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137A -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137A
KR20150123137A KR1020140131449A KR20140131449A KR20150123137A KR 20150123137 A KR20150123137 A KR 20150123137A KR 1020140131449 A KR1020140131449 A KR 1020140131449A KR 20140131449 A KR20140131449 A KR 20140131449A KR 20150123137 A KR20150123137 A KR 2015012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meable
water
flow path
permeab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671B1 (ko
Inventor
김윤춘
Original Assignee
(주)코단에코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단에코크리트 filed Critical (주)코단에코크리트
Publication of KR2015012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초를 시공하는 기초 시공단계; 다공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스펀지 재질의 보수체를 설치하는 보수체 설치단계;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다수의 투수블록을 유로 간에 연통되도록 보수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보수체가 투수블록에 눌려져 투수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수블록의 유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수체가 투수블록의 유로로 돌출되어, 유로가 유로층과 보수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투수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및 재시공이 편리하고, 투수, 배수,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블록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수체를 통해 투수블록이 설치될 라인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을 통해 투수블록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보수체의 부피를 최소화면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ROAD}
본 발명은 도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사람이나 차 등이 다닐 수 있도록 땅 위에 만들어 놓은 길로서, 아스팔트 도로, 콘크리트 도로, 블록을 이용한 보도블록 도로 등이 있다.
여기서 보도블록은 주로 행인들이 이용하는 도로에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록체를 배열하여 먼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 미화를 위하여 설치된다. 그 예로는 공원, 정원 및 골프장 등의 산책로, 계단 또는 화단의 경계면에 사용하기 위한 블록 등이 있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부직포 등의 모래유실방지 시트가 설치되고, 모래유실방지 시트 위에 모래가 포설된 후, 상기 모래 위에 다수의 블록이 배열됨으로써 시공된다.
한편 보도블록은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제조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를 성형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제조된 보도블록의 경우, 시멘트의 특성상 우천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보도블록을 시공할 시 투수블록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투수블록은 적정량의 우수가 내릴 시는 투수와 더불어 지면으로 배수가 이루어지지만, 기준을 초과하는 우수가 내릴 시는 지면으로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시화의 진행으로 도시 지면의 대부분은 아스팔트 또는 보도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시화 및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 도심지의 아스팔트 또는 보도블록은 온도가 상승하며, 특히 보도블록의 경우 온도가 상승할 시 보행자는 무더위로 인해 불쾌감을 느낀다.
따라서 보도블록을 이용한 도로를 시공할 시, 배수 및 보수(물 저장) 기능을 갖추도록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1760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배수 및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를 시공하는 기초 시공단계; 다공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스펀지 재질의 보수체를 설치하는 보수체 설치단계;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다수의 투수블록을 유로 간에 연통되도록 보수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보수체가 투수블록에 눌려져 투수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수블록의 유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수체가 투수블록의 유로로 돌출되어, 유로가 유로층과 보수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투수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및 재시공이 편리하고, 투수, 배수,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블록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수체를 통해 투수블록이 설치될 라인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을 통해 투수블록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보수체의 부피를 최소화면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보수체의 상부에 상기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X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비가 내릴 시 우수가 투수블록을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수체에서 보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수체에서 우수가 투수블록을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의 배치 라인이 꺾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도 13에서 사용되는 투수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보수체의 상부에 상기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X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은 기초 시공단계(S10)와, 보수체 설치단계(S20)와, 투수블록 설치단계(S30)의 순차적인 진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S10) 기초 시공단계
기초 시공단계(S10)는 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100)를 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초 시공단계(S10)는 지면(G)에 모래유실방지시트(110)를 설치하는 모래유실방지시트 설치단계(S11)와, 모래유실방지시트(110)의 상부에 모래(120)를 포설하는 모래 포설단계(S12)를 갖춘다.
여기서 모래유실방지시트(110)는 부직포가 사용되며, 모래(120)의 유실을 방지하고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초(100)는 도로 시공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으로써, 지면(G) 자체가 되거나 평탄화 작업 된 지면(G)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초(1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모래유실방지시트(110) 및 모래(1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모래유실방지시트(110) 및 모래(120) 없이 지면(G)에 설치되는 별도의 블록 또는 탄성체 또는 다공성 블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래유실방지시트(110)의 하부에 상기 별도의 블록 또는 탄성체 또는 다공성 블록 또는 이들의 조합이 더해져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래(120) 위에 별도의 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시트 위에 배치된 투수블록 사이사이에 모래가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초(100)은 도로를 시공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S20) 보수체 설치단계
보수체 설치단계(S20)는 상기 모래(120)의 상부에 다공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스펀지 재질의 보수체(200)를 설치한다.
이때 보수체(200)는 멜라민 수지를 원료로 제조된 발포성 수지체로서 기포구조 표면이 암모늄염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코팅된 연속 기포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져 '멜라민 폼'이라 불리는 재료와, 폴리비닐알콜 성분으로 제조되는 연속기포를 가지는 발포성 수지로서 'PVA 폼'과, 암석 가루를 발포시켜서 솜과 같이 제조되는 암면(ceramic wool)과, 셀룰로오즈와 같은 섬유질로 연속공극에 형성되어 있는 '셀룰로오즈 폼' 및, 연속기공 형성이 된 발포성 '폴리우레탄 폼' 등의 연속된 공극이나 기포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보수 기능을 제공하는 물리적인 보수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수체(200)는 일정 탄성을 가지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보수체(200)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하기에서와 같이 투수블록(300)이 설치될 시, 투수블록(300)의 유로(R1)를 보수층(s)과 유로층(r)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보수층(s)에서 물이 보수되도록 한다. 즉 보수체(200)는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유로(R1)를 보수층(s)과 유로층(r)으로 구획하여, 보수 및 배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보수체(200)는 시트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보도블록을 시공할 시 매우 편리하며, 보도블록을 다시 해체하고 재시공할 시에도 매우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S30) 투수블록 설치단계
투수블록 설치단계(S30)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R1)를 구비한 다수의 투수블록(300)이 유로(R1) 간에 연통되도록 보수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보수체(200)는 투수블록(300)에 눌려져서, 보수체(200)가 투수블록(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수블록(300)의 유로(R1) 하부에 위치한 보수체(200)가 투수블록(300)의 유로(R1)로 돌출되어, 유로(R1)가 유로층(r)과 보수층(s)으로 구획된다.
즉 투수블록(300)이 보수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면, 투수블록(300)보수체(2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수체(200)는 가압을 받는 부분은 압축되고, 상대적으로 가압을 적게 받는 부분(투수블록 유로부의 하방에 위치한 부분)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도 4과 같이 투수블록(300)의 유로(R1)를 향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삽입부(210)의 하면이 기초(100)의 모래(120)와 맞닿게 도시되었지만, 상기 가압의 정도에 따라 삽입부(210)의 하면이 모래(120)와 이격되게 굴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비가 내릴 시 우수가 투수블록을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수체에서 보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수체에서 우수가 투수블록을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비가 내릴 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우수는 도로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와 같이 투수블록(300)로 유입된다. 그러면 투수블록(300)을 통과한 우수는 보수체(200)의 삽입부(210)에 흡수되어 보수된다.
이때 비가 많이 내리면, 우수는 보수체(200)가 보수할 수 있는 량을 초과하며, 초과 된 우수는 도 6과 같이 투수블록(300) 유로(R1)의 유로층(r)을 따라 별도의 배수로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후 비가 그치면, 날씨가 맑아지면서 주변 기온이 상승한다. 이때 보수체(200)에 보수된 우수는 수증기 형태로 도 7과 같이 대기 중으로 증발하고, 상기 수증기는 투수블록(300) 및 주변 공기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투수블록(300)을 통행하는 보행자는 상쾌한 느낌을 받는다. 특히 여름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는 투수블록(300)에 의한 지열 및 대기 중의 열로 인해 보행자가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상기와 같이 투수블록(300)으로부터 수증기가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주변이 냉각되어 보행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투수블록에 따른 투수 및 배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상기 투수블록이 사용된 상태에서 투수블록으로 우수가 투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로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투수블록에 따른 투수 및 배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투수블록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설명한 투수블록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R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투수블록은 유로저면부(311)와, 유로저면부(311)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면부(312)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춘 상방향으로 개구된 노면유로(R2)를 구비한 투수체(310); 유로저면부(311)의 상면과, 지지면부(312)의 상면에 구비되어, 이들 유로저면부(311)와 지지면부(312)의 파손을 방지하는, 투수체(310)의 재질보다 경질(硬質)의 보호체(320);로 구성되어, 노면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투수체 지지면부(312)의 측면을 통해 투수체(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체(310)는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유로저면부(311)와, 유로저면부(311)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면부(312)를 갖추며, 하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유로(R1)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로저면부(311)는 상부 좌우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부의 내측으로 지지면부(312)가 구비된다. 또한 유로(R1)는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보호체(320)는 유로저면부(311) 및 지지면부(312)의 상면에 구비되어 유로저면부(311) 및 지지면부(312)의 상면을 각각 보호하고, 투수체(310)의 재질 보다 경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로저면부(311) 및 지지면부(312)에 형성된 각각의 보호체(320)는 서로 단차가 지며, 보호체(320)는 투수 또는 비투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투수블록(3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되면, 도 9와 같이 보수체(200)가 투수체(310)의 유로(R1)로 돌출되어, 보수체(200)에는 유로(R1)로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수블록(300)을 시공하면 각각의 투수블록(300)은 투수체(310)의 측면이 맞대어지면서 각각의 투수체 노면유로(R2)간이 연통되고, 노면유로(R2) 중 가장 말단의 노면유로(R2)는 별도의 배수로와 연결된다.
한편 비가 내리면 우수는 투수블록(300)의 상부를 적시면서 각각의 투수체(110)의 유로저면부(311)로 이동하고, 노면유로(R2)를 따라 별도의 배수로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노면유로(R2)을 통과하는 우수 중 일부는 투수체 지지면부(312)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투수체(310)의 하부로 배수되고, 상기 지지면부(312)의 측면으로 배수되지 못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지지면부(312)의 측면을 따라 상기 별도의 배수로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우수는 상기 지지면부(312)를 통해 신속하게 배수되며, 우수의 양이 많아 상기 지지면부(312)로 투수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노면유로(R2)를 통해 신속하게 배수됨으로써 투수블록(300)의 상부에 우수가 적체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물질이 쓸려 나가 상기 노면유로(R2)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으며, 노면유로(R2)의 측면(지지면부 측면)에 이물질이 묻더라도 이물질이 쉽게 떨어진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는 상기 노면유로(R2)에 이물질이 축적될 경우,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환경 미화원의 빗질에 의해 상기 노면유로(R2)가 효율적으로 청소된다. 즉 상기 빗질을 할 경우 상기 노면유로(R2) 방향을 따라 이물질을 이송시킬 수 있어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면유로(R2)에는 이물질이 적체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면부(312)의 측면이 막히지 않아, 상기 투수 및 배수의 기능이 원활히 수행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저면부(311) 및 지지면부(312)의 상면에 각각 보호체(320)가 구비되어, 투수체(310)의 상면이 쉽게 깨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수부흡수체(21)를 이용한 보수 및 배수 작용 원리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여,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유로저면부(311)는 홈 형상을 이뤄 상기 유로(R1)의 상부에 다수 개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도 10 참조), 유로(R1)는 투수체(310)의 하부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수체(310)의 유로저면부(311) 및 지지면부(312)는 투수블록(300)의 상부가 다양한 문양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블록(300) 및 일반블록, 또는 상기 블록 간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보도블록 형태가 제조될 수 있으며, 보도블록의 용도 또는 형태 또는 시공현장의 지형에 따라 상기 블록 간의 조합을 다양화함으로써, 우수의 배수 방향(배수로 방향) 또는 보도블록의 문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투수블록의 배치 라인이 꺾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도 13에서 사용되는 투수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저면 사시도로서,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더불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보수체 설치단계(S20)에서, 투수블록(300)의 유로 폭(a) 보다 넓고 투수블록(300)의 전체 폭(b) 보다 작게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다공성 구조의 보수체(200)를 유로 기준선을 따라 설치하며, 투수블록 설치단계(S30)에서,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다수의 투수블록이 유로 간에 연통되도록 보수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보수체의(200) 양측단이 투수블록(300)에 눌려져서, 보수체(200)가 투수블록(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수블록(300)의 유로(R1) 하부에 위치한 보수체(200)가 투수블록(300)의 유로(R1)로 돌출되어, 유로(R1)가 유로층(r)과 보수층(s)으로 구획된다.
이를 부연 설명하면, 작업자는 보수체 설치단계(S20)에서 투수블록(300)의 유로 폭(a) 보다 넓고 투수블록(300)의 전체 폭(b) 보다 작은 보수체(200)를 통해 투수블록(300)이 설치될 유로 기준선을 잡고, 투수블록 설치단계(S30)에서 보수체(200)를 따라 투수블록(300)을 설치한다. 이때 유로 기준선은 양측에 막대를 세우고 줄을 설치함으로써 설치거나, 양측에서 작업자가 줄을 잡음으로써 설치되는 등 유로 기준선을 설치할 수 있으면 어떤 방법이든 무방하다.
여기서 투수블록(300)은 보수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면, 보수체(2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수체(200)는 가압을 받는 부분은 압축되고, 상대적으로 가압을 적게 받는 부분(투수블록 유로부의 하방에 위치한 부분)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도 12와 같이 투수블록(300)의 유로(R1))를 향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보수체(200)는 투수블록(300)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길게 형성된 단품 형상을 이루고 그 위에 다수의 투수블록(300)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은 배수로의 방향이 전환될 시 배수로 방향 전환 형상의 보수체(200)를 도 13과 같이 배치한 후,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보수체(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유로(R1)를 갖춘 투수블록(300)을 보수체(200)의 상부에 설치한다. 그러면 보수체(200)의 삽입부(210)가 상기 유로(R1)를 향해 삽입되면서 유로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 사용된 다양한 투수블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투수 도로 시공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 시공의 편리함 및 시공 단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보수체(200)를 설치함과 동시에 투수블록(300)이 설치될 유로 기준선을 잡기 때문에, 투수블록(300)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준선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보수체(200)의 좌우 폭이 투수블록(300)의 좌우 폭 보다 작게 구비되기 때문에, 시공시 비용이 적게 든다. 특히 보수체(200)로 유로 기준선을 설정한 후 투수블록을 설치할 시, 작업자의 육안에 투수블록을 설치할 기준선이 확연하게 표시되 작업을 매우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100; 기초 110; 모래유실방지시트
120; 모래 200; 보수체
210; 삽입부 300; 투수블록
310; 투수체 320; 보호체
R1; 유로 R2; 노면유로

Claims (4)

  1. 기초를 시공하는 기초 시공단계;
    다공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스펀지 재질의 보수체를 설치하는 보수체 설치단계;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다수의 투수블록을 유로 간에 연통되도록 보수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보수체가 투수블록에 눌려져 투수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수블록의 유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수체가 투수블록의 유로로 돌출되어, 유로가 유로층과 보수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투수블록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시공단계 후에 유로 기준선을 잡은 상태에서, 투수블록의 유로 폭(a) 보다 넓은 폭을 갖는 별물로 제작된 다수 개의 보수체를 유로 기준선을 따라 설치하는 보수체 설치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블록은, 유로저면부와, 유로저면부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면부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춘 상방향으로 개구된 노면유로를 구비하는 투수체; 유로저면부의 상면과, 지지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이들 유로저면부와 지지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투수체의 재질보다 경질(硬質)의 보호체;로 구성되어, 노면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투수체 지지면부의 측면을 통해 투수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블록 설치단계는, 투수블록의 주변에 또 다른 투수블록 또는 비투수블록이 투수블록과 어우러져 다양한 문양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KR1020140131449A 2014-04-23 2014-09-30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KR101588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937 2014-04-23
KR1020140048937 2014-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137A true KR20150123137A (ko) 2015-11-03
KR101588671B1 KR101588671B1 (ko) 2016-01-29

Family

ID=5459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449A KR101588671B1 (ko) 2014-04-23 2014-09-30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6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2752A (zh) * 2016-06-14 2016-10-12 江西师范大学 一种环保道路的施工方法
KR101725376B1 (ko) * 2016-01-04 2017-04-11 김윤춘 보수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투수블록
KR102570740B1 (ko) 2023-01-27 2023-08-24 김재학 친환경 바이오기반 1액형 요소결합을 가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투수체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04A (ja) * 1997-09-25 1999-04-13 Nihon Kogyo Co Ltd 透水性平板状ブロック
KR100984775B1 (ko) * 2009-08-06 2010-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KR101176040B1 (ko) 2012-04-03 2012-08-24 에스닷디자인(주) 투수코어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배수성 투수블럭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04A (ja) * 1997-09-25 1999-04-13 Nihon Kogyo Co Ltd 透水性平板状ブロック
KR100984775B1 (ko) * 2009-08-06 2010-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KR101176040B1 (ko) 2012-04-03 2012-08-24 에스닷디자인(주) 투수코어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배수성 투수블럭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76B1 (ko) * 2016-01-04 2017-04-11 김윤춘 보수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투수블록
CN106012752A (zh) * 2016-06-14 2016-10-12 江西师范大学 一种环保道路的施工方法
KR102570740B1 (ko) 2023-01-27 2023-08-24 김재학 친환경 바이오기반 1액형 요소결합을 가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투수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671B1 (ko) 201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46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water resource recycling system
CN207919282U (zh) 一种透水铺装结构
KR101588671B1 (ko)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JP2008169571A (ja) 透水性、保水性、排水性を具えた舗装構造とこれに用いる煉瓦
CN109629369B (zh) 一种基于建筑垃圾粉碎料的透水路面结构及其铺装方法
JP2010150924A (ja) 路面冷却道路構造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EP2514870A1 (en) Site surfacing and the use thereof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CN109403181A (zh) 一种透水路面
KR20120047400A (ko) 배수블록
KR20100118259A (ko) 친환경 트랜치 커버
KR100926538B1 (ko)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보도와 자전거 도로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보도 및 자전거도로의 시공방법
JP5359178B2 (ja) 敷石舗装システム
CN205382555U (zh) 雨水收集处理、渗透储存、可利用的无动力装置
JP4473196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CN109457569B (zh) 一种排水沥青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90418B1 (ko)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
KR100903808B1 (ko)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JP4976233B2 (ja) 貯水ユニット及び保水性舗装
KR101725376B1 (ko) 보수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투수블록
JP2019210682A (ja) ブロック舗装の排水構造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WO2005113900A1 (en) Method for installing water resource recyc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