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298B1 -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298B1
KR101574298B1 KR1020150019711A KR20150019711A KR101574298B1 KR 101574298 B1 KR101574298 B1 KR 101574298B1 KR 1020150019711 A KR1020150019711 A KR 1020150019711A KR 20150019711 A KR20150019711 A KR 20150019711A KR 101574298 B1 KR101574298 B1 KR 10157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die
coupl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호
한희석
박준호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안알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안알앤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타이,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거푸집이 설치되며, 단열재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폼타이(form-tie) 구조체에 있어서, 단열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단열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합되며, 제1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1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폼타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타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INSULATION STRUCTURE AND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구조는 열이 달아나거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단열구조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내단열 구조, 중단열 구조, 외단열 구조로 분류된다. 내단열 구조는 벽체의 실내 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일시적인 냉, 난방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나 열교 또는 냉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국부적으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외단열 구조는 벽체의 실외 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내단열 구조 및 외단열 구조의 장점 및 단점을 선택적으로 취합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들의 중간에 단열재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중단열 구조의 벽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15286호(2013.02.14) 중단열 구조를 가지는 벽의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크리트와 단열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거푸집이 설치되며, 단열재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폼타이(form-tie) 구조체에 있어서, 단열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단열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합되며, 제1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1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폼타이가 제공된다.
폼타이는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는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는 철을 포함하며, 간격 유지부는 제1 부재와 결합되도록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폼타이는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부재에 대한 단열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제1 부재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커버 및 제1 부재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일단이 제1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하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는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며, 제2 부재는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콘크리트, 한 쌍의 콘크리트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단열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단열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합되며, 제1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1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콘크리트 구조체는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는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는 철을 포함하며, 간격 유지부는 제1 부재와 결합되도록 자성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는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부재에 대한 단열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제1 부재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커버 제1 부재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일단이 제1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커버 및 제1 커버의 일단과 제2 커버의 일단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하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는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며, 제2 부재는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제1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 제1항에 따른 폼타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1 거푸집에 연결시키는 단계, 단열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제1항에 따른 폼타이를 이용하여, 제2 거푸집을 단열재에 연결시키는 단계, 제1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 및 제2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은 제1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제2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례하도록,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폼타이는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간격 유지부를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크리트와 단열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콘크리트(30a, 30b)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폼타이(1000)를 포함한다. 즉, 단열재(10) 및 단열재(10)의 양측에 콘크리트(30a, 30b)를 폼타이(1000)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30a, 30b)의 중간에 단열재(10) 및 폼타이(1000)가 삽입됨으로써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폼타이(10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하겠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1000)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확장부(300)를 포함하며, 고정부(500) 및 간격 유지부(400)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1000)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이격되도록 거푸집(20)이 설치되며, 단열재(10)와 거푸집(20)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30a, 30b)가 타설되는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재(100)는 단열재(10)를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 사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00) 단부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L1, L2)에 따라, 단열재(10)의 양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부재(100)는 길이방향을 갖는 부재로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00)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단열재(1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재(100)가 비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콘크리트(30a, 30b)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의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의 두께(M2)는 타측의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b)의 두께(M1)와 다를 수 있다. 두껍게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 측의 공간에, 제1 부재(100)가 상대적으로 단열재(10)로부터 많이 돌출되어야 콘크리트(30a, 30b)와 제1 부재(100)와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부재(100)는 이격 거리(L1, L2)를 조절하기 위해서,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의 공간 또는 타측의 공간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00)는 관통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0)은 제1 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부재(20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관통홀(110)을 통해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에 삽입 및 인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재(100)는 단열재(10)의 양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관통홀(110)을 통해 제2 부재(200)와 결합되어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00)는 이격 거리(L1, L2)에 비례하여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면적이 변화됨에 따라,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2 부재(200)는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에 지지된다. 또한,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가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의 사이에 지지되도록 제1 부재(100)와 결합된다.
제2 부재(200)는 길이를 갖는 부재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부재(100)의 관통홀(110)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의 관통홀(110)에 결합되어 제1 부재(10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을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의 관통홀(110)에 결합되어 제1 부재(10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제2 부재(200)의 양단은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을 관통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200)를 통해, 제1 부재(100)가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을 관통한 제2 부재(200)의 양단에는 지지체가 결합 될 수 있다. 지지체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부재(200)가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제2 부재(20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200)는 제1 거푸집(20a) 및 제2 거푸집(20b)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부재(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즉, 단열재(10)와 단열재(10)의 양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이격 거리(L1, L2)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확장부(300)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단열재(10)에 대한 제1 부재(100)의 이격 거리(L1, L2)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300)는 제1 부재(100)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1 부재(10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확장부(300)는 제1 부재(100)와 함께, 콘크리트(30a, 30b)와 결합되는 면적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확장부(300)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부재(200)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부재(100)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300)를 통해 제1 부재(100)는 용이하게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 또는 타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00) 및 확장부(300)는 단열재(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L1, L2)에 따라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면적이 조정될 수 있다.
콘크리트(30a, 30b)가 단열재(10)와 제1 거푸집(20a) 사이의 공간 및 단열재(10)와 제2 거푸집(20b) 사이의 공간에 타설되는 과정에서, 단열재(10)는 제2 부재(200)를 통해 지지된 제1 부재(10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다.
단열재(10)가 제1 부재(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단열재(10)와 제1 거푸집(20a) 사이의 거리(M2) 및 단열재(10)와 제2 거푸집(20b) 사이의 거리(M1)가 변화하게 된다. 이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쪽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가 기설정된 두께와 달라지게 됨으로써 단열 효율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콘크리트(30a, 30b)와 단열재(10)의 결합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내구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00)에 대한 단열재(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부(500)는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500)는 제1 커버(510), 제2 커버(520)를 포함하며, 결합부(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510)는 제1 부재(100)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커버(510)는 제1 부재(100)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51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 마찰력을 증가 시키기 위해, 표면처리 될 수 있으며, 금속 및 합성수지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버(510)는 제1 부재(100)와 접하는 부분에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재(100)는 철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커버(510)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520)의 일단은 제1 커버(510)의 일단과 결합되어, 제1 부재(510)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커버(520)의 일단은 제1 커버(5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52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51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 마찰력을 증가 시키기 위해, 표면처리 될 수 있으며, 금속 및 합성수지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커버(520)는 제1 부재(100)와 접하는 부분에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재(100)는 철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커버(520)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제1 커버(510) 및 제2 커버(520)를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530)는 체결볼트, 체결너트,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볼트는 제1 커버(5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체결 너트는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된다.
체결돌기는 제2 커버(520)의 타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체결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돌기이다. 체결돌기의 홈에는 체결볼트를 수용하며, 홈의 크기는 체결너트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체결볼트가 체결돌기에 삽입된 후, 체결 볼트에 체결너트를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체결 돌기와 체결 너트와의 마찰력을 통해 제1 커버(510)와 제2 커버(520)를 제1 부재(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500)는 단열재(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10)가 제1 부재(10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500)는 단열재(1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쪽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M1, M2)를 설계 치수 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단열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에 따라 단열재(10)에 대한 제1 부재(100)의 돌출 정도가 최적의 결합력을 갖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폼타이(1000)는 간격 유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10)와 확장부(30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간격 유지부(400)는 고정부(500)가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되기 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간격 유지부(400)는 횡단면이 반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길이에 따라 단열재(10)와 확장부(300)의 간격(L1, L2)을 유지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단열재(10)에 대한 확장부(300)의 이격 거리(L1, L2)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에 돌출된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간격 유지부(400)를 결합하고, 단열재(10)를 기준으로 타측에 돌출된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다른 간격 유지부(400)를 결합함으로써 단열재(10)에 대한 확장부(300)의 이격 거리(L1, L2)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 유지부(400)는 횡단면이 반원형의 파이프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재(100)의 횡단면과 다르게 간격 유지부(400)의 횡단면이 형성되더라도, 간격 유지부(400)가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면 상관 없다.
또한, 간격 유지부(400)의 재질은 플렉시블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 유지부(400)는 단열재(10)와 제1 부재(100)의 틈새에 삽입되어 단열재(10)와 제1 부재(100)간의 마찰력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10)가 제1 부재(10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부(400)는 자성을 띠는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부재(100)는 철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격 유지부(400)를 제1 부재(100)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폼타이(10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100),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S200), 단열재와 제1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300).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400), 단열재와 제2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500),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폼타이(1000) 및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100)는, 제1 거푸집(20a)을 설치장소에 지지되도록 설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S200)는, 단열재(10)가 제1 거푸집(20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제1 부재(100)를 단열재(10)에 결합시키는 단계(S110)는, 제1 부재(100)가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제1 부재(100)가 단열재(10)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부재(100)는 단열재(10)의 양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단열재(10)와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부재(100)를 단열재(10)에 결합시키는 단계(S110)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S200)전, 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S200)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열재와 제1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30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결합됨으로써, 단열재(10)와 제1 거푸집(20a)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나사 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200)를 통해, 단열재와 제1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300)는 확장부를 제1 부재의 양단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를 제1 부재의 양단에 결합시키는 것은, 제1 부재(100)를 단열재(10)에 결합시키는 단계(S110) 이후에, 확장부(300)가 제1 부재(100)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를 제1 부재의 양단에 결합시키는 것은, 확장부(300)를 제2 부재(200)와 나사 결합시켜 제1 부재(100)의 양단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이격 거리(L1, L2)는 확장부(30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확장부(300)가 제1 부재(100)의 횡단면 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서, 콘크리트(30a, 30b)와의 결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400)는, 제2 거푸집(20b)이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제1 거푸집(20a)과 반대되는 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단열재와 제2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500)는, 제2 부재(200)가 단열재(10), 제2 거푸집(20b) 및 제1 거푸집(20a)을 관통함으로써 각각을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의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는 타측의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두껍게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 측의 공간에, 제1 부재(100)가 상대적으로 단열재(10)로부터 많이 돌출되어야 콘크리트(30a, 30b)와 제1 부재(100)와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와 제2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500)이후에, 제1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L2) 또는 제2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L1)에 비례하도록, 단열재와 확장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는 제1 부재(100)의 단부(즉 확장부(300))가 단열재(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L1, L2)를 조정함으로써, 제1 부재(100) 및 확장부(300)와 콘크리트(30a, 30b)간의 결합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는 단열재와 제2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단계(S500)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는 제1 부재(100)를 단열재(10)에 결합시키는 단계(S110)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는 간격유지부(400)를 포함하는 폼타이(10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부(40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10)와 확장부(30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는 간격 유지부(400)를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이격 거리(L1, L2)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단열재(10)와 확장부(30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단열재(10)에 대한 확장부(300)의 이격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일측에 돌출된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간격 유지부(400)를 결합하고, 단열재(10)를 기준으로 타측에 돌출된 제1 부재(100)의 외주면에 다른 간격 유지부(400)를 결합함으로써 단열재(10)에 대한 확장부(300)의 이격 정도(L1, L2)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 조정단계(S510) 이후에, 제1 부재(100)에 대한 단열재(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부를 제1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S520)가 수행될 수 있다.
고정부를 제1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S510)는, 고정부(500)를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하여 제1 부재(10)의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를 제1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S510)에서, 고정부(500)는 단열재(1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단열재(10)를 기준으로 양쪽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를 최초의 설정 두께로 유지시킬 수 있어 단열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콘크리트(30a, 30b)의 두께(M1, M2)에 따라 단열재(10)에 대한 확장부(300)의 이격 거리(L1, L2)가 최적의 결합력을 갖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600)는, 콘크리트(30a, 30b)가 단열재(10)와 제1 거푸집(20a) 사이의 이격 공간 및 단열재(10)와 제2 거푸집(20b) 사이의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S600) 이후에, 제2 부재를 관통홀로부터 인출하고, 관통홀에 코킹 컴파운드(calking compound)를 주입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에 코킹 컴파운드(calking compound)를 주입하는 단계(S700)는, 관통홀(110)을 포함하는 제 1부재(100)와, 관통홀(110)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제2 부재(200)를 포함하는 폼타이(10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부재(200)는 철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철을 포함하는 소재는 열전달율이 높아, 열교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통홀(110)로부터 인출시켜 제거함으로써, 열교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킹 컴파운드(calking compound)를 주입하는 단계(S700)는, 제2 부재(200)를 관통홀(110)에서 인출시키고, 관통홀(110)에 코킹 컴파운드를 주입하여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코킹 컴파운드는 열전달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부재(200)의 산화로 인해 콘크리트(30a, 30b)가 부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단열재(10)와 콘크리트(30a, 30b)의 결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향상시킬 수 있는 폼타이,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부재
110: 관통홀
200: 제2 부재
300: 확장부
400: 간격 유지부
500: 고정부
510: 제1 커버
520: 제2 커버
530: 결합부
1000: 폼타이
10: 단열재
20: 거푸집
20a: 제1 거푸집
20b: 제2 거푸집
30a, 30b: 콘크리트

Claims (19)

  1.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거푸집이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와 상기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폼타이(form-tie)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단열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와 상기 확장부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 및
    상기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단열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둘레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커버;
    상기 제1 부재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제1 부재측으로 밀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폼타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철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도록 자성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폼타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타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타이.
  9. 한 쌍의 콘크리트;
    단열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단열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와 상기 확장부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 및
    상기 단열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단열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둘레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커버;
    상기 제1 부재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제1 부재측으로 밀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철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도록 자성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관통홀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7. 제1항에 따른 폼타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폼타이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를 상기 제1 거푸집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단열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폼타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거푸집을 상기 단열재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간격 유지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거푸집과 상기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제2 거푸집과 상기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단열재와 상기 확장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단계; 및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단열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에 제1항에 따른 고정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과 상기 단열재 사이 및 상기 제2 거푸집과 상기 단열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19711A 2015-02-09 2015-02-09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KR10157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711A KR101574298B1 (ko) 2015-02-09 2015-02-09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711A KR101574298B1 (ko) 2015-02-09 2015-02-09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298B1 true KR101574298B1 (ko) 2015-12-14

Family

ID=5502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711A KR101574298B1 (ko) 2015-02-09 2015-02-09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520A (ko) *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666A (ja) * 2000-11-07 2002-05-17 Kenji Kobayashi 後付け止水リング
KR101466936B1 (ko) * 2014-06-30 2014-12-03 (주)태성종합건설 단열재 시공에 따른 외부 벽체 보강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666A (ja) * 2000-11-07 2002-05-17 Kenji Kobayashi 後付け止水リング
KR101466936B1 (ko) * 2014-06-30 2014-12-03 (주)태성종합건설 단열재 시공에 따른 외부 벽체 보강구조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520A (ko) *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2606151B1 (ko) * 2021-09-30 2023-11-23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324B1 (ko) 단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336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88752B1 (ko) 파이프 고정구
US10197210B2 (en) Magnetic closures for pipe insulation
US20080034687A1 (en) Embeddable device for passing conduits through a constructional component
KR101715324B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101574298B1 (ko) 폼타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KR102025991B1 (ko)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101262565B1 (ko)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
KR100708252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JP6918438B2 (ja) 配管支持構造
KR101758889B1 (ko)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KR101500456B1 (ko)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KR101699042B1 (ko) 층간 연결관 지지구조
KR101577730B1 (ko)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JP6151682B2 (ja) 固定装置
CA2966339A1 (en) Panel splice connector for linear panels
KR1019324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KR101071030B1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의 고정장치
KR20150125397A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JP2020076303A (ja) シース接続具、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設置方法
JP5817889B2 (ja) 配線ボックスの配設構造、配線ボックスを埋設したコンクリート壁体、及びその構築方法
JP7335180B2 (ja) 配管支持具
KR102254177B1 (ko) 단열재 브라켓 장치
KR20140042560A (ko) 축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