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612A -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612A
KR20150125612A KR1020150061409A KR20150061409A KR20150125612A KR 20150125612 A KR20150125612 A KR 20150125612A KR 1020150061409 A KR1020150061409 A KR 1020150061409A KR 20150061409 A KR20150061409 A KR 20150061409A KR 20150125612 A KR20150125612 A KR 2015012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gent
good
hydrazide
foaming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진
조용연
김정환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ublication of KR2015012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4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8Binary blends of expand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발포 성능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발포제 조성물은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의 발포 방법은,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과 발포 대상 수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Foaming a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am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 성능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제는 합성수지와 배합되어 다공성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 첨가제이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의 열가소성 수지, 고무, 폴리아미드 등에 대한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 amide: ADCA),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dinitroso pentamethylenetetra mine: DPT), p-톨루엔술포닐 히드라지드(p-Toluenesulfonylhydrazide), 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Benzenesulfonyl hydrazide) 등의 화학 발포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일본 특개 2004-051871, 일본 특개 2004-323726, 한국 특허공개 2010-0085451, 한국 특허공개 2002-0086346, 미국 특허 공개 2013-0082412 등 참조).
특히, 상기 화학 발포제 중, 아조디카본아마이드는 열분해 시에 가스 발생 속도가 빠르고, 가스 발생량이 많아 발포 배율이 우수한 발포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온도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분해 온도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공정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조디카본아마이드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아 황색의 잔유물이 잔류하여, 발포체의 백색도가 저하되는 단점과 성형 가공 기기가 부식 또는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아조디카본아마이드가 분해될 때 포름아미드(formamide), 암모니아(ammonia) 등의 유해 성분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 공정에서 유해 성분의 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인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색도, 열적 안정성, 발포도, 발포 형태 등의 발포 성능이 우수한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드라지드계(Hydrazide 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과 발포 대상 수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의 발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은, 발포 공정에서 유해 성분의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발포 수지의 백색도, 열적 안정성, 발포도, 발포 형태 등의 발포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발포 시트의 외관 사진 및 내부 기공 형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히드라지드계(Hydrazide 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 전체에 대하여,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의 사용량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무기 발포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중량%이다. 여기서,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가 사용되지 않거나, 그 사용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발포제 조성물의 발포 배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무기 발포제가 사용되지 않거나, 그 사용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발포 공정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발포 시트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CONHNH2 또는 -SO2NHNH2 작용기를 가지는 발포제로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OBSH, CAS no. 80-51-3),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p-Toluenesulfonylhydrazide: TSH, CAS no. 1576-35-8),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Benzenesulfonylhydrazide: BSH, CAS no. 80-17-1)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NaHCO3), 중탄산암모늄(NH4HCO3), 탄산암모늄((NH4)2CO3), 아질산암모늄(NH4NO2), 붕소화수소나트륨 (NaBH4), 아지드 화합물(예를 들면, Ca(N3)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비(非)히드라지드계 유기 발포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非)히드라지드계 유기 발포제는, 예를 들면, 아조디카본아마이드 (azodicarbonamide: 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dinitroso pentamethylenetetramine: DPT), p-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지드(p-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PTSS, CAS No : 10396-10-8), 5-페닐테트라졸(5-Phenyltetrazole: 5PT, CAS No : 18039-42-4)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非)히드라지드계 유기 발포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발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471-34-1) 등의 칼슘 화합물(calcium compound), 산화 아연(zinc oxid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등의 아연 화합물(zinc compound),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틴 메톡시 말레이트(tin methoxy maleate) 등의 티타늄 또는 주석 화합물(titanium or tin compound), 바륨 스테아레이트(barium stearate), 바륨 리시놀리에이트(barium ricinoleate) 등의 바륨 화합물(barium compound),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등의 마그네슘 화합물(magnesium compound), 탈크(talc), 모노소듐 시트레이트(monosodium citrate), 우레아(urea), 실리카(silica),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dicyclohexyl phthalate),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monomer rubber: EPDM), 폴리스티렌(PS), 열가소성 탄성체 (Thermo plastic Elastomer: TP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 TPR), 폴리염화비닐(PVC),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아미드, 고무(rubber) 등의 각종 합성 또는 천연 수지(Resin)에 대한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발포제의 종류, 발포 수지의 종류, 원하는 발포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발포 대상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 2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조성물의 사용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발포체의 발포 배율이 낮아지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발포체의 형태 및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의 발포 방법은 상기 발포제 조성물과 발포 대상 수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조성물과 발포 대상 수지의 혼합에는 프레스 롤(press roll) 등의 통상의 혼합기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가열은 프레스 몰드(press mold) 등의 통상의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는, 발포 대상 수지 및 발포제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면, 10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40 ℃이다.
본 발명에 따라,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혼합한 발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를 발포시키면,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발포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해 성분의 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발포 배율 및 구조의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발열 분해되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특히 OBSH와 흡열 분해되는 무기 발포제, 특히 소듐 비카보네이트를 모두 포함하므로, 발포 공정에서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우수한 발포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OBSH)의 분해열은 375.9 kJ/mol (1048.8 J/g)이고, 중탄산나트륨의 분해열은 -69.7 kg/mol (-829.7 J/g)이다. 참고로,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의 분해열은 120.1 kJ/mol (1034.6 J/g)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합성수지, 천연 고무 등의 수지를 발포시키면,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를 포함하는 발포제와는 달리, 포름아미드(formamide), 암모니아(ammonia) 등의 유해 성분의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 대상 수지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CAS No. 24937-78-8, EVA resin, 비중: 0.943 g/cm3)를 사용하고,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OBSH, CAS No. 80-51-3)와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CAS No. 144-55-8)의 혼합물 및 기타 첨가제로서 칼슘 카보네이트, 산화 아연(Zinc Oxide),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Dicyclohexyl phthalate) 등을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Foaming agent)을 준비하였다. 상기 발포 대상 수지와 발포제 조성물을 프레스 롤(Press roll)을 이용하여 90 ℃에서 60 분(min) 동안 혼합하고(원료 배합), 프레스 몰드(Press mold)를 이용하여, 165 ℃ 및 150 kg/cm2의 조건에서 18분(min) 동안 발포시켜, 발포체(EVA 발포 시트)를 제조하였다(발포 공정).
물질 사용량
발포 대상 수지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83.3 g

첨가제
Calcium carbonate 8.8 g
Zinc Oxide 0.9 g
Stearic acid 0.9 g
Dicyclohexyl phthalate 0.9 g
발포제 조성물 p,p'-Oxybis(benzenesulfonylhydrazide) (OBSH) 2.6 g
Sodium Bicarbonate 2.6 g
합계 100 g
[실시예 2~4, 비교예 1~2]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의 발포제 조성물, 발포 대상 수지 및 첨가제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첨가제
OBSH Sodium Bicarbonate EVA
resin
Calcium carbonate Zinc
Oxide
Stearic
acid
Dicyclohexyl phthalate
실시예 1 2.6 g 2.6 g 83.3 g 8. 8g 0.9 g 0.9 g 0.9 g
실시예 2 2.1 g 3.1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3 1.6 g 3.6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4 1.0 g 4.2 g 83.3 g 8.8 g 0.9 g 0.9 g 0.9 g
비교예 1 5.2 g - 83.3 g 8.8 g 0.9 g 0.9 g 0.9 g
비교예 2 - 5.2 g 83.3 g 8.8 g 0.9 g 0.9 g 0.9 g
발포 시트의 평가
제조된 발포 시트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발포 시트의 외관 사진 및 내부 기공 형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외관 비중 발포시트 내부 기공 형태
실시예 1 양호 (도 1) 0.178 g/cm3 도 2
실시예 2 양호 (도 3) 0.195 g/cm3 도 4
실시예 3 양호 (도 5) 0.236 g/cm3 도 6
실시예 4 양호 (도 7) 0.289 g/cm3 도 8
비교예 1 불량 (도 9) 0.154 g/cm3 도 10
비교예 2 양호 (도 11) 0.662 g/cm3 (불량) 도 12
상기 표 3 및 도 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으로 EVA를 발포시킨 경우, 발포제로서 OBSH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1), 비중이 0.154 g/cm3로서 발포배율은 우수하였으나 외관이 불량하였으며, 발포제로서 중탄산나트륨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2), 비중이 0.662 g/cm3로서 발포가 불충분하게(발포배율 불량) 수행되었다. 반면, OBSH와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실시예 1~4), 밀도, 발포 배율 및 외관이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5~10]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의 발포제 조성물(TSH: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BSH: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발포 대상 수지 및 첨가제를 사용하고, 발포 공정을 145 ℃ 및 150 kg/cm2의 조건에서 15분(min)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EVA 발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첨가제
TSH Sodium Bicarbonate EVA
resin
Calcium carbonate Zinc
Oxide
Stearic
acid
Dicyclohexyl phthalate
실시예 5 3.1 g 2.1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6 2.6 g 2.6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7 2.1 g 3.1 g 83.3 g 8.8 g 0.9 g 0.9 g 0.9 g
BSH Sodium Bicarbonate EVA
resin
Calcium carbonate Zinc
Oxide
Stearic
acid
Dicyclohexyl phthalate
실시예 8 3.1 g 2.1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9 2.6 g 2.6 g 83.3 g 8.8 g 0.9 g 0.9 g 0.9 g
실시예 10 2.1 g 3.1 g 83.3 g 8.8 g 0.9 g 0.9 g 0.9 g
발포 시트의 평가
제조된 발포 시트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외관 비중 발포시트 내부 기공 형태
실시예 5 양호 0.180 g/cm3 양호
실시예 6 양호 0.202 g/cm3 양호
실시예 7 양호 0.222 g/cm3 양호
실시예 8 양호 0.182 g/cm3 양호
실시예 9 양호 0.198 g/cm3 양호
실시예 10 양호 0.224 g/cm3 양호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H와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실시예 5~7) 및 BSH와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실시예 8~10), 밀도, 발포 배율 및 외관이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a1~a27]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PVC: 폴리염화비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실시예
번호
OB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PVC 비중 외관 내부
기공
a1 1 4 100 0.24 양호 양호
a2 2.5 2.5 100 0.18 양호 양호
a3 4 1 100 0.13 양호 양호
a4 1 4 100 0.32 양호 양호
a5 2.5 2.5 100 0.26 양호 양호
a6 4 1 100 0.20 양호 양호
a7 1 4 100 0.47 양호 양호
a8 2.5 2.5 100 0.31 양호 양호
a9 4 1 100 0.22 양호 양호
a10 1 9 100 0.10 양호 양호
a11 5 5 100 0.09 양호 양호
a12 9 1 100 0.07 양호 양호
a13 1 9 100 0.14 양호 양호
a14 5 5 100 0.10 양호 양호
a15 9 1 100 0.07 양호 양호
a16 1 9 100 0.17 양호 양호
a17 5 5 100 0.11 양호 양호
a18 9 1 100 0.09 양호 양호
a19 2 18 100 0.07 양호 양호
a20 10 10 100 0.06 양호 양호
a21 18 2 100 0.05 양호 양호
a22 2 18 100 0.07 양호 양호
a23 10 10 100 0.05 양호 양호
a24 18 2 100 0.04 양호 양호
a25 2 18 100 0.09 양호 양호
a26 10 10 100 0.08 양호 양호
a27 18 2 100 0.08 양호 양호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OBSH)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5 중량부 이상이면,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 내부 기공 및 외관이 모두 양호하였고, 발포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발포 배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a1~a21]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PVC: 폴리염화비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비교예
번호
OB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PVC 비중 외관 내부
기공
a1 0 0 100 0.95(불량) 양호 불량
a2 0 0 100 0.84(불량) 양호 불량
a3 0 0 100 1.16(불량) 양호 불량
a4 0.01 0.09 100 0.83(불량) 양호 양호
a5 0.05 0.05 100 0.77(불량) 양호 양호
a6 0.09 0.01 100 0.70(불량) 양호 양호
a7 0.01 0.09 100 0.79(불량) 양호 양호
a8 0.05 0.05 100 0.75(불량) 양호 양호
a9 0.09 0.01 100 0.70(불량) 양호 양호
a10 0.01 0.09 100 1.01(불량) 양호 양호
a11 0.05 0.05 100 0.97(불량) 양호 양호
a12 0.09 0.01 100 0.92(불량) 양호 양호
a13 0.1 0.9 100 0.52(불량) 양호 양호
a14 0.5 0.5 100 0.46(불량) 양호 양호
a15 0.9 0.1 100 0.39(불량) 양호 양호
a16 0.1 0.9 100 0.59(불량) 양호 양호
a17 0.5 0.5 100 0.51(불량) 양호 양호
a18 0.9 0.1 100 0.43(불량) 양호 양호
a19 0.1 0.9 100 0.79(불량) 양호 양호
a20 0.5 0.5 100 0.68(불량) 양호 양호
a21 0.9 0.1 100 0.59(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1 중량부 이하이면,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가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b1~b18]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8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실시예 B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비중 외관 내부
기공
b1 1 4 100 0.27 양호 양호
b2 2.5 2.5 100 0.20 양호 양호
b3 4 1 100 0.17 양호 양호
b4 1 4 100 0.37 양호 양호
b5 2.5 2.5 100 0.30 양호 양호
b6 4 1 100 0.24 양호 양호
b7 1 9 100 0.14 양호 양호
b8 5 5 100 0.11 양호 양호
b9 9 1 100 0.10 양호 양호
b10 1 9 100 0.17 양호 양호
b11 5 5 100 0.13 양호 양호
b12 9 1 100 0.11 양호 양호
b13 2 18 100 0.09 양호 양호
b14 10 10 100 0.08 양호 양호
b15 18 2 100 0.07 양호 양호
b16 2 18 100 0.10 양호 양호
b17 10 10 100 0.08 양호 양호
b18 18 2 100 0.07 양호 양호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BSH)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5 중량부 이상이면,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 내부 기공 및 외관이 모두 양호하였고, 발포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발포 배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b1~b22]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9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비교예 B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비중 외관 내부
기공
b1 0 0 100 0.95(불량) 양호 불량
b2 0 0 100 0.84(불량) 양호 불량
b3 0.01 0.09 100 0.85(불량) 양호 양호
b4 0.05 0.05 100 0.80(불량) 양호 양호
b5 0.09 0.01 100 0.73(불량) 양호 양호
b6 0.01 0.09 100 0.80(불량) 양호 양호
b7 0.05 0.05 100 0.77(불량) 양호 양호
b8 0.09 0.01 100 0.72(불량) 양호 양호
b9 0.1 0.9 100 0.54(불량) 양호 양호
b10 0.5 0.5 100 0.50(불량) 양호 양호
b11 0.9 0.1 100 0.43(불량) 양호 양호
b12 0.1 0.9 100 0.62(불량) 양호 양호
b13 0.5 0.5 100 0.56(불량) 양호 양호
b14 0.9 0.1 100 0.47(불량) 양호 양호
b15 5 0 100 0.15 불량 불량
b16 10 0 100 0.09 불량 불량
b17 0 5 100 0.66(불량) 양호 양호
b18 0 10 100 0.42(불량) 양호 양호
b19 5 0 100 0.22 불량 불량
b20 10 0 100 0.10 불량 불량
b21 0 5 100 0.54(불량) 양호 양호
b22 0 10 100 0.36(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BSH)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1 중량부 이하이면(비교예 b1~b14),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가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포제로서 BSH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b15, b16, b19, b20), 발포배율은 우수하였으나 외관 및 내부 기공이 불량하였으며, 발포제로서 중탄산나트륨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b18, b19, b21, b22), 발포가 불충분하게(발포배율 불량) 수행되었다.
[실시예 c1~c18]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10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10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실시예 T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비중 외관 내부
기공
c1 1 4 100 0.25 양호 양호
c2 2.5 2.5 100 0.19 양호 양호
c3 4 1 100 0.17 양호 양호
c4 1 4 100 0.36 양호 양호
c5 2.5 2.5 100 0.28 양호 양호
c6 4 1 100 0.22 양호 양호
c7 1 9 100 0.13 양호 양호
c8 5 5 100 0.10 양호 양호
c9 9 1 100 0.08 양호 양호
c10 1 9 100 0.15 양호 양호
c11 5 5 100 0.13 양호 양호
c12 9 1 100 0.09 양호 양호
c13 2 18 100 0.08 양호 양호
c14 10 10 100 0.07 양호 양호
c15 18 2 100 0.05 양호 양호
c16 2 18 100 0.09 양호 양호
c17 10 10 100 0.07 양호 양호
c18 18 2 100 0.06 양호 양호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TSH)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5 중량부 이상이면,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 내부 기공 및 외관이 모두 양호하였고, 발포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발포 배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c1~c22]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시트 제조
하기 표 1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단위: g)의 발포제 조성물 및 발포 대상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발포체의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발포 시트의 밀도(비중, g/cm3)를 가스 피크노미터(Gas Pycnometer, Micromeritics사 제품, 제품명: AccuPyc 1330)로 측정하여, 하기 표 11에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제 조성물 수지 평가 결과
비교예 TSH Sodium Bicarbonate EVA EPDM 비중 외관 내부
기공
c1 0 0 100 0.95(불량) 양호 불량
c2 0 0 100 0.84(불량) 양호 불량
c3 0.01 0.09 100 0.84(불량) 양호 양호
c4 0.05 0.05 100 0.79(불량) 양호 양호
c5 0.09 0.01 100 0.71(불량) 양호 양호
c6 0.01 0.09 100 0.78(불량) 양호 양호
c7 0.05 0.05 100 0.76(불량) 양호 양호
c8 0.09 0.01 100 0.70(불량) 양호 양호
c9 0.1 0.9 100 0.51(불량) 양호 양호
c10 0.5 0.5 100 0.49(불량) 양호 양호
c11 0.9 0.1 100 0.41(불량) 양호 양호
c12 0.1 0.9 100 0.61(불량) 양호 양호
c13 0.5 0.5 100 0.56(불량) 양호 양호
c14 0.9 0.1 100 0.46(불량) 양호 양호
c15 5 0 100 0.14 불량 불량
c16 10 0 100 0.08 불량 불량
c17 0 5 100 0.64(불량) 양호 양호
c18 0 10 100 0.42(불량) 양호 양호
c19 5 0 100 0.21 불량 불량
c20 10 0 100 0.11 불량 불량
c21 0 5 100 0.56(불량) 양호 양호
c22 0 10 100 0.35(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라지드계 발포제(TSH) 및 무기 발포제의 총 사용량이 1 중량부 이하이면(비교예 c1~c14), 발포체의 밀도(발포 배율)가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포제로서 TSH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c15, c16, c19, c20), 발포배율은 우수하였으나 외관 및 내부 기공이 불량하였으며, 발포제로서 중탄산나트륨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c18, c19, c21, c22), 발포가 불충분하게(발포배율 불량) 수행되었다.
이상,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무기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탄산암모늄, 아질산암모늄, 붕소화수소나트륨, 아지드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발포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의 함량은 1 내지 99 중량%이고, 상기 무기 발포제의 함량은 1 내지 99 중량%인 것인, 발포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무기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이며,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의 함량은 15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무기 발포제의 함량은 40 내지 85 중량%인 것인, 발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비(非)히드라지드계 유기 발포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비(非)히드라지드계 유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지드, 5-페닐테트라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발포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주석 화합물, 바륨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탈크, 모노소듐 시트레이트, 우레아, 실리카,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스테아릭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발포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칼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산화 아연, 징크 스테아레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틴 메톡시 말레이트, 바륨 스테아레이트, 바륨 리시놀리에이트, 산화 마그네슘, 탈크, 모노소듐 시트레이트, 우레아, 실리카,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스테아릭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한하는 것인, 발포제 조성물.
  8.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과 발포 대상 수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의 발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대상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및 무기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2 내지 40 중량부이고, 상기 가열 온도는 100 내지 250 ℃인 것인, 발포 방법.
KR1020150061409A 2014-04-30 2015-04-30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KR20150125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75 2014-04-30
KR20140052675 2014-04-30
KR1020140108439 2014-08-20
KR1020140108439A KR20150125523A (ko) 2014-04-30 2014-08-20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612A true KR20150125612A (ko) 2015-11-09

Family

ID=546050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39A KR20150125523A (ko) 2014-04-30 2014-08-20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
KR1020150061409A KR20150125612A (ko) 2014-04-30 2015-04-30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39A KR20150125523A (ko) 2014-04-30 2014-08-20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50125523A (ko)
CN (1) CN1064594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89B1 (ko) * 2017-12-01 2019-04-0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악취 생성이 저감된 발포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체
KR102355601B1 (ko) * 2020-10-07 2022-02-07 주식회사 금양 친환경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발포체
KR20220119985A (ko) * 2021-02-22 2022-08-30 케이와이에코 주식회사 발포체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매트
KR20220161610A (ko) * 2021-05-28 2022-12-07 주식회사 금양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0551T3 (es) * 2017-04-11 2020-05-14 Armacell Entpr Gmbh & Co Kg Sistema de expansión para espumas de aislamiento flexibles
CN108314824A (zh) * 2018-03-05 2018-07-24 福建三盛实业有限公司 一种xpe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60077B1 (ko) 2018-09-20 2020-09-28 주식회사 금양 수축률이 향상된 혼합발포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705302B1 (ko) * 2021-09-17 2024-09-12 케이와이에코 주식회사 무독성 친환경 퍼즐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5050C (zh) * 2007-05-29 2009-09-02 中山大学 一种蓖麻油不饱和聚酯型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74381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 고분자 조성물
CN102604223B (zh) * 2012-03-16 2014-06-11 武汉富蒂亚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聚丙烯树脂发泡母料及其制备方法
CN102634131B (zh) * 2012-04-11 2014-06-18 深圳市新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密度的pvc注射成型鞋材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89B1 (ko) * 2017-12-01 2019-04-0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악취 생성이 저감된 발포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체
WO2019107949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악취 생성이 저감된 발포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체
KR102355601B1 (ko) * 2020-10-07 2022-02-07 주식회사 금양 친환경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발포체
KR20220119985A (ko) * 2021-02-22 2022-08-30 케이와이에코 주식회사 발포체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매트
KR20220161610A (ko) * 2021-05-28 2022-12-07 주식회사 금양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523A (ko) 2015-11-09
CN106459466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5612A (ko)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EP1683827B1 (en) Open-cell foam of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KR101873019B1 (ko)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 고분자 조성물
KR20080034709A (ko) 금속 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개질 발포제 및 이를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2007314755A (ja) 発泡充填用組成物、発泡充填部材および充填用発泡体
CN102432908B (zh) 低温改性发泡剂及其制备方法
KR20120101322A (ko) 가스 발생제
KR102191329B1 (ko) 발포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체
KR20190126561A (ko) 폴리올레핀계-고분자산 발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67279A1 (ko)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JP3551449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KR101966289B1 (ko) 악취 생성이 저감된 발포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체
JP5290039B2 (ja) 発泡助剤組成物
KR20170049245A (ko) 가열분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 발생 방법
KR20170049255A (ko) 가열분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 발생 방법
KR20130074381A (ko)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 고분자 조성물
US4777188A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elastomeric compositions
KR102289128B1 (ko) 색도를 개선한 폴리올레핀계-고분자산 발포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시트 제조방법
KR20170049263A (ko) 가열분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 발생 방법
JP2002293976A (ja) Epdm系難燃発泡体
US20150197612A1 (en) Novel Blowing Agents and Process
JP2000264993A (ja) 発泡剤組成物およ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7149945A (ja) 発泡剤及び発泡性組成物
KR20180067153A (ko) 트리아미노 구아니딘 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
JP2012031219A (ja) リサイクル性に優れた架橋ポリオレフィン連続気泡発泡体、そ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用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