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868B1 -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868B1
KR100609868B1 KR1020050036767A KR20050036767A KR100609868B1 KR 100609868 B1 KR100609868 B1 KR 100609868B1 KR 1020050036767 A KR1020050036767 A KR 1020050036767A KR 20050036767 A KR20050036767 A KR 20050036767A KR 100609868 B1 KR100609868 B1 KR 10060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nipple
heat dissipation
pip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Priority to KR102005003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inner elastic part pressed against an out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6Mattresses, mats, blank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접속시점)에서 중심(접속종점)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을 갖는 돌기가 외주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니플과 이 니플을 채택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nipple and heat transfer pipe assembly with the nipple}
도 1은 종래의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니플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니플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니플을 온돌 마루 조립체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니플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니플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4의 방열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엘보우 타입 니플을 도시한 도.
도 10은 끼움 방식의 다른 온돌마루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 니플 111, 131 : 돌기
111a, 131a : 하향경사면 150 : 스토퍼
170 : ○-링 200 : 온돌마루
210 : 단열재 211 : 요홈
230,230, : 방열부재 231,231' : 파이프
231a : 내경면취부 236,236' : 방열판
240 : 고정판 250 : 강화마루바닥재
270 : 열전도판
본 발명은 양단(접속시점)에서 중심(접속종점)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을 갖는 돌기가 외주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니플과 이 니플을 채택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니플로서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300312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파이프(3)를 연결시키는 니플(1)에 파이프(3)가 삽입된 후 클램프 밴드(2)를 압착기로 압착하여 파이프(3)를 조여 수밀과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니플에 있어서, 상기 니플(1)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돌턱(5) 사이의 홈(6)에 적어도 2곳 이상에서 오링홈(7)이 형성되어 오링(8, 8')이 위치하며, 상기 오링(8, 8')이 클램프 밴드(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실용신안 실1994-1423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소켓관과 너트를 이용하여 난방관체를 온수분배기에 연결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소켓관의 전단부를 단일 관체로 형성하고 전단에는 다수의 걸림턱(21)을 가진 독립체의 니플(22)을 형성하여 그 후단에 플랜지(23)를 형성하며, 그 위쪽에는 소켓관에 끼워지는 삽입부(24)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니플(22)의 경사면(21a)이 우측단에서 중심 즉 플랜지(23)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θ)지게 형성됨으로써, 너트와 소켓관의 조임 부품을 이용하여 난방관체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니플과 파이프간의 확실한 접속을 위해,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별도의 조임 부품이 더 사용됨으로써, 이 조임 부품에 의해 파이프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져 길이가 긴 파이프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초래하고, 조이는 작업공수가 필요하여 조립성이 떨어지고, 더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조임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파이프간의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니플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조임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파이프간의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니플을 사용하여 열전달파이프간의 조립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니플은 제1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제2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2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니플은 제1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제2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2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제1접속부의 일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고,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제2접속부의 타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조임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파이프간의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하향경사면에 ○-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는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와 방열부재 간을 접속하는 니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니플은 상기 방열파이프 간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접속부; 상기 제1 및 제2접속 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고, 상기 하향경사면에 ○-링이 설치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조임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파이프간의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니플을 사용하여 열전달파이프간의 조립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방열파이프의 하면에는 요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양측은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사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열파이프의 내경은 면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니플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니플을 온돌 마루 조립체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니플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니플(100)은 제1파이프(231')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110)와, 제2파이프(231)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130)와, 상기 제1접속부(110) 및 제2접속부(1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111) 및 제2돌기(13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니플(1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111)와 제2돌기(131)에는 상기 접속부(110)(130)의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접속시점에서 접속종단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각도(θ1)(θ2)를 갖는 하향경사면(111a)(13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하향경사면(111a)과 하향경사면(131a)은 후술된 스토퍼(15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 하향경사면(111a)(131a)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링(1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링(170)은 실링 기능도 하지만, 본 실시예의 하향경사면(111a)(131a)과 ○-링(170)의 채택 결합은 조임 기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하향경사면(111a)(131a)은 종래의 상향경사면(21a)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반대방향의 경사로 인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파이프(231')(231)을 당기면, ○-링(170)은 하향경사면(111a)(131a)의 직경이 큰 쪽으로 밀려 올라가려고 간다. 이 밀려 올라가는 ○-링(170)이 어느 정도 타고 올라가다가 쐐기 작용을 하여, 파이프(231')(231)의 강제적 분리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쉽게 분리시킬 수 없다.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30)의 중심에는 스토퍼(150)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150)는 파이프(230)(230')간의 접속 깊이를 알맞게 유지 하도록 한다.
한편, 파이프가 연질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경사면(111a)을 갖는 제1접속부(110)와, 종래와 같이 상향경사면(21a)을 갖는 제2접속부(22)로 구성된 니플(10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접속부(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경사면(111a)과 ○-링(170)에 의해, XL파이프 또는 방열파이프(231')가 삽입 접속되는 반면에, 제2접속부(22)에는 상향경사면(21a)과 클램프 밴드에 의해 연질파이프가 접속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니플(100)(100')은 파이프의 종류에 상관없이 접속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온돌마루용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로의 적용을 설명한다.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부재(230)와, 상기 방열부재(230) 간을 접속하는 전술한 니플(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부재(230)는 방열파이프(231)와, 상기 방열파이프(231)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열판(2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열파이프(231)는 온수나 냉수가 통하는 배관으로서, 온수인 경우에는 방열을, 냉수인 경우에는 흡열을 행한다. 여기서는 온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열파이프(231)는 단열재(210)의 요홈(211)에 수용되고, 방열판(236)은 강화마루바닥재(250)에 접촉하게 된다. 방열판(236)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그 사이에 적어도 강화마루바닥재(250)의 면적과 유사한 열전도판(270)이 개재되는 것이 열전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방열판(236)의 사이즈를 열전도판(270)과 같이 성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열전도판(270)의 생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열부재(23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210)는 속이 빈 함의 양단에 요홈을 내고, 이 요홈에 방열파이프(231)를 장착한 후, 함 내부에 흙이나 황토를 메워 사용할 수도 있다. 황토에서는 원적외선이 나와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규격화된 강화마루바닥재(250)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 합판, 석재를 소재로 하고 표면을 HPL(High Pressure Laminate)이나 LPL(Low Pressure Laminate)로 처리한 것이다. 이 강화마루바닥재(250)의 양측에는 결합돌기(251)와 결합홈(256)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하여 온돌마루를 완성한다. 이 결합돌기(251)와 결합홈(256)은 전후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는 반면에, 도 10과 같이, 결합돌기(251')와 결합홈(256')이 좌우로 끼워 결합하는 방식의 강화마루바닥재(250')가 있다. 이 온돌마루바닥재(250)는 방열판(236) 또는 열전도판(270)에 접착 고정된다.
강화마루바닥재(250)의 사이즈(폭*길이)는 HDF 나 합판인 경우에는 190mm * 1200mm, 200 * 1800mm, 200mm * 2400mm 등이, 석재인 경우에는 300mm * 900mm, 200mm * 600mm 등이 규격화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파이프(231)의 하면에는 요홈(21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24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열재(210)가 스티로폼인 경우 고정판(240)이 요홈(211)에 삽입될 때 파고 들어가 걸리게 되어, 잘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몰탈 또는 흙으로 단열재(210)를 성형할 때에는, 그 속에 묻혀 고정 철근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240)의 양측에는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절곡부(24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절곡부(240a)는 요홈(211) 내로 잘 타고 들어가는 안내역할도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파이프(230)의 내경에는 면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면취부(231a)는 니플(100)의 양단을 방열파이프(230)의 내부로 잘 안내하는 안내면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유니온 타입 니플(1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보우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밖에 T자, Y자, 소켓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엘보우 등의 니플은 병렬로 배치된 방열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XL파이프 또는 연질파이프로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미리 조립한 온돌마루를 시공현장에 가지고 와서 니플을 방열파이프에 끼운 후 밀어 넣기만 하면(도 10 참조) 시공이 완료되어서 작업성과 시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돌마루조립체간을 미리 니플로 접속한 후 시공현장에서는 병렬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플 및 열전달파이프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니플은 온돌마루의 방열파이프 접속용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온돌마루 이외의 관이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의 니플 및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니플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과 이 하향경사면에 설치된 ○-링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클램프 밴드나 너트와 같은 별도의 조임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히 접속을 행하고, 조이는 작업공수가 필요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파이프간의 접속 틈새가 거의 없어 길이가 짧은 파이프간의 단위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방열파이프의 하면에는 요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이 더 형성됨으로써, 스티로폼단열재의 요홈에 파고 들어가 고정되고, 몰탈이나 흙으로 단열재를 성형할 경우 그 속에 파묻혀 고정 철근 역할을 한다.
셋째, 상기 고정판의 양측은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됨으로써, 전술한 효과 뿐 아니라 요홈으로의 수용을 잘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사이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간의 접속 깊이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방열파이프의 내경이 면취됨으로써, 니플을 안내하는 안내면의 역할을 한다.

Claims (7)

  1. 제1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제2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2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
  2. 제1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제2파이프의 내면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2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제1접속부의 일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고,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제2접속부의 타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경사면에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
  4.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와 방열부재 간을 접속하는 니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니플은 상기 방열파이프 간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접속부;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고,
    상기 하향경사면에 ○-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파이프의 하면에는 요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은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사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열파이프의 내경은 면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KR1020050036767A 2005-05-02 2005-05-02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KR10060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67A KR100609868B1 (ko) 2005-05-02 2005-05-02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67A KR100609868B1 (ko) 2005-05-02 2005-05-02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868B1 true KR100609868B1 (ko) 2006-08-22

Family

ID=3760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67A KR100609868B1 (ko) 2005-05-02 2005-05-02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034B1 (ko) * 2012-09-13 2014-07-24 주식회사 온수텍 연결 클램프을 포함한 엑셀파이프가 결합된 온수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5972A (en) 1985-05-13 1987-01-13 R. W. Lyall & Company, Inc. Plastic pip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560279A (ja) * 1991-08-26 1993-03-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の接続構造
JPH0719691U (ja) * 1993-09-06 1995-04-07 雅之 林 回転式ホース接続具
US5470113A (en) 1993-05-13 1995-11-28 Vulkan Lokring Gmbh Connector for plastic tubes
US6003906A (en) 1997-11-04 1999-12-21 Terence M. Fogarty Connector for elastomeric conduit
KR200371779Y1 (ko) 2004-10-04 2005-01-15 주식회사 매트릭스 온돌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5972A (en) 1985-05-13 1987-01-13 R. W. Lyall & Company, Inc. Plastic pip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560279A (ja) * 1991-08-26 1993-03-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の接続構造
US5470113A (en) 1993-05-13 1995-11-28 Vulkan Lokring Gmbh Connector for plastic tubes
JPH0719691U (ja) * 1993-09-06 1995-04-07 雅之 林 回転式ホース接続具
US6003906A (en) 1997-11-04 1999-12-21 Terence M. Fogarty Connector for elastomeric conduit
KR200371779Y1 (ko) 2004-10-04 2005-01-15 주식회사 매트릭스 온돌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034B1 (ko) * 2012-09-13 2014-07-24 주식회사 온수텍 연결 클램프을 포함한 엑셀파이프가 결합된 온수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93197B (ko)
KR100674668B1 (ko) 온돌마루
KR100740590B1 (ko) 배관의 이음구
KR100609868B1 (ko) 니플과 이 니플이 채택된 열전달파이프 조립체
JP4311545B2 (ja) 流体分配プラントを形成するための中空エレメントを接続しかつブロックするデバイス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JP4980146B2 (ja) ハンドホール設置構造
KR20070057289A (ko) 온돌마루용 방열파이프 조립체
KR101288061B1 (ko)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KR1006304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100786978B1 (ko) 수관의 벽체 설치 시스템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909887B1 (ko) 연결 고정용 하수관
KR20150121993A (ko) 단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KR200251628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KR10046846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KR102254019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130022451A (ko) 소켓 연결장치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063704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지중 매설되는 상하수관용 연결 소켓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JP5572888B2 (ja) 支持ブロック連結具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405211Y1 (ko) 배수관의 슬리브 연결용 유니온
KR200269741Y1 (ko) 엘형 이중관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