롭도록 부착된다.
몸체(12)의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에는, 회로유닛(30)이 내장된다. 회로유닛(30)은, 도 2에 부분확대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 회로가 형성된 송수신 회로기판(32)과, 송수신 회로기판(32)의 뒷면에 설치되는 그라운드 도체(34)와, 그라운드 도체(34)의 뒷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도체로서 기능하는 도체 케이스(36)와, 이들 송수신 회로기판(32), 그라운드 도체(34) 및 도체 케이스(3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비도전성 케이스(38)와, 유전체 로드(40)를 갖는다. 회로유닛(30)에는, 추가로 다른 기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 회로기판(32) 상에는, 마이크로파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급전단자(32a)가 형성된다(도 2(b)). 급전단자(32a)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라운드 도체(34)에는, 원형관통공(34a)가 형성된다. 또한, 도체 케이스(36)에는, 그라운드 도체(34)의 뒷면과 대향하는 면에 사각형 단면의 사각형 홈(36a)가 형성되고(도 2(c)), 이 사각형 홈(36a)의 일단이 원형관통공(34a)에 연통되며, 사각형 홈(36a)의 타단이 몸체(12)의 원형중심공(12b)에 연통된다.
이로써, 원형관통공(34a)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도파관(W1)이 형성되고, 사각형 홈(36a)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도파관(W2)이 형성되며, 원형중심공(12b)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도파관(W3)이 형성되고(도 2(d)), 이들 도파관에 의해 송수신 회로기판(32)과 안테나부(14)를 접속하는 접속구조가 구성된다.
직교하는 원형도파관(W1)과 사각형도파관(W2)과의 정합을 잡기 위해, 사각형 홈(36a)의 기단측 단면은, 사각형 홈(36a)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이 아니라 약간 경사진 경사면(36b)을 이룬다. 이로 인해, 원형도파관(W1)으로부터 수직의 사각형도파관(W2)으로 원활하게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 등을 형성함으로써, 원형도파관끼리 직교하도록 연결하는 것보다 높은 효율로 전파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도파관 내의 일부를 충진하도록 하여 유전체 로드(40)가 삽입된다. 유전체 로드(4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PFA)라는 화학적으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 로드(40)의 기단부(40a)는, 사각형 홈(36a)의 단면과 일치하는 사각형 단면을 이루고, 상기 사각형도파관(W2)에 삽입된다. 또한,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는, 몸체(12)의 원형중심공(12b) 단면과 일치하는 원형단면을 이루고, 상기 원형도파관(W3)의 중간까지 삽입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로드(40) 기단부(40a)의 단부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단부(40c)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부(40c)보다도 더 기단측 부분의 폭이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로 좁아진다. 이러한 유전체 로드(40) 기단부(40a)의 단부의 부착형상에 의해, 상기 사각형 홈(36a) 단부의 경사면(36b)의 형상과 함께, 원형도파관(W1)과 사각형도파관(W2)과의 이행부 및 유전체 로드(40)의 기단부(40a)인 비연속부에서의 정합을 잡을 수 있고,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 단부에는 원추부(40d)가 형성되고,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로 외경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 단부의 부착형상에 의해, 원형도파관(W3) 내에서 비연속부로서의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에서 정합을 잡을 수 있고,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의 외주면에는 환상요부(40e)가 형성되고, 환상요부(40e) 내에는 시트 형상의 전파흡수재(46)가 배치된다(도 2).
유전체 로드(40)는, 유전체 로드(40)를 관통하여 그라운드 도체(34) 및 도체 케이스(36) 사이에 가설되는 탈락방지핀(41)에 의해 회로유닛(3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따라서, 유전체 로드(40)의 기단부(40a)는, 도체 케이스(36)와 그라운드 도체(34)에 의해 둘러싸이는 반면, 선단부(40b)는, 회로유닛(3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도 5). 다만, 유전체 로드(40)는, 탈락방지핀(41) 이외의 임의의 탈락방지수단으로 탈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비도전성 케이스(38)는, 회로유닛(30)의 그라운드 도체(34) 및 도체 케이스(36)가 몸체(12)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비도전성 케이스(38)가 몸체(12)에 직접 단단히 부착됨으로써, 회로유닛(30)이 몸체(12)의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에 고정되고, 송수신 회로기판(32), 그라운드 도체(34) 및 도체 케이스(36)는,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 내부 또는 그 근방을 점유하도록 회로유닛(30)이 배치됨으로써,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도 4).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저면의 원형중심공(12b)의 주위에는, 원형요부(12c)가 형성되고, 원형요부(12c)에는 디스크 형상을 한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가 감입된다.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34)와 몸체(12)는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용량결합에 의해서만 결합된다.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는, PTFE, PFA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1부품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는 계단 형상으로 2단을 이루고, 원형요부(12c)에 의해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42a)를 구비한다. 유전체 로드(40)은, 이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를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는, 사각형도파관(W2)과 원형도파관(W3)과의 경계부분에 설치되고, 그 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유전체 로드(40)와 함께 이 경계부분의 정합을 도모하고, 반사를 억제한다.
이상의 각 부품의 치수는,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유전체 로드(40) 선단부(40b)의 원형단면의 직경을 A라 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의 원형중심공(12b)에 감입되는 부분의 직경을 B,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의 두께를 C, 유전체 로드(40) 기단부(40a)의 사각형 단면의 한 변을 D, 타변을 E, 기단부(40a)의 절개된 연직방향의 길이를 F, 절개되고 남은 부분의 수평방향의 길이를 G라 하면, 각각 B=1.6~2.4A, C=0.3~0.6A, D=0.5~0.8A, E=0.6~0.9A, F=0.2~0.4A, G=0.3~0.5A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형 홈(36a)의 단면의 경사면(36b)의 각도 θ는, 90°보다 크고 135°이하로 할 수 있다.
회로유닛(30)를 몸체(12)에 결합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몸체(12)에 대하여 그 상부 개구로부터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를 삽입하고,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저면의 원형요부(12c)에 감입한다. 이어서, 미리 조립해둔 회로유닛(30)을 몸체(12)의 상부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회로유닛(30)으로부터 돌출된 유전체 로드(40)의 선단부(40b)를 몸체(12)의 원형중심공(12b)에 정렬시키고, 원형중심공(12b)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회로유닛(30)의 비도전성 케이스(38)를 몸체(12)에 나사(48) 등으로 단단히 결착함으로써, 몸체(12) 내의 송수신 회로기판(32)과 안테나부(14)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 및 비도전성 케이스(38)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34) 및 도체 케이스(36)와 몸체(12)와의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유닛(30)이 유닛화 됨으로써, 회로유닛(30)을 몸체(12)의 대략 원주형상 내부공간(12a) 내에 삽입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고, 송수신 회로기판(32)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안테나부(14)는, 몸체(12)에 연결되고, 몸체(12)의 원형중심공(12b)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도파관(W3)에 연결된다. 안테나부(14)는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 예에서는, 안테나부(14)로서 혼(Horn) 안테나를 사용한 예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 안테나를 사용한 예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파 레벨 미터에서는, 송수신 회로가 형성된 송수신 회로기판(32)의 급전단자(32a)로부터 원형도파관(W1)로 급전되고, 사각형도파관(W2)을 전송하고, 추가로, 원형도파관(W3)을 전송하여, 안테나부(14)로부터 반사된다.
이와 같이, 송수신 회로기판(32)의 급전단자(32a)와 안테나부(14)의 사이를, 도파관을 통하여 접속하였기 때문에,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원형도파관과 사각형도파관에 의해 전파의 진행방향을 원활하게 수평방향에서 연직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회로가 형성된 송수신 회로기판(32) 및 그라운드 도체(34)가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송수신 회로기판(32)에 형성된 급전단자(32a)는, 반드시 송수신 회로기판(32)의 기판 중심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원형관통공(34a)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도파관(W1)의 위치가 급전단자(32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면 되기에, 급전단자(32a)의 위치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사각형도파관(W2)로부터 원형도파관(W3)으로 변화하는 부분에 유전체 로드(40)를 설치하고, 유전체 로드(40)의 주위에 설치되는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34)와 몸체(12)와의 절연을 행하여 방폭에 대응한다. 그라운드 도체(34)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몸체(12)와 별개의 접지를 행한다. 유전체 로드(40)가 있음으로써, 공기뿐일 경우와 비교하여 전파를 유전체 로드(40) 내에 구속하여, 이 절연부분에서의 반사 및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42)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로드(40)의 기단부(40a) 및 선단부(40b)의 단부는 각각 형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로드(40) 내를 왕복전송할 염려가 있는 고차 모드에 대하여는, 유전체 로드(4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전파흡수재(46)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10: 전파 레벨 미터
12: 몸체
14: 안테나부
30: 회로유닛
32: 송수신 회로기판
32a: 급전단자
34: 그라운드 도체
38: 비도전성 케이스
40: 유전체 로드
42: 절연용 유전체 플레이트
46: 전파흡수재
W1: 원형도파관
W2: 사각형도파관
W3: 원형도파관

Claims (7)

  1. 몸체에 내장되는 송수신 회로기판,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부, 및 송수신 회로기판과 안테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를 가지고, 전파에 의해 피측정물의 레벨을 측정하는 전파 레벨 미터에 있어서,
    몸체 내에 송수신 회로기판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속구조는, 송수신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급전단자로부터 급전되는 도파관에 의해 구성되고,
    도파관은, 송수신 회로기판으로부터 안테나부를 향하여, 송수신 회로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도파관, 상기 원형도파관에 연결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도파관, 상기 사각형도파관에 추가로 연결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원형도파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의 경계부분에 걸쳐, 도파관 내에는 유전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사각형도파관과 제2원형도파관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유전체의 주위에는, 송수신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도체와 몸체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행하는 절연용 유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의 사각형도파관 측 단부와 제2원형도파관 측 단부는, 각각 선단을 향함에 따라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 외주의 일부에 전파흡수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내에 충진되는 유전체는, 기단측 단면이 사각형이고, 선단측 단명이 원형인 유전체 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회로기판, 송수신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도체, 비도전성 케이스 및 상기 유전체 로드가 유닛으로서 몸체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레벨 미터.
KR1020157024275A 2013-03-29 2014-03-26 전파 레벨 미터 KR101748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2204A JP6097119B2 (ja) 2013-03-29 2013-03-29 電波レベル計
JPJP-P-2013-072204 2013-03-29
PCT/JP2014/058574 WO2014157356A1 (ja) 2013-03-29 2014-03-26 電波レベル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692A true KR20150128692A (ko) 2015-11-18
KR101748059B1 KR101748059B1 (ko) 2017-06-15

Family

ID=5162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275A KR101748059B1 (ko) 2013-03-29 2014-03-26 전파 레벨 미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3800B2 (ko)
EP (1) EP2980539B1 (ko)
JP (1) JP6097119B2 (ko)
KR (1) KR101748059B1 (ko)
CN (1) CN105102942B (ko)
WO (1) WO20141573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077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밀리미터파 대역 검사용 통합된 도파관 구조물 및 소켓 구조물
KR101961672B1 (ko) * 2018-06-11 2019-03-26 두온시스템(주) 레이더 레벨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119B2 (ja) * 2013-03-29 2017-03-15 東京計器株式会社 電波レベル計
DE102014107393B4 (de) * 2014-05-26 2020-04-23 Krohne S. A. S. Abschlusselement für Füllstandmessgerät und Füllstandmessgerät
DE102016101756A1 (de) * 2016-02-01 2017-08-03 Vega Grieshaber Kg Verfahren zur Bestimmung und Anzeige der optimalen Materialstärke bei der Füllstandmessung mit Radarsensoren
JP6232149B1 (ja) * 2017-01-10 2017-11-15 ムサシノ機器株式会社 高位液面警報装置
US20180219288A1 (en) * 2017-01-30 2018-08-02 Michael Benjamin Griesi Wideband Dielectrically Loaded Rectangular Waveguide to Air-filled Rectangular Waveguide Adapter
US11029187B2 (en) 2017-06-21 2021-06-08 Vega Grieshaber Kg Fill level reflectometer having a variable measurement sequence
US11047725B2 (en) * 2018-04-26 2021-06-29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system with dielectric antenna
JP7186041B2 (ja) * 2018-09-12 2022-12-08 株式会社Soken 点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520A (ja) 1984-09-12 1986-04-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イクロ波式レベル計
JPH05191303A (ja) * 1992-01-10 1993-07-30 Nippon Antenna Kk Rf切換式低雑音コンバータ
US5926080A (en) * 1996-10-04 1999-07-20 Rosemount, Inc. Level gage waveguide transitions and tun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036301A (ja) * 1999-07-23 2001-02-09 Alps Electric Co Ltd 円導波管
DE10064812A1 (de) 2000-12-22 2002-06-27 Endress & Haus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ssenden hochfrequenter Signale
US6778044B2 (en) 2002-01-23 2004-08-17 Vega Grieshaber Kg Coaxial line plug-in connection with integrated galvanic separation
US6915689B2 (en) * 2002-11-21 2005-07-12 Saab Rosemount Tank Radar Ab Apparatus and method for radar-based level gauging
US6859166B2 (en) * 2002-12-04 2005-02-22 Saab Marine Electronics Ab Antenna device for radar-based level gauging
US7106247B2 (en) * 2003-10-20 2006-09-12 Saab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with antenna arrangement for improved radar level gauging
US7204140B2 (en) * 2004-07-01 2007-04-17 Saab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flange
JP4481102B2 (ja) * 2004-07-29 2010-06-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炉用マイクロ波レベル計
US7453393B2 (en) * 2005-01-18 2008-11-18 Siemens Milltronics Process Instruments Inc. Coupler with waveguide transition for an antenna in a radar-based level measurement system
DE102005036844A1 (de) * 2005-08-04 2007-02-08 Vega Grieshaber Kg Potentialtrennung für Füllstandradar
US7450055B2 (en) * 2006-02-22 2008-11-11 Rosemount Tank Radar Ab Coaxial connector in radar level gauge
US7532155B2 (en) * 2006-04-10 2009-05-12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ing system
CN1927310A (zh) * 2006-09-04 2007-03-14 安丰信 生物溶栓降脂营养液及其制备方法
US7701385B2 (en) * 2008-05-22 2010-04-20 Rosemount Tank Radar Ab Multi-channel radar level gauge system
US7855676B2 (en) * 2009-03-10 2010-12-21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system with leakage detection
US8350752B2 (en) * 2010-07-09 2013-01-08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system with bottom reflector and bottom reflector
US8674885B2 (en) * 2010-08-31 2014-03-18 Siklu Communication ltd. Systems for interfacing waveguide antenna feeds with printed circuit boards
DE102010063167B4 (de) * 2010-12-15 2022-02-24 Endress+Hauser SE+Co. KG Mit hochfrequenten Mikrowellen arbeitendes Füllstandsmessgerät
JP2012167956A (ja) * 2011-02-10 2012-09-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レーダ装置
JP5777245B2 (ja) * 2011-07-06 2015-09-09 古野電気株式会社 同軸導波管変換器及びアンテナ装置
JP6097119B2 (ja) * 2013-03-29 2017-03-15 東京計器株式会社 電波レベル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077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밀리미터파 대역 검사용 통합된 도파관 구조물 및 소켓 구조물
KR101961672B1 (ko) * 2018-06-11 2019-03-26 두온시스템(주) 레이더 레벨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02942B (zh) 2018-04-10
JP6097119B2 (ja) 2017-03-15
EP2980539A4 (en) 2016-11-16
WO2014157356A1 (ja) 2014-10-02
JP2014196936A (ja) 2014-10-16
US9863800B2 (en) 2018-01-09
CN105102942A (zh) 2015-11-25
EP2980539A1 (en) 2016-02-03
US20160041023A1 (en) 2016-02-11
EP2980539B1 (en) 2020-12-23
KR101748059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059B1 (ko) 전파 레벨 미터
KR101492714B1 (ko)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및 도파관 결합용 어댑터
US11631932B2 (en) Antenna assembly
US20230198162A1 (en) Cavity slotted-waveguide antenna arra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vity slotted-waveguide antenna array, and a radar antenna module comprising cavity slotted-waveguide antenna arrays
TWI731254B (zh) 天線裝置、天線系統、及計測系統
JP6258045B2 (ja) アンテナ
JP5104131B2 (ja) 無線装置および無線装置が備えるアンテナ
US9419338B2 (en) Antenna apparatus
US20120262247A1 (en) Waveguide coupling
KR102123716B1 (ko) 알에프 신호조절 기능을 갖는 커넥터
EP2347467A1 (en) Radio frequency coaxial to stripline / microstrip transition
JP2016025476A (ja) 同軸ケーブル・マイクロストリップ線路変換器
US9882285B2 (en) Dielectric hollow antenna
JP5697496B2 (ja) アンテナ
JP5690707B2 (ja) アンテナ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78628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JP2014196937A (ja) 電波レベル計
KR100887373B1 (ko) 패치 안테나 장치
JPH028413Y2 (ko)
JP5603397B2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装置
JP5684764B2 (ja) アンテナ
JPWO2019107346A1 (ja) スロットアンテナ
KR101593492B1 (ko) 모노폴 및 역f 겸용 안테나
JP5769063B2 (ja) アンテナ
TWM491300U (zh) 雙頻衛星訊號接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