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989A -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989A
KR20150124989A KR1020157027072A KR20157027072A KR20150124989A KR 20150124989 A KR20150124989 A KR 20150124989A KR 1020157027072 A KR1020157027072 A KR 1020157027072A KR 20157027072 A KR20157027072 A KR 20157027072A KR 20150124989 A KR20150124989 A KR 2015012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ld assembly
recess
intermediat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텔 에이 마라난
마이클 호흐도르퍼
라이 와 클라라 호
스탠리 첸
저스틴 알 테일러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2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제1 재료로 형성된 중간창의 제1 부분이 그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recess), 및 그러한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이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 개구를 가진다. 제1 부분이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제2 개구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간 판이 하단 판과 접촉 배치된다. 제2 재료가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재료가 제2 개구를 통해서 삽입된다.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이 중간창 판과 접촉 배치되어,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한다. 제2 몰드 조립체가 열 및 압력을 받고, 그에 따라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된다.

Description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METHOD OF FORMING MIDSOLE OF TWO MATERIALS}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원은 2013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 특허 출원 제13/781,86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일반적으로 신발 바닥 조립체(sole assembly)가 개선된 신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재료로 형성된 중간창을 가지는 신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운동용 신발 물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요소 즉, 갑피(upper) 및 신발 바닥 조립체 또는 신발 바닥 구조물을 포함한다. 갑피는 신발 바닥 구조물에 고정되고, 안락하고 확실하게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 내부의 빈 공간(void)을 형성한다. 신발 바닥 구조물이 갑피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고,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된다. 신발 바닥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안창(insole), 중간창(midsole), 및 밑창(outsole)으로서 통칭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안창, 또는 깔창(sockliner)은, 신발의 안락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빈 공간 내에 그리고 발의 하부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얇고, 압축 가능한 부재이다.
밑창은 신발 바닥 구조물의 지면 맞닿음 부분(또는 다른 접촉 표면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고, 견인력(traction)을 향상시키기 위한 텍스쳐링(texturing)을 포함하는 내구성있고 내마모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착용자의 안전 및 안락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발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신발 바닥 구조물은 부상 방지 및 피로 감소를 위해서 적절한 지지 및 충격력 완화 특성을 제공하여야 하는 한편, 동시에, 신발 바닥 구조물이 분절화되고, 휘어지고, 연신되고, 또는 달리 이동하여 사람이 발의 자연적인 이동을 완전히 이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적절한 가요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갑피의 길이를 따라서 갑피에 고정되는 중간창은, 신발 바닥 구조물의 중간 층을 형성하고, 발과 다리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기 위해서 지면(또는 다른 접촉 표면)의 반력(reaction force)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주로 하고, 또한, 보다 효율적인 발끝 떼기(toe-off)를 위해서 그러한 지면 반력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과다 내전(pronation)과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이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인 중간창은, 운동 활동 중에 신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포옴(foam)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중간창은, 충격력을 완화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 유체로 충전된(예를 들어, 공기나 다른 기체로 충전된) 주머니(bladder)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중간창 내의 포옴 재료가 발에 대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데 있어서 성공적이지만, 비교적 연성인 포옴 재료는 또한 불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불안정성은 중간창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예를 들어, 러닝화의 중간창에서 매우 연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것은, 수직 충격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지만, 발목의 불안정성을 조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과다 내전 경향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연골 연화증(runner's knee)" 및 다른 운동 부상에 대해 기여하는 것으로서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신발 디자인은 충격력 완화와 안정성 사이의 균형 또는 상쇄(tradeoff)를 종종 수반한다.
안정화는 또한 야구, 배구, 미식축구, 및 축구와 같은 스포츠에 있어서의 인자(factor)이다. 러닝에 더하여, 운동선수는, 횡단방향 이동; 신속하게 실행되는 방향 변경, 정지 및 스타트; 후방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점핑을 포함하는 다양한 움직임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신발의 불안정성이 발목 관절의 과다한 내번(inversion) 또는 외번(eversion)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잠재적으로 발목 염좌(ankle sprain)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공지된 장치에서 필연적인 난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소시키거나 극복하는 신발 바닥 조립체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 즉 이러한 기술 분야에서 지식 또는 경험을 가지는 사람은, 발명에 관한 이하의 설명 및 특정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특별한 장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중간창 조립체가 개선된 신발 물품의 제조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라서, 제1 재료로 형성된 중간창의 제1 부분이 그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recess), 및 그러한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한다. 제1 부분이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제2 개구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간 판이 하단 판과 접촉 배치된다. 제2 재료가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재료가 제2 개구를 통해서 삽입된다.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이 중간 판과 접촉 배치되어,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한다. 제2 몰드 조립체가 열 및 압력을 받고, 그에 따라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1 재료로 형성된 중간창의 제1 부분이 그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 및 그러한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한다. 제1 부분이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제2 개구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간 판이 하단 판과 접촉 배치된다. 중간 판은, 그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2 재료가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재료가 제2 개구를 통해서 삽입된다.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이 중간 판과 접촉 배치되어,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한다. 상단 판은, 그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러한 돌출부가 제2 개구 내에 수용된다. 제2 몰드 조립체가 열 및 압력을 받고, 그에 따라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서, EVA로 형성된 중간창의 제1 부분이 그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 및 그러한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한다. 제1 부분이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제2 개구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간 판이 하단 판과 접촉 배치된다. 중간 판은, 중간 판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 개구 및 중간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폴리우레탄이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폴리우레탄이 제2 개구를 통해서 주입된다.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이 중간 판과 접촉 배치되어,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한다. 상단 판이, 그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러한 돌출부가 제2 개구 내에 수용된다. 제2 몰드 조립체가 열 및 압력을 받고, 그에 따라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몰드 조립체 내에서 형성되는 중간창이, 중간창의 특별한 영역 내에서 개선된 지지 및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구체적인 개시 내용으로부터, 여기에서 개시된 이러한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부가적인 특징 및 장점을 추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갑피 및 신발 바닥 조립체와 함께 도시된 신발 물품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바닥 조립체의 중간창의 제1 부분의 상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 바닥 조립체의 중간 창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몰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의 상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단 판 내의 오목부 내에 수용된 도 2의 제1 부분과 함께 도시된, 도 3의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의 상단 평면도이다.
도 6은, 하단 판의 오목부 내의 제1 부분, 및 폐쇄된 상태의 그리고 하단 판과 접촉된 상태의 몰드 조립체의 중간 판과 함께 도시된, 도 3의 몰드 조립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부분 내에 형성된 오목부 및 개구 내에 수용되는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제2 재료와 함께 도시된, 도 3의 몰드 조립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폐쇄된 상태의 그리고 중간 판과 접촉된 상태의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과 함께 도시된, 도 3의 몰드 조립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몰드 조립체 내에서 형성되는, 완전히 형성된 중간창의 하단 평면도이다.
도 10는 도 3의 몰드 조립체 내에서 형성되는, 완전히 형성된 중간창의 상단 평면도이다.
앞서 언급된 도면이 반드시 실척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단지 본질적으로 개념적인 것이고 관련된 원리를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몰드 조립체 및 신발의 일부 특징부는 다른 특징부에 비해서 확대되거나 왜곡되어 있다. 여러 가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유사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였다.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신발용 중간창은, 부분적으로, 의도된 용도 및 사용 환경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신발 물품(10)이 갑피(12) 및 신발 바닥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참조를 목적으로, 신발(10)이 3개의 일반적인 영역, 즉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으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영역(16-20)들은 신발(10)의 정확한 영역을 경계짓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영역(16-20)들은, 이하의 설명 중에 기준 프레임을 제공하는 신발(10)의 일반적인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비록 영역(16-20)들이 일반적으로 신발(10)에 적용되나, 영역(16-20)에 대한 언급은 또한 갑피(12), 신발 바닥 조립체(14), 또는 갑피(12)나 신발 바닥 조립체(14) 내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에 또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는 발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 또는 챔버를 형성한다. 참조를 목적으로, 갑피(12)는 외측 측부(lateral side), 대향하는 내측 측부(medial side), 및 등가죽(vamp) 또는 발등(instep) 영역(26)을 포함한다. 외측 측부(22)가 발의 외측 측부[즉, 외측부(outside)]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영역(16-20)을 통과한다. 유사하게, 내측 측부(24)가 발의 대향하는 내측 측부(즉, 내측부)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영역(16-20)을 통과한다. 갑피(12)는 또한, 끈(lace)(28)과 같은 폐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는 또한 발목 개구부(30)를 포함하고, 그러한 발목 개구부는 갑피(12) 내의 빈 공간에 대해 발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갑피(12)는 또한 안창(또는 깔창,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안창은 일반적으로 발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 내에 그리고 발의 하부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얇은 압축성 부재이다. 전형적으로, 신발의 안락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안창이 포옴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분 흡수형(moisture wicking) 편물 재료 또는 직물 재료로 덮인 포옴 요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하는 경우에, 안창 또는 깔창이 신발(1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접착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을 것이나, 반드시 부착될 필요는 없다.
신발 바닥 조립체(14)는 갑피(12) 아래에 배치되는 중간창(32)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창(32)은 유체로 충전된 주머니와 같은 밀봉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창(32)이, 예를 들어, 접착제로 갑피(12)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접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여기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중간창(32)이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으로 갑피(12)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장점을 고려할 때, 중간창(32)을 갑피(12)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수단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해질 것이다.
밑창(34)이 중간창(32) 아래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접착제로 중간창(32)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접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여기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장점을 고려할 때, 밑창(34)을 중간창(32)에 체결하는 다른 적합한 수단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해질 것이다.
밑창(34)에 적합한 재료는, 카본 블랙 고무 화합물과 같이, 신발 밑창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통상적인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장점을 고려할 때, 밑창(34)을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창(32)의 제1 부분(36)이, 그 둘레 주위에서 상향 연장되는 둘레 벽(37) 및 복수의 제1 개구(3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39)가 제1 부분(36)의 상단 표면 또는 상부 표면(41) 내에 형성된다. 오목부(39)가 제1 개구(38) 주위에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36)이 단지 하나의 제1 개구(38)만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 초과의 제1 개구(38)가 제1 부분(36)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39) 및 모든 제1 개구(38)가 제1 부분(36)의 전족 영역(16)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1 개구(38)가 제1 부분(36) 전체를 통해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개구(38)가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 중 임의의 영역 또는 그 모든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오목부(39)가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 중 임의의 영역 또는 그 모든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표면(41) 내에 형성된 하나 초과의 오목부(39)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창(32)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된 양식으로, 제1 몰드 조립체(미도시) 내에서 제1 부분(3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36)이 하나 이상의 제1 개구(38) 및 오목부(39)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개구(38)가 제1 부분(36)의 전족 영역(16) 내에 모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제1 개구(38)가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또는 뒤꿈치 영역(20)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오목부(39)가 제1 개구(38)의 상응하는 위치 주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제2 몰드 조립체(42)는 제1 판 또는 하단 판(44), 제2 판 또는 중간 판(46), 및 제3 판 또는 상단 판(48)을 포함한다. 하단 판(44), 중간 판(46), 및 상단 판(48)이 경첩 조립체(50)로 서로에 대해서 피봇식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하단 판(44)이,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부분(36)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는 오목부(52)를 포함한다. 중간 판(46)이, 중간 판을 관통 연장하는 제2 개구(54)를 포함한다. 상단 판(48)이, 그 하단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5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몰드 조립체(42)가 폐쇄될 때, 돌출부(56)가 제2 개구(54) 내에 수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표면 불규칙부(60)가 오목부(39)의 하단 표면(62) 내에 또는 하단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창(32)의 제1 부분(36)이 오목부(52) 내에 안착될 때, 표면 불규칙부(60)는 제1 개구(38)를 통해서 노출되도록 하단 표면(6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면 불규칙부(60)는 하단 판(44)의 하단 표면(62)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돌출부 또는 리브(rib)(60)이다. 표면 불규칙부(60)가 임의의 희망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표면 불규칙부(60)는 돌출부 또는 상단 표면(62)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임의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면 불규칙부(60)는 오목부, 홈, 또는 상부 표면(62) 내에 형성된 임의의 다른 요홈부(depression)일 수 있다. 또한, 표면 불규칙부(60)는 돌출부 및 오목부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표면 불규칙부는 리브(60)이다. 그러나, 상부 표면(62)이, 임의의 희망하는 형상을 가지는 다른 표면 불규칙부와 함께 일부 리브(60)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창(32)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6)이 오목부(52) 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브(60)가 제1 개구(38) 내로 상향 연장되고, 제1 개구(38)의 둘레 주위로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6)이 오목부(52) 내에 안착될 때, 제1 부분(36)의 둘레 벽(37)이 오목부(52)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부분(36) 및 오목부(5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둘레 벽(37)이 약 1.5 mm 만큼 오목부(52)로부터 이격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판(46)이 폐쇄 위치까지 경첩 조립체(50)를 중심으로 피봇되고, 그에 따라 중간 판의 하부 표면(64)이 하단 판(44)의 상부 표면(66)과 접촉한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68)가 중간 판(46)의 하부 표면(64)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돌출부(68)는 제1 부분(36)의 오목부(39) 위에서 그리고 제1 개구(38) 위에서 연장된다.
이어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재료(70)가 중간 판(46)의 제2 개구(54)를 통해서 삽입되어, 제1 개구(38) 및 오목부(39)를 충전하고 중간창(32)의 제2 부분(71)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판(48)이 폐쇄 위치까지 경첩 조립체(50) 주위로 피봇되고, 그에 따라 상단 판의 하부 표면(72)이 중간 판(46)의 상부 표면(74)과 접촉한다. 제2 몰드 조립체(42)가 폐쇄될 때 상단 판(48)의 돌출부(56)가 제2 개구(54) 내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돌출부(56)의 하부 표면이 오목부(39) 위에 배치되고 중간 판(46)의 돌출부(68)의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재료(70)가 제2 개구(54)를 통해서 오목부(39) 및 제1 개구(38) 내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2 재료(70)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방법 또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재료(70)가 오목부(39) 및 제1 개구(38) 내로 사출되거나 달리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제2 부분(71)을 경화시키고 제2 부분을 제1 부분(36)에 결합하기 위해서 희망하는 시간 동안 열 및 압력을 제2 몰드 조립체(42)로 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약 55 ℃ 내지 약 60 ℃의 열이 제2 몰드 조립체에 가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7분 30초의 시간 동안 열 및 압력이 제2 몰드 조립체(42)에 가해진다.
제2 부분(71)이 경화되고 제1 부분(36)에 결합된 후에, 제2 몰드 조립체(42)가 개방되고, 중간창(32)이 제2 몰드 조립체(42)로부터 제거된다. 중간창(32)이 제2 몰드 조립체(42)로부터 제거되면, 중간창(32)은 다듬어지거나 달리 후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부분은, 상부 부분(76), 및 그러한 상부 부분(76)으로부터 제1 부분(36)의 제1 개구(38) 내로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삽입체(78)를 포함한다. 제2 재료가 제2 몰드 조립체(42) 내에서 경화됨에 따라 제2 재료의 일부가 오목부(39)의 에지를 넘어서 유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부분(36)의 하단 표면(80)을 따라서 제1 개구(38)의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도 8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부분(71)이 제2 몰드 조립체(42) 내에서 형성될 때, 하단 판(44)의 리브(60)가 삽입체(78)의 하단 표면 내에 상응하는 채널(82)을 형성한다. 표면 불규칙부(60)가 리브의 형태가 아닌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 이외의 형상을 가지는 표면 불규칙부가 삽입체(78)의 하단 표면 내에 형성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재료(70)는 중간창(32)의 제1 부분(36)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제1 재료와 상이한 재료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부분(36)이 제1 경도 또는 밀도를 가지는 제1 재료로 형성되는 한편, 제2 재료(70)는 제1 재료보다 낮은 제2 경도 또는 밀도를 가지고, 그에 따라 보다 탄성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재료(70)가 제1 재료보다 더 경질이고 덜 탄성적일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부분(36)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파일론(phylon)"]과 같은, 탄성적인, 중합체 포옴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부분(36)이 사출 파일론(injection phylon)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재료(70)는 폴리우레탄("PU")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재료(70)가 제1 부분(36)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된 제1 재료보다 더 연성이거나, 덜 조밀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부분(36)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된 제1 재료가 Asker C 스케일(scale)로 약 59 +/- 2 C의 경도를 가지는 한편, 제2 재료(70)는 Asker C 스케일로 약 55 +/- 3 C의 경도를 가진다. 본 개시 내용의 장점을 고려하면, 제1 부분(36) 및 제2 재료(70)를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해질 것이다.
그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이 도시되고, 설명되고, 언급되었지만, 설명된 장치의 형태 및 상세 내용에 있어서의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화, 그리고 그 작동은,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업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그러한 요소 및/또는 단계의 모든 조합은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명시적으로 의도된다. 하나의 설명된 실시예로부터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 치환하는 것도 완전히 의도된 것이고 고려된 것이다. 그에 따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낸 바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중간창 형성 방법으로서,
    제1 몰드 조립체 내에서 중간창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제1 부분의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이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부분을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중간 판을 상기 하단 판과 접촉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간 판은 이 중간 판을 관통 연장하는 제2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제2 재료가 상기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개구를 통해서 제2 재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창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간창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1 재료의 경도와 상이한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1 재료의 경도보다 낮은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가 폴리우레탄인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가 사출 파일론(injection phylon)인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이 제1 부분을 관통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부분의 전족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부분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부분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중간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부분 내에 형성된 오목부 위에 배치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상단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기 상단 판이 폐쇄되고 상기 중간 판과 접촉될 때, 상기 중간 판 내의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판의 오목부의 상부 표면이 표면 불규칙부를 포함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불규칙부가 상기 하단 판의 오목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리브인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4. 중간창 형성 방법으로서,
    제1 몰드 조립체 내에서 중간창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이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제1 부분의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이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부분을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중간 판을 상기 하단 판과 접촉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간 판은, 이 중간 판을 관통 연장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중간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위에 배치되는 것인 단계;
    제2 재료가 상기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개구를 통해서 제2 재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단 판이,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며 상기 상단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중간창의 제1 부분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창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간창 형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부분의 전족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1 재료의 경도와 상이한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1 재료의 경도보다 낮은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가 폴리우레탄인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가 사출 파일론인 것인 중간창 형성 방법.
  20. 중간창 형성 방법으로서,
    제1 몰드 조립체 내에서 중간창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이 사출 파일론으로 형성되고, 제1 부분의 상단 표면 내의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이 오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부분을 제2 몰드 조립체의 하단 판 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중간 판을 상기 하단 판과 접촉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간 판이, 이 중간 판을 관통 연장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중간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부분 내의 오목부 위에 배치되는 것인 단계;
    폴리우레탄이 제1 오목부 및 제1 개구를 충전하여 중간창의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개구를 통해서 폴리우레탄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의 상단 판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단 판은,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며 상기 상단 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2 부분이 경화되고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몰드 조립체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창을 상기 제2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간창 형성 방법.
KR1020157027072A 2013-03-01 2014-02-28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KR20150124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81,868 US9205615B2 (en) 2013-03-01 2013-03-01 Method of forming midsole of two materials
US13/781,868 2013-03-01
PCT/US2014/019413 WO2014134446A1 (en) 2013-03-01 2014-02-28 Method of forming midsole of two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989A true KR20150124989A (ko) 2015-11-06

Family

ID=5029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072A KR20150124989A (ko) 2013-03-01 2014-02-28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5615B2 (ko)
EP (1) EP2961594B1 (ko)
KR (1) KR20150124989A (ko)
CN (1) CN105228817B (ko)
WO (1) WO2014134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356B2 (en) * 2013-10-28 2017-07-2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 outsoles
FR3030200B1 (fr) * 2014-12-17 2017-05-05 Babolat Vs Chaussure de sport
US10357904B2 (en) * 2015-10-30 2019-07-23 Nike, Inc. Method of foaming an injection molded precursor
US10308779B2 (en) * 2015-10-30 2019-06-04 Nike, Inc. Method of foaming a milled precursor
US11019879B2 (en) * 2015-11-18 2021-06-0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Extruded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7364082A (zh) * 2017-08-30 2017-11-21 联荣(清远)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橡胶射出模
JP6903088B2 (ja) * 2019-03-27 2021-07-14 美津濃株式会社 ソール構造用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423A (en) 1985-05-28 1987-05-26 Autry Industries, Inc. Resilient composite midsole and method of making
JPH0773894B2 (ja) 1990-11-19 1995-08-09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多色靴底の射出成形法
JPH0691847B2 (ja) 1991-02-27 1994-11-16 アキレス株式会社 射出成形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51935A (en) 1997-08-27 1999-09-14 Converse Inc. Method for making sock liner having resilient pads therein
TW446618B (en) 1997-12-31 2001-07-21 Park Young Soul The outsole of a shoe, in which throughout holes are formed to be passed through a lateral surfac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molding
US7475497B2 (en) 2005-01-18 2009-01-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US20070126146A1 (en) 2005-12-05 2007-06-07 Kuo-Nan Yang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hoe insole
WO2008019980A2 (en) 2006-08-14 2008-02-21 Main Group Corporation S.R.L. Method for molding multicolor ethyl vinyl acetate 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ITPD20070107A1 (it) 2007-03-23 2008-09-24 Frasson S R L Battistrada antiscivol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ale battistrada
US8246881B2 (en) * 2009-09-02 2012-08-21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US8845944B2 (en) 2009-09-02 2014-09-30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midsole for article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8817A (zh) 2016-01-06
US9205615B2 (en) 2015-12-08
EP2961594B1 (en) 2018-10-24
US20140246804A1 (en) 2014-09-04
CN105228817B (zh) 2017-03-08
EP2961594A1 (en) 2016-01-06
WO2014134446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6507B (zh) 用于鞋的鞋底
US11918078B2 (en) Foot support members that provide dynamically transformative properties
KR20150124989A (ko)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US11607009B2 (en) Article of footwear
KR102113243B1 (ko)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US9265301B2 (en) Mold for footwear with s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083242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rticle
US945665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tubular members
KR101370089B1 (ko) 복수의 경도를 갖는 신발 물품과 그 제조 방법
JP2020011087A (ja) 運動靴用のソール
KR101752984B1 (ko) 플레이트 완화형 유체 충전 블래더 및/또는 발포체 타입 충격력 완화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US20140250723A1 (en) Flexible sole suppor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150150339A1 (en) Article of Footwear
AU2016244231A1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JP2016016329A (ja) 多機能的アウトドアシューズ、特に登山シューズ、マウンテンランニングシューズ、トレイルランニングシューズ、またはクライミングシ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0488B1 (ko) 투습ㆍ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방수신발 및 제조방법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KR102555298B1 (ko) 아웃솔 구조체
KR100987361B1 (ko)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신발중창
KR20100054500A (ko) 밑창 및 그 밑창이 적용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