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490A -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490A
KR20150123490A KR1020140049847A KR20140049847A KR20150123490A KR 20150123490 A KR20150123490 A KR 20150123490A KR 1020140049847 A KR1020140049847 A KR 1020140049847A KR 20140049847 A KR20140049847 A KR 20140049847A KR 20150123490 A KR20150123490 A KR 2015012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tip
shank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장혁
양중석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3490A/ko
Publication of KR2015012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8Sawing tools of special type, e.g. wire saw strands, saw blades or saw wire equipped with diamonds or other abrasive particles in selected individual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5/00Setting gems or the like on metal parts, e.g. diamonds on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절삭팀과 샹크와의 접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절삭팁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피삭재의 절삭시 발생하는 절삭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피삭재에 대한 절삭성이 향상되도록 한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공구는 샹크; 상기 샹크의 외주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부; 및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삭공구 {CUTTING TOOLS}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절삭시 접촉이 이루어지는 팁의 구조를 개선하여 절삭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는 피삭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삭하기 위한 공구로, 이를 위해 피삭재 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절삭재인, 지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지립으로는 천연 또는 인조 다이아몬드, 큐빅질화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탄화실리콘(SiC), 탄화티타늄(TiC) 및 이외에도 다양한 초경입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절삭공구는 사용되는 공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대표적으로 원형의 샹크와, 이 샹크의 주변부에 제공되는 절삭팁을 포함하는 절삭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절삭시 절삭능력의 향상을 위해 절삭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절삭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샹크의 외경별로 절삭부하를 견딜 수 있는 두께에 제한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샹크의 두께는 절삭팁의 접합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샹크 및 절삭팁의 두께를 줄이는데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절삭팀과 샹크와의 접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절삭팁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피삭재의 절삭시 발생하는 절삭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피삭재에 대한 절삭성이 향상되도록 한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공구는 샹크; 상기 샹크의 외주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부; 및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홈부 또는 돌출부는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에서 반경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어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샹크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이 제공되고, 절삭팁부는 각각의 슬롯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절삭팁은 복수의 지립과, 복수의 지립을 보유한 상태로 측면부에 홈부 또는 돌출부가 일체로 소결 성형되는 지립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삭팁은 복수의 지립과, 측면부에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팁부재와, 팁부재에 복수의 지립을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지립결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부의 폭과 깊이, 개수에 대응하여 절삭면적이 감소되므로, 절삭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다른 부분의 면적을 줄이더라도 절삭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부분의 절삭면적 감소로 인해 절삭시 발생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는 홈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전체 절삭면적이 감소시켜 절삭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삭팁부와 샹크의 용접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홈 또는 돌출부의 배열형태에 따라 절삭면의 위치가 바뀌므로, 이에 따라 절삭면을 교대배열한 효과를 갖게 되고, 절삭된 팁의 배출의 원활해짐에 따라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삭과정에서 절삭팁부에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열적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절삭팁부와 샹크의 결합면에 다른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 결합면과 샹크의 결합면을 일정한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할 수 있어 용접작업이 용이하고 용접단면적이 넓어 균일하고 높은 용접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작업이 용이하고, 용접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용접 불량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절삭공구에 절삭팁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0)는 절삭기에 연결되는 샹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샹크(20)는 원판형, 사각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0)는 샹크(20)의 형태가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샹크(2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중앙부에는 절삭기의 회전축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구(2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샹크(20)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슬롯(24)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24)은 축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내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롯(24)의 끝부분에는 노치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샹크(20)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부(30)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삭팁부(30)는 슬롯(24) 사이에 샹크(20) 외주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절삭팁부(30)는 실질적으로 피삭재와 접촉이 이루어지며 피삭재를 절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30)는 복수의 지립과, 이러한 복수의 지립들을 보유하는 지립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일체로 소결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지립들은 피삭재와 접촉시 실질적인 절삭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지립으로는 천연 또는 인조 다이아몬드, 큐빅질화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탄화실리콘(SiC), 탄화티타늄(TiC) 및 이외에도 다양한 초경입자 등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립결합부는 지립들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본드 등의 결합제와, 각종 용제 및 바인더(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삭팁부(30)의 절삭면적은 절삭부하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삭팁부(30)의 절삭면적을 결정하는 인자 중 높이와 폭의 설계 변경은 제한적이다. 더욱이 절삭팁부(30)의 두께는 피삭재의 절삭시 발생하는 마찰의 감소 및 절삭된 피삭재의 배출을 위해 결합되는 대상인 샹크(20)의 두께 보다는 커야 하며, 샹크(20)의 두께는 절삭기의 성능 등에 따라 절삭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두께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절삭팁부(30)의 두께를 줄이는데 제한이 있다.
예컨대, 통상적인 절삭기들은 교류 220V, 2Ph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절삭기의 출력을 13.6A, 3.0Kw이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기기에서 발생하는 출력의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절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절삭공구(10)의 지립, 일례로 다이아몬드의 양이나 지립을 고정하는 메탈 본드(Metal Bond)의 성질, 종류를 변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지립의 량이나 메탈 본드의 변경만으로는 절삭부하를 줄이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절삭팁부(30)의 절삭면적을 줄이기 위해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32)는 절삭팁부(30)를 소결 성형하는 과정에서 측면부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홈부(32)는 절삭팁부(30)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단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홈부(32)는 절삭팁부(30)가 회전하는 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32)는 한 측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절삭팁부(30)의 높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홈부(32)는 절삭팁부(30)의 높이에 따라 1층 내지 20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홈부(32)는 절삭팁부(30)의 높이에 따라 1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1층 이상으로 형성되되, 많게는 약 20층까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홈부(32)는 소정의 깊이(t1)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홈부(32)는 단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 이후의 구간에서는 내경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홈부(32)들은 소정의 폭(d1)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경의 차이가 이 폭(d1)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홈부(32)는 절삭팁부(30)의 내경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복수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홈부(32)는 전단부에서 중간부분(A구간)까지는 각각의 내경으로 연속되어 제공되고, 중간부분부터 후단부(B구간)까지는 각각의 내경 크기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단부에서 중간부분(A구간)까지의 홈부(32a)와, 중간부분부터 후단부(B구간)까지의 홈부(32b)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A구간의 홈부(32a)와 B구간의 홈부(32b)는 교번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절삭팁부(30)의 A구간에서의 홈부(32a)는 B구간에서는 표면에 대응하고, A구간에서 표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B구간에서는 홈부(3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홈부(32)가 형성되는 형태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0)는 샹크(20)의 회전시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과 홈부(32)의 위치가 각각의 절삭팁부(30) 또는 인접하는 다른 절삭팁부(30)에서 교대로 반복되므로, 절삭면의 위치가 바뀌면서 절삭팁부(30)를 교대배열한 효과를 주어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30)의 하단부, 즉 샹크(20)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홈부(32)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접살팁부(30)의 하단부는 샹크(20)와 일정한 단면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절삭팁부(30)와 샹크(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절삭팁부(30)와 샹크(20)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종래에 절삭력 향상을 위해 세로형홈을 갖는 형태 등과 같이 절삭팁부(30)와 샹크(20)의 접합면이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결합면의 불안정한 용접 등에 의한 결합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30)에 현성되는 홈부(32)는 단속적으로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홈부(32)의 형상의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절삭공구(110)는 샹크(120)와, 샹크(120)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절삭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삭팁부(130)의 측면에는 복수의 홈부(132)가 제공되며, 이러한 복수의 홈부(132)는 각각의 내경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32)는 소정의 깊이(t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130)는 연속적으로 연통하는 홈부(132)가 내경방향으로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홈부(132)들은 소정의 폭(d2)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경의 차이가 이 폭(d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230, 330)는 홈부(232, 332)의 깊이(t3, t4)와 폭(d3, d4)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고하면, 절삭팁부(230)는 전단부에서 중간부분까지의 홈부(232a)와, 중간부분부터 후단부까지의 홈부(232b)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중간부분부터 후단부까지 형성되는 홈후(232b)는 절삭팁부(230)의 측면부(즉, 홈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반경위치가 조정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단부에서 중간부분까지의 홈부(232a)와, 중간부분부터 후단부까지의 홈부(232b)는 서로 교번적으로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팁부(330)에 형성되는 홈부(332)는 절삭팁부(330)의 절삭영역에서 그 폭(d4)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수도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홈부(332)의 폭(d4)는 도 7에 도시된 홈부(132)의 폭(d2) 보다 더 클 수 있다(즉, d4 > d4).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절삭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절삭공구의 절삭팁부(430)의 측면에는 복수의 홈부(432)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홈부(432)는 소정의 구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되어 형성되거나, 홈부(432)에 의해 절삭팁부(430) 사이의 측면(즉, 상대적으로 홈부(430)에 대해 돌출된 부분)이 독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삭팁부(430)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다른 소정의 구간에서 홈부(432)가 형성된 반경 위치가 전 구간의 홈부(432)와 교번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432)의 소정의 깊이(t5)와 소정의 폭(d5)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절삭팁부(430)의 측면은 홈부(432)의 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삭팁부(430)의 측면 중 일부는 기준위치(즉, 홈부(432) 저면과의 높이차=t5)보다 더 낮거나 높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는 지립과 지립결합부의 소결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샹크의 외주면에 용접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절삭팁부의 구성과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절삭공구(510)는 샹크(520)와, 샹크(520)의 외주면에 제공된 절삭팁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삭팁부(530)은 샹크(520)의 외주면에 일체로 제공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팁부재(5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팁부재(531)의 표면부, 즉 측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부(53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팁부재(531)의 표면부에는 복수의 지립(534)들이 배열될 수 있고, 이들 지립(534)들 사이에는 지립결합층(535)이 제공될 수 있다. 지립결합층(535)은 전착(electro plating) 또는 융착(brazing)에 의해 지립(534)들을 팁부재(531)에 일체로 결합유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절삭공구(510)의 팁부재(531)에 결합되는 지립(534) 및 지립결합층(534)은 한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의 측면부에는 홈부(32, 132, 232, 332, 432, 532)가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2)의 측면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의 측면에는 절삭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홈부(32, 132, 232, 332, 432, 532)가 제공된 것이나, 홈부(32, 132, 232, 332, 432)외에도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의 측면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의 돌출부에 의해 절삭성능이 향상되므로,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의 전체적인 절삭단면적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0, 110, 510)는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의 전체적인 절삭단면적의 감소로 인해 절삭부하를 경감할 수 있으며,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와 샹크(20, 120, 520)의 결합면이 균일하게 제공되므로 결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내구성 및 이에 따른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0, 110, 51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피삭재를 절삭하는 절삭휠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샹크(20, 120, 520)의 형태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절삭팁부(30, 130, 230, 330, 430, 530)가 결합된 절삭휠 뿐만 아니라 원판형 샹크 표면에 절삭부가 제공되는 그라인딩휠 또는 원통형 샹크의 단부에 절삭부가 제공되는 드릴링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는 절삭팁부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절삭공구에 절삭팁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 도 12의 (a)를 참고하면, 절삭팁부는 양측면(l1, l2)이 외곽부로 갈수록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삭팁부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l3, l4)이 중심축선 및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l5, l6)이 중심축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삭팁부는 한쪽 측면은 l3와 같이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l6과 같이 중심축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절삭팁부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삭성능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절삭공구 20: 샹크
22: 결합구 24: 슬롯
26: 노치공 30: 절삭팁부
32: 홈부

Claims (7)

  1. 샹크;
    상기 샹크의 외주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부; 및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 또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절삭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절삭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에서 반경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제공되는 절삭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삭팁부의 측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어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절삭공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샹크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절삭팁부는 각각의 슬롯 사이에 결합되는 절삭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팁부는
    복수의 지립과,
    상기 복수의 지립을 보유한 상태로 측면부에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일체로 소결 성형되는 지립결합부를 포함하는 절삭공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팁부는
    복수의 지립과,
    측면부에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팁부재와,
    상기 팁부재에 상기 복수의 지립을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지립결합층을 포함하는 절삭공구.


KR1020140049847A 2014-04-25 2014-04-25 절삭공구 KR20150123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47A KR20150123490A (ko) 2014-04-25 2014-04-25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47A KR20150123490A (ko) 2014-04-25 2014-04-25 절삭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90A true KR20150123490A (ko) 2015-11-04

Family

ID=5459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847A KR20150123490A (ko) 2014-04-25 2014-04-25 절삭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34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854B1 (ko) 연마 휠
US7367753B2 (en) Milling cutter
JP6421291B2 (ja) 研摩ブラシ
US8776649B2 (en) Turning insert, a tool part, a method as well as a machine tool for chip-cutting metal machining
US20090126712A1 (en) Stone Saw Blade
JP2014050954A (ja) 化学機械平坦化パッドコンディショナ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研磨工具
KR20020020724A (ko) 연삭 숫돌
JP2012232378A (ja) 精密研磨工具用チップ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チップを用いた研磨工具
TWI705875B (zh) 研削用磨石及其製造方法
US20100329805A1 (en) Diamond tool
EP3013518B1 (en) Cutting blade with regenerating edge segments
US11992888B2 (en) Tool for cutting teeth or for dressing of a fine machining tool having a set of external teeth
KR20150123490A (ko) 절삭공구
KR101419112B1 (ko) 코어 비트용 절삭팁
JP2013534474A (ja) 盲孔をホーニングするためのホーニング工具
JP2007307685A (ja) 研削工具
JP2002210665A (ja) 極薄切断ブレード
KR20170001126A (ko) 다이아몬드 공구
JPH11156729A (ja) チップ交換可能な砥石車
KR102144582B1 (ko) 톱날 팁 및 이를 구비한 원형톱
JP2008238299A (ja) 建材用加工刃物
JP2001009733A (ja) ダイヤモンド工具
KR101534080B1 (ko) 가공팁 및 그 가공팁을 포함하는 가공 공구
KR102268416B1 (ko) 다이아몬드 코어 드릴
KR200402618Y1 (ko) 와이어쏘 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