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438A -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438A
KR20110139438A KR1020100059538A KR20100059538A KR20110139438A KR 20110139438 A KR20110139438 A KR 20110139438A KR 1020100059538 A KR1020100059538 A KR 1020100059538A KR 20100059538 A KR20100059538 A KR 20100059538A KR 20110139438 A KR20110139438 A KR 2011013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vehicle
expansion valve
evaporat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이해준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438A/ko
Publication of KR2011013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라인상에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와 전방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공조장치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는 냉매가 추가로 냉각되어 후방 공조장치의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버려지는 응축수를 활용함은 물론 고부하 조건인 고온다습한 날씨에서는 응축수 발생량이 많아 냉방성능을 더욱 향상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활용하므로 배관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Dual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라인상에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와 전방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공조장치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는 냉매가 추가로 냉각되어 후방 공조장치의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버려지는 응축수를 활용함은 물론 고부하 조건인 고온다습한 날씨에서는 응축수 발생량이 많아 냉방성능을 더욱 향상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활용하므로 배관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이러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량 실내공간이 좁은 소형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량 전방측인 엔진룸에 1개의 증발기를 갖는 이른바 싱글 공조장치를 적용하고 있으나, 일부 고급 승용차나 레저용 차량 등의 경우에는 차량 실내의 후방까지 충분한 공조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엔진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 증발기(14)를 갖는 전방 공조장치(10)와, 차량의 후방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후방 증발기(22)를 갖는 후방 공조장치(20)로 구성된 듀얼 공조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전방 공조장치(10)와 후방 공조장치(20)를 구비하는 듀얼 공조장치는, 상기 전방 증발기(14)와 후방 증발기(22)를 동시 또는 각각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 증발기(14)와 후방 증발기(22)는 1개의 압축기(11)와 응축기(12)를 통해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듀얼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방 공조장치(10)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에서 송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1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전방 팽창밸브(13)와, 상기 전방 팽창밸브(13)에 의해 교축된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전방 증발기(14)를 전방측 냉매파이프(15)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앞좌석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공조장치(10)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14)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도록 드레인호스(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공조장치(20)는, 상기 전방 공조장치(10)의 응축기(12)에서 전방 팽창밸브(13)로 향하는 냉매를 후방측 냉매파이프(25)로 분기하여 분기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후방 팽창밸브(21)와, 상기 후방 팽창밸브(2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전방 증발기(14)에서 압축기(11)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시키는 후방 증발기(22)로 구성되며, 차량의 뒷좌석을 냉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 팽창밸브(13) 및 전방 증발기(14)를 갖는 전방 공조장치(10)와 상기 후방 팽창밸브(21) 및 후방 증발기(22)를 갖는 후방 공조장치(20)는 1개의 압축기(11)와 1개의 응축기(12)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 듀얼 공조장치의 냉매 순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1)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12)로 송출하고, 응축기(1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1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 중 일부는 전방 팽창밸브(13)로 유입되면서 팽창된 후 전방 증발기(14)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의 앞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되며, 나머지는 상기 전방측 냉매파이프(15)로부터 분기된 후방측 냉매파이프(25)를 통해 후방 팽창밸브(21)로 유입되면서 팽창된 후 후방 증발기(22)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의 뒷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앞좌석과 뒷좌석측에 각각 냉방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전방 증발기(14)에서 증발후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와 상기 후방 증발기(22)에서 증발후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합류된 후, 다시 압축기(11)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룸측에 설치된 전방 공조장치(10)로부터 냉매를 분기하여 차량 후방측에 설치된 후방 공조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방측 냉매파이프(15)로부터 분기되는 후방측 냉매파이프(25)는 차량의 하부면을 타고 후방 공조장치(20)로 연결된다.
그러나, 차량의 하부면을 타고 길게 설치된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25)를 통해 냉매가 유동하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날 도로 주행시 도로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25)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후방 공조장치(20)의 냉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라인상에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와 전방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공조장치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는 냉매가 추가로 냉각되어 후방 공조장치의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버려지는 응축수를 활용함은 물론 고부하 조건인 고온다습한 날씨에서는 응축수 발생량이 많아 냉방성능을 더욱 향상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활용하므로 배관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전방 팽창밸브와, 상기 전방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전방 증발기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좌석을 냉방하는 전방 공조장치; 상기 응축기에서 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를 분기하여 분기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후방 팽창밸브와,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전방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시키는 후방 증발기로 구성되어, 차량의 뒷좌석을 냉방하는 후방 공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라인상에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와 상기 전방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라인(후방측 냉매파이프)상에 상기 후방 팽창밸브로 향하는 냉매와 전방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저온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전방 공조장치로부터 분기되어 차량의 하부면을 따라 후방 공조장치측으로 유동하는 냉매가 추가로 냉각되어 후방 공조장치의 냉방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버려지는 저온 응축수를 활용하여 냉매를 냉각함으로써, 냉매를 냉각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장치가 필요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고부하 조건인 고온다습한 날씨에서는 응축수 발생량이 많아 냉방성능을 더욱 향상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최대한 활용하므로 배관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배관(내관)이 열용량이 큰 응축수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면 등의 외부 열이 냉매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듀얼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서 열교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서 열교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서 열교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서 열교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엔진룸측에 설치되는 전방 공조장치(200)와,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를 순환하는 냉매를 분기하여 차량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 공조장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는, 압축기(210) -> 응축기(220) -> 전방 팽창밸브(230) -> 전방 증발기(240)를 전방측 냉매파이프(P)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Compressor)(210)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전방 증발기(240)로부터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Condenser)(220)는 상기 압축기(21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전방 팽창밸브(230)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전방 팽창밸브(Expansion Valve)(230)는 상기 응축기(22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전방 증발기(240)로 보내게 된다.
상기 전방 증발기(Evaporator)(240)는 상기 전방 팽창밸브(23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기(210)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차량 공조장치의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전방 증발기(240)를 통과하면서 전방 증발기(240)의 내부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량의 대쉬패널(150)을 기준으로 실내측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240)를 내장하는 공조케이스(241)가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241)의 하부에는 드레인호스(242)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241)의 바닥으로 낙하한 후 드레인호스(242)를 통해 대쉬패널(150) 외부, 즉 차량 외부로 배수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레인호스(242)를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장치(350)의 외관(355)을 경유한 후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호스(242)는 상기 대쉬패널(150)을 관통하여 차량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공조장치(300)는, 상기 응축기(220)에서 전방 팽창밸브(230)로 향하는 고온 고압 냉매를 후방측 냉매파이프(P1)로 분기하여 분기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후방 팽창밸브(310)와,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 저압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압축기(210)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시키는 후방 증발기(320)로 구성되어, 차량의 뒷좌석을 냉방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의 전방 팽창밸브(230)로 유입되기전의 냉매를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를 통해 분기하여 분기된 냉매를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 및 후방 증발기(320)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로부터 분기되는 후방측 냉매파이프(P1)는, 상기 응축기(220)와 전방 팽창밸브(230)를 연결하는 전방측 냉매파이프(P)로부터 분기됨으로써, 상기 응축기(220)에서 전방 팽창밸브(230)를 향하는 냉매 중 일부가 후방측 냉매파이프(P1)로 분기되어 후방 공조장치(300)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증발기(320)의 출구측과 연결되는 후방측 냉매파이프(P1)는 상기 전방 증발기(240)와 압축기(210)를 연결하는 전방측 냉매파이프(P)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후방 증발기(320)에서 증발된 후의 냉매는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증발된 후의 냉매와 합류된 후 압축기(210)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의 전방측 냉매파이프(P)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는 차량의 하부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후방 공조장치(3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는 차량의 하부면에 배관 작업시 상기 드레인호스(242)와 인접하도록 루트(Route)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기존의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최대한 활용하므로 배관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라인 즉, 상기 전방측 냉매파이프(P)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를 연결하는 후방측 냉매파이프(P1)상에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와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250)가 설치된다.
즉, 차량의 하부면을 타고 길게 설치된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는, 기온이 높은 날 도로 주행시 도로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후방 공조장치(300)의 냉방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저온의 응축수를 그냥 버리지 않고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를 따라 유동하는 액상 냉매를 추가로 냉각하는데 활용하며, 이로인해 후방측 공조장치(300)의 냉방성능을 향상함은 물론 냉매를 냉각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장치가 필요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고부하 조건인 고온다습한 날씨에서는 응축수 발생량이 많아 냉방성능을 더욱 향상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장치(350)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라인의 특정구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내관(351)과, 상기 내관(351)의 외주면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입구(35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냉매와 열교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출구(357)가 형성된 외관(355)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구성된 열교환장치를 갖는다.
즉, 상기 내관(351)은, 상기 전방측 냉매파이프(P)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를 연결하는 후방측 냉매파이프(P1)의 특정구간을 내관(351)으로 구성하게 되고, 상기 외관(355)은 상기 내관(351)의 외주면에 원형파이프를 이중관 구조로 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관(355)의 양끝단은 내관(351)인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의 외주면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밀봉된다.
또한, 상기 외관(355)의 입구(356)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호스(242)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관(355)의 입구(356)는 외관(355)의 상부에 형성되고, 출구(357)는 외관(35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로부터 분기된 냉매가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를 통해 후방 공조장치(300)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장치(350)의 내관(351)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저온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호스(242)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장치(350)의 외관(355)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열교환장치(350)의 내관(351)을 유동하는 액상 냉매와 외관(355)을 유동하는 저온 응축수가 상호 열교환하게 되어 액상 냉매가 냉각되고, 이후 냉각된 액상 냉매가 후방 공조장치(300)의 후방 팽창밸브(310) 및 후방 증발기(320)로 공급되므로 후방 공조장치(300)의 냉방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외관(355)을 통과하면서 내관(351)의 냉매와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는 출구(3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냉매 배관(내관)이 열용량이 큰 응축수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면 등의 외부 열이 냉매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열교환장치(350)는,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대쉬패널(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대쉬패널(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의 공조케이스(241)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호스(242)와의 연결이 간편함은 물론 배관 구성 및 루트(Route)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내관(351)과 외관(355)의 사이에는 응축수가 일정량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외관(355)의 양단부에 형성된 입구(356)와 출구(357)를 모두 외관(355)의 상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입구(356)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내관(351)과 외관(355)의 사이에 일정량 저장되게 되며, 이로인해 후방 공조장치측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냉각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열용량이 큰 응축수가 더욱 오랫동안 냉매 배관(내관)을 감쌀수 있게 되어, 지면 등의 외부 열이 냉매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210)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응축기(220)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220)로 유입된 기상냉매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되면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화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액상 냉매는 상기 전방 팽창밸브(230)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일부 냉매는 전방 팽창밸브(230)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를 통해 분기되어 후방 공조장치(300)를 순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전방 팽창밸브(230)로 유동한 액상 냉매는 감압 팽창 되면서 저온 저압의 무화 상태가 되어 상기 전방 증발기(240)로 유입되고, 상기 전방 증발기(240)로 유입된 냉매는 차량 실내의 앞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함과 동시에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량 실내의 앞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 공조장치(300)측으로 분기된 액상 냉매는 상기 후방측 냉매파이프(P1)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장치(350)의 내관(35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한 저온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호스(242)를 통해 상기 열교환장치(350)의 외관(355)을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내관(351)을 통과하는 액상 냉매는 외관(355)을 통과하는 저온 응축수와 상호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장치(350)의 내관(351)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액상 냉매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유입되어 감압 팽창 되면서 저온 저압의 무화 상태가 되어 상기 후방 증발기(320)로 유입되고, 상기 후방 증발기(320)로 유입된 냉매는 차량 실내의 뒷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함과 동시에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량 실내의 뒷좌석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증발후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와, 상기 후방 증발기(320)에서 증발후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서로 합류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210)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100: 듀얼 공조장치 200: 전방 공조장치
210: 압축기 220: 응축기
230: 전방 팽창밸브 240: 전방 증발기
241: 공조케이스 242: 드레인호스
300: 후방 공조장치 310: 후방 팽창밸브
320: 후방 증발기
350: 열교환장치 351: 내관
355: 외관 356: 입구
357: 출구
P: 전방측 냉매파이프 P1: 후방측 냉매파이프

Claims (5)

  1.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20)와, 상기 응축기(220)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전방 팽창밸브(230)와, 상기 전방 팽창밸브(2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전방 증발기(240)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좌석을 냉방하는 전방 공조장치(200);
    상기 응축기(220)에서 전방 팽창밸브(230)로 향하는 냉매를 분기하여 분기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후방 팽창밸브(310)와,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압축기(210)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시키는 후방 증발기(320)로 구성되어, 차량의 뒷좌석을 냉방하는 후방 공조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라인상에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와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장치(3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350)는, 상기 후방 팽창밸브(310)로 향하는 냉매라인의 특정구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내관(351)과, 상기 내관(351)의 외주면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입구(35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냉매와 열교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출구(357)가 형성된 외관(355)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구성된 열교환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355)의 입구(356)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2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호스(24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51)과 외관(355)의 사이에는 응축수가 일정량 저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350)는,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대쉬패널(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 공조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KR1020100059538A 2010-06-23 2010-06-23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KR20110139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38A KR20110139438A (ko) 2010-06-23 2010-06-23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38A KR20110139438A (ko) 2010-06-23 2010-06-23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38A true KR20110139438A (ko) 2011-12-29

Family

ID=4550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538A KR20110139438A (ko) 2010-06-23 2010-06-23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4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8312A (zh) * 2012-02-02 2012-07-04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带过冷却的空调系统
KR20150124674A (ko) * 2014-04-29 2015-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73785B1 (ko) 2015-07-01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8001166A (zh) * 2017-11-30 2018-05-08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水冷式汽车空调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8312A (zh) * 2012-02-02 2012-07-04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带过冷却的空调系统
KR20150124674A (ko) * 2014-04-29 2015-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73785B1 (ko) 2015-07-01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8001166A (zh) * 2017-11-30 2018-05-08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水冷式汽车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8222B (zh) 车辆热泵系统
JP6323489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05555564B (zh) 热泵式车辆用空调系统以及其除霜方法
CN103358851B (zh) 一种汽车空调系统
CN104995047A (zh) 车辆用空调装置
JP2003291635A (ja) 空調装置
JP200103074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6608157B (zh) 一种空调系统和空调控制方法
JP200902356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7480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108602414B (zh) 车用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10308270A1 (en) Dual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722222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139438A (ko)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CN104949385A (zh) 车用热泵系统
CN110461632A (zh) 车用空调
JP61342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2036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475683B (zh) 空气调节装置
US10449824B2 (en) Air conditioning module
KR10147481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47748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방시스템
TWI779590B (zh) 車輛空調系統
CN211390887U (zh) 热管理系统及具有其的车辆
JP295589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