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674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674A
KR20150124674A KR1020140051471A KR20140051471A KR20150124674A KR 20150124674 A KR20150124674 A KR 20150124674A KR 1020140051471 A KR1020140051471 A KR 1020140051471A KR 20140051471 A KR20140051471 A KR 20140051471A KR 20150124674 A KR20150124674 A KR 20150124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vent
refrigerant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021B1 (ko
Inventor
서은영
안용남
원승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콘솔 벤트 상에 열전모듈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가능하며, 냉방 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됨으로써 열전모듈의 고온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콘솔 벤트 상에 열전모듈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가능하며, 냉방 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됨으로써 열전모듈의 고온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소형이면서도 온도 및 풍량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차량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차량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20);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 통로(P1)와 온기 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 통로(P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 통로(P2)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14)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 통로(P1)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 통로(P1)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 통로(P2)를 개방함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는 온기 통로(P2)를 통하여 상기 히터코어(30)를 거치면서 상기 히터코어(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뀌게 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이 때,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하여 플로어 벤트의 후측에 차량 실내의 중앙 영역인 콘솔박스(미도시)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콘솔 벤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솔 벤트는 페이스 벤트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페이스 벤트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콘솔 벤트를 통해 뒷좌석 측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면서 온도가 변화될 수 있어 콘솔 벤트 상에 추가적인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탑승객의 온도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차량 실내의 앞좌석 및 뒷좌석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05509 (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솔 벤트 상에 열전모듈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냉방 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됨으로써 열전모듈의 고온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응축기와 제1팽창밸브 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분기되어 제2팽창밸브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열교환기로 공급되므로, 냉매 공급량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열전모듈 고온부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플로어 벤트(110), 디프로스트 벤트(120), 페이스 벤트(130) 및 콘솔 벤트(14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20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가능하며, 상기 콘솔 벤트(140)와 연결되는 콘솔 덕트(500) 상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전모듈(742)을 포함하는 열교환기(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700)는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 상기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에 양단이 고정되는 튜브(741)와, 상기 튜브(741)의 양측 면에 부착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열전모듈(742)과, 상기 열전모듈(742)의 양측 면에 구비되는 핀(743)을 포함하며, 복수개가 구비되는 단위모듈(740); 상기 제1헤더탱크(710) 또는 제2헤더탱크(7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731)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7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압축기(810), 응축기(820), 제1팽창밸브(830), 및 증발기(200)가 제1배관(80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순환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응축기(820)와 제1팽창밸브(83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으로부터 분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입구파이프(731)와 연결되는 제2-1배관(901)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출구파이프(732)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증발기(200)와 압축기(81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과 연결되는 제2-2배관(9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냉매 흐름 방향으로 상기 제2-1배관(901) 상의 상기 열교환기(700) 전측에 제2팽창밸브(9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콘솔 벤트 상에 열전모듈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냉방 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됨으로써 열전모듈의 고온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응축기와 제1팽창밸브 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분기되어 제2팽창밸브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열교환기로 공급되므로, 냉매의 공급량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열전모듈 고온부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매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열전모듈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열교환기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냉방 시, 도 6은 난방 시, )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냉매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공조케이스(100), 증발기(200) 및 열교환기(7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되면서 냉각 및 가열되는 공간으로서,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 140)들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110, 120, 130, 140)는 플로어 벤트(110)(Floor Vent), 디프로스트 벤트(120)(Defrost Vent), 페이스 벤트(130)(Face vent), 및 콘솔 벤트(140)(Console vent)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 벤트(110)는 차량 실내의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며,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20)는 차량 실내의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고, 상기 페이스 벤트(130)는 차량 실내의 전측(앞좌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며, 상기 콘솔 벤트(140)는 차량 내부의 콘솔과 연통되는 콘솔 덕트(500)와 연결되어 차량 실내의 후측(뒷좌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 때, 상기 플로어 벤트(110), 디프로스트 벤트(120), 및 페이스 벤트(130)는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를 통해 개도가 조절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는 제1송풍기(400)가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이송하며, 냉기 통로와 온기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0)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200)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증발기(200)는 제1송풍기(400)에 의한 공기 흐름 방향으로, 상기 제1송풍기(400)의 후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수단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200)의 후측에 히터코어(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참조)
상기 히터코어(300)는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면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상기 열교환기(700)는 상기 콘솔 벤트(140)와 연결되는 콘솔 덕트(500) 상에 구비되어 공기 또는 가열하는 열전모듈(742)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증발기(20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 가능한 구성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솔 덕트(500) 상에는 상기 열교환기(700)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기(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열교환기(7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열전모듈(742)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열교환기(700)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열교환기(700)는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 단위모듈(740), 입구파이프(731) 및 출구파이프(7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단위모듈(740)은 튜브(741), 열전모듈(742) 및 핀(743)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튜브(741)는 상기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가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열전모듈(742)은 상기 튜브(741)의 양측 면에 부착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부분이다.
상기 핀(743)은 상기 열전모듈(742)의 양측 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핀(743)이 형성된 영역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상기 핀(743)과 맞닿은 면의 온도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된다.
상기 열전모듈(742)(Thermoelectric Module)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열-전기 열펌프로서 소형의 고체상의 소자로도 프레온식 컴프레서나 흡열식 냉동기와 비슷한 냉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소자를 의미한다.
이 때, 펠티에 효과란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기적 양도체에 직류 전원을 가하였을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일측은 가열되고 타측은 냉각되는 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은 전자가 한쪽의 반도체에서 다른 쪽의 반도체로 이동하면서 에너지 준위를 높이기 위해 열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도 6은 열전모듈(742)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 (A)는 이러한 열전모듈(742)의 작동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N형 반도체(전류 캐리어가 주로 전자인 반도체)와 P형 반도체(전류 캐리어가 주로 정공인 반도체)를 도 6 (A)와 같이 전선(1, 2) 및 전원(3)을 연결하고, 상기 전원(3)을 인가하면 전자들은 시스템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게 되며, N형 반도체로부터 P형 반도체로 전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면(5)을 통과하는 전자들이 열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상면(5)은 냉각되며, 하면(4)에서는 전자들이 열에너지를 방출하게 되기 때문에 하면(4)은 가열되게 된다. 이 때, 냉각이 일어나는 상면(5)과 가열이 일어나는 하면(4) 사이에 적절한 열전달을 시키면, 열전모듈(742)은 상면(5)에서 하면(4)으로 열을 이동시키는 열펌프(Heat Pump)로서 작동하게 된다.
도 6 (B)는 일반적인 열전모듈(742)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는 평면상에 서로 교차되게 배열되어 도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하에 기판이 덮여진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의 전기를 외부에서 인가해 주면,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는 흡열 현상이, 타측에서는 방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전모듈(742)들은 다수 개의 P형 및 N형 반도체가 배열되고, 여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양, 음의 전선 1쌍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냉방 및 난방 시의 단위모듈(74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도 7을 참조로 냉방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냉방 시, 상기 열전모듈(742)의 핀(743)이 구비된 측은 저온부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741)가 구비된 측은 고온부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7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저온부를 형성하는 핀(743)과 열교환되면서 냉각되고, 상기 고온부를 형성하는 튜브(741) 내부에 저온의 냉매가 공급되어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냉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난방 시, 상기 열전모듈(742)의 핀(743)이 구비된 측은 고온부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741)가 구비된 측은 저온부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기(7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고온부를 형성하는 핀(743)과 열교환되면서 가열된다.
상기 입구파이프(731)는 상기 제1헤더탱크(710) 또는 제2헤더탱크(7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출구파이프(732)는 상기 제1헤더탱크(710) 또는 제2헤더탱크(720)에 연결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700)의 튜브(741) 내부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압축기(810), 응축기(820), 제1팽창밸브(830), 및 증발기(200)가 제1배관(80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순환하며, 제2-1배관(901) 및 제2-2배관(902)이 더 형성된다. (도 3 참조)
상기 압축기(810)는 기상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응축기(820)로 토출한다.
상기 응축기(820)(Condenser)는 상기 압축기(81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상기 제1팽창밸브(830)로 토출한다.
상기 제1팽창밸브(830)(Expansion Valve)는 상기 응축기(820)와 증발기(200)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82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가 이동되면서 교축작용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가 된 후 상기 증발기(200)로 이동된다.
상기 증발기(200)(Evaporator)는 상기 제1팽창밸브(83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하는 수단으로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1배관(901)은 일측 단부가 상기 응축기(820)와 제1팽창밸브(83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으로부터 분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입구파이프(731)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응축기(82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700) 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2-2배관(902)은 일측 단부가 상기 출구파이프(732)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증발기(200)와 압축기(81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열교환기(700)의 튜브(741)를 통과한 냉매가 다시 상기 제1배관(800)을 통해 압축기(810)로 공급한다.
이 때, 냉매 흐름 방향으로 상기 제2-1배관(901) 상의 상기 열교환기(700) 전측에는 제2팽창밸브(9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팽창밸브(910)는 상기 열교환기(700)로 공급되는 냉매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응축기(82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가 이동되면서 교축작용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가 된 후 상기 열교환기(700)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냉매가 제1배관(800)을 통해 상기 압축기(810) -> 응축기(820) -> 제1팽창밸브(830) -> 증발기(200)를 순환하면서, 상기 증발기(200)와 열교환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 실내의 전측(앞좌석) 냉방이 수행되며, 상기 응축기(820)와 제1팽창밸브(830)로 사이의 냉매가 분기(제2-1배관(901))되어 제2팽창밸브(910) -> 열교환기(700)를 순환하여 다시 상기 증발기(200)와 압축기(810) 사이로 이동(제2-2배관(902))되면서, 상기 열교환기(700)와 열교환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 실내 후측(뒷좌석) 냉방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콘솔 벤트(140) 상에 열전모듈(742)을 이용한 열교환기(700)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냉방 시, 증발기(20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됨으로써 열전모듈(742)의 고온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응축기(820)와 제1팽창밸브(830) 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분기되어 제2팽창밸브(91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열교환기(700)로 공급되므로, 냉매의 공급량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열전모듈(742) 고온부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차량용 공조장치
100 : 공조케이스
110 : 플로어 벤트 110d : 플로어 벤트 도어
120 : 디프로스트 벤트 120d :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
130 : 페이스 벤트 130d : 페이스 벤트 도어
140 : 콘솔 벤트
150 : 템프도어
200 : 증발기
300 : 히터코어
400 : 제1송풍기
500 : 콘솔 덕트
600 : 제2송풍기
700 : 열교환기
710 : 제1헤더탱크 720 : 제2헤더탱크
731 : 입구파이프 732 : 출구파이프
740 : 단위모듈
(1, 2 : 전선, 3 : 전원, 4 : 열전모듈의 하면, 5 : 열전모듈의 상면)
741 : 튜브 742 : 열전모듈
743 : 핀
800 : 제1배관
810 : 압축기
820 : 응축기
830 : 제1팽창밸브
901 : 제2-1배관 902 : 제2-2배관
910 : 제2팽창밸브

Claims (4)

  1.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플로어 벤트(110), 디프로스트 벤트(120), 페이스 벤트(130) 및 콘솔 벤트(14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20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가 유동가능하며, 상기 콘솔 벤트(140)와 연결되는 콘솔 덕트(500) 상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전모듈(742)을 포함하는 열교환기(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700)는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
    상기 제1헤더탱크(710) 및 제2헤더탱크(720)에 양단이 고정되는 튜브(741)와, 상기 튜브(741)의 양측 면에 부착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열전모듈(742)과, 상기 열전모듈(742)의 양측 면에 구비되는 핀(743)을 포함하며, 복수개가 구비되는 단위모듈(740);
    상기 제1헤더탱크(710) 또는 제2헤더탱크(7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731)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7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압축기(810), 응축기(820), 제1팽창밸브(830), 및 증발기(200)가 제1배관(80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순환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응축기(820)와 제1팽창밸브(83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으로부터 분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입구파이프(731)와 연결되는 제2-1배관(901)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출구파이프(732)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증발기(200)와 압축기(81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800)과 연결되는 제2-2배관(9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냉매 흐름 방향으로 상기 제2-1배관(901) 상의 상기 열교환기(700) 전측에 제2팽창밸브(9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051471A 2014-04-29 2014-04-29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471A KR102053021B1 (ko) 2014-04-29 2014-04-29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471A KR102053021B1 (ko) 2014-04-29 2014-04-2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674A true KR20150124674A (ko) 2015-11-06
KR102053021B1 KR102053021B1 (ko) 2019-12-06

Family

ID=546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471A KR102053021B1 (ko) 2014-04-29 2014-04-2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08A (ko) * 2003-03-04 2004-09-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20090102478A (ko) * 2008-03-26 2009-09-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시스템
KR20100005509A (ko) 2008-07-07 2010-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139438A (ko) * 2010-06-23 2011-12-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08A (ko) * 2003-03-04 2004-09-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20090102478A (ko) * 2008-03-26 2009-09-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시스템
KR20100005509A (ko) 2008-07-07 2010-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139438A (ko) * 2010-06-23 2011-12-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21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1525B (zh) 空调装置
CN111094028B (zh) 车辆用空调装置
JP6197745B2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CN107249910B (zh) 用于车辆区域的热调节系统和方法
WO201905883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663676B2 (ja) 車両用熱管理装置
JP6540180B2 (ja)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JP2017048783A (ja) 車両用熱管理装置
CN110914082B (zh) 空调装置
KR20180065332A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JP2016144963A (ja)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KR10166982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US20160001628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18035951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083304B2 (ja)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CN107953740B (zh) 空调单元
CN110072717B (zh) 车用空调
KR101057875B1 (ko) 자동차용 공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38594A1 (ja) 車両用熱管理装置
Agarwal et al.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
KR20150124674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411383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34111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053474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4189140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