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20A -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20A
KR20150124320A KR1020140051073A KR20140051073A KR20150124320A KR 20150124320 A KR20150124320 A KR 20150124320A KR 1020140051073 A KR1020140051073 A KR 1020140051073A KR 20140051073 A KR20140051073 A KR 20140051073A KR 20150124320 A KR20150124320 A KR 2015012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elding
frame
moving body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754B1 (ko
Inventor
양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5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42) 상에 각각 회전틀(44)(46)과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48)(50)(52)(54)을 갖는 고정체(56)와 이동체(58)를 좌우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얻고자 하는 수평연결대(10)의 길이에 따라 고정체(56)로부터 이동체(58)의 위치를 조정한후 회전틀(44)(46) 단부에 각각 결합편(80)(32)과 연결핀(82)(134)을 이용하여 연결구(16)(18)를 결합고정하고 상기 좌우연결구(16)(18) 사이에는 양단부에 결합홈(14)을 갖는 관체(12)를 끼워서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한뒤 회전틀(44)(46)의 회전 및 경사실린더(84)(86)(140)(142)와 수평실린더(88)(90)(144)(146)에 의한 토치바디(48)(50)(52)(54)의 작동으로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상하좌우 용접부(156)(158)(160)(162)의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제조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면서 좌우연결구(16)(18)를 관체(12)의 주어진 위치에 오차없이 정확히 용접고정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WELDING DEVICE OF HORIZONTAL CONNECTOR FOR SCAFFOLD}
본 발명은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관체와 좌우연결구의 용접작업을 자동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용 수평연결대(10)의 경우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관체(12)의 양단부에 결합홈(1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14)에 각각 별도로 제작된 연결구(16)(18)의 결합부(20)를 결합한뒤 상하좌우에 갖는 용접부를 용접고정하고 또 좌우연결구(16)(18)의 작동실(22) 내에는 각각 잠금수단인 작동편(24)과 잠금편(26) 및 탄성체(28) 등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는 좌우연결구(16)(18)를 각각 좌우수직지지대(30)(32)가 갖는 연결판(34)(36)의 연결공(38)에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편(24)의 누름에 의한 잠금편(26)과 연결판(34)(36) 간의 걸림으로 이탈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비계용 수평연결대에 대하여는 특허출원 제10-2013-0027817호를 제공한바 있으나, 이를 비롯한 기존의 비계용 수평연결대의 경우 관체와 좌우연결구의 용접을 위한 용접장치가 제공된바 없어 이제껏 관체가 갖는 결합홈에 연결구가 갖는 결합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용접고정해 주도록 함으로서, 제작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좌우연결구를 관체의 주어진 위치에 오차없이 용접고정해 주기가 어려워 조립시 수직지지대와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가 없게 됨은 물론 사용중 조립불량에 의한 비계의 붕괴로 돌이킬 수 없는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심할 경우 불량으로 이어져 금전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3-0027817호 '비계용 수평연결대'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와 연결구의 용접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고 또 좌우연결구를 관체의 주어진 위치에 정확히 용접고정해 줄 수가 있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는 고정체와 이동체가 갖는 좌우회전틀 사이에 좌우연결구와 관체를 결합고정한뒤 상기 고정체와 이동체에 각각 경사실린더와 수평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와 회전틀이 회전에 의해 관체와 좌우연결구 사이에는 상하좌우 용접부의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40)는 프레임(42) 상의 고정체(56)와 이동체(58)가 갖는 좌우회전틀(44)(46) 사이에 좌우연결구(16)(18)와 관체(12)를 결합고정해 주게 되면 아크용접기가 갖는 토치바디(48)(50)(52)(54)의 작동 및 좌우회전틀(44)(46)의 회전작동으로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 사이에 갖는 상부양측용접부(56)(58)와 하부양측용접부(60)(62)의 용접작업이 차례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접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어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게 되고 또 좌우연결구(16)(18)는 관체(12)의 미리 주어진 위치에 움직임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좌우연결구(16)(18)를 관체(12)의 주어진 위치에 오차없이 정확히 용접고정해 줄 수가 있어 사용시 좌우수직지지대(30)(32)와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됨은 물론 조립불량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해 줄 수가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용접불량발생에 의한 금전적 손실을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비계용 수평연결대의 관체와 연결구의 용접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 : 비계용 수평연결대의 관체와 좌우연결구의 용접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 비계용 수평연결대를 수직지지대로부터 분해한 상태의 일부파절 정면구성도
도 4 : 비계용 수평연결대를 수직지지대 사이에 결합한 상태의 일부파절 정면구성도
도 5 : 비계용 수평연결대를 수직지지대 사이에 결합하여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의 일부파절 정면구성도
도 6 : 비계용 수평연결대의 사용상태 정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에서 프레임에 대한 고정체와 이동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의 고정체와 이동체가 갖는 회전틀을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
도 10 : 본 발명의 고정체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의 이동체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로서, 본 발명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40)는 프레임(42)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틀(44)(46) 및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48)(50)(52)(54)가 연결설치되는 고정체(56)와 이동체(58)를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프레임에 대한 고정체와 이동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고정체와 이동체가 갖는 회전틀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고정체(56)는 프레임(42)의 상부 일측에 엘엠가이드(60)와 수평실린더(62)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받침대(64)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64)의 외측받침부(66)에 회전틀(44)을 수평설치하되, 상기 회전틀(44)은 내측받침부(68)가 갖는 통공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일부돌출되게 하고 또 내측받침부(68)에는 아크용접기가 갖는 한쌍의 토치바디(48)(50) 및 받침편(70)을 연결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56)가 갖는 회전틀(44)은 받침대(64)의 외측받침부(66)에 회전가능케 연결되는 회전부(72) 및 상기 회전부(72)를 회전시켜주는 모터(74)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부(72)의 내측 단부에는 상하에 연결편(76)(78)을 돌출형성하여 하부연결편(78) 상에는 결합편(80)을 상향돌출형성하고 또 상하연결편(76)(78)에는 연결공을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의 상부로부터 연결핀(8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또한 고정체(56)의 받침대(64) 중 내측받침부(68)에 연결설치되는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48)(5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경사실린더(84)(86)와 수평실린더(88)(90)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실린더(84)(86)는 각각 내측받침부(68)의 외면 상부 전후에 회전틀(44)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실린더봉에 엘엠가이드(92)(94)를 따라 작동하는 작동편(96)(98)을 연결형성하고 또 상기 작동편(96)(98)에는 수평실린더(88)(90) 및 상기 수평실린더(88)(90)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작동봉(100)을 연결형성하되, 상기 작동봉(100)은 내측받침부(68)에 형성되는 경사진 안내장공을 통하여 내측받침부(68)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게 하여 상기 작동봉(100) 단부에 토치바디(48)(50)을 연결설치하며, 받침편(70)은 받침대(64)에 연결형성하여 그 받침홈이 회전틀(44)의 하부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프레임(42)의 상부 타측에 고정체(56)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체(58)는 프레임(42)에 좌우로 긴 엠엘가이드(104)를 통하여 연결설치되는 이동판(106) 상에 상기 이동판(106)으로부터 엘엠가이드(108)와 수평실린더(110)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받침대(112)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12)의 외측받침부(14)에 회전틀(46)을 수평설치하되, 상기 회전틀(46)은 내측받침부(116)가 갖는 통공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일부돌출되게 하고 또 내측받침부(116)에는 아크용접기가 갖는 한쌍의 토치바디(52)(54) 및 받침편(118)을 연결설치하여 구성한다.
다만 이때 프레임(42)으로부터 좌우로 긴 엘엠가이드(108)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106)은 얻고자 하는 수평연결대(10)가 갖는 길이에 따라 고정체(56)와 이동체(58)간 간격조정을 위한 것으로서, 간격조정수단으로서 볼스크류와 고정볼트등 다양한 수단을 예로 들 수가 있는바, 구체적인 간격조절수단을 떠나 이동체(58)를 조정된 위치에 고정해 줄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만족하나, 기존의 수평연결대(10)는 규격화되어 있음을 감안할때 그 이동판(106)에 고정핀(120)을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고 또 프레임(42)측에는 이동판(106)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핀(120)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한 복수의 핀공(122)을 형성하여 고정핀(120)과 선택된 핀공(122)의 결합으로 이동체(58)의 위치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게 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58)가 갖는 회전틀(46)은 이 역시 받침대(112)의 내측받침부(116)에 회전가능케 연결되는 회전부(124) 및 상기 회전부(124)를 회전시켜주는 모터(126)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부(124)의 내측 단부에는 상하에 연결편(128)(130)을 돌출형성하여 하부연결편(130)에는 결합편(132)을 상향돌출형성하고 또 상하연결편(128)(130)에는 연결공을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의 상부로부터 연결핀(134)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또한 이동체(58)의 받침대(112) 중 내측받침부(116)에 연결설치되는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52)(54)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경사실린더(136)(138)와 수평실린더(140)(142)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실린더(136)(138)는 각각 내측받침부(116)의 외면 상부전후에 회전틀(46)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실린더봉에 엘엠가이드(144)(146)를 따라 작동하는 작동편(148)(150)을 연결형성하고 또 상기 작동편(148)(150)에는 수평실린더(140)(142) 및 상기 수평실린더(140)(142)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작동봉(152)을 연결형성하되, 상기 작동봉(152)은 내측받침부(116)에 형성되는 경사진 안내장공을 통하여 내측받침부(116)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게 하여 상기 작동봉(152) 단부에 토치바디(52)(54)를 연결설치하며, 받침편(118)은 받침대(112)에 연결형성하여 그 받침홈이 회전틀(46)의 하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40)는 먼저 용접하고자 하는 수평연결대(10)가 갖는 길이에 따라 이동체(58)가 갖는 고정핀(120)을 프레임(42)측이 갖는 핀공(12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58)를 엘엠가이드(104)를 따라 이동시켜서 고정체(56)과 원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갖는 프레임(42)의 핀공(122)에 이동체(58)가 갖는 고정핀(120)을 결합하여 이동체(58)가 주어진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또한 얻고자 하는 수평연결대(10)의 길이에 따라 고정체(56)와 이동체(58)간 간격을 조정한 후에는 미리 제작된 좌우연결구(16)(18)를 각각 고정체(56)와 이동체(58)의 회전틀(44)(46)이 갖는 결합편(80)(132)에 결합한뒤 상하연결편(76)(78) (128)(130)에 형성되는 연결공에 연결핀(82)(134)을 결합해 주게 되면 상기 연결편(82)(134)이 각각 상하연결편(76)(78)(128)(130) 사이에서 연결구(16)(18)가 갖는 작동실(22)을 관통하여 연결구(16)(18)를 주어진 위치에 견고히 결합고정해 주게 된다.
또한 고정체(56)와 이동체(58)의 회전틀(44)(46)에 연결구(16)(18)를 결합고정한 후에는 양단부에 결합홈(14)이 미리 형성된 관체(12)를 고정체(56)와 이동체(58)의 받침대(64)(112)측에 연결설치된 좌우받침편(70)(118) 사이에 공급한뒤 수평실린더(62)(110)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프레임(42)으로부터 고정체(56)와 이동체(58)가 내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체(56)와 이동체(58)의 회전틀(44)(46)에 결합고정된 연결구(16)(18)의 결합부(20)가 관체(12)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4)에 깊숙히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고정체(56)와 이동체(58) 사이에 좌우연결구(16)(18)와 관체(12)를 결합고정한 후에는 경사실린더(84)(86)(136)(138)를 작동시켜서 아크용접기가 갖는 토치바디(48)(50)(52)(54)가 관체(12)와 연결구(16)(18)의 상부양측용접부(156)(158)와 인접하도록 한뒤 수평실린더(88)(90)(140)(142)에 의한 수평작동중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상부양측용접부(156)(158)의 선용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상부양측용접부(156)(158)의 용접이 완료되면 토치바디(48)(50)(52)(54)를 복귀시킨 상태에서 고정체(56)와 이동체(58)가 갖는 좌우회전틀(44)(46)의 회전부(72)(74)가 모터(74)(126)에 의해 180°회전되게 하여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가 갖는 하부양측용접부(160)(162)가 상향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경사실린더(84)(86)(136)(138)와 수평실린더(88)(90)(140) (142)를 이용하여 토치바디(48)(50)(52)(54)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하부양측용접부(160)(162)의 선용접이 동시에 이루어져 용접작업이 완료된다.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상하좌우용접부(156)(158)(160)(162)의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각각 좌우연결구(16)(18)를 연결지지하고 있던 연결핀(82)(134)을 분리시킨뒤 수평연결대(10)를 파지하여 좌우연결구(16)(18)를 결합편(80)(132)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수평실린더(62)(110)를 이용하여 고정체(56)와 이동체(58)를 후퇴시켜 주게 되면 용접완료된 수평연결대(10)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40)는 작업자가 좌우연결구(16)(18)를 고정체(56)와 이동체(58)가 갖는 회전틀(44)(46)에 결합한뒤 상기 좌우연결구(16)(18) 사이에 관체(12)를 결합해 주게 되면 관체(12)와 좌우연결구(16)(18)의 상부양측용접부(156)(158)와 하부양측용접부(160)(162)의 용접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접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고 또 관체(12)에 대하여 좌우연결구(16)(18)가 원하는 위치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좌우연결구(16)(18)의 용접위치나 용접각도변화 등에 의한 오차없이 상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용접고정해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수평연결대 (12)--관체
(14)--결합홈 (16)(18)--연결구
(20)--결합부 (22)--작동실
(24)--작동편 (26)--잠금편
(28)--탄성체 (30)(32)--수직지지대
(34)(36)--연결핀 (38)--연결공
(40)--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42)--프레임 (44)(46)--회전틀
(48)(50)(52)(54)--토치바디 (56)--고정체
(58)--이동체 (60)--엘엠가이드
(62)--수평실린더 (64)--받침대
(66)--외측받침부 (68)--내측받침부
(70)--받침편 (72)--회전부
(74)--모터 (76)(78)--연결편
(80)--결합편 (82)--연결핀
(84)(86)--경사실린더 (88)(90)--수평실린더
(92)(94)--엘엠가이드 (96)(98)--작동편
(100)--작동봉 (104)--엘엠가이드
(106)--이동판 (108)--엘엠가이드
(110)--수평실린더 (112)--받침대
(114)--외측받침부 (116)--내측받침부
(118)--받침편 (120)--고정핀
(122)--핀공 (124)--회전부
(126)--모터 (128)(130)--연결편
(132)--결합편 (134)--연결핀
(136)(138)--경사실린더 (140)(142)--수평실린더
(144)(146)--엘엠가이드 (148)(150)--작동편
(152)--작동봉 (156)(158)(160)(162)--용접부

Claims (6)

  1. 프레임(42)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틀(44)(46) 및 아크용접기의 토치바디(48)(50)(52)(54)를 갖는 고정체(56)와 이동체(58)를 마주보게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6)는 프레임(42)으로부터 엘엠가이드(60)와 수평실린더(62)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받침대(64)의 외측받침부(66)에 회전부(72)와 모터(74)로 이루어진 회전틀(44)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회전부(72)의 일부가 내측받침부(68)가 갖는 통공을 관통하여 내측방향으로 일부돌출되게 하고 또 토치바디(48)(50)는 한쌍으로서 각각 받침대(64)의 내측받침부(68)에 경사실린더(84)(86)와 수평실린더(88)(90)에 의해 작동하도록 연결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58)는 프레임(42)에 좌우로 긴 엘엠가이드(104)를 통하여 연결설치되는 이동판(106) 상에 엘엠가이드(108)와 수평실린더(110)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는 받침대(112)를 설치한뒤 상기 받침대(112)의 외측받침부(114)에 회전부(124)와 모터(126)로 이루어진 회전틀(46)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부틀(124)의 일부가 내측받침부(116)의 통공을 관통하여 내측방향으로 일부돌출되게 하고 또 토치바디(52)(54)는 한쌍으로서 각각 받침대(112)의 내측받침부(116)에 경사실린더(136)(138)와 수평실린더(140)(142)에 의해 작동하도록 연결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틀(44)(46)이 갖는 회전부(72)(74)의 내측 상하에 각각 연결편(76)(78)(128)(130)을 돌출형성하여 하부연결편(128)(130)에는 각각 연결구(16)(18)를 결합하는 결합편(80)(132)을 상향돌출형성하고 또 상하연결편(76)(78)(128)(13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공에는 결합편(80)(132)에 결합된 연결구(16)(18)를 지지고정하는 연결핀(82)(134)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6)와 회전체(58)의 받침대(64)(12)가 갖는 각각 관체(12)를 받쳐주는 받침편(70)(78)을 연결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58)가 갖는 이동판(10)에 고정핀(120)을 연결설치하고 또 프레임(42)측에는 이동판(106)이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핀(120)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한 복수의 핀공(122)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KR1020140051073A 2014-04-28 2014-04-28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KR10156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73A KR101567754B1 (ko) 2014-04-28 2014-04-28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73A KR101567754B1 (ko) 2014-04-28 2014-04-28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20A true KR20150124320A (ko) 2015-11-05
KR101567754B1 KR101567754B1 (ko) 2015-11-11

Family

ID=5460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73A KR101567754B1 (ko) 2014-04-28 2014-04-28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920A (zh) * 2021-12-25 2022-04-19 海宁高点家具有限公司 一种室外沙发的生产工艺及运用该工艺的沙发
KR102594194B1 (ko) * 2023-08-30 2023-10-24 서상우 시스템 비계 전용 리벳팅 자동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50B1 (ko) * 2017-06-12 2018-06-29 장보성 용접 장치
KR102075352B1 (ko) * 2020-01-02 2020-02-11 (주) 태성에스텍 비계 수평재 용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920A (zh) * 2021-12-25 2022-04-19 海宁高点家具有限公司 一种室外沙发的生产工艺及运用该工艺的沙发
KR102594194B1 (ko) * 2023-08-30 2023-10-24 서상우 시스템 비계 전용 리벳팅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54B1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54B1 (ko) 비계용 수평연결대 용접장치
KR101550372B1 (ko) 러그 용접장치
CN103753093B (zh) 电梯传动架焊接定位装置及其焊接方法
JP7075978B2 (ja) 溶接機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567753B1 (ko) 비계용 수직비계봉의 암수결합부 용접장치
KR102460305B1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와 리브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클램핑지그장치
CN113399892B (zh) 一种不锈钢管件焊接加工机械
CN207534266U (zh) 用于钢管焊接的装夹工装
KR101513060B1 (ko) 용접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용 패널 제조방법
JP2006051531A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CN116460523B (zh) 一种用于钢管焊接的辅助支撑装置
KR101173971B1 (ko) 자동차 트레일링암과 스핀들 플레이트 용접용 클램핑장치
CN217776101U (zh) 一种门座起重机圆筒防轴向窜动装置
KR101317324B1 (ko) 튜브 핀 결합체의 레일형 용접 장치
KR102454456B1 (ko) 세탁기 드럼 용접장치
CN115026504A (zh) 一种起重机栏杆焊接夹具及制造方法
KR102460303B1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스터드 클램핑지그
WO2017051508A1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100903859B1 (ko) 보조사다리 제작용 지그
KR20220111942A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리브 클램핑지그
CN112809309A (zh) 一种圆管钢材焊接用定位夹紧装置
KR102346154B1 (ko) 야외운동기구 용접 지그
JP2020203300A (ja) 棒状部材の溶接装置
CN117260152B (zh) 一种铝型材加工用同步转动焊接装置
CN104607787B (zh) 一种多自由度多角度摇臂式点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