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436A -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436A
KR20150123436A KR1020140049657A KR20140049657A KR20150123436A KR 20150123436 A KR20150123436 A KR 20150123436A KR 1020140049657 A KR1020140049657 A KR 1020140049657A KR 20140049657 A KR20140049657 A KR 20140049657A KR 20150123436 A KR20150123436 A KR 2015012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fixing
height
pedest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630B1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철 filed Critical 이용철
Priority to KR102014004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6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용 문어집은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일정 면적의 바닥과 높이를 갖는 문어집 본체; 문어집 본체 하부에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문어집 본체 상부에는 착탈 가능하고, 먹이 투입구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문어집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문어집 본체를 고정·거치시키도록 일정 높이를 갖고, 문어집 본체 고정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거치대;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고 거치대와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로 이루어짐으로서 두족류를 분리 수용하여 양식함으로서 공식현상과 어체손상을 방지하여 양식장치 내에서 각 개체가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도록 하여 스트레스를 낮추는 동시에 상품성이 높은 개체로 사육가능하다.

Description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The cephalopoda assembly farming equipment with thigmotaxis}
본 발명은 두족류 생육 성장을 위한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적 개체 분리함으로서 공식현상과 어체손상을 방지하고, 두족류가 갖는 주촉성을 이용하여 성장속도를 높이도록 하며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두족류 양식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어는 낙지과에 속하는 한해성 동물로 한국, 일본, 알래스카, 북아메리카 캘리포니아 등 동태평양 북부에 널리 분포하는 수산자원이다. 문어는 연안 저서성 종으로 아조대∼50m의 바위틈이나 구멍에 서식한다. 문어는 바위틈이나 진흙에 판 굴 속에 있다가 팔을 밖으로 내어 먹이를 잡아먹는다.
한국에서는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에 많이 서식하고, 초여름부터 초가을 사이의 산란기를 거치는데 산란장은 암초 사이의 오목한 곳이나 모래나 개흙질로 되었더라도 오목한 곳이면 그 안쪽에다 산란을 한다. 성체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이 3, 4개월로 성장이 비교적 빠르다.
문어는 풍부한 타우린 함유로 인해 혈액 중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지질과 당질의 양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해 다이어트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문어 어획방법은 일반적으로 문어단지(octopus pot)를 이용한다. 문어가 은신처를 찾아 들어가 그곳에서 상주하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는 여러 개의 단지를 미끼 없이 일정 간격으로 밧줄에 묶어 해저에 투입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인양하여 단지 속에 들어 있는 문어를 어획하는 것이다. 단지를 인양할 때는 일반 어류 같으면 모두 놀라 탈출해버리지만 문어는 단지가 움직일수록 그 내부에 더욱 강하게 달라붙기 때문에, 단지의 인양으로 인한 문어의 도피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단지는 과거에는 토기로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되 침강력을 주기 위해 그 내부 하면에 시멘트를 붙인다. 단지의 크기는 소형선에서는 작고 대형선에서는 커서 일률적이지는 못하나, 대형선에서 사용되는 것은 입구의 지름이 10~12cm, 높이가 24~27cm, 밑면의 가장 넓은 부분이 15cm 정도이며, 모릿줄 5~7m마다 2m 정도의 아릿줄을 내어 하나씩 부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지 뚜껑에 개폐 장치를 붙이고 그 속에 미끼를 넣어 문어가 잠입할 때 개폐 장치가 닫히도록 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어느 것이든 조업은 5톤 정도의 소형 어선에 의해 행해지며, 문어가 야행성인 관계로 어구는 해질 무렵에 투입하였다가 다음날 아침 일찍 들어올린다.
이런 방식으로 어획한 문어는 해수의 유통이 잘 되는 깨끗하고 알맞은 곳에 문어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는 축양 시설에 옮겨 먹이를 주고 시설을 손질하는 등의 관리를 하면서 양성한다.
현재는 무분별한 어획과 서식환경 파괴로 인해 동 기간 중에는 살아있는 문어를 쉽게 구할 수 없고 높아진 수요에 가격 또한 높게 형성되어, 시장성과 식용가치가 높고 먹이 선택성이 좋은데 반해 성장기간이 짧아 양식전망이 높은 문어의 안정적인 수급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문어 양식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문어의 양식은 아직까지 시설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모델이 없어, 문어 습성을 고려한 은신이 가능하고 먹이 섭취가 용이하며 공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자연 상태에 가까운 환경조건에서 양식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한편 동·식물은 외부에서 받는 자극에 의해 방향성 있는 운동을 하거나 그 자극에 접근하거나 피하는 성질인 주성(走性)을 수산물 생산 방법에 적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성(走性)이란 생물체가 외부에서 받는 자극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향성이 있는 운동을 하거나 생물이 어떤 자극에 대하여 몸 전체를 움직여서 그 자극에 접근하거나 피하는 성질을 말한다. 대체로 하등동물에서 볼 수 있는 행동양식이며, 그 생물의 생존에 유익한 방향으로 적응된 행동으로 나타난다.
주성은 가해지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 나뉘어 주화성(走化性, chemotaxis : 화학물질의 자극) · 주광성(走光性, phototaxis : 빛) · 주온성(走溫性, thermotaxis ; 온도) · 주전성(走電性, electrotaxis ; 전류) · 주촉성(走觸性, thigmotaxis ; 물리적 접촉) · 주지성(走地性, geotaxis ; 중력) · 주류성(走流性, rheotaxis ; 수류 · 기류) 등으로 구분한다.
이 중 주촉성(走觸性, thigmotaxis)과 관련된 행동을 예시로 들면, 정자나 원생동물이 고형질의 표면에 부착·정지하거나, 지렁이를 유리 접시에 넣으면 접시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늘어나 결코 접시 중앙부를 기어다니지 않거나, 실지렁이가 서로 밀집하여 뭉치는 등의 특정한 행동 방향을 들 수 있다.
그 중 문어, 낙지를 비롯한 두족류는 접촉 자극(contact stimulus)에 의한 주촉성(走觸性, thigmotaxis)을 가지고 있다. 두족류는 접촉자극에 의해 몸 전체로 움직임을 이동시켜 작은 공간에서도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접촉에 의해 안정감을 가져 외부 환경 스트레스가 적으므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이 성향을 이용한 문어, 낙지를 비롯한 두족류의 양식 기술 개발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70910호에는 로프를 이용하여 가두리 그물망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두리 축양장을 통해 수산물, 해삼, 문어, 정식과정을 마치고 산란 후에 채취하는 가두리식 해삼 문어 축양장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373호에는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과 펄 또는 자갈로 채워져 있는 바닥면으로 구성된 프레임 및 바닥면 상부에 위치하며 문어과 생물이 내부에 은신 가능한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식처 부재를 포함하여, 해저에 설치되면서 일정 주기로 들어올려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3601호에는 두족류 각 개체의 서식을 위한 통체와 상기 통체에 먹이를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양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 형성된 통수공에 버가 형성되어 각 개체를 독립적으로 분리 축양하는 버타입 두족류 양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984호에는 개방된 상부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상부에 먹이를 투입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뚜껑에 의해 차단하여 분리 축양하여 공식현상을 방지하는 두족류 양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두족류가 가지는 주촉성을 이용하여 생물에 안정감을 주어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술을 개시되지 않았고, 두족류의 공식 현상과 먹이찌꺼기 배출을 고려하면서도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양식장치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본 발명과 상이하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고, 각 개체를 분리 수용하며, 두족류가 가지는 주촉성을 이용하여 양식장치 내에서 성장 사육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양식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일정 면적의 바닥과 높이를 갖는 문어집 본체; 문어집 본체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문어집 본체 상부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먹이 투입구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문어집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문어집 본체를 고정·거치시키도록 일정 높이를 갖고, 문어집 본체 고정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거치대;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고 거치대와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로 이루어진 두족류 양식용 문어집을 제공한다.
하부받침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하나 이상의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상의 교차점에는 배출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며, 문어집 뚜껑 하면의 돌출된 먹이투입구의 일단에는 그물혀가 형성되고, 문어집 본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바닥중심을 기준으로 1/3 내지 1/4 구획의 면적에 형성된다.
문어집 본체 고정공이 형성된 거치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에는 배출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며, 고정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걸쇠가 형성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거치대의 내측에는 거치대 높이 고정용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하부 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에 얹혀져 일정 높이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용 문어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고정홈과 고정걸쇠에 의해 거치대와 하부받침대의 일체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세척이 간편하고, 문어집 본체, 거치대 상면과 측면, 하부받침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으로 인해 유수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해수 유입이 자유롭게 하여 외부 압에 의한 형상의 뒤틀림과 손상이 적다. 각 개체를 문어집에 분리 수용하여 공식현상과 신체손상을 방지하고, 주촉성을 이용하여 양식장치 내에서 각 개체가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도록 하여 성장률을 높여 양식된 어체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문어집 뚜껑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A)과 문어집 뚜껑의 저면도(B)를 나타낸다.
도 3은 문어집 본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문어집 본체를 하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거치대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거치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거치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하부받침대의 좌측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인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로 뒤집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결합모습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주촉성을 이용한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일정 면적의 바닥과 높이를 갖는 문어집 본체(20)에 양식되는 두족류 개체가 분리 수용되고, 문어집 본체(20)의 개방된 상부에는 착탈 가능하고 먹이 투입구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문어집 뚜껑(10)이 결합되며, 문어집 뚜껑(10)과 문어집 본체(20)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문어집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30)에 고정공(31)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며, 상기 거치대(30)의 개방된 하부를 하부받침대(4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문어집 뚜껑(10)을 도시한 것으로, 문어집 뚜껑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A)과 문어집 뚜껑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양(B)을 나타낸다. 문어집 뚜껑(10) 상면 임의의 위치에는 먹이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먹이투입구(11)는 문어집 뚜껑(10)의 하면으로 돌출된 통공으로 형성되어있다.
문어집 뚜껑(10)은 개방된 문어집 본체(20)의 상부를 막아주어, 문어집 본체(20) 내부에 수용된 두족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먹이투입구(11)는 문어집 뚜껑(1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 뚜껑의 개폐 없이 먹이투입구(11)를 통해 생물의 먹이를 문어집 내부로 손쉽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문어나 낙지의 먹이는 통상 바지락을 먹이로 사용하는데, 바지락 1개체를 먹이투입구(11)를 통해 공급하면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의 바닥에 떨어진 바지락을 두족류가 섭이한 후, 껍질 등의 찌거기는 문어집 본체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모이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문어집 뚜껑(10)은 뚜껑의 하면으로 돌출된 먹이투입구(11)의 통공 일단에 그물혀(flapper)가 연결되어 있다. 그물혀(flapper)은 그물망 또는 폴리염화비늴(PVC, Polyvinyl chlorid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이다. 그물혀는 먹이투입구(11)의 하단에 위치한 통공의 일단을 에워싸는 고무패킹에 의해 먹이투입구(11)와 연결된다.
평소 그물혀는 개방된 하부가 구성되는 재질에 의해 자연스럽게 닫혀 있는 구조이나. 먹이가 먹이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면 먹이 중량에 의해 닫혀있던 그물혀의 하단부가 자연적으로 열리게 된다. 이는 평소 닫혀진 그물혀에 의해 문어집 본체(20) 내부에 수용된 생물의 신체 일부가 외부로 나갈 수 없게 차단하면서도, 먹이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먹이의 공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문어집 본체의 정면도를, 도 4는 문어집 본체의 하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문어집 본체(20)는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일정 면적의 바닥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측면(21)은 문어집 본체(20) 내부에 수용된 두족류 어체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작은 크기로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서 유수저항을 낮추고 해수의 유입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해수 중에 녹아있는 산소를 사육된 생물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문어집 본체(20)의 상부는 사육하기 위한 생물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어 있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되, 특정 높이에서 경사진 바닥면을 형성하여 생물 안착공간(22)이 형성되도록 한다. 바닥면은 생물안착공간(22)으로 활용되어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줄 뿐만 아니라, 먹이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먹이가 생물안착공간(22)에 안착되어 생물의 섭식이 용이하도록 함으로 생육발달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 생물안착공간(22) 바닥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데, 이는 문어집 본체(20)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23)로 연결된다. 먹이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먹이가 생물안착공간에 안착되고, 시간이 지나면 섭식하고 난 후의 찌꺼기가 남게 되며 이러한 찌꺼기를 모을 수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생물안착공간(22)의 바닥면은 배출구(23)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먹이찌꺼기가 배출구(23)로 이동되어 청소시 외부로 배출된다.
문어집 본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의 위치는 바닥중심을 기준으로 1/3 내지 1/4 구획의 면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을 중심으로 중앙에 형성되면 사육되는 두족류가 쉴 수 있는 공간이 중심을 기준으로 통공 외부에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좁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며,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는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면적과 배출구가 구분되면서 넓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5는 거치대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거치대(30)를 좌측 또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면에서 하면으로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거치대(30)의 하면과 내부가 개방된 구조이다. 거치대(3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공(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문어집이 고정공(31) 내부로 삽입되어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문어집을 고정, 거치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공(31) 이외에도 작은 복수 개의 통공이 거치대(3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분포하여, 유수저항을 줄이고 해수의 유입이 자유롭게 한다.
거치대(30)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양 측면에는 오목한 사각 형상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3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2) 중 선택된 하나의 아래에 고정홈(33)이 위치된다. 고정홈(33)은 하부받침대(4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고정턱(41)과 함께 거치대(30)와 하부받침대(40)을 일체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데 이용된다.
도 6은 거치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이고, 도 7은 거치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거치대(30)의 상면에 위치한 문어집을 고정, 거치시키는 고정공(30)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원통형 내부로부터 복수 개의 문어집 높이고정용 돌기(3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문어집 높이고정용 돌기(35)는 고정공(30) 내부로 삽입된 문어집 본체(20)가 일정 높이 위에 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든 구성 요소가 조립하여 일체된 경우, 문어집 본체(20)의 배출구(23)와 하부받침대(40)의 고정턱(41)에 의해 형성된 홈이 상하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 상기 고정턱(41)에 의해 형성된 홈은 문어집 본체(20)의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 먹이찌꺼기를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용 높이고정용 돌기(34)는 거치대(30) 내부에 위치하고, 거치대(30) 측면으로부터 수직 돌출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용 높이고정용 돌기(34)는 거치대(3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여, 저면과 거치대용 높이고정용 돌기(34) 사이에 작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거치대(30)와 하부받침대(40)가 상하로 결합됨에 있어, 거치대용 높이고정용 돌기(34)와 하부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43)와 각각 동일한 위치에 상하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하부받침대의 좌측사시도를 나타낸다. 하부받침대(40)는 사각 판 내부에 격자모양으로 통공이 복수 개 형성된다. 하부받침대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교차되도록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턱(41)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턱(41) 내부에는 하부로 만곡된 홈이 형성된다. 고정턱(41) 내부에 형성된 홈은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일체로 결합되면 홈의 상부에 문어집 본체(20)의 배출구(23)가 위치하여, 먹이찌꺼기가 배출구(23)를 통해 내려와 홈 내부에 모이게 되면, 모여진 먹이찌꺼기는 하부받침대(40)를 거치대(30)로부터 분리하여 물로 간단하게 세척함으로서 문어집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하부받침대(40)의 일측에 "∩"의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쇠(43)는 거치대(30)의 고정홈(33)에 체결되는 구조로 거치대(30)가 하부받침대(40)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하부받침대(40)의 고정걸쇠(43)는 거치대(30)의 고정홈(33)에 체결되어 거치대(30)가 하부받침대(40)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모습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단면도로 하부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42)는 수직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 또는 수평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하부받침대(40)와 거치대(30)가 상하로 결합되면, 복수 개의 하부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42)는 복수 개의 거치대 높이고정용 돌기(35)와 상하로 동일한 위치에서 각각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거치대 높이고정용 돌기(35)와 하부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42)는 거치대(30)가 하부받침대(40)가 결합됨에 있어 두 개의 부재 사이에 미세한 공간을 확보하여 해수유입이 자유롭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먹이투입구를 갖는 문어집 뚜껑을 통해 개폐작업 없이 생물의 탈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먹이 투입이 용이하고, 생물안착공간을 포함하는 문어집 본체를 통해 내부에 안착된 생물에게 정서적안정감을 줌으로서 성장률을 높여 사육된 어체의 상품성을 높이고, 어획으로만 공급되던 두족류를 대량으로 양식이 가능하여 어가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문어집 뚜껑 11 : 먹이투입구
20 : 문어집 본체 21 : 본체 측면
22 : 생물안착공간 23 : 배출구
30 : 거치대 31 : 문어집 본체 고정공
32 : 손잡이 33 : 고정홈
34 : 문어집 높이고정용 돌기
35 : 거치대 높이고정용 돌기
40 : 하부받침대 41 : 고정턱
42 : 하부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
43 : 고정걸쇠

Claims (5)

  1. 두족류 개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일정 면적의 바닥과 높이를 갖는 문어집 본체;
    문어집 본체 하부에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문어집 본체 상부에는 착탈 가능하고, 먹이 투입구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문어집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문어집 본체를 고정·거치시키도록 일정 높이를 갖고, 문어집 본체 고정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거치대;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고 거치대와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받침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하나 이상의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상의 교차점에는 배출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문어집 뚜껑 하면의 돌출된 먹이투입구의 일단에는 그물혀가 형성되고, 문어집 본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바닥중심을 기준으로 1/3 내지 1/4 구획의 면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문어집 본체 고정공이 형성된 거치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에는 배출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며, 고정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걸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정 높이를 갖는 거치대의 내측에는 거치대 높이 고정용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하부 받침대 높이고정용 돌기에 얹혀져 일정 높이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장치
KR1020140049657A 2014-04-25 2014-04-25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KR10160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57A KR101606630B1 (ko) 2014-04-25 2014-04-25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57A KR101606630B1 (ko) 2014-04-25 2014-04-25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36A true KR20150123436A (ko) 2015-11-04
KR101606630B1 KR101606630B1 (ko) 2016-03-25

Family

ID=5459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657A KR101606630B1 (ko) 2014-04-25 2014-04-25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28B1 (ko) 2019-11-13 2021-10-08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KR102651693B1 (ko) 2021-12-17 2024-03-2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주꾸미 양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092A (ja) 1998-12-01 2000-06-13 Susumu Ebisaki 二枚貝の養殖方法
KR101196469B1 (ko) 2010-04-26 2012-11-01 정병재 두족류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630B1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114B1 (ko)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CN104855310B (zh)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Mercier et al. Sea cucumber aquaculture: hatchery production, juvenile growth and industry challenges
CA2581100C (en) Method for raising aquatic animals
JP2011223908A (ja) 二枚貝の養殖方法及び施設
US3196833A (en) Method of raising shellfish seed in a simulated habitat
CA1319574C (en) Scallop aquaculture
CN104957058A (zh) 中华鲎虫仿生态养殖方法
CN105918185B (zh) 一种砗磲的人工育苗方法
KR101606630B1 (ko)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101402683B1 (ko)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CN204682167U (zh) 一种螺卵孵化器
KR20210057909A (ko)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CN203040422U (zh) 一种刀鲚苗种池塘培育中敌害防治装置
KR20150063273A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해삼 양식기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101890563B1 (ko) 문어 치어의 단계별 생육 양식어장 구조
Govan et al. Controlling predators of cultured Tridacnid clams
Velasco et al. State of shellfish aquaculture on the Caribbean coast of Colombia and potential site for a regional hatchery facility
Padmakumar et al. Captive breeding and seed production of Etroplus suratensis in controlled systems
Beal Biotic and abiotic factors influencing growth and survival in wild and cultured individuals of the soft-shell clam, Mya arenaria L., in eastern Maine.
KR10171339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KR102402241B1 (ko)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CN113396865B (zh) 白鹭觅食系统及其搭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