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57B1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357B1
KR101924357B1 KR1020170063148A KR20170063148A KR101924357B1 KR 101924357 B1 KR101924357 B1 KR 101924357B1 KR 1020170063148 A KR1020170063148 A KR 1020170063148A KR 20170063148 A KR20170063148 A KR 20170063148A KR 101924357 B1 KR101924357 B1 KR 10192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housing
vibrator
magne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857A (ko
Inventor
강승렬
윤금영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6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3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과 결합되는 요크, 마그네트 및 탄성체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진동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진동모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상면, 하면 및 상기 상하면을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고,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과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마그네트와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탄성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체와의 사이에 상기 진동자를 위치하게 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진동 알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으로,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 등의 알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진동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식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 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모터는 진동자가 수직 또는 좌우 등 선형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진동 알림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진동모터보다 강한 진동력을 갖는 진동모터가 필요하다. 이는 통상 중량체의 무게 증가를 수반하며, 중량체의 무게 증가는 중량체의 재료를 비중이 큰 물질로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탄성부재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된다면, 당해 탄성부재는 부피나 재료 등의 요구되는 제원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 문제 없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진동할 수 있는 진동모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10-1545832 B1
(특허문헌 2) KR10-1546330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일과 결합되는 요크, 마그네트 및 탄성체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진동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진동모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제한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모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면, 하면 및 상기 상하면을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고,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과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마그네트와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체와의 사이에 상기 진동자를 위치하게 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 또는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일단이 내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외경부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 및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일단이 외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내경부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 및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타단 부근에 도포된 자성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 상기 제2 탄성체 및 상기 요크는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진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코일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코일의 중심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이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 및 상기 타단의 부근이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는 코일과 결합되는 요크, 마그네트 및 탄성체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진동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는 제한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회로를 도시한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의 구분은 도 1에 도시된 진동모터를 기준으로 도면의 위쪽을 상면으로, 도면의 아래쪽을 하면으로 지정하여 결정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지정한 것으로, 해당 부분의 명칭이 상면 또는 하면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회로를 도시한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모터는 하우징(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자(200)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중요 부품들 중 진동을 하지 않는 부품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진동자(300)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중요 부품들 중 진동을 하는 부품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수용된다. 하우징(100)은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결정된다. 하우징(100)은 상면,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과 하면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측면은 상하면을 연장하는 부분이다. 상면과 하면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측면이 케이스를 형성하고, 하면이 브라켓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는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조물이고, 케이스 하면에 브라켓이 결합됨에 따라 한정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케이스와 브라켓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고정자(200)와 진동자(300)가 위치한다.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상호 간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자(3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고정자(200)는 코일(210)과 요크(220)를 포함한다. 코일(21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코일(210)은 하우징(100)의 내측 중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코일(210)이 하우징(100)의 내측 중 하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면에 결합되거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210)의 양단은 회로 기판의 일단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다. 코일(210)은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코일(210)은 권선된 부분에서 인출된 인출선을 가지며. 인출선은 회로 기판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210)은 지지대(미도시)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210)이 하우징(100)의 내측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의 내측 하면에는 내측 하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210)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는 도선으로 형성된다.
코일(210)의 중심에는 요크(220)가 끼워질 수 있다. 요크(220)는 상기 브라켓 상에 고정되어서 마그네트(310)와 함께 자기회로(500)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내부가 충만하게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향하는 진동 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요크(220)는 마그네트(310)와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코일(210)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자극을 가지게 되는 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210)의 변하는 자극을 코일과 함께 가지기 위해 보자력(항자기성, coercivity)이 낮은 소재인 연성 자성체(soft magne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연성 자성체의 예로는 규소강 또는 순철로 만든 자성체, 또는 철-니켈 합금으로 만든 퍼멀로이(permalloy) 등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자성 물질들을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정도가 더 강한 강자성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강자성 물질의 예로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이 있다.
진동자(300)는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10)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면(311)과 하면(3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310)는 가운데 중공부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코일(210) 및 요크(220)와 동축으로 상기 코일(210)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마그네트(310)가 코일(210)의 외주에서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310)의 내반경은 코일(210)의 외반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마그네트(310)의 일극, 예를 들면 N극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타극, 예를 들면 S극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310)는 코일(210)과 상호간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마그네트(310)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배향될 수도 있다.
중량체(320)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물체로 형성된다. 중량체(320)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00)의 공진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중량체(320)의 질량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변경되어,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중량체(3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320)는 예를 들어,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320)는 또한, 마그네트(310)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량체(320)의 재질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는 서로 결합되어 진동 시 일체로서 진동한다. 중량체(320)는 하우징(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량체(320)의 외주 직경은 하우징(100)의 내주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체(400)는 제1 탄성체(410)와 제2 탄성체(420)를 포함한다. 제1 탄성체(410)의 일단은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타단은 진동자(3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체(410)는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100)의 내측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둘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일면은 하우징(100)의 내측 상면이 되고, 진동자(300)의 일면은 진동자(300)의 상면이 될 수 있다. 제2 탄성체(420)의 하단(423)은 하우징(100)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단(421)이 진동자(3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체(420)는 하단(423)이 하우징(100)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단(421)이 마그네트(310)의 하면(312)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탄성체(410)와 제2 탄성체(420)의 위치가 교차될 수 있다. 즉, 포괄적으로 제1 탄성체(410)는 하우징(100)과 진동자(300) 사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탄성체(420)는 제1 탄성체(410)와의 사이에 진동자(300)가 위치되도록, 하우징(100)과 진동자(30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체(400)는 진동자(300)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서 압축과 신장을 반복한다. 탄성체(400)는 판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상수는 코일(210)에 입력되는 교류 신호에 의한 진동이 공진이 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일부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회로 기판은 가요성의 연성 필름 및 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의 일단과 타단에는 코일의 인출선과 외부 신호 입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일단은 코일(210)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의 타단은 하우징(100)의 외부까지 연결되어 외부에서 코일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진동자(30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일단 부분이 진동자(30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자(300)의 진동 시, 회로 기판의 형태가 반복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FPCB(Flexible PCB)가 사용되는데, FPCB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를 구성하며, 연성 회로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 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체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기술하겠다. 제2 탄성체는 마그네트(310)의 하면(312)과 결합되는 상단(421)이 외경부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하면과 결합되는 하단(423)이 내경부로 형성되며, 내경부와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체(420)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2 탄성체(420)가 자기회로(500)를 형성시키는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서의 역할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탄성체(420)의 상단(421)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탄성체(420)와 제2 탄성체의 상단(421)이 포함할 수 있는 자성 물질은 통상의 진동모터에서 사용하는 요크(yok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요크는 자기장(자속)의 이동 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여 마그네트(3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손실 없이 코일(210)로 집중시켜 줄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코일(210)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회로(500)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조력할 수 있다. 자기회로(500)의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2 탄성체(420)의 상단(421) 부근에 있는 일부 연결부(422a)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체(420)의 연결부(422)를 따라 자기장이 형성된다면, 코일과 더 가까운 곳까지 자기장을 손실 없이 유도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인 자기회로(5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탄성체(420)의 연결부(422)는 마그네트(310)와 결합되는 상단(421)에서부터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하단(423)으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들면서 코일(210)과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제2 탄성체(420)의 상단(421) 부근에 있는 제2 탄성체의 일부 연결부(422a)가 자성 물질로 되어 있으면 마그네트(3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자속)을 코일(210)의 중심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자성 물질들을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정도가 더 강한 강자성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강자성 물질의 예로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성 자성체(soft magnet)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연성 자성체의 예로는 규소강 또는 순철로 만든 자성체, 또는 철-니켈 합금으로 만든 퍼멀로이(permalloy) 등이 있다.
제2 탄성체(420)의 일부 연결부(422a)는 필요적으로 탄성의 성질이 있어야 하므로 이를 탄성이 전혀 없는 자성 물질로 하는 것은 제2 탄성체(420)가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체(420)는 탄성의 성질을 지니면서도 마그네트(3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자속)을 코일(210)에 집중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10)의 하면(312)에서 결합하는 제2 탄성체(420)의 일단은 마그네트(3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집중 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자기투자율이 높은 물질이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일부 연결부(422a)는 탄성의 성질도 가져야 하므로, 자성 탄성체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연결부(422)를 통상의 스프링으로 하되, 마그네트(310)와 결합되는 일단 부근이 자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부분에 자성 유체 등을 도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기회로(500)가 진동모터의 단면도 상에 도시되어 있다. 코일(210)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코일(2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기장은 코일(210)과 결합되어 있는 요크(220)를 따라 마그네트(310)를 관통한다. 마찬가지로 마그네트(31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제2 탄성체(420)의 조력을 통해 코일(210)과 요크(220)를 관통한다. 이러한 두 자기장의 상호작용이 자기회로(500)를 형성한다. 자기회로(50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체(620)를 나타낸 것이다. 제2 탄성체(620)는 상단(621)이 내경부로 형성되고, 하단(623)이 외경부로 형성되며 내경부 및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체(620)를 구비한 진동모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체(620)도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체(420)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탄성체(620)가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탄성체(620)의 상단(621)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기회로의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2 탄성체의 상단(621) 부근에 있는 일부 연결부(622a)가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진동모터에서는 단수의 탄성체(700)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탄성체만으로는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2 탄성체(420,620)를 추가한 것에 더하여 제2 탄성체(420,620)가 자기회로(500)의 효과적인 형성을 조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 자기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물질인 요크과 진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는 별개의 구성으로 다루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두 역할의 부재를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상은 향후 진동모터 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200: 고정자
210: 코일 220: 요크
300: 진동자 310: 마그네트
400: 탄성체 410: 제1 탄성체
421: 제2 탄성체의 상단 422: 제2 탄성체의 연결부
423: 제2 탄성체의 하단 500: 자기회로

Claims (12)

  1. 상면, 하면 및 상기 상하면을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고, 하나의 요크와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과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마그네트와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체와의 사이에 상기 진동자를 위치하게 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중량체의 상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 또는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체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체의 상단은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코일의 중심에 끼워져서 상기 코일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트, 상기 제2 탄성체 및 상기 요크는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진동모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일단이 내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외경부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 및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모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일단이 외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내경부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 및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진동모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타단에 도포된 자성유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하는 진동모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이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진동모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 및 상기 타단이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진동모터.
KR1020170063148A 2017-05-22 2017-05-22 진동모터 KR10192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48A KR101924357B1 (ko) 2017-05-22 2017-05-22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48A KR101924357B1 (ko) 2017-05-22 2017-05-22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57A KR20180127857A (ko) 2018-11-30
KR101924357B1 true KR101924357B1 (ko) 2018-12-03

Family

ID=6456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48A KR101924357B1 (ko) 2017-05-22 2017-05-22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218B1 (ko) * 2019-02-22 2021-05-12 (주)파트론 진동모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2B1 (ko) 2010-03-12 2011-05-30 주식회사 블루콤 자성 유체가 포함된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491456B1 (ko) 2013-11-05 2015-02-23 주식회사 하이소닉 햅틱 엑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2B1 (ko) 2010-03-12 2011-05-30 주식회사 블루콤 자성 유체가 포함된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491456B1 (ko) 2013-11-05 2015-02-23 주식회사 하이소닉 햅틱 엑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57A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598B2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永久磁石による発電機
CN107623425B (zh) 线性振动产生装置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969438B1 (ko) 선형진동모터
US8138639B2 (en) Linear vibrator
US9025796B2 (en) Vibration generator
JP7234256B2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電気機械発電機
JP2006304262A (ja) 振動及び音響発生装置とここに使われるヨーク
US20180229270A1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06537742A (zh) 线性振动马达
WO2018157509A1 (zh) 线性振动马达以及电子设备
KR20150016049A (ko) 선형 진동자
WO2019029048A1 (zh) 线性振动马达
CN208571882U (zh) 电磁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665569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WO2019205490A1 (zh) 一种动铁受话器
CN115119115A (zh)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924357B1 (ko) 진동모터
EP2432250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KR10080402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JP2016201899A (ja) 振動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振動発電装置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WO2008004729A1 (en) Vib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