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093A -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093A
KR20150126093A KR1020140053092A KR20140053092A KR20150126093A KR 20150126093 A KR20150126093 A KR 20150126093A KR 1020140053092 A KR1020140053092 A KR 1020140053092A KR 20140053092 A KR20140053092 A KR 20140053092A KR 20150126093 A KR20150126093 A KR 2015012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dish
hinge
coupl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혁
박헌수
정경준
박지근
최윤진
Original Assignee
김준혁
정경준
최윤진
박지근
박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혁, 정경준, 최윤진, 박지근, 박헌수 filed Critical 김준혁
Priority to KR102014005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093A/ko
Publication of KR2015012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47B57/58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with connection means movable by sliding on the outside of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식기건조함; 상기 식기건조함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사이마다 식기 고정공간이 형성된 분리판; 및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을 상호 연결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된 힌지부;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Drying Dishes}
본 발명은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를 고정할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건조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세척된 그릇, 컵, 접시 등의 각종 식기들을 보관하면서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 건조대는 다수의 식기들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좁은 주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 건조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트레이선반(10,15)에 의해 상,하단으로 구분되면서 하측에 물받이판(40)이 구비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망상 트레이(5)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망상 트레이(5)의 상단 일측에는 내부벽(21)에 의해 2개 이상으로 구획된 내부공간(22)을 가지면서 각 내부공간(22) 바닥면에 배출홀(미도시)이 관통되어 수저, 젓가락, 포크 등을 수납 건조시키기 위한 수납통(20)이 걸림턱(24)에 의해 결착되어 있고, 상,하트레이선반에는 각각 접시와 같은 납작한 식기류를 세워서 꽂아 건조시킬 수 있는 접시꽂이(11)와 깊이가 큰 주발이나 사발 등을 세워 건조시킬 수 있는 주발꽂이(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망상 트레이(5)의 하단 일측에는 도마를 걸어 건조시키는 도마걸이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받이판(40)의 경우 망상 트레이(5)의 하단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6) 상단에 얹혀져 슬라이드 이송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식기 건조대(1)의 경우 접시 등 납작한 식기류뿐만 아니라 수저, 젓가락, 포크, 도마, 행주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보관 및 건조할 수 있음은 물론 그릇류인 주발이나 사발을 주발이나 사발꽂이에 세워서 보관 및 건조할 수 있어 이에 따른 그릇류의 건조효율 및 식기 건조대(1)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 식기 건조대(1)의 수납통(20)에는 단지 수저, 젓가락, 포크 등을 수납 건조시키는 기능만 있을 뿐 국자, 뒤집게, 집게, 행주와 같은 주방용품들을 걸어 둘 수 있는 후크 형태의 걸이부가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납통(20) 내에 수납할 수 없는 주방용품들 그중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주방용품들 역시 걸고리가 있거나 씽크대 서랍 등의 다른 장소에 별도로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이들 주방용품들을 식기 건조대(1)와 같은 한 곳에 보관하지 못함에 따른 주방에서의 사용자 동선이 그 만큼 길어질 수밖에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식기 건조대(1)의 경우 상단에 접시꽂이(11)가 구비된 상부트레이선반(10) 자체가 탈착 가능한 구조가 아닌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시꽂이(11)가 도 1과 같이 상부트레이선반(10) 길이 전체에 형성될 경우에는 관계없지만 일정길이까지만 형성될 경우에는 식기 건조대(1)의 설치위치에 따른 상부트레이선반(10)의 설치위치변경 즉, 접시꽂이(11) 부분이 사용자에게 근접되도록 하는 위치변경이 자유롭지 못하고 식기 건조대(1) 자체를 옮겨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식기 건조대(1) 중 상부트레이선반(10)과 하부트레이선반(15)이 각각 위치되는 망상 트레이(5)의 상단 배면 및 하단 테두리에는 동일 무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무늬패턴과 함께 하단에 물배출가이드가 구비된 상,하부밀폐가이드판 수단이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시와 같은 납작한 식기류가 망상 트레이(5)의 외부로 빠져나와 낙하되어 파손될 소지가 있고, 식기 건조대(1)에 대한 외부 디자인적 효과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상부트레이선반(10)으로부터 하부트레이선반(15)의 좌우 양측으로 낙하되는 물이 건조된 식기에 바로 떨어져 사방으로 튀거나 또는 물받이판(40)으로 바로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 식기 내부에 묻게 되는 등 건조된 상태 그대로 식기류의 청결성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식기 건조대(1)의 경우 물받이판(40)이 망상 트레이(5)의 하단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6) 상단에 얹혀져 슬라이드 이송되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받이판(40)과 슬라이딩부(6) 간의 좌우 유격에 따른 물받이판(40)의 유동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인출 시 물받이판(40)에 수납된 물이 외부로 넘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131473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부를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식기의 두께와 동일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이동부를 고정하여 크기에 상관없는 식기들을 세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판들을 한쪽으로 밀어놓음으로써 생기게 되는 빈 공간에 별도의 식기들을 거치 및 보관함에 식기건조함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식기건조함; 상기 식기건조함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사이마다 식기 고정공간이 형성된 분리판; 및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을 상호 연결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된 힌지부;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롤러; 및 일단이 상기 롤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판에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설치되되, 상하부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분리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바 및 제2힌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바 및 제2힌지바의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을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관통공에 돌출되며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과 결합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를 상기 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내주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이동부를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식기의 두께와 동일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이동부를 고정하여 크기에 상관없는 식기들을 세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판들을 한쪽으로 밀어놓음으로써 생기게 되는 빈 공간에 별도의 식기들을 거치 및 보관함에 식기건조함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힌지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힌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이동부가 식기건조함의 관통공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이동부가 식기건조함의 관통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식기 고정공간에 식기가 세워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132)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식기건조함(110), 레이부, 분리판(130) 및 힌지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식기건조함(110)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식기건조함(110)은 내부의 공간에 식기가 삽입되는데 후술할 슬라이딩부(120) 및 분리판(1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식기건조함(110)은, 양측면에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공(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관통공(112)에는 후술할 이동바(152)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힌지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힌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20)는, 식기건조함(110)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120)는, 레일부(122), 롤러(124) 및 연결바(126)를 포함한다.
레일부(122)는 식기건조함(110)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124)는 레일부(12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된다.
연결바(126)는, 일단이 롤러(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판(130)에 결합된다. 즉, 연결바(126)는 분리판(13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인접한 롤러(124)에 연결한다.
또한, 슬라이딩부(120)는, 식기건조함(110)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120)는, 식기건조함(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하부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분리판(130)이 직립된 상태로 레일부(122)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분리판(130)은, 슬라이딩부(1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사이마다 식기 고정공간(132)이 형성된다.
식기 고정공간(132)에는 크기가 다른 접시, 볼, 크기가 다른 그릇 등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힌지부(140)는,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130)들을 상호 연결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힌지부(140)는,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130)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이 분리판(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바(142) 및 제2힌지바(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힌지바(142) 및 제2힌지바(144)의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식기 고정공간에 식기가 세워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130) 사이마다 형성되는 식기 고정공간(132)의 폭들은 힌지부(140)에 의해서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 크기가 다른 접시, 볼, 크기가 다른 그릇을 그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132)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힌지부(14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130)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130)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이동부가 식기건조함의 관통공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이동부가 식기건조함의 관통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132)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이동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동부(150)는, 관통공(112)에 삽입되고, 다수개의 분리판(130)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130)과 결합되어 분리판(130)을 슬라이딩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부(150)는, 이동바(152), 손잡이(154) 및 걸림부재(156)를 포함한다.
이동바(152)는, 식기건조함(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양단이 관통공(112)에 돌출되며 다수개의 분리판(130)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130)과 결합된다.
또한, 이동바(152)는, 외주면에 고정돌기(1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관통공(112)은, 내주면에 고정돌기(158)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손잡이(154)는, 이동바(152)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동바(152)를 관통공(1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걸림부재(156)는, 이동바(1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이동바(152)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고정공간(132)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이동부(150)를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130)들이 이격된 폭 거리를 식기의 두께와 동일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이동부(150)를 고정하여 크기에 상관없는 식기들을 세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판(130)들을 한쪽으로 밀어놓음으로써 생기게 되는 빈 공간에 별도의 식기들을 거치 및 보관함에 식기건조함(110)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식기건조함 112: 관통공
114: 고정홈 120: 슬라이딩부
122: 레일부 124: 롤러
126: 연결바 130: 분리판
132: 고정공간 140: 힌지부
142: 제1힌지바 144: 제2힌지바
150: 이동부 152: 이동바
154: 손잡이 156: 걸림부재
158: 고정돌기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식기건조함;
    상기 식기건조함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사이마다 식기 고정공간이 형성된 분리판; 및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을 상호 연결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된 힌지부;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들이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분리판 사이에 꽂아지는 식기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롤러; 및
    일단이 상기 롤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판에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설치되되, 상하부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서로 인접하는 분리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분리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바 및 제2힌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바 및 제2힌지바의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을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식기건조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관통공에 돌출되며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 중에 최외측에 위치한 분리판과 결합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를 상기 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내주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KR1020140053092A 2014-05-01 2014-05-01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150126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92A KR20150126093A (ko) 2014-05-01 2014-05-01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92A KR20150126093A (ko) 2014-05-01 2014-05-01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093A true KR20150126093A (ko) 2015-11-11

Family

ID=5460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092A KR20150126093A (ko) 2014-05-01 2014-05-01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453B2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EP2554097A2 (en) Dishwasher rack comprising an extractable perimetric frame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US9516991B2 (en) Removable dishwasher utensil basket that transforms into a utensil holder for a drawer
US20040079713A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KR101643740B1 (ko)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KR101376519B1 (ko) 식기 건조대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JP2013127195A (ja) 流し台用シンク
KR200470156Y1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EP3332686A1 (en) Wash basket assembly and tray assembly used for bowl washing machine and bowl washing machine
US20050045215A1 (en) Three rack dishwasher with door mounted silverware basket
KR20150126093A (ko) 식기 고정공간 폭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101754313B1 (ko)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101402517B1 (ko) 주방용 식기 보관함
KR102290730B1 (ko) 식기건조대
KR20140004832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KR102063939B1 (ko)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