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754A -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754A
KR20150127754A KR1020120002826A KR20120002826A KR20150127754A KR 20150127754 A KR20150127754 A KR 20150127754A KR 1020120002826 A KR1020120002826 A KR 1020120002826A KR 20120002826 A KR20120002826 A KR 20120002826A KR 20150127754 A KR20150127754 A KR 2015012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lide
pressure
connection
valv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메트-파티 젠
크리스토프 오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2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3Details of electro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8Proportional solenoi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제어 가능한 작동 장치(1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18)의 제 1 밸브 슬라이드(22), 및 슬라이드 밸브(20)의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 밸브(18)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작동 압력(41)을 조절하는, 특히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 내의 밸브 장치(10)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Valve arrangement, particularly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트랜스미션 클러치 또는 조절 실린더가 사용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또는 자동 트랜스미션은 시장에 공지되어 있다. 각각 제어되는 클러치들은 엔진 토크를 구동 휠들로 전달한다. 특정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각각의 클러치의 클러치 디스크들이 압력에 의해 압축된다. 압력을 얻기 위해, 클러치 디스크들은 먼저 특정 거리 만큼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압 제어시- 특정 양의 유체 또는 특정 유압식 체적 흐름이 필요하다. 클러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체적 흐름은 약 3 내지 10 l/min(liter per minute)이다.
유압식 체적 흐름의 스위칭을 위해, 예컨대 비교적 작은 유압 출력을 가진 작은 구성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들에 의해 일종의 유압식 부스터인 소위 "팔로우-업 슬라이드"가 구동된다. 대안적 가능성은 비교적 강한 전자석에 의해 팔로우-업 슬라이드를 직접 작동시키는 것이다. 2가지 가능성은 클러치의 작동시 또는 클러치 충전 과정시 종종 짧은 스위칭 시간을 얻기 위해 전자석의 소위 "단시간 과여진" 을 필요로 한다. 상기 과여진은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피크를 피하기 위해 클러치 충전 과정의 종료시 다시 취소되어야 한다. 상기 단시간 과여진이 없으면, 기어 변속이 너무 오래 지속될 것이다.
이 분야의 특허 공개로는 예컨대 DE 10 2008 042 624 A1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내의 클러치가 대개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되는 압력 조절 밸브 및 상기 압력 조절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슬라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되도록,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밸브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중요한 특징들은 또한 하기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며, 상기 특징들은 명확히 지시되지 않으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또는 자동 트랜스미션 내의 클러치가 대부분의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되는 압력 조절 밸브, 및 상기 압력 조절 밸브가 과여진 및 후속하는 전류 취소에 의해 제어될 필요가 없으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슬라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어 변속의 개시시, 스위칭될 클러치의 압력 조절 밸브는 클러치가 클러치 폐쇄 압력, 소위 "키스 포인트"에 도달하도록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클러치 충전 과정의 종료시 클러치 디스크들이 접촉할 때까지, 즉 "키스 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클러치가 가능한 신속하게 충전된다. 이 포인트에서, 클러치에 의해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클러치가 거의 100% 까지의 슬립을 갖기 때문이다. 램프 형태의 다른 전류 상승에 의해, 상기 슬립은 슬립이 제로가 될 때까지 계속 줄어들고, 클러치는 완전한 엔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병행해서, 스위치 오프 클러치가 스위칭 오프 전략에 따라 스위치 오프됨으로써, 종료시 기어 변속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압력 조절 밸브의 제 1 밸브 슬라이드가 슬라이드 밸브의 제 2 밸브 슬라이드를 제어하는 밸브 장치에 의해, 유압 증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에서, 출력 압력은 제 1 밸브 슬라이드의 제어 압력 면으로 안내되지 않고, 제어 압력 면은 슬라이드 밸브의 출력 압력에 관련된다. 압력 조절 밸브의 출력 압력은 항상 슬라이드 밸브의 제어 압력 면과 연결된다. 슬라이드 밸브의 작동 압력은 슬라이드 밸브의 제어 압력 면 및 압력 조절 밸브의 제어 압력 면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기어 변속시 짧은 스위칭 시간을 얻기 위해 필요한 과여진이 필요 없다. 특히, 압력 조절 밸브가 슬라이드 밸브의 작동 압력을 조절하도록 밸브 장치가 구현된다. 작동 압력의 크기는 전자석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존한다(액추에이터로서 전자석이 사용되는 경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밸브의 작동 압력이 제 1 밸브 슬라이드의 단부면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작동 압력이 밸브 슬라이드의 축 방향 위치에 작용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작동 압력의 조절에 기여한다.
또한, 제 1 밸브 슬라이드는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를 제 1 공급 접속부 또는 제 1 배출 접속부에 연결할 수 있고, 제어 가능한 작동 장치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가압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 2 밸브 슬라이드는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를 제 2 공급 접속부 또는 제 2 배출 접속부와 연결할 수 있고,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는 제 2 밸브 슬라이드에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는 제 1 밸브 슬라이드에 제 2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 장치와 연결된다. 작동 장치의 전자석이 제 1 밸브 슬라이드를 제어함으로써, 후속해서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에 주어지는 유압에 의해 제 2 밸브 슬라이드가 이동되는 방식으로, 유압 증강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드 밸브 또는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에 주어지는 유압이 압력 조절 밸브에 대해 결정적인 조절 회로에 포함됨으로써, 슬라이드 밸브의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에서의 작동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유압이 특히 정확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외부 유압 또는 클러치의 유압식 액추에이터와 관계없이 조절될 수 있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와 가압 장치 사이의 연결부가 제 2 밸브 슬라이드 내의 채널 및/또는 제 1 밸브 슬라이드와 제 2 밸브 슬라이드를 분리하는 벽 섹션 내의 축 방향 개구를 포함하면, 밸브 장치가 더 간단히 구성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밸브가 특히 정확한 그리고 짧은 유압식 연결부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외부의 유압 라인이 생략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밸브가 종축선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면, 축 방향 개구는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밸브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밸브 슬라이드와 제 2 밸브 슬라이드 사이의 벽 섹션이 생략됨으로써, 유압식 연결부가 예컨대 밸브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 횡단면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밸브 장치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제 2 밸브 슬라이드를 제 1 방향으로 가압하며 가압 장치에 속한 부품 또는 제 1 밸브 슬라이드의 하우징 또는 제 1 밸브 슬라이드와 제 2 밸브 슬라이드를 분리하는 벽 섹션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압력 조절 밸브의 제어 압력에 의해 제 2 밸브 슬라이드에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는 규정된 힘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개선예에서, 분리 벽 섹션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서, 스프링의 예비 응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차가 간단히 보상될 수 있다.
또한, 가압 장치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력 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핀의 하나의 단부는 슬라이드 밸브의 작동 압력에 의해, 그리고 상기 압력 핀의 다른 단부는 제 1 밸브 슬라이드에 의해 가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과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된다. 압력 핀에 의해, 한편으로는 작동 압력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조절 밸브와 슬라이드 밸브 사이의 유압식 증강이 변할 수 있다. 압력 핀은 압력 조절 밸브의 제 1 밸브 슬라이드 내에 안내될 필요가 없으며, 고유의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밸브 슬라이드의 직경이 작게 유지될 수 있고 선택된 유압식 증강과는 관계없이 공통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밸브 슬라이드는 제 1 및 제 2 연결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 연결 리세스들 및 제 1 접속부는, 밸브 슬라이드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제 1 배출 접속부가 제 1 연결 리세스를 통해 또는 제 1 공급 접속부가 제 2 연결 리세스를 통해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밸브 슬라이드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면, 제 1 밸브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반경이 각각 축 방향 섹션에 의해 줄어드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연결 리세스가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세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제 1 공급 접속부 및 제 1 배출 접속부가 특히 양호하게 분리되고, 따라서 누설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밸브 슬라이드는 연결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 연결 리세스 및 제 1 접속부는, 밸브 슬라이드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제 1 배출 접속부가 연결 리세스를 통해 또는 제 1 공급 접속부가 연결 리세스를 통해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밸브 슬라이드가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완적으로, 제 1 밸브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슬리브 내에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리브는 제어 플레이트 내에 안내되고 및/또는 제어 플레이트의 벽 섹션에 대해 유체 밀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2개의 밸브 슬라이드들 중 하나 이상의 밸브 슬라이드, 특히 2개의 밸브 슬라이드가 외경에 스텝을 갖지 않으며, 즉 스텝 피스톤이 아니다. 즉, 밸브 슬라이드의 표면이 정밀한 사용을 위해 "센터리스"로 연삭될 수 있고, 이것도 매우 경제적이다.
보완적으로, 밸브 장치의 조절 특성 곡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에 특히 적합한 조절 특성 곡선의 제 1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또한, 보완적으로 밸브 장치의 조절 특성 곡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강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조절 특성 곡선의 제 2 적합한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스위칭 특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다양한 가능성이 주어진다.
슬라이드 밸브의 작동 압력이 제 2 밸브 슬라이드의 단부면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압력 조절 밸브의 작동 압력에 의한 슬라이드 밸브의 제어가 간단히 구현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압력 조절 밸브의 제 1 밸브 슬라이드의 제어 압력 면이 하나의 축 상에서 슬라이드 밸브의 제 2 밸브 슬라이드의 제어 압력면에 직접 마주 놓이고, 이는 구조적으로 큰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내의 클러치가 대개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되는 압력 조절 밸브 및 상기 압력 조절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슬라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되도록,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밸브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Ⅱ의 확대도.
도 3은 밸브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도 1과 같은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도 5는 제 3 실시예의 도 1과 같은 도면.
도 6은 제 3 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모든 도면에서 기능상 동등한 부재들 및 크기들은 상이한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자동 트랜스미션의 클러치 장치 또는 기어 변속 장치를 유압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장치(10)를 도시한다. 밸브 장치(10)는 소위 제어 플레이트로서 형성된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전자석(14)으로서 형성된 제어 가능한 작동 장치(14)가 도면의 우측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전자석(14)은 코일(13) 및 아마추어(15)를 포함한다. 밸브 장치(10) 및 상기 밸브 장치(10)에 속하는 부재들은 종축선(16)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밸브 장치(10)는 또한 도면의 중간 부분에서 제 1 밸브 섹션(19)을 따라 압력 조절 밸브(18), 및 도면의 좌측 부분에서 제 2 밸브 섹션(21)을 따라 슬라이드 밸브(20)를 포함한다. 제 1 밸브 섹션(19) 및 제 2 밸브 섹션(21)은 벽 섹션(2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벽 섹션은 축 방향 개구(25)를 갖는다. 압력 조절 밸브(18)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연결 리세스(26, 27)를 가진 제 1 밸브 슬라이드(22)를 포함한다.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슬라이드 슬리브(28)로서 형성된 하우징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도 1에서 대략 중간 축 방향 위치에 도시된다. 슬라이드 슬리브(28)는 시일(30)에 의해 제어 플레이트(12)의 방사방향 내부에 놓인 섹션에 대해 유체 밀봉된다. 또한, 슬라이드 슬리브(28)는 제어 플레이트(12)의 접속부들에 유압식으로 대응하는 개구들(도면 부호 없음)을 갖는다. 상기 접속부들은 제 1 공급 접속부(P1), 제 1 배출 접속부(T1) 및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전자석(14)의 아마추어(15)와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슬라이드 밸브(20)는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는 제어 플레이트(12)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밸브 슬라이드(32)는 연결 리세스(3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리세스는 각각 하나의 축 방향 및 방사 방향 홀에 의해 구현된 채널과 유체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채널(36)은 제 2 밸브 슬라이드(32)의 도면에서 우측의 단부면(39)에 있는 단부면 리세스(37) 내로 통한다. 단부면 리세스(37) 내에 압축 스프링(38)이 배치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벽 섹션(23)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할 수 있다. 제 2 밸브 슬라이드(32)의 도면에서 좌측의 단부에 있는 단부면은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면(40)을 형성한다. 연결 리세스(34)는 제 2 밸브 슬라이드(32)의 위치에 따라 제어 플레이트(12)의 다른 접속부와 유압식으로 대응한다. 상기 다른 접속부들은 제 2 공급 접속부(P2), 제 2 배출 접속부(T2) 및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를 포함한다. 작동 압력 접속부(A2)에는 작동 압력(41)이 주어진다. 또한, 압력 면(40)은 제어 플레이트(12)의 도면에서 좌측의 단부 섹션에 있는 조절 압력 접속부(S3)와 대응한다. 제어 플레이트(12)의 좌측 단부 섹션은 제어 플레이트(12) 내에 코킹되는 시일 부재(42)에 의해 유압식으로 밀봉된다. 시일 부재(42)와 압력 면(40) 사이에는 유압식 제어 챔버(44)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공급 접속부(P1)와 제 2 공급 접속부(P2)는 유압식 연결부(46)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유압식 연결부(48)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압력 소스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와 조절 압력 접속부(S3)는 유압식 연결부(50)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배출 접속부들(T1. T2)은 유압식 연결부(51)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압력 없는 유체 저장기에 접속된다. 작동 압력 접속부(A2)는 유압식 연결부(52)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유압식 클러치(습식 클러치)에 또는 클러치(건식 클러치) 또는 기어 변속 장치의 유압식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또한, 밸브 장치(10)가 스텝 피스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히 구성되는 것이 나타난다.
도 2는 도 1의 부분 Ⅱ을 확대 도시한다. 단부 부품(54)이 슬라이드 슬리브(28)의 도면에서 좌측의 단부 섹션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는 압입되고- , 상기 단부 부품(54)에는 압축 슬라이드 스프링(56)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은 제 1 밸브 슬라이드(22)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단부 부품(54)은 가이드 섹션(58)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섹션(58)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력 핀(60)이 안내된다. 즉, 상기 압력 핀은 제 1 밸브 슬라이드(22) 내에 안내되지 않는다. 압력 핀(60)의 도면에서 좌측의 단부는 단부 부품(54)의 중앙 단부면 개구(62) 및 벽 섹션(23)의 축 방향 개구(25)를 통해 단부면 리세스(37)와 연결되고, 또한 채널(36) 및 연결 리세스(34)를 통해 작동 압력 접속부(A2)와 유압식으로 연결된다. 압력 핀(60)의 도면에서 우측의 단부는 제 1 밸브 슬라이드(22)의 도면에서 좌측의 축 방향 단부면(61)에 작용한다. 압력 핀(60)과 슬라이드 스프링(56)은 함께 가압 장치(63)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슬리브(28) 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홀(65)이 형성된다. 상기 홀은 한편으로는 스프링(56)이 장착된 챔버(67)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피스톤(22)의 운동의 유압식 댐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챔버(67)를 밀봉하기 위해, 슬라이드 슬리브(28)의 외경에 O-링 시일(69)이 배치된다. 챔버(37)도 예컨대 홀(71)을 통해 외부로 환기될 수 있다.
전자석(14)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슬라이드 스프링(56) 및/또는 압력 핀(60)이 제 1 밸브 슬라이드(22)를 도 1에서 우측으로 "제 2" 방향(66)으로 가압하고,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는 연결 리세스(26)를 통해 제 1 배출 접속부(T1)와 유압식으로 연결된다. 제 1 배출 연결부(T1)에 있는 비교적 낮은 압력이 유압 연결부(50) 및 조절 압력 연결부(S3)를 통해 유압 제어 챔버(44)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밸브 슬라이드(32)는 압축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는 제 2 배출 접속부(T2)와 유압식으로 연결된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에 있는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인해, 후속해서 클러치(도시되지 않음)의 액추에이터가 휴지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이를 개방 클러치라 한다.
전자석(14)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자기력에 의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스프링(56)의 힘에 대항해서 "제 1" 방향(64)으로 이동된다.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는 먼저 제 1 배출 접속부(T1)로부터 분리된 다음, 연결 리세스(27)를 통해 제 1 공급 접속부(P1)와 유압식으로 연결된다. 제 1 공급 접속부(P1)에 있는 비교적 높은 압력이 유압 연결부(50) 및 조절 압력 접속부(S3)를 통해 유압식 제어 챔버(44)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밸브 슬라이드(32)는 유압식 힘에 의해 압축 스프링(38)에 대항해서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는 먼저 제 2 배출 접속부(T2)로부터 분리된 다음, 제 2 공급 접속부(P2)와 유압식으로 연결된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에서 상기 방식으로 증가된 압력으로 인해, 후속해서 액추에이터가 작동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즉, 클러치가 작동된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에서의 유압은 채널(36)을 통해 단부면 리세스(37)로 전달된다. 벽 섹션(23) 내의 축 방향 개구(25) 및 단부 부품(54) 내의 단부면 개구(62)를 통해 유압이 압력 핀(60)의 도면에서 좌측의 단부에 작용한다.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에서의 유압이 커질수록, 후속해서 제 1 밸브 슬라이드(22)의 압력 핀(60)에 의해 자기력에 대항해서 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제 1 공급 접속부(P1)와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 사이의 연결부의 유압 작용 횡단면이 적어도 작아질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제어 챔버(44) 내의 압력도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에서의 작동 압력(41)을 조절하기 위한 폐쇄된 조절 회로가 주어진다. 전체적으로, 도 1의 밸브 장치(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하는 프로파일을 가진 조절 특성 곡선을 갖는다.
도 3은 도 1의 밸브 장치(10)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밸브 장치(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과는 달리, 도 3의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단일 연결 리세스(72)를 갖는다. 연결 리세스(72)는 연결 리세스(26) 또는 연결 리세스(27) 보다 큰 축 방향 길이를 갖기 때문에, 도 1의 밸브 장치와 관련해서 유압식으로 반전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공급 접속부(P1) 및 제 1 배출 접속부(T1)가 도 1과 관련해서 바뀌어 배치됨으로써, 전자석(14)의 상태와 관련해서 도 1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도 3의 밸브 장치(10)의 유압식 결선이 도 4에 도시된다. 이는 소위 "상승 특성 곡선"에 상응한다.
도 5에 도시된 밸브 장치(10)에서, 전자석(14) 및 슬라이드 스프링(56)은 작용 방향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180°회전되어 배치되고, 도 6에 따른 관련 유압식 결선은 소위 "하강 특성 곡선"을 가진 결선이다. 스프링(38)은 단부 부품(54)에 직접 작용한다. 스프링(74)은 아마추어(15)에 도면에서 좌측으로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석(14)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스프링(74)에 의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가압되고, 전자석(14)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자기력에 의해 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된다.
10 밸브 장치
14 작동 장치
18 압력 조절 밸브
20 슬라이드 밸브
22, 32 밸브 슬라이드
23 벽 섹션
28 하우징
36 채널
38 스프링
40 압력면
41 작동 압력
54 부품
60 압력 핀
61 단부면

Claims (13)

  1. 제어 가능한 작동 장치(1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18)의 제 1 밸브 슬라이드(22), 및 슬라이드 밸브(20)의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 내의 밸브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18)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작동 압력(41)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상기 작동 압력(41)이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의 단부면(61)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는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를 제 1 공급 접속부(P1) 또는 제 1 배출 접속부(T1)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어 가능한 작동 장치(14)에 의해 제 1 방향(64)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 장치(63)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64)과는 반대의 제 2 방향(66)으로 가압되고,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는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를 제 2 공급 접속부(P2) 또는 제 2 배출 접속부(T2)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 1 작동 압력 접속부(A1)는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에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면(40)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는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에 상기 제 2 방향(66)으로 작용하는 상기 가압 장치(6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 압력 접속부(A2)와 상기 가압 장치(63)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 내의 채널(36) 및/또는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와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분리시키는 벽 섹션(23) 내의 축 방향 개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는 스프링(38)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제 1 방향(64)으로 가압하며, 상기 가압 장치(63)에 속하는 부품(54)에 또는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의 하우징(28)에 또는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와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를 분리시키는 벽 섹션(23)에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8)의 예비 응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벽 섹션(23)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63)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력 핀(60)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핀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작동 압력(41)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압력 핀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가 슬라이드 슬리브(28) 내에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리브(28)가 하우징 내에, 바람직하게는 제어 플레이트(12) 내에 안내되며 및/또는 상기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플레이트(12)의 벽 섹션에 대해 유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밸브 슬라이드(22; 32)는 스텝 피스톤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10)의 조절 특성 곡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10)의 조절 특성 곡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상기 작동 압력(41)은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의 단부면(39)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18)의 상기 제 1 밸브 슬라이드(22)의 압력 면(61) 및 상기 슬라이드 밸브(20)의 상기 제 2 밸브 슬라이드(32)의 압력 면(39)은 하나의 축(16) 상에서 직접 그리고 적어도 대략 마주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KR1020120002826A 2011-01-12 2012-01-10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 KR20150127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2600.2A DE102011002600B4 (de) 2011-01-12 2011-01-12 Ventilanordnung,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DE102011002600.2 2011-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754A true KR20150127754A (ko) 2015-11-18

Family

ID=4647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26A KR20150127754A (ko) 2011-01-12 2012-01-10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127754A (ko)
CN (1) CN102588579B (ko)
DE (1) DE10201100260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265A (ko) * 2015-08-13 2017-02-22 힐리테 저머니 게엠베하 유압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236A1 (en) * 2012-12-31 2014-07-03 Vanderbilt University Directional control valve with spool delay mechanism
CN104033626B (zh) * 2014-06-11 2016-05-18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双控集成阀
CN104455394B (zh) * 2014-10-29 2017-02-22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研究所有限公司 液力传动箱液动换挡、液力单元充排油控制机构
EP4083474B1 (en) * 2021-04-26 2024-02-28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of a transmi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10Y2 (ja) * 1989-11-20 1994-06-22 株式会社ゼクセル 電磁比例制御弁
CN201322116Y (zh) * 2008-08-08 2009-10-07 宁波市鄞州通力液压电器厂 比例减压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8884B4 (de) * 1999-08-17 2009-10-01 Schaeffler Kg Wegeventil und Verfahren zur Optimierung von dessen Regelbarkeit und Bauaufwand
US20070151614A1 (en) * 2005-12-29 2007-07-05 Dayton Robert A Pressure regulating valve
JP5136242B2 (ja) * 2008-06-27 2013-02-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磁弁
DE102008042624A1 (de) 2008-10-06 2010-04-08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zur hydraulischen Steuerung in einem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10Y2 (ja) * 1989-11-20 1994-06-22 株式会社ゼクセル 電磁比例制御弁
CN201322116Y (zh) * 2008-08-08 2009-10-07 宁波市鄞州通力液压电器厂 比例减压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등록실용신안 제6023810호(1994.06.22.)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265A (ko) * 2015-08-13 2017-02-22 힐리테 저머니 게엠베하 유압 밸브
KR101865149B1 (ko) * 2015-08-13 2018-06-08 힐리테 저머니 게엠베하 유압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02600A1 (de) 2012-07-12
CN102588579A (zh) 2012-07-18
DE102011002600B4 (de) 2023-07-27
CN102588579B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827B1 (en) Electrically operated pressure control valve
US8387644B2 (en) Solenoid operated fluid control valve
KR102042399B1 (ko) 축 방향 공급 연결부를 구비한 압력 조절 밸브
KR20150127754A (ko)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의 밸브 장치
US20040035476A1 (en) Solenoid control valve
WO2009145176A1 (ja) 電磁弁装置
US6578606B2 (en) Solenoid valve, in particular, a pressure control valve
US20160017991A1 (en) Hydraulic valve
EP1719032A1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US6615869B2 (en) Solenoid valve
WO2009119609A1 (ja) ブリード型電磁弁
US9133728B2 (en) Fluid pressure reversing valve
US10018269B2 (en) Normally high acting linear force solenoid
CN107109973B (zh) 用于凸轮轴调节设备的中央阀
US8602060B2 (en) Multiplexing control valve
CN109089425B (zh) 用于自动变速器的高流量高压液压螺线管阀
US9803772B2 (en) Valve device for a hydraulic circuit and oil pump control apparatus
KR20090065523A (ko) 압력 조절 밸브
WO2018079591A1 (ja) 電磁弁
KR20120064037A (ko)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용 슬라이드 밸브
JP2012067916A (ja) スプール弁
JP4301318B2 (ja) ブリード式バルブ装置
US11105416B2 (en) Pressure back-up valve
JP5655960B2 (ja) 油圧制御回路
US10865891B2 (en) Device for flow force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