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243B1 -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243B1
KR102113243B1 KR1020197001971A KR20197001971A KR102113243B1 KR 102113243 B1 KR102113243 B1 KR 102113243B1 KR 1020197001971 A KR1020197001971 A KR 1020197001971A KR 20197001971 A KR20197001971 A KR 20197001971A KR 102113243 B1 KR102113243 B1 KR 10211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ole assembly
core portion
assembly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845A (ko
Inventor
티 리 완
티엔차이 차이슘례
치아-이 우
유-첸 린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0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54Producing footwear by compression moulding, vulcanising or the like;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2Producing footwear made in one piece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or casting
    • B29D35/04Producing footwear made in one piece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or casting having multilayer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밑창 조립체의 형성 방법은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복수의 예비성형품들을 함께 위치시키는 단계, 및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몰드 조립체의 제1 부분의 리세스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예비성형품들이 밑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접합하도록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된다.

Description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MED OF MULTIPLE PREFORMS}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2014년 4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실용신안 출원 제14/252,04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로써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태양은 대체적으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화 물품은 2개의 주요 요소들, 즉 갑피(upper) 및 밑창 조립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조립체에 대해 발을 편안하게 수용하고 확실하게 위치시키는 발을 위한 덮개를 제공한다. 더욱이,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통기를 제공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발을 냉각시키고 땀을 제거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는 갑피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고, 대체적으로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된다.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것에 더하여, 밑창 조립체는 예컨대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고, (예컨대, 과도한 회내(over pronation)에 저항함으로써)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며,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와 밑창 조립체는 걷기 및 달리기와 같은 광범위한 활동에 적합한 편안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작용한다. 안창은 신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갑피 내에 그리고 발의 발바닥 (즉, 하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얇은 압축성 부재이다.
밑창 조립체는 다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신발이 중창만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신발은 중창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 겉창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갑피의 길이를 따라 갑피에 고정되는 중창은 주로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창은 또한 신발의 지면 접촉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중창은, 트랙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기 및 리세스 또는 홈과 같은 텍스처링(texturing)을 포함할 수 있다. 겉창은, 존재하는 경우, 지면 접촉 요소를 형성하며, 내구성, 내마모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중창은 주로 신발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와 같은, 탄성을 갖는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중창에서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의 특성은 주로, 중합체 발포체 재료의 밀도를 비롯한, 중합체 발포체를 위해 선택되는 재료의 특정한 특징 및 중창의 치수적 구성을 포함하는 인자들에 의존한다. 중창 전체에 걸쳐 이러한 인자들을 가변시킴으로써, 신발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활동의 특정한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상대적인 강성 및 지면 반력 감쇠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중합체 발포체 재료에 더하여, 종래의 중창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식 주머니(bladder) 및 완충체(mod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는 일부 또는 모두가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다수의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EVA가 몰드 조립체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 상이한 색상 부분들 사이의 색상 라인들이 삐져나와서, 신발의 미적인 매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공지된 공정에 내재된 어려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소 또는 극복하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정한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의 후속하는 개시 내용 및 소정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에서, 당업자, 즉 당해 기술 분야에 지식이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유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성형품들은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다.
제1 태양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의 형성 방법은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복수의 예비성형품들을 함께 위치시키는 단계, 및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몰드 조립체의 제1 부분의 리세스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예비성형품들이 밑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접합하도록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의 형성 방법은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제1 색상을 갖는 제1 예비성형품, 제2 색상을 갖는 제2 예비성형품, 및 제3 색상을 갖는 제3 예비성형품을 함께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가열된 몰드 조립체의 제1 부분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몰드 조립체는 몰드 조립체의 제2 부분이 제1 부분 위에 그리고 그와 접촉 상태에 있도록 폐쇄된다.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제1, 제2, 및 제3 예비성형품들이 밑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접합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된다. 몰드 조립체는 개방되고, 밑창 조립체는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된다.
추가 태양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의 형성 방법은 제1 색상을 갖는 제1 예비성형품을 제1 몰드 조립체의 리세스 내에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때 리세스의 하부 표면이 표면 불규칙부들을 포함한다. 제2 색상을 갖는 복수의 제2 예비성형품들이 제2 몰드 조립체의 제1 리세스들 내에서 형성된다. 제3 색상을 갖는 제3 예비성형품이 제2 몰드 조립체의 제2 리세스 내에서 형성된다. 제1 예비성형품, 제2 예비성형품들, 및 제3 예비성형품은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을 형성하도록 함께 위치된다.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가열된 제3 몰드 조립체의 제1 부분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제3 몰드 조립체는 제3 몰드 조립체의 제2 부분이 제1 부분 위에 그리고 그와 접촉 상태에 있도록 폐쇄된다. 제3 몰드 조립체 내의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은 제1, 제2, 및 제3 예비성형품들이 밑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접합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된다. 제3 몰드 조립체는 개방되고, 밑창 조립체는 제3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된다. 밑창 조립체는 냉각되고, 이어서 트리밍(trimming)된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신발을 위한 밑창 조립체 제조의 특징 및 이점은 소정 실시예의 후속하는 상세한 개시 내용으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갑피 및 밑창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밑창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밑창 조립체의 분해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밑창 조립체의 코어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몰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밑창 조립체의 삽입체들 및 주연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2 몰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폐쇄된 위치 및 인접하는 관계로 도시된 도 5의 몰드 조립체의 하측 플레이트, 측벽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폐쇄된 위치 및 인접하는 관계로 도시된 도 5의 몰드 조립체의 하측 플레이트, 측벽 플레이트, 코어 플레이트, 및 상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예비성형품이 하측 플레이트 내에 위치되기 이전 상태에서, 분해된 형태로 도시된 상측 플레이트 및 하측 플레이트를 갖는 제3 몰드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도 9는 예비성형품이 하측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된, 도 8의 제3 몰드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도 10은 폐쇄된 상태로 도시된, 도 8의 제3 몰드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위에서 언급된 도면은 반드시 축적에 따라 그려져 있지는 않고,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묘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단지 사실상 개념적이고 수반된 원리를 예시한다. 밑창 조립체의 제조에 사용된 몰드 조립체의 일부 특징부는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확대되거나 왜곡되어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에 대한 도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밑창 조립체용 몰드 조립체 및 그러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의도된 응용 및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것이다.
신발(10) 물품이 갑피(12) 및 밑창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 설명에서 참고를 목적으로, 신발(10)은 3개의 대체적인 영역들, 즉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으로 나뉠 수 있다. 영역들(16 내지 20)은 신발(10)의 정확한 영역들의 경계를 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 대신, 영역들(16 내지 20)은 하기 논의 동안 기준 프레임을 제공하는 신발(10)의 대체적인 영역들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영역들(16 내지 20)이 대체적으로 신발(10)에 적용되지만, 영역들(16 내지 20)에 대한 언급은 또한 갑피(12), 밑창 조립체(14), 또는 갑피(12) 또는 밑창 조립체(14) 내의 개별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갑피(12)는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또는 챔버를 한정한다. 참고를 목적으로, 갑피(12)는 바깥쪽 측부(lateral side)(22), 반대편인 안쪽 측부(medial side)(24), 및 뱀프(vamp) 또는 발등 영역(26)을 포함한다. 바깥쪽 측부(22)는 발의 바깥쪽 측부(즉, 외측부)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대체적으로 영역들(16 내지 20)의 각각을 통과한다. 유사하게, 안쪽 측부(24)는 반대편인 발의 안쪽 측부(즉, 내측부)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대체적으로 영역들(16 내지 20)의 각각을 통과한다. 갑피(12)는 또한 끈(28)과 같은 폐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12)는 또한 발에 갑피(12) 내의 공동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발목 개방부(30)를 포함한다.
갑피(12)는 또한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내에 그리고 발의 하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대체적으로 얇고 압축가능한 부재인 안창(또는 깔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신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안창은 발포체, 및 선택적으로는 수분 흡상(wicking) 천 또는 직물 재료에 의해 덮인 발포체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안창 또는 깔창은 신발(1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접착 또는 그와 달리 부착될 수 있지만, 이는 원한다면 부착될 필요는 없다.
밑창 조립체(14)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갑피(12)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적합한 접착제는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필요는 없다. 밑창 조립체(14)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갑피(12)에 고정될 수 있고, 갑피(12)에 대한 밑창 조립체(14)의 그러한 다른 적합한 수단은, 본 발명의 이익을 고려하면, 당업자에게 바로 명백할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겉창(미도시)이 중창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 채로 밑창 조립체(14)가 중창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는 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14)의 하부 표면은 신발(10)의 지면-결합 부분(또는 다른 접촉 표면-결합 부분)으로서 역할을 한다.
밑창 조립체(14)는 지면 (또는 다른 접촉 표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여, 발 및 다리에 대한 응력을 적게 하고 에너지를 흡수한다. 밑창 조립체(14)는 또한 더 효율적인 발끝 떼기(toe-off)를 위해 그러한 지면 반력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과도한 회내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14)는 또한 밑창 조립체(10)의 지면-결합 부분(또는 다른 접촉 표면-결합 부분)을 형성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소정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14)의 중창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별도의 겉창 부재가 존재하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밑창 조립체의 별도의 겉창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밑창 조립체(14)의 하부 표면은 텍스처링을 포함하여 트랙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밑창 조립체(14)는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형성된다. 밑창 조립체를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복수의 예비성형품들로부터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상이한 색상 부분들 사이의 삐져나옴(bleeding)을 감소시켜, 그에 의해 밑창 조립체(14)의 미적 특질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또한, 상이한 색상들에 더하여, 상이한 물리적 특성들 또는 성능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경도는 상이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에 대한 공지된 물리적 특성들 또는 성능 특징들 중 어느 것도 밑창 조립체(14)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밑창 조립체(14)의 지지, 완충, 내하중 능력, 마모 특징, 및 트레드(tread) 수명을 변경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는 일이다. 다른 적합한 물리적 특성들 또는 성능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이익을 고려하면, 당업자에게 바로 명백할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14)는 제1 코어 부분(32), 하나 이상의 삽입체(34), 및 주연 부분(36)을 포함한다. 코어 부분(32)은 제1 색상으로 형성되고, 삽입체(34)는 제2 색상으로 형성되고, 주연 부분(36)은 제3 색상으로 형성된다. 3가지 색상들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지만,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색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조 방법에 따라 밑창 조립체(14)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는 일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코어 부분(32), 삽입체(34), 및 주연 부분(36)은 사출 파이론(injection phylon)(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EVA")으로 형성될 수 있다. EVA는 비닐 아세테이트(VA) 레벨이 대략 9% 내지 대략 40%일 수 있다. 적합한 EVA 수지는, 예를 들어, 듀폰(DuPont)에 의해 제공되는 엘백스(Elvax)®, 및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에 의해 제공되는 인게이지(Engage)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EVA는 높은 용융 지수 및 낮은 용융 지수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VA는 용융 지수가 대략 1 내지 대략 50일 수 있다.
EVA는 또한 발포제(blowing agent)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제는 중량 백분율이 대략 10% 내지 대략 20%일 수 있다. 적합한 발포제는, 예를 들어, 아조다이카르보아미드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퍼옥사이드 기반 경화제, 예컨대, 다이쿠밀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의 양은 대략 0.6% 내지 대략 1.5%일 수 있다. EVA는 또한 균질화제, 가공 보조제, 및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룩톨(Struktol)® 60NS와 같은 가벼운 지방족 탄화수소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EVA는 또한 이형제(예컨대, 스테아르산), 활성화제(예컨대, 산화아연), 충전제(예컨대, 탄산마그네슘), 안료, 및 점토와 같은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 부분(36)은 밑창 조립체(14)의 전체 외주연부(38)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연 부분(36)은 단지 외주연부(38)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주연 부분(36)은 또한 코어 부분(32)의 외주연부(40)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34)는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고 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밑창 조립체(14)의 구성요소들의 예비성형품들은 도 3에 분해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은 그의 하부 표면(44)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복수의 내부 리세스들(46)을 한정하는 리브들(42)을 포함한다. 각각의 삽입체 예비성형품(34')은 내부 리세스들(46) 중 하나 내에 안착되거나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리브들(42)은 또한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연장된 견부(48)를 한정한다.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을 통하여 연장된 개구(50)가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의 견부(48) 상에 안착되는 내부 립(52)을 한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14)의 완성된 제품에서, 개구(50)의 표면은 리브들(42)의 외부 주연부에 인접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의 하부 표면들에 표면 불규칙부들(53)이 형성될 수 있다. 표면 불규칙부들(53)은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표면 불규칙부들(53)은 복수의 홈들(55) 및 러그들 또는 돌기들(57)을 포함하고, 이들은 6각형 돌기들(57)의 격자를, 대응하는 홈들(55)이 돌기들을 둘러싼 상태로, 형성하는데, 이는 도 2의 밑창 조립체(14) 내에서 더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다. 표면 불규칙부들(53)은 성능 목적뿐만 아니라 미적 목적도 충족시킬 수 있다.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의 색상들 사이의 삐져나옴을 감소시키는 밑창 조립체(14)의 형성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54)가 상부 플레이트(56) 및 하부 플레이트(58)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56) 및 하부 플레이트(58)는 힌지(60)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56)로부터 하향 연장된 돌기(61) 및 하부 플레이트(58)에 형성된 하부 리세스(62)가 협력하여 코어 리세스(63)를 한정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54)는 좌측 및 우측 밑창 조립체 둘 모두를 위한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들(32')을 동시에 형성하기 위하여 2개의 코어 리세스들(63)을 포함한다.
코어 리세스(63)의 바닥에 형성된 리세스들(64)은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이 제1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54)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에 리브들(42)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리세스들(64)은, 도 2와 함께 전술된 바와 같이, 리브들(42)의 하부 표면 내에 정합 표면 불규칙부들(53)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표면 불규칙부들(66)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은, 가열된 EVA가 코어 리세스(63) 내에 삽입된 채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1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54)의 코어 리세스(63) 내에서 형성된다. 생성된 EVA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은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부 예비성형품(36')과 나중에 조합되어 밑창 조립체(14)를 형성하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는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는 하측 플레이트(70), 상측 플레이트(72), 상측 플레이트(72) 아래에 위치된 코어 플레이트(73), 및 하측 플레이트(70)와 코어 플레이트(73) 사이에 위치된 측벽 플레이트(74)를 포함한다.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의 플레이트들은 힌지(76)에 의해 연결된다. 코어 플레이트(73)로부터 하향 연장된 돌기(78), 측벽 플레이트(74)를 통하여 연장된 개구(80), 및 하측 플레이트(7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82)가 협력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또는 삽입체, 리세스들(84) 및 제2, 또는 주연부, 리세스(86)를 한정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는, 좌측 및 우측 밑창 조립체 둘 모두를 위한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들(36')의 동시 형성을 위하여, 두 세트의 삽입체 리세스들(84) 및 2개의 주연부 리세스들(63)을 포함한다.
리세스(82)의 하부 표면 내에 형성된 표면 불규칙부들(88)이 삽입체(34) 및 주연 부분(36)의 하부 표면 내의 정합 표면 불규칙부들(53)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코어 부분(32)에 관하여 그리고 도 2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이 내부에 안착되고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 내에서 형성되는 상태의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이 하측 플레이트(70)의 우측 리세스(82) 내에 예시를 목적으로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임의의 개수의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이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는 일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14)를 형성하는 데에는 3개의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이 사용된다. 단일 삽입체 예비성형품(34'), 또는 임의의 개수의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이 밑창 조립체(1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는 일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플레이트(74) 및 코어 플레이트(73)는 하측 플레이트(70) 상으로 하향 선회되어 폐쇄된 위치로 된다. 이어서,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된 EVA는,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플레이트(73) 내에 형성된 제1 게이트(90)를 통하여 주입된다. 따라서,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을 위한 EVA는 주연부 리세스(63) 내에 위치된다.
가열된 EVA가 주연부 리세스(63) 내로 주입된 후, 상측 플레이트(72)는 이어서 코어 플레이트(73) 상에 하향 선회되어 폐쇄된 위치로 된다. 이어서, 삽입체 부분들(34')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된 EVA는 상측 플레이트(72) 및 코어 플레이트(73) 내에 형성된 제2 게이트(92)를 통하여 삽입체 리세스들(84) 내로 주입된다. 따라서, 제2 예비성형품 몰드 조립체(68)의 구성은 주입된 EVA 재료의 2가지 상이한 색상들의 동시 형성을 허용하여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 둘 모두를 형성하게 한다.
이어서, 각각이 상이한 색상을 갖는 모든 예비성형품들, 즉,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은 단일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94)으로 예비조립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3가지 색상의 재료들로 형성된 이러한 단일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94)은 이어서, 화살표(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3 몰드 조립체(100)의 가열된 하측 플레이트(98)에 형성된 리세스(96) 내로 단일 단계로 배치된다.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94)이 일단 리세스(96) 내에 안착되면, 제3 몰드 조립체(100)의 상측 플레이트(102)는 제3 몰드 조립체(100)를 폐쇄하기 위하여 하측 플레이트(98) 상에 위치된다. 이어서, 밑창 조립체 예비성형품(94)은 코어 부분 예비성형품(32'), 삽입체 예비성형품들(34'), 및 주연 부분 예비성형품(36')이 서로 접합하여 그에 의해 밑창 조립체(14)를 형성하도록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제3 몰드 조립체(100) 내에서 가열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3 몰드 조립체(100)는 대략 17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대략 10 분 동안 유지된다. 제3 몰드 조립체(100) 내에서 밑창 조립체(1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온도 및 시간은 사용되는 특정 EVA에 따라서, 공지된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에서, 밑창 조립체(14)가 제3 몰드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된 후에, 밑창 조립체(14)는 팽창될 것이다. 이어서, 밑창 조립체(14)는, 필요에 따라, 냉각 및 트리밍을 포함한 전형적인 안정화 단계를 거친다.
전체 단일 예비성형품(94)을 리세스(96) 내로 한 번에 삽입함으로써, 밑창 조립체(14)가 형성됨에 따라서 예비성형품(94)의 상이한 색상들의 부분들 사이의 삐져나옴이 감소되는데, 이는 모든 재료들이 제3 몰드 조립체(100) 내로의 삽입 시 동시에 용융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되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표면 불규칙부들(53)은 한정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불규칙부들(53)은 6각형 돌기들(57)의 격자를, 대응하는 홈들(55)이 돌기들(57) 주위에 형성된 상태로, 형성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색상들 사이에 경계를, 즉 코어 부분(32)과 삽입체(34)와 주연 부분(36) 사이에 색상 라인들을 가져서 홈들(55) 또는 돌기들(57)의 에지들을 따라서 정확하게 매칭되거나 이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색상 라인들이 홈들(55) 및 돌기들(57)의 에지들과 함께 일렬을 이루도록 시도되는 경우, 상이한 색상들 사이의 어떠한 임의의 삐져나옴도 더 식별가능할 것이다. 색상 라인들이 돌기들(57)의 주연부들을 배타적으로 따르기보다는 오히려 돌기들(57)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이 삐져나온 부분으로 끌릴 가능성이 적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들이 도시되고, 설명되고, 언급되었지만, 예시된 장치의 형태 및 상세사항 그리고 그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하는 그러한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분명히 의도된다. 하나의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의 요소들의 치환이 또한 전적으로 의도되며 예상된다. 그러므로, 그 의도는 단지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지시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밑창 조립체(14)로서,
    하부 표면(44) 및 상기 하부 표면(44)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리브들(42)을 포함하는 코어 부분(32)으로서, 상기 리브들(42)은 상기 코어 부분(32)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연장되는 견부(48)를 형성하는 것인, 코어 부분(32);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1 삽입체(34)로서, 상기 제1 삽입체(34)의 외주연부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코어 부분(32)의 리브들(4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부 리세스(46) 내에 포함되는 것인,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코어 부분(32)에 접합되는 주연 부분(36)으로서, 상기 주연 부분(36)은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외주연부(38)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연 부분(36)은 내부 립(52)을 형성하는 개구(5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립(52)은 상기 코어 부분(32)의 견부(48)에 안착되는 것인, 주연 부분(36)
    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부분(32), 상기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주연 부분(36)의 하부 표면들은 복수의 홈들(55) 및 러그들 또는 돌기들(57)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부분(36)은 상기 코어 부분(32)의 외주연부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밑창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50)의 표면은 상기 리브들(42)의 외부 주연부에 인접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은 제1 색상을 갖고,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을 갖고, 상기 주연 부분(36)은 상기 제1 색상 및 제2 색상과는 다른 제3 색상을 갖는 것인 밑창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상기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주연 부분(36) 각각은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재료인 것인 밑창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부분(36)은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전체 외주연부(38)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상기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주연 부분(36)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것인 밑창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전족 영역(16)에 위치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뒤꿈치 영역(20)에 위치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중족 영역(18)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2 삽입체(34)
    를 더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체(34)의 외주연부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인 밑창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3 삽입체(34)
    를 더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삽입체(34)의 외주연부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인 밑창 조립체.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상기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주연 부분(36)의 하부 표면들은 6각형 돌기들(57)의 격자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19. 밑창 조립체(14)로서,
    하부 표면(44) 및 상기 하부 표면(44)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리브들(42)을 포함하는 코어 부분(32)으로서, 상기 리브들(42)은 상기 코어 부분(32)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연장되는 견부(48)를 형성하는 것인, 코어 부분(32);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1 삽입체(34)로서, 상기 제1 삽입체(34)의 외주연부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코어 부분(32)의 리브들(4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부 리세스(46) 내에 포함되는 것인,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2 삽입체(34)로서, 상기 제2 삽입체(34)의 외주연부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코어 부분(32)의 리브들(4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내부 리세스(46) 내에 포함되는 것인, 제2 삽입체(34)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부분(32), 상기 제1 삽입체(34) 및 상기 제2 삽입체(34)의 하부 표면들은 복수의 홈들(55) 및 러그들 또는 돌기들(57)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전족 영역(16)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뒤꿈치 영역(20)에 위치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전족 영역(16)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중족 영역(18)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뒤꿈치 영역(20)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중족 영역(18)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32) 내에 포함되고, 상기 코어 부분에 접합되는 제3 삽입체(34)로서, 상기 제3 삽입체(34)는 상기 코어 부분(3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코어 부분(32)의 리브들(42)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내부 리세스(46) 내에 포함되는 것인, 제3 삽입체(34)
    를 더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전족 영역(16)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중족 영역(18)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삽입체(34)는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뒤꿈치 영역(20)에 위치하는 것인 밑창 조립체.
  25. 신발류 물품(10)으로서,
    갑피(12); 및
    상기 갑피(12)에 고정되는,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6항, 및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밑창 조립체(14)
    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조립체(14)의 바닥 표면에 결합되는 겉창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97001971A 2014-04-14 2015-04-01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113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52,045 2014-04-14
US14/252,045 US10226906B2 (en) 2014-04-14 2014-04-14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med of multiple preforms
PCT/US2015/023792 WO2015160507A1 (en) 2014-04-14 2015-04-01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med of multiple preform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949A Division KR101947253B1 (ko) 2014-04-14 2015-04-01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45A KR20190009845A (ko) 2019-01-29
KR102113243B1 true KR102113243B1 (ko) 2020-05-21

Family

ID=53002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971A KR102113243B1 (ko) 2014-04-14 2015-04-01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0167027949A KR101947253B1 (ko) 2014-04-14 2015-04-01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949A KR101947253B1 (ko) 2014-04-14 2015-04-01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26906B2 (ko)
EP (2) EP3476235B1 (ko)
KR (2) KR102113243B1 (ko)
CN (2) CN110840008A (ko)
MX (1) MX2016012919A (ko)
WO (1) WO2015160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0967B1 (de) * 2011-09-20 2012-08-15 Julia Mag Sto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ussbettes für einen schuh
US20160302519A1 (en) * 2015-04-17 2016-10-20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251446B2 (en) * 2015-10-30 2019-04-0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ressure mapped midsoles,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90090585A1 (en) * 2017-09-22 2019-03-28 Wolverine Outdoors,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O2019073450A1 (en) * 2017-10-12 2019-04-18 Merelli Compositi S.R.L. METHOD FOR PRODUCING A SHOE COMPONENT AND SHOE PROVIDED WITH SAID COMPONENT
IT201800001171A1 (it) * 2018-01-17 2019-07-17 Merelli Compositi S R L Metodo di produzione di un componente di una calzatura e calzatura provvista di tale componente
US10716359B2 (en) 2018-01-23 2020-07-2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19232492A1 (en) * 2018-05-31 2019-12-05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hermoformed siped sole structure
USD893152S1 (en) * 2018-06-01 2020-08-18 Cole Haan Llc Shoe sole
USD894571S1 (en) * 2018-06-01 2020-09-01 Cole Haan Llc Shoe sole
US20210361028A1 (en) * 2018-12-11 2021-11-25 Asics Corporation Shoe
USD876056S1 (en) * 2019-01-04 2020-02-25 Nike, Inc. Shoe
USD878016S1 (en) * 2019-01-04 2020-03-17 Nike, Inc. Shoe
USD873546S1 (en) * 2019-01-04 2020-01-28 Nike, Inc. Shoe
USD922048S1 (en) * 2019-01-17 2021-06-15 Vibram S.P.A. Sole for footwear
CN210611192U (zh) * 2019-04-03 2020-05-26 霍尼韦尔国际公司 具有阻力元件的鞋类外底
USD913669S1 (en) * 2019-09-03 2021-03-23 Nike, Inc. Shoe
WO2021142428A1 (en) 2020-01-10 2021-07-1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having multiple hardnesses and/or flex promoting structures
USD977234S1 (en) * 2020-06-03 2023-02-07 Tbl Licensing Llc Footwear
USD919947S1 (en) * 2020-06-18 2021-05-25 Tingting Shi Shoe sole
CN112238635A (zh) * 2020-09-16 2021-01-19 东莞市隆华鞋业有限公司 一种eva与cpu一体灌注成型的包裹式鞋底的制备方法
USD1026434S1 (en) * 2022-06-27 2024-05-14 Joybees LLC Footwe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491A1 (en) 2004-06-04 2005-12-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midsole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0652A (en) * 1986-06-09 1987-10-20 Pekny Robert E Marine anchor
US4760652A (en) 1987-06-04 1988-08-02 Quabaug Corporation Composite outsole
BR9404462A (pt) * 1994-11-10 1997-03-04 Reynaldo Oscar Oliver Silva Processo para a produçao de artigos em materiais poliméricos reticulados expandidos e o produto assim obtido
US5586354A (en) * 1995-05-11 1996-12-24 Kuan M. Chi Method for forming patterns on shoe sole
CA2179873C (en) * 1995-07-14 2002-08-27 Norman H. Finn Shoe sole having co-molded anti-skid insert
KR100256180B1 (ko) * 1997-08-29 2000-05-15 박수관 이질재료영역을갖는사출발포물및그제조방법
US6061929A (en) * 1998-09-04 2000-05-16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sole with integrally molded shank
US7065820B2 (en) * 2003-06-30 2006-06-27 Nike, Inc. Article and method for laser-etching stratified materials
US7178267B2 (en) * 2003-12-12 2007-02-20 Polyworks, Inc. Method for forming footwear structures using thermoforming
ITMI20041183A1 (it) * 2004-06-11 2004-09-11 Vibram Sp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componenti traforati e-o bicolore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in genere
JP5484045B2 (ja) * 2006-06-20 2014-05-07 ジェオックス エス.ピー.エー. 靴用ソールの構成に使用される透湿性エレメント、その透湿性エレメントを備えたソール、およびそのソールを備えた靴
WO2008019980A2 (en) 2006-08-14 2008-02-21 Main Group Corporation S.R.L. Method for molding multicolor ethyl vinyl acetate 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080073806A1 (en) 2006-09-27 2008-03-27 Wang Ming-Hui Method for foaming multiple color sole
US20100098797A1 (en) 2008-10-16 2010-04-22 Davis Carrie L Mold assembly for midsole and method of manufaturing same
US9931804B2 (en) * 2008-11-14 2018-04-03 Nike, Inc. Decorated sole elem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reof
US8246881B2 (en) * 2009-09-02 2012-08-21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O2011082275A1 (en) * 2009-12-30 2011-07-07 Li Ning Sports Usa, Inc. Lastless, molded footwea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20110192056A1 (en) * 2010-02-05 2011-08-1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RU2560301C2 (ru) * 2010-09-03 2015-08-20 В.Л. Гор Унд Ассошиэйтс Гмбх Предмет обуви, скомпонованный блок подошвы для предмета обув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компонованного блока подошв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мета обуви
US10010136B2 (en) * 2011-03-16 2018-07-03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US9096028B2 (en) * 2011-08-10 2015-08-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med from two preforms and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346338B1 (ko) 2012-02-15 2014-02-07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및 그의 제조방법
US9265301B2 (en) 2012-07-11 2016-02-23 Nike, Inc. Mold for footwear with s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202873956U (zh) * 2012-08-24 2013-04-17 福建省晋江市帝星鞋塑有限公司 一种防滑抗震运动鞋
US9456658B2 (en) * 2012-09-20 2016-10-04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CN203058521U (zh) * 2012-12-26 2013-07-17 福建泉州匹克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梯度双能科技的鞋底
DE102013208170B4 (de) * 2013-05-03 2019-10-24 Adidas Ag Sohle für einen Schuh und Schuh mit einer solchen Soh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491A1 (en) 2004-06-04 2005-12-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midsol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6235B1 (en) 2022-03-09
CN106163312A (zh) 2016-11-23
WO2015160507A1 (en) 2015-10-22
KR20190009845A (ko) 2019-01-29
EP3476235A1 (en) 2019-05-01
US20190168475A1 (en) 2019-06-06
EP3131744B1 (en) 2019-01-09
CN110840008A (zh) 2020-02-28
KR20160132921A (ko) 2016-11-21
MX2016012919A (es) 2017-01-09
EP3131744A1 (en) 2017-02-22
US20150290892A1 (en) 2015-10-15
US10226906B2 (en) 2019-03-12
KR101947253B1 (ko) 2019-02-12
CN106163312B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243B1 (ko)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 형성된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US10869523B2 (en) Sole assembly formed from multiple preforms and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854574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hardnesses
US2019020216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dsole formed from two preforms
EP2961594B1 (en) Method of forming midsole of two materials
EP326781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with camouflage appearance
KR101743857B1 (ko) 2개의 사전형성물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그리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