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563A - 선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563A
KR20150123563A KR1020140050111A KR20140050111A KR20150123563A KR 20150123563 A KR20150123563 A KR 20150123563A KR 1020140050111 A KR1020140050111 A KR 1020140050111A KR 20140050111 A KR20140050111 A KR 20140050111A KR 20150123563 A KR20150123563 A KR 2015012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elastic member
housing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647B1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4005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6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선형 진동모터가 개시된다. 선형 진동모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일단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보빈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보빈에 삽입된 형태의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으로,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 등의 알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진동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식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모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5562(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는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자가 수직 또는 좌우 등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는 탄성 부재가 진동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어 진동자의 진동 시 인장과 압축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선형 진동모터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에 의해 진동자가 바람직한 궤적에서 어긋나게 진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 내측면과 불필요한 마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전체적인 높이를 줄이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는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진동자의 진동 궤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선형 진동모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또한, 전체적인 높이가 높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탄성 부재 및 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선형 진동모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자의 진동 궤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선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탄성 부재 및 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선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별도의 연결 회로가 없이 코일에 전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는 선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형 진동모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일단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보빈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 측은 상기 중공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 측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중공부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벽에 의해 두 개의 구분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 공간은 상기 벽과 상기 보빈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벽의 반대 측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의 일 측에 권선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보빈의 타 측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진동 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권선 부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타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측과 결합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자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및 하면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코일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보빈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도금이 되지 않는 성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도금이 가능한 성질로 변화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보빈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양측에서 결합하는 두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탄성 부재 중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중공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 보빈 및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보빈에 권선된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보빈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 제2 보빈의 결합 부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결합 부재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도금이 되지 않는 성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도금이 가능한 성질로 변화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결합 부재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진동자의 진동 궤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탄성 부재 및 그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별도의 연결 회로가 없이 코일에 전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형 진동모터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형 진동 모터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결합부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형 진동모터를 AA'를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형 진동 모터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결합부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형 진동모터는 하우징(100), 마그네트(200), 진동자(300) 및 탄성 부재(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상면(101), 하면(103) 및 상기 상면(101)과 하면(103)을 연결하는 측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01)과 하면(103)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면(101)과 하면(103)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102)은 상면(101)과 하면(103)의 변의 개수만큼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102)은 상면(101)과 하면(103)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하우징(100)의 상면(101)과 하면(103)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상하면의 기준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정한 것이며, 설계자 등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육면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내부 공간이 개방 가능할 수 있다.
마그네트(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마그네트(200)는 하우징(100)의 내측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200)는 하우징(100)의 측면(102)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마그네트(200)는 코일(3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마그네트(200)와 코일(330)이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면서 균일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코일(330)과 대향하는 마그네트(200)의 일면은 대향하는 코일(330)의 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330)이 원형으로 권선되어 있는 경우 마그네트(200)의 일면도 원호의 형태를 가지면서 코일(330)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200)는 한 개 또는 둘 이상의 마그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마그네트(200)를 포함하는 경우, 마그네트(200)는 진동자(3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하면(101, 103)이 다각형 형상인 경우, 마그네트(200)는 다각형의 꼭지점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0)이 육면체 형태인 경우, 마그네트(200)는 4개가 하우징(100)의 4곳의 꼭지점(코너) 부근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200)는 진동자(3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2쌍이 존재한다. 4개의 마그네트(200)는 코일(3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진동자(300)는 보빈(310) 및 코일(330)을 포함한다. 코일(330)에 전기 신호가 공급되면 코일(330) 주변에서 자기장에 형성된다. 상기 자기장과 마그네트(200)의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진동자(300)는 선형 왕복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자(3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보빈(310)은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빈(310)은, 예를 들어 상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보빈(310)은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310)은 제1 보빈(311), 제2 보빈(312) 및 결합 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은 각각 중공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중공부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을 수 있고, 일측이 밀폐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결합 부재(313)는 제1 및 제2 보빈(311, 312) 사이에서 제1 및 제2 보빈(311, 312)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31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부를 가지는 경우,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중공부의 일측은 결합 부재(31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가 밀폐되는 것은 기밀하게 차폐되어 완전히 밀봉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부가 막히도록 형성되어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둘 이상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보빈(3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보빈(311), 제2 보빈(312) 및 결합 부재(313)가 별개로 형성되었다가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전체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은 상술한 결합 부재(313)에 대응될 수 있다. 벽은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벽은 중공부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중공부를 상하 두 부분의 구분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분 공간은 상기 벽과 중공부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벽의 반대 측인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코일(330)은 보빈(310)의 외부에 권선된다. 코일(330)은 상측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코일(330)은 보빈(310)의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적층되며 권선될 수도 있다.
보빈(310)에 권선된 코일(330)의 적어도 일부는 마그네트(200)와 대향된다.
코일(330)은 제1 코일(331)과 제2 코일(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31)은 보빈(310)의 일 측에 권선되고, 제2 코일(332)은 보빈(310)의 타 측에 권선된다. 여기서, 보빈(310)의 일 측은 제1 보빈(311)일 수 있고, 타 측은 제2 보빈(312)일 수 있다.
제1 코일(331) 및 제2 코일(332)에는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흘러 동일한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제1 코일(331) 및 제2 코일(332)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코일(331) 부분과 대향하는 마그네트(200)와 제2 코일(332) 부분과 대향하는 마그네트(200)는 서로 다른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331) 및 제2 코일(332)에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코일(331)과 이에 대향하는 마그네트(200) 상호간 및 제2 코일(332)과 이에 대향하는 마그네트(200) 상호간에 각각 개별적인 힘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코일(331) 및 제2 코일(332)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것보다 진동자(300)의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코일(330)은 보빈(310)에 일 방향으로 권선된 도전성 재질의 선(wire)으로 형성된다. 코일(330)은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일 방향으로 보빈(310)에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330)은 보빈(310)에 권선된 부분인 권선 부분과 권선 부분 양끝 단에 해당하는 양단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제1 및 제2 코일(331, 332) 각각의 권선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은 각각 제1 및 제2 보빈(311, 312)에 권선되고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결합 부재(313)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은 일단(331a, 332a)이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결합 부재(313) 측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 부재(313) 측의 반대 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권선되었가 다시 돌아오며 권선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타단(331b, 332b)도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결합 부재(313)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330)은 일 방향으로 진행하며 권선되고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은 권선되지 않고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각각 한 쌍씩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일단(331a, 332a)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타단(331b, 332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일단(331a, 332a)은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331b, 332b)은 다른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단자에서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전류가 공급되어 흐를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일단(401a, 402a)이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타단(401b, 402b)은 보빈(310)과 결합하여 진동자(300)가 선형 왕복 운동하는 동안 압축과 인장을 반복한다.
탄성 부재(400)의 타단(401b, 402b)은 보빈(310)의 중공부의 내부에서 결합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400)의 일단(401a, 402a) 측은 중공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탄성 부재(400)의 타단(401b, 402b) 측은 중공부의 내부에 위치한다.
탄성 부재(400)는 진동자(300)의 양측에서 결합하는 두 개의 탄성 부재(401, 40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탄성 부재(401, 402)의 일단(401a, 402a)은 하우징(100)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결합하고, 타단(401b, 402b)은 제1 및 제2 보빈(311, 312)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313) 등 중공부 내부에 위치한 벽의 양측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401, 402)의 타단(401b, 402b)과 각각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400)는 코일(330)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313) 등의 벽의 양측에는 돌출 부재(314)가 형성되어 탄성 부재(400)의 타단(401b, 402b) 측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400)의 타단(401b, 402b) 측은 돌출 부재(314) 외주면과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홈(3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단면은 중공부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 부재(400)의 외주면이 중공부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가 중공부의 내벽과 접촉되면, 진동자(300)의 선형 왕복 운동 시에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이음이 발생하거나 탄성 부재(400) 또는 보빈(310)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시 탄성 부재(400)가 중공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므로, 진동자(300)가 일정한 진동 궤적을 유지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진동자가 진동 궤적을 벗어나 진동하여 하우징(100)의 내측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진동자(300)가 선형 왕복 운동하기 위해서는 코일(330)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전기 신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전기 신호는 탄성 부재(400)에 의해 하우징(100) 외부에서 코일(3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4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 부재(402)는 각각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양극 단자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400)의 일단은 하우징(100) 외부에서 전기 신호가 공급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코일(330)의 양단과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 부재(401)의 타단(401b)은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일단(331a, 33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402)의 타단(402b)은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타단(331b, 33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하우징(100) 외부에서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코일(331, 332)에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401, 402)의 타단(401b, 402b)과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도전성 패턴(3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전성 패턴(320)은 보빈(310)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310)이 제1 및 제2 보빈(311, 312) 및 결합 부재(313)를 포함하는 경우에, 결합 부재(313) 상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탄성 부재(401, 402)의 타단(401b, 402b)은 결합 부재(313) 상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320)의 일단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패턴(3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패턴(320)의 일단은 결합 부재(313) 중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 부재(400)의 타단(401b, 402b)과 맞닿을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 코일(331, 332)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이 쉽게 연결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전성 패턴(320)의 일단은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313)의 돌출 부재(314) 외주면과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홈(315)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도전성 패턴(320)의 타단은 결합 부재(313)에서 하우징(100)의 측면(102)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313)의에서 하우징(100)의 측면(102)과 대향하는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에 도전성 패턴(320)의 타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패턴(320)의 타단과 결합하는 코일(330)의 양단(331a, 331b, 332a, 332b)은 상기 홈 내부에 위치하여 진동자(300)가 선형 왕복 운동할 때, 진동자(300)의 다른 부분이나 마그네트(200) 등과 마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패턴(320)은 결합 부재(313)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일 수 있다. 도금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금층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LDS 공법이란 처음에는 도금이 되지 않는 성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조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도금이 가능한 성질로 변화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된 사출물에, 도금층을 형성하려는 표면에 선택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사출물을 도금액에 침지하여 레이저가 조사된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LDS 공법은 상대적으로 정교한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패턴의 형상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LDS 공법에 의해 도전성 패턴(320)을 형성하는 경우, 결합 부재(313)는 상술한 첨가물이 포함된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결합 부재(313)의 표면 중 도전성 패턴(320)을 형성하려는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 후, 결합 부재(313)를 도금 용액에 침지하면 도전성 패턴(320)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전성 패턴(320)은 도금층 이외에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도전성 잉크의 인쇄층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전성 패턴(320)의 재질 및 형성 방법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선형 진동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200: 마그네트
300: 진동자 310: 보빈
311: 제1 보빈 312: 제2 보빈
313: 결합 부재 330: 코일
331: 제1 코일 332: 제2 코일
400: 탄성 부재 401: 제1 탄성 부재
402: 제2 탄성 부재

Claims (27)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일단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보빈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 측은 상기 중공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 측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는 선형 진동모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중공부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결합하는 선형 진동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벽에 의해 두 개의 구분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 공간은 상기 벽과 상기 보빈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벽의 반대 측은 개방되어 있는 선형 진동모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선행 진동모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의 일 측에 권선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보빈의 타 측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진동 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선형 진동모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권선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형 진동모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타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선형 진동모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선형 진동모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되는 선형 진동모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측과 결합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형 진동모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자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및 하면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부근에 위치하는 선형 진동모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전달하는 선형 진동모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선형 진동모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코일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보빈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선형 진동모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도금이 되지 않는 성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도금이 가능한 성질로 변화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보빈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선형 진동모터.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양측에서 결합하는 두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탄성 부재 중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선형 진동모터.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중공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 보빈 및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보빈에 권선된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보빈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 제2 보빈의 결합 부재 측에 위치하는 선형 진동모터.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선형 진동모터.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결합 부재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선형 진동모터.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도금이 되지 않는 성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도금이 가능한 성질로 변화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결합 부재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선형 진동모터.
KR1020140050111A 2014-04-25 2014-04-25 선형 진동모터 KR10158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11A KR101580647B1 (ko) 2014-04-25 2014-04-25 선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11A KR101580647B1 (ko) 2014-04-25 2014-04-25 선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63A true KR20150123563A (ko) 2015-11-04
KR101580647B1 KR101580647B1 (ko) 2015-12-30

Family

ID=546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11A KR101580647B1 (ko) 2014-04-25 2014-04-25 선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6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174A (ja) * 2000-12-01 2002-06-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リニアモータ圧縮機
KR20110027173A (ko) * 2009-09-10 2011-03-16 이인호 선형 진동자의 질량체 구조
KR20140032583A (ko) * 2012-09-06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140032863A (ko) * 2013-02-27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174A (ja) * 2000-12-01 2002-06-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リニアモータ圧縮機
KR20110027173A (ko) * 2009-09-10 2011-03-16 이인호 선형 진동자의 질량체 구조
KR20140032583A (ko) * 2012-09-06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140032863A (ko) * 2013-02-27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647B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3596B (zh) 一种线性电机
CN107872137B (zh) 线性振动马达
KR101821669B1 (ko) 선형 진동자
KR101525654B1 (ko) 선형 진동자
WO2017088359A1 (zh) 线性振动马达
KR101852093B1 (ko) 선형 진동자
KR101264971B1 (ko) 선형 진동자
KR101580647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2468399B1 (ko)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CN215580850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1799018B1 (ko) 선형 진동자
KR20180059973A (ko) 선형진동자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CN207504660U (zh) 一种振动组件和线性振动马达
KR101924357B1 (ko) 진동모터
KR102054835B1 (ko) 진동 모터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KR102226309B1 (ko) 진동모터
WO2019013083A1 (ja) 振動発生装置
KR20130012442A (ko) 선형 진동자
CN107834737A (zh) 一种振动组件和线性振动马达
WO2021117391A1 (ja) 振動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