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993A -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1993A KR20150121993A KR1020140048302A KR20140048302A KR20150121993A KR 20150121993 A KR20150121993 A KR 20150121993A KR 1020140048302 A KR1020140048302 A KR 1020140048302A KR 20140048302 A KR20140048302 A KR 20140048302A KR 20150121993 A KR20150121993 A KR 20150121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concrete
- sectional area
- pai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콘크리트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코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구조(斷熱構造)는 열이 달아나거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단열구조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내단열(內斷熱) 구조, 중단열(中斷熱) 구조, 외단열(外斷熱) 구조로 분류된다. 내단열 구조는 벽체의 실내 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일시적인 냉, 난방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나 열교 또는 냉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국부적으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외단열 구조는 벽체의 실외 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내단열 구조 및 외단열 구조의 장점 및 단점을 선택적으로 취합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들의 중간에 단열재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중단열 구조의 벽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15286호(2013.02.14 공개, 중단열 구조를 가지는 벽의 제조방법)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를 관통하는 연결재의 단부에 길이방향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연결재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단열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단열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콘크리트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는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콘크리트,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폼(form)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폼과 이격되도록 단열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구조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폼과 반대방향에, 상기 단열구조체와 이격되도록 제2 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 및 상기 제2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구조체는, 상기 제1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 및 상기 제2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폼타이의 양단부를 상기 제1 폼과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폼타이의 양단부를 상기 제2 폼과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폼타이 및 제2 폼타이는 각각,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삽입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삽입인출부재를 상기 관통홀로부터 인출하고, 코킹 컴파운드(calking compound)를 상기 관통홀에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단열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단열구조체는 단열재를 관통하는 연결재의 단부에 길이방향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연결재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연결부, 결합판,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수직 결합바, 및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연결부, 결합판,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수직 결합바, 및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코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100), 한 쌍의 지지부(200),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00), 및 돌출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는 중단열 콘크리트 구조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양쪽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C) 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단열부(100)가 한 쌍의 콘크리트(C)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한 쌍의 콘크리트(C)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부(100)는 열전단율이 매우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200)는 단열부(100)와 콘크리트(C)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즉, 단열부(10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단열부(100)를 지지하게 된다. 콘크리트(C) 타설시 단열부(100)를 단열부(100)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200)가 고정 지지함으로써, 콘크리트(C) 타설시 또는 콘크리트(C) 타설 후의 단열재가 콘크리트(C) 방향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단열재 배부름 현상이나, 콘크리트(C)와의 충돌로 인한 단열재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단열부(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전단력이 강한 철근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전단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단열부(100)를 관통하고, 단열부(100) 양측면의 지지부(200)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부(200) 양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와 결합하게 된다. 즉, 연결부(300)는 한 쌍의 지지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부(200)를 서로 구조적으로 결합시키고, 지지부(200) 및 연결부(300)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부(200) 양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를 서로 구조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단열재와 단열재 양측면의 콘크리트(C)는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400)는 연결부(300)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연결부(300)의 양단부로부터 타설될 콘크리트(C)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부(300)와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400)는 연결부(300)가 콘크리트(C)와 일체로 거동하여, 외부로부터의 큰 전단력에도 견딜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300)에 형성된 결합부가 타설되는 콘크리트(C) 속에 매입되어, 콘크리트(C)와 연결재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300)와 콘크리트(C) 거동을 일체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연결부(300), 결합판(500),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열구조체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에는 결합판(50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볼트가 나사산과 결합하여 조여짐으로써, 볼트의 내측에 결합된 결합판(500)에 내측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연결재의 단부에는 연결재가 관통하는 지지부(200)가 있고,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지지부(200)를 내측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결합판(500)이 배치되며, 결합판(500)을 내측으로 압박하는 볼트가 있어, 볼트의 조임에 따라 결합판(500)이 압박되어, 결국 지지부(200)가 단열부(100)를 측면으로부터 강하게 지지함으로써, 단열부(100)와 지지부(2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얇은 콘크리트(C) 벽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판(500)은 연결부(30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판(500)에 다수의 돌출부(400)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결합판(500)에 다수의 돌출부(400)가 분산되어 결합함으로써, 돌출부(400)와 콘크리트(C)의 결합력을 높이고, 결국 돌출부(400)와 결합된 연결부(300)와 콘크리트(C)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돌출부(400)는 몸체부(410)와 헤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결합판(500)에 결합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20)는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410)의 단부에 형성되고, 몸체부(410)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410)를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하여 콘크리트(C)가 약한 전단력을 보강하고, 단부를 몸체부(410)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헤드부(420)로 형성하여, 돌출부(400)와 콘크리트(C)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 수직 결합바(600), 및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열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에는 결합판(500) 대신 수직 결합바(6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결합바(600)는 연결부(300)의 단부에 연결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결합바(600)는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연결부(300)의 단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수직 결합바(600)에 돌출부(400)가 분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부(400)가 분산되어 결합함으로써, 돌출부(400)와 콘크리트(C)의 결합력을 높이고, 결국 돌출부(400)와 결합된 연결부(300)와 콘크리트(C)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400)는 상술한 돌출부(40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일자형의 몸체부(410)와 몸체부(410)의 단부에 몸체부(410)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수직 결합바(600)에 결합되고, 연결부(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수직 결합바(600)의 단부에 수직 결합바(600)와 직각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20)는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410)의 단부에 형성되고, 몸체부(410)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410)를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하여 콘크리트(C)가 약한 전단력을 보강하고, 단부를 몸체부(410)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헤드부(420)로 형성하여, 돌출부(400)와 콘크리트(C)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술한 단열구조체와 단열구조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C)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단열구조체와 콘크리트(C)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중단열, 즉 콘크리트(C)의 중간에 단열구조체가 삽입되어 콘크리트(C)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단열구조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 중간에 단열구조체를 삽입하여 콘크리트(C)의 단열효과를 증진시키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폼(700) 설치단계, 단열구조체 설치단계, 제2 폼(800) 설치 단계, 제1 폼타이(710)와 제2 폼타이(810)를 연결재와 결합하는 단계, 콘크리트(C) 타설단계, 삽입인출부재 인출단계, 및 코킹컴파운드 주입단계를 포함한다.
제1 폼(700)(거푸집)을 설치하고, 제1 폼(700)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단열구조체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일정간격은 이후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형성하게 될 콘크리트(C) 벽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단열구조체를 설치한 다음, 단열구조체를 중심으로 제1 폼(700)과 반대방향에 제2 폼(800)을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폼(800)도 이후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형성하게 될 콘크리트(C) 벽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일정간격 단열구조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제1 폼(700)과 단열구조체, 및 제2 폼(800)을 설치한 다음, 제1 폼(700)과 단열구조체 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제1 폼(700)을 내측으로 조여 고정할 수 있는 제1 폼타이(710)를 제1 폼(700)과 단열구조체 사이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 폼타이(710)의 일단은 제1 폼(700)과 결합되고, 타단은 단열구조체의 연결부(300)와 결합하게 된다.
제1 폼타이(710)와 단열구조체의 결합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 폼(800)과 단열구조체 사이에도 제2 폼타이(810)를 결합시킨다. 즉, 제2 폼타이(810)의 일단은 제2 폼(800)과 결합되고, 타단은 단열구조체의 연결부(30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 폼타이(710)와 연결부(300)의 결합 및 제2 폼타이(810)와 연결부(300)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300)의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1 폼타이(710)는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관통홀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제1 폼타이(710)와 연결부(300)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폼타이(810)도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부(3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300)와 제1 폼타이(710), 그리고 연결부(300)와 제2 폼타이(810)를 결합함으로써, 전체 콘크리트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C)를 관통하는 제1 폼타이(710) 및 제2 폼타이(810), 그리고 제1 폼타이(710)와 제2 폼타이(810)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00)에 의하여, 단열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양 측면의 콘크리트(C)를 하나로 거동시킴과 동시에 전단력에 약한 콘크리트(C)의 성질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폼타이(710), 제2 폼타이(810) 및 연결부(300)는 요구되는 전단력의 강도에 대응하도록 충분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폼타이(710) 및 제2 폼타이(810)는 각각,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속이 비고,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파이프의 관통홀에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삽입인출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삽입인출부재는 연결부(300)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콘크리트(C) 타설 후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삽입인출부재를 파이프의 관통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삽입인출부재는 철근 등의 전단력이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철근 등은 열전달율이 우수하여, 삽입인출부재로 인하여 열교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인출부재를 파이프의 관통홀로부터 인출시켜 제거함으로써, 폼타이로 인한 열교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삽입인출부재를 파이프의 관통홀에서 인출시킨다음, 관통홀에 코킹 컴파운드를 주입하여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코킹 컴파운드는 열전달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인출부재를 제거하고 코킹 컴파운드로 관통홀을 채움으로써, 종래 철근 등의 산화작용에 따른 콘크리트(C) 부식에 의한 표면 박리의 가능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단열구조체는 상술한 단열구조체, 콘크리트 구조체의 단열구조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 콘크리트
100: 단열부
200: 지지부
300: 연결부
400: 돌출부
410: 몸체부
420: 헤드부
500: 결합판
600: 수직 결합바
700: 제1 폼
710: 제1 폼타이
800: 제2 폼
810: 제2 폼타이
100: 단열부
200: 지지부
300: 연결부
400: 돌출부
410: 몸체부
420: 헤드부
500: 결합판
600: 수직 결합바
700: 제1 폼
710: 제1 폼타이
800: 제2 폼
810: 제2 폼타이
Claims (20)
- 한 쌍의 콘크리트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체.
- 한 쌍의 콘크리트;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 제1 폼(form)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폼과 이격되도록 단열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구조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폼과 반대방향에, 상기 단열구조체와 이격되도록 제2 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 및 상기 제2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구조체는,
상기 제1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 및 상기 제2 폼과 상기 단열구조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폼타이의 양단부를 상기 제1 폼과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폼타이의 양단부를 상기 제2 폼과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폼타이 및 제2 폼타이는 각각,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삽입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삽입인출부재를 상기 관통홀로부터 인출하고, 코킹 컴파운드(calking compound)를 상기 관통홀에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 결합바의 단부에 결합된 일자형의 몸체부와
일자형의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302A KR101577730B1 (ko) | 2014-04-22 | 2014-04-22 |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302A KR101577730B1 (ko) | 2014-04-22 | 2014-04-22 |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993A true KR20150121993A (ko) | 2015-10-30 |
KR101577730B1 KR101577730B1 (ko) | 2015-12-15 |
Family
ID=5443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8302A KR101577730B1 (ko) | 2014-04-22 | 2014-04-22 |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773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254B1 (ko) * | 2017-05-26 | 2018-05-25 | (주)태성산업개발 | 콘크리트 외벽의 중간 단열재 시공방법 및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4302B1 (ko) * | 2017-01-04 | 2019-09-23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외단열 시공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8188B1 (ko) | 2013-01-23 | 2013-04-25 | (주)태성종합건설 | 건축물 콘크리트벽 단열재 연결장치 |
-
2014
- 2014-04-22 KR KR1020140048302A patent/KR101577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254B1 (ko) * | 2017-05-26 | 2018-05-25 | (주)태성산업개발 | 콘크리트 외벽의 중간 단열재 시공방법 및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730B1 (ko) | 2015-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2801B1 (ko) |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 |
KR101577730B1 (ko) |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
KR102025991B1 (ko) |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 |
KR101680625B1 (ko)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13524050A (ja) | 安定処理土構造体内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フェーシング要素 | |
CN215926409U (zh) | 一种用于保温墙体一体化浇筑的连接构件 | |
KR10099367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 |
CN209760501U (zh) | 一种带新型垫块结构的保温夹芯建筑构件 | |
CN217580627U (zh) | 一种建筑外墙内置保温系统 | |
KR101913929B1 (ko) | 연결부 단위부재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부 구조 | |
KR20140058076A (ko) |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 |
CN212249178U (zh) | 一种墙体现浇区模板加固结构 | |
KR101574298B1 (ko) |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
KR200397739Y1 (ko) |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 |
KR200472031Y1 (ko) | 외부단열재 시공용 보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 |
KR20020029009A (ko) | 치장벽돌벽스페이서 | |
KR20170074488A (ko) |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 |
KR20110103061A (ko) | 플랜지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제조방법 | |
CN111335625A (zh) | 一种墙体现浇区模板加固结构和施工方法 | |
CN219012047U (zh) | 一种装配式结构拐角安装加固装置 | |
JP5817889B2 (ja) | 配線ボックスの配設構造、配線ボックスを埋設したコンクリート壁体、及びその構築方法 | |
KR20080050213A (ko) | 건축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단열 거푸집 및 어셈블리 타이 | |
CN219711054U (zh) | 大体积混凝土内冷却水管封堵装置 | |
KR100609868B1 (ko) |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 |
CN214942333U (zh) | 一种用于一体化复合保温墙体结构施工的顶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