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58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583A
KR20150121583A KR1020140047652A KR20140047652A KR20150121583A KR 20150121583 A KR20150121583 A KR 20150121583A KR 1020140047652 A KR1020140047652 A KR 1020140047652A KR 20140047652 A KR20140047652 A KR 20140047652A KR 20150121583 A KR20150121583 A KR 2015012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groove
panel
draw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908B1 (ko
Inventor
차병돈
박정진
진율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47B88/956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for enabling adjustment of the front pan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박스와,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가이드부에는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되며, 드로워 패널은 리브가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고, 세제박스가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인출되는 도중일 때,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이 면접촉되면서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찰시 발생될 수 있는 표면의 손상이나 소음을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박스가 착탈되게 안내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나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이다.
세탁기는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는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세제박스와, 세제박스와 결합되는 드로워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될 수 있다.
KR 10-0479083 Y1 (2005년3월25일) KR 10-1203568 Y1 (2012년11월21일)
본 발명은 컨트롤 패널과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의 마찰시 발생될 수 있는 손상 및 소음을 간단한 구조로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진다.
상기 리브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리브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1구배부와, 상기 제1구배부 전방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2구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과 후단 중 선단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의 선단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배면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 볼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배면과 상기 리브 사이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데코 수용바디는 상기 컨트롤 패널 옆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컨트롤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드로워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데코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좌측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좌측 가이드 홈부와 우측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우측 가이드 홈부가 각각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드로워 패널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부와 우측 가이드부 중 상기 측판과 더 가까운 가이드부에는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진다.
상기 리브는 우회하는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리브가 돌출된 가이드부는 상기 리브의 전방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이드부와 우측 가이드부 중 상기 측판과 더 먼 가이드부에는 상기 함몰부의 반대편 위치에 보조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영역 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제2영역이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진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영역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1구배부와, 상기 제3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2구배부와, 상기 제1구배부와 제2구배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배부과 중앙부과 제2구배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우회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의 선단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과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컨트롤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드로워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데코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가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인출되는 도중일 때, 드로워 패널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이 면접촉되면서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찰시 발생될 수 있는 표면의 손상이나 소음을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박스의 착탈시 착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브가 가이드 홈부 주변에 전방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어, 진동 등에 의해 세제박스와 드로워 패널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박스가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인출되는 도중일 때, 드로워 데코가 프론트 데코와 면접촉되면서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드로워 데코가 프론트 데코 각각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에서 드로워 어셈블리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컨트롤 패널 및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도중일 때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로워 패널이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때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장착 완료되었을 때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도중일 때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드로워 패널이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때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장착 완료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에서 드로워 어셈블리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컨트롤 패널 및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이다.
세탁기는 캐비닛(2)과;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와, 드로워 어셈블리(6)를 포함한다.
캐비닛(2)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캐비닛(2)에는 포가 캐비닛(2) 내측으로 출입되기 위한 포 출입구(3)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는 포가 담겨지는 드럼(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드럼(12)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은 하나의 부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닛(2)은 베이스 팬(미도시)과, 베이스 팬에 설치되고 터브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바디(14)와, 캐비닛 바디(14)의 전방에 배치되고 포 출입구(4)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6)와, 캐비닛 바디(14)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16)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 커버(16)는 베이스 팬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좌측 커버와, 베이스 팬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는 우측 커버와, 베이스 팬의 후방부 상부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은 복수개 부재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다양한 변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캐비닛(2)에는 포 출입구(3)를 개폐하는 도어(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22)는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2)는 캐비닛 커버(16)에 설치된 힌지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세탁기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를 세탁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조작부와 표시부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캐비닛(2)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캐비닛 커버(1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캐비닛(2)의 전면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세탁기의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42)과, 컨트롤 패널(42)에 설치된 피시비 어셈블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세탁기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윈도우(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컨트롤 패널(42)의 장식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컨트롤 패널(42)에 설치되는 컨트롤 데코(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2)은 피시비 어셈블리(44)가 수용되고 보호되는 피시비 어셈블리 커버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2)에는 컨트롤 데코(48)에 의해 둘러싸이는 돌출부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2)의 돌출부는 피시비 어셈블리 커버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 커버부(52)에는 컨트롤 데코(48)에 의해 둘러싸이는 돌출부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2)은 드로워 패널(90)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측판(56)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은 피시비 어셈블리 커버부(5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는 드로워 어셈블리(6)의 후술하는 드로워 패널(90)을 수용하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컨트롤 패널(42)의 옆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3)는 컨트롤 패널(42)과 별도로 구성되고 컨트롤 패널(42)과 캐비닛(2)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컨트롤 패널(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컨트롤 패널(42) 옆에 컨트롤 패널(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피시비 어셈블리 커버부(52)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컨트롤 패널(42)의 옆에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드로워 패널(9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함몰된 형상의 빈 공간을 갖을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드로워 어셈블리(6)의 장착시, 드로워 패널(90)의 배면을 마주보는 후판(55)과, 드로워 패널(90)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측판(56)과, 드로워 패널(90)의 저면을 마주보는 하판(57)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는 컨트롤 패널(42)과 측판(56)을 공유할 수 있고, 측판(56)의 일측면은 드로워 패널(90)을 마주볼 수 있는 드로워 패널 대향면이 될 수 있고, 측판(56)의 타측면은 피시비 어셈블리(44)를 마주볼 수 있는 피시비 어셈블리 대향면이 될 수 있다. 세탁기는 측판(56)을 사이에 두고 측판(56)의 좌측에 피시비 어셈블리(44)가 위치될 수 있고, 측판(56)의 우측에 드로워 패널(90)이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측판(5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의 측판(56)으로 설명되거나,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으로 설명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에는 드로워 어셈블리(6)의 후술하는 세제박스(70)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세제박스 관통공(60)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관통공(60)은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관통공(60)은 세제박스(70)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관통공(60)은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의 후판(55)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에는 드로워 어셈블리(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어셈블리(6)의 후술하는 가이드부(74)가 안내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의 후판(55)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세제박스 관통공(60)과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관통공(60)과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관통공(60)과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의 후판(55)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세제박스 관통공(60)의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측면부(63)와, 상면부(64)와, 하면부(65)를 포함할 수 있고, 측면부(63)와 상면부(64)와 하면부(65) 사이에 세제박스 관통공(60)과 통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 단수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한 쌍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홈부(62)는 한 쌍 구비될 경우, 세제박스 관통공(60)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세제박스 관통공(60)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가이드 홈부(62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는 좌측 가이드부(74A)가 안내되는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우측 가이드부(74B)가 안내되는 우측 가이드 홈부(6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우측 가이드 홈부(62B)는 세제박스 출입공(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우측 가이드 홈부(62B)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우측 가이드 홈부(62B) 각각은 측면부(63)와, 상면부(64)와, 하면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홈부(62A)와 우측 가이드 홈부(62B)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홈부(62A)의 측면부(63)와 우측 가이드 홈부(62B)의 측면부(63) 사이의 좌우 방향 거리는, 좌측 가이드부(74A)의 좌측단과 우측 가이드부(74B)의 우측단 사이의 좌우 방향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4)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엘이디와 엘시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는 텟 스위치나 터치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윈도우(46)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6)는 세탁기가 외부로 표시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창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조사된 광은 윈도우(46)로 조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윈도우(46)를 보고 세탁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46)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하는 조작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를 터치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스위치는 조작될 수 있다. 윈도우(46)는 컨트롤 패널(42)의 돌출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윈도우(46)는 컨트롤 데코(48)에 구속되어 그 임의탈거가 제한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컨트롤 패널(42)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데코(48)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42)의 돌출부 상,하,좌,우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데코(48)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윈도우(64)가 전방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윈도우(46)를 구속하는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는 컨트롤 데코(48)에서 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윈도우(46)를 고정하는 윈도우 홀더로 기능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42)의 돌출부 상,하,좌,우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데코(48)는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데코(48)는 외표면이 크롬 도금될 수 있고, 이러한 도금층은 세탁기의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드로워 어셈블리(6)는 세제박스(70)와, 드로워 패널(90)을 포함한다. 드로워 어셈블리(6)에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70)는 상면이 개방된 세제 수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박스(70)에는 가이드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의 상부에 옆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의 출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에 전후방향 길이가 좌우방향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일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세제박스(70)에 단수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한 쌍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74)는 한 쌍 구비될 경우, 세제박스(70)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가이드부(74A)와, 세제박스(70)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가이드부(7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부(74A)와 우측 가이드부(74B)는 세제 수용부(72)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부(74A)는 세제 수용부(72)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세제 수용부(72)의 좌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 좌측 가이드 리브일 수 있다. 우측 가이드부(74B)는 세제 수용부(72)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세제 수용부(72)의 우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 우측 가이드 리브일 수 있다.
드로워 패널(90)은 세탁기의 사용시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삽입되어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 보호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90)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함몰 또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90)은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삽입 완료되었을 때, 좌측면과 우측면 중 일측면이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을 마주볼 수 있고,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간극을 갖을 수 있다. 드로워 패널(90)에는 후술하는 드로워 데코(1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돌출부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어셈블리(6)는 드로워 윈도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어셈블리(6)는 드로워 데코(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는 드로워 패널(9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는 드로워 데코(110)와 함께 드로워 어셈블리(6)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에는 세탁기의 정보가 표식될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는 드로워 패널(90)의 돌출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드로워 윈도우(100)는 드로워 데코(110)에 구속되어 그 임의탈거가 제한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110)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데코(110)는 드로워 패널(90)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드로워 데코(110)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드로워 패널(90)의 돌출부 상,하,좌,우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드로워 데코(110)는 상판부와,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하측판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110)는 드로워 윈도우(100)가 전방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드로워 윈도우(110)를 구속하는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는 드로워 데코(110)에서 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110)는 드로워 윈도우(100)를 고정하는 드로워 윈도우 홀더로 기능할 수 있다.
드로워 어셈블리(6)는 가이드부(74)에 리브(80)가 옆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옆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부(74)의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부(74)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리브(80)는 세제박스(70)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세제박스(70)가 세탁기에서 전방 방향으로 인출되는 도중일 때,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게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부(74)가 가이드 홈부(62)를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때,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할 수 있다. 리브(80)는 세제박스(70)가 세제박스 관통공(60)을 통과하는 도중일 때,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를 옆으로 타고 넘을 수 있다.
가이드부(74)가 가이드 홈부(62)를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때, 가이드부(74)의 측단(75) 중 리브(80) 이외의 부분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될 수 있다. 반면에,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도중일 때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항상 마찰되면서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세제박스(70) 및 드로워 패널(90)은 리브(80)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리브(80)가 드로워 어셈블리(6)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세제박스(70) 및 드로워 패널(90)은 우측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반대로, 리브(80)가 드로워 어셈블리(6)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세제박스(70) 및 드로워 패널(90)은 좌측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세탁기는 세제박스(70)가 수용되는 세제박스 하우징(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캐비닛(2)과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4)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컨트롤 패널(42)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는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세제박스(7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은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에는 세제박스(70)에서 유동된 세탁수를 터브로 안내하는 인렛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는 세제박스 하우징(120)의 상부에 설치된 디스펜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세제박스 하우징(120)으로 삽입된 세제박스(70)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세제박스 하우징(120)의 상면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는 물을 급수공으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는 급수밸브와 급수호스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밸브에서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세제박스(70)로 낙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도중일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로워 패널이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장착 완료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세제박스(70)는 세제 수용부(72)의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세제 수용부(72)의 선단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세제 수용부(72)를 세제박스 관통공(60)에 삽입할 때,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의 후판(55)과 가까워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세제박스(70)의 장착 완료시, 세제박스 관통공(60) 및 가이드 홈부(62)를 막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세제박스(70)의 장착 완료시, 세제 수용부(72)와 세제박스 관통공(60)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부(78)는 세제박스(70)의 장착 완료시, 가이드부(74)와 가이드 홈부(62)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선단(76)이 프론트 커버부(78)에 연결될 수 잇고, 후단(77)이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부(74)의 일부에만 옆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84)을 갖을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부(74)의 선단(76)과 후단(77) 중 선단(76)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를 옆으로 타고 넘게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할 때, 리브(80)의 측단이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항상 접촉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을 타고 넘을 때 리브(80)가 세제박스(70)를 옆방향으로 밀어 낼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에 리브(80)가 돌출되지 않을 경우, 드로워 패널(90)은 드로워 패널(90)의 일측면이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마찰되면서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드로워 어셈블리(6)가 드로워 데코(110)를 더 포함함과 아울러 컨트롤 어셈블리(4)가 컨트롤 데코(48)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부(74)에 리브(80)가 돌출되지 않을 경우, 드로워 패널(90)은 드로워 패널(90)의 일측면이 컨트롤 데코(48)의 측면과 마찰되면서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진입되거나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서 인출될 수 있고, 드로워 데코(110)는 드로워 패널(90)의 진입/인출시 컨트롤 데코(48)의 측면과 마찰될 수 있다.
한편, 드로워 어셈블리(6)가 드로워 데코(110)를 더 포함함과 아울러 컨트롤 어셈블리(4)가 컨트롤 데코(48)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부(74)에 리브(80)가 돌출될 경우, 드로워 패널(90)은 드로워 패널(90)의 일측면이 컨트롤 데코(48)의 측면과 마찰되지 않고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진입되거나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서 인출될 수 있고, 드로워 데코(110)는 드로워 패널(90)의 진입/인출시 컨트롤 데코(48)의 측면과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리브(80)는 프론트 커버부(78)의 배면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리브(80)는 중앙부(81)와, 중앙부(81)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1구배부(82)와, 중앙부(81)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2구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를 통해 전방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일 때, 제2구배부(83)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먼저 만나면서 가이드 홈부(62)의 내부로 부드럽게 진입되고, 이후 중앙부(81)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지며, 제1구배부(82)가 가이드 홈부(63)을 빠져나올 수 있다.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를 통해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일 때, 제1구배부(82)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먼저 만나면서 가이드 홈부(62)의 내부로 부드럽게 진입되고, 이후 중앙부(81)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지며, 제2구배부(83)가 가이드 홈부(62)의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드로워 패널(90)은 컨트롤 패널(42)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74)을 통과하는 동안, 드로워 데코(110)은 컨트롤 데코(48)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브(80)는 한 쌍의 가이드부(74A)(74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리브(80)는 좌측 가이드부(74A)와 우측 가이드부(74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부(74A)와 우측 가이드부(74B)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더 가까울 수 있고, 리브(80)는 한 쌍의 가이드부(74A)(74B) 중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더 가까운 가이드부(74A)에 옆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측판(56)과 더 가까운 가이드부(74A)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62A)를 통과하는 동안 측판(56)과 더 가까운 가이드부(74A)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62A)의 측면부(63)를 우회하는 옆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80)는 우회하는 가이드 홈부(62A)의 측면부(63)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84)을 갖을 수 있다. 세탁기는 좌측 가이드부(74A)와 우측 가이드부(74B)는 중 좌측 가이드부(74A)가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더 가까울 수 있고, 이 경우 리브(80)는 우측 가이드부(74B)에 형성되지 않고 좌측 가이드부(74A)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80)는 좌측 가이드 홈부(62A)의 측면부(6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좌측 가이드 홈부(62A)의 측면부(63) 우측 방향으로 우회할 수 있다.
드로워 어셈블리(6)는 프론트 커버부(78)의 배면과 리브(80)의 사이에 함몰부(88)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8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제박스(70)의 장착완료시, 그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홈부(62)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88)는 리브(80)가 돌출된 가이드부(74A)에 형성될 수 있고, 리브(80)의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88)는 리브(80)와 달리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항상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함몰부(88)는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제1영역(A)과, 제1영역(A)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제1영역(A) 보다 큰 폭을 갖는 제2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4)는 제2영역(B)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제2영역(B)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3영역(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B)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를 우회할 수 있다. 제2영역(B)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84)을 갖을 수 있다. 제2영역(B)는 제1영역(A) 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1영역(A)은 좌우 방향으로 제1폭(D1)을 갖을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제1길이(L1)을 갖을 수 있다. 제2영역(B)은 좌우 방향으로 제1폭(D1) 보다 큰 제2폭(D2)을 갖을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제1길이(L1) 보다 짧은 제2길이(L2)를 갖을 수 있다.
제2영역(B)은 중앙부(81)와, 제1구배부(82)와, 제2구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81)는 제1구배부(82)와 제2구배부(8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배부(82)는 중앙부(81)에서 제1영역(A)으로 갈수록 폭이 짧을 수 있다. 제2구배부(82)은 중앙부(81)에서 제3영역(C)으로 갈수록 폭이 짧을 수 있다. 제1구배부(82)와 중앙부(81)과 제2구배부(83)는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우회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3영역(C)은 제2영역(B)과 프론트 커버부(7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영역(C)은 제1영역(A) 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3영역(C)은 좌우 방향으로 제2폭(D2) 보다 큰 제3폭(D1)을 갖을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제1길이(L1) 보다 짧은 제3길이(L3)를 갖을 수 있다.
드로워 패널(90)은 제2영역(B)이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42)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드로워 데코(110)는 제2영역(B)이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동안 컨트롤 데코(48)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120)에는 가이드부(74)가 안내되는 이너 레일(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레일(122)는 가이드부(74)의 전후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세제박스 하우징(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홈부(62)의 내부와 전후 방향으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가이드부(74)과 동일 개수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레일(122)는 가이드부(74)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4)이 좌측 가이드부(74A)와, 우측 가이드부(74B)을 포함할 경우, 좌측 가이드부(74A)가 안내되는 좌측 이너 레일(122A)과, 우측 가이드부(74B)가 안내되는 우측 이너 레일(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이너 레일(122A)과 우측 이너 레일(122B)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가이드부(74)의 저면이 안내될 수 있는 하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가이드부(74)의 측단(75)이 안내될 수 있는 측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가이드부(74)의 상면이 안내될 수 있는 상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레일(122)은 하면부(126)와 측면부(128) 및 상면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면부(126)와 측면부(128)를 포함하고 가이드부(74)의 상면이 디스펜서의 저면에 안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너 레일(122)은 좌측 이너 레일(122A)의 측면부(128)와 우측 이너 레일(122B)의 측면부(128) 사이의 이격 거리가 좌측 가이드 홈부(74A)의 측면부(63)와 우측 가이드 홈부(74B)의 측면부(63)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59는 컨트롤 패널(42)에 돌출되고 컨트롤 데코(48)에 의해 둘러싸이는 컨트롤 패널(42)의 돌출부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99는 드로워 패널(90)에 돌출되고 드로워 데코(1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드로워 패널(90)의 돌출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드로워 어셈블리(6)를 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드로워 어셈블리(6)는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세제박스(70)의 세제 수용부(72)는 세제통 관통공(60)을 통과하여 전방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고, 세제 수용부(72)의 내부는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세제박스(70)의 전방 방향 슬라이딩시, 가이드부(74)는 가이드 홈부(62)를 따라 전진될 수 있다. 가이드부(74)의 전진시 리브(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부(62)로 진입될 수 있다.
세제박스(70)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될 때,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의 후방에서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되어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질 수 있고,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여 가이드 홈부(62)의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전방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세제박스(70)는 드로워 패널(90)이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드로워 패널(9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좌우 방향으로 큰 간격(T1)으로 멀어지면서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에서 인출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여 가이드 홈부(62)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부(74)는 리브(8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이드 홈부(62)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 수용부(62)에 세제를 넣고, 드로워 어셈블리(6)를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드로워 어셈블리(6)는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세제박스(70)의 세제 수용부(72)는 세제통 관통공(60)을 통과하여 후방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고, 가이드부(74)는 가이드 홈부(62)를 따라 후퇴될 수 있다. 가이드부(74)의 후퇴시 리브(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부(62)으로 진입될 수 있다.
세제박스(70)가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때,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의 전방 위치에서 가이드 홈부(62)로 이동되어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접촉될 수 있고,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질 수 있다. 가이드 홈부(62)에 위치하던 리브(80)는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여 가이드 홈부(62)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마찰되면서 후방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세제박스(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패널(90)이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드로워 패널(90)은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좌우 방향으로 큰 간격(T1)을 유지하면서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54)로 삽입될 수 있다.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여 가이드 홈부(62)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드로워 패널(90)은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과 가까워질 수 있고, 드로워 패널(90)의 측면과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80)가 가이드 홈부(62)를 통과하는 도중일 때의 간격(T1) 보다 작은 간격(T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도중일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드로워 패널이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질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 및 드로워 패널이 장착 완료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좌측 가이드부(74A)과 우측 가이드부(74B) 중 어느 하나(74A)에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은 리브(80) 및 함몰부(88)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 가이드부(74A)과 우측 가이드부(74B) 중 다른 하나(74B)에 보조 리브(130)가 옆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리브(1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리브(130)는 함몰부(88)의 반대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리브(130)는 세제박스(70)가 장착 완료 위치로 삽입되었을 때 함몰부(88)가 가이드 홈부(62)의 측면부(6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세제박스 수용부(62)를 가압할 수 있다.
리브(80)와 함몰부(88)가 좌측 가이드부(74A)에 형성될 경우, 보조 리브(130)는 우측 가이드부(74B)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브(80)가 좌측 가이드 홈부(62A)에 위치될 때, 드로워 패널(90) 및 드로워 데코(110)는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 및 컨트롤 데코(48)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보조 리브(130)가 우측 가이드부(74B)에 위치될 때, 드로워 패널(90) 및 드로워 데코(110)는 컨트롤 패널(42)의 측판(56) 및 컨트롤 데코(4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2; 캐비닛 4: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6: 드로워 어셈블리 42: 컨트롤 패널
48: 컨트롤 데코 54: 드로워 패널 수용바디
56: 측판 62: 가이드 홈부
63: 측면부 70: 세제박스
72: 세제 수용부 74: 가이드부
80: 리브 90: 드로워 패널
110: 드로워 데코

Claims (20)

  1.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1구배부와,
    상기 제1구배부 전방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2구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과 후단 중 선단에 더 가까운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의 선단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배면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배면과 상기 리브 사이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데코 수용바디는 상기 컨트롤 패널 옆에 일체로 형성된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컨트롤 데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드로워 데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데코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는 세탁기.
  9.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좌측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좌측 가이드 홈부와 우측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우측 가이드 홈부가 각각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드로워 패널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부와 우측 가이드부 중 상기 측판과 더 가까운 가이드부에는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우회하는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돌출된 가이드부는 상기 리브의 전방에 함몰부가 형성된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드부와 우측 가이드부 중 상기 측판과 더 먼 가이드부에는 상기 함몰부의 반대편 위치에 보조 리브가 옆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세탁기.
  13.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와 결합된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가이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드로워 패널 수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영역 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를 우회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제2영역이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접촉면을 갖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세탁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영역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1구배부와,
    상기 제3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짧은 제2구배부와;
    상기 제1구배부와 제2구배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배부과 중앙부과 제2구배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측면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우회하게 돌출된 세탁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의 선단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과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위치되는 세탁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컨트롤 데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 패널에 돌출된 돌출부를 둘러싸는 드로워 데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가이드 홈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데코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는 세탁기.
KR1020140047652A 2014-04-21 2014-04-21 세탁기 KR10219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52A KR102191908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52A KR102191908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83A true KR20150121583A (ko) 2015-10-29
KR102191908B1 KR102191908B1 (ko) 2020-12-16

Family

ID=5443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52A KR102191908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4272A1 (zh) * 2015-12-31 2017-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投放器及洗衣机
EP3489407A1 (en) * 2017-11-23 2019-05-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083B1 (ko) 2002-11-28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60025735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60085785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 박스 장착 구조
KR20070040613A (ko) * 2005-10-12 200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101203568B1 (ko) 2005-12-06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통 흔들림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083B1 (ko) 2002-11-28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60025735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60085785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 박스 장착 구조
KR20070040613A (ko) * 2005-10-12 200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101203568B1 (ko) 2005-12-06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통 흔들림 방지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4272A1 (zh) * 2015-12-31 2017-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投放器及洗衣机
EP3489407A1 (en) * 2017-11-23 2019-05-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WO2019101532A1 (en) * 2017-11-23 2019-05-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US11306426B2 (en) 2017-11-23 2022-04-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908B1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352B2 (ja) 洗濯物処理装置
KR102094838B1 (ko)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가전 제품
US20060049730A1 (en) Drawer frame
KR102411763B1 (ko) 식기 세척기
KR20180006239A (ko) 미닫이문용 덮개식 바닥레일
KR20150121583A (ko) 세탁기
KR102328247B1 (ko) 식기 세척기
ES2314147T3 (es) Lavadora con un distribuidor de detergente.
MY151375A (en) Wiring duct cover
JP6391707B2 (ja) 冷蔵庫
CN103015810B (zh) 门锁和安装有相同门锁的设备
KR200477983Y1 (ko) 욕실용 수납장
KR20170030829A (ko) 수납장용 슬라이딩 장치, 슬라이딩 장치용 걸림 브라켓 및 수납장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2015167771A (ja) 食器洗い機
KR101436510B1 (ko) 세탁기
KR101069874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KR20060016350A (ko)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JP2017115470A (ja) 水栓装置
JP2017128953A (ja) 水栓装置および吐水ヘッド
KR10101069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4158568A (ja) 食器洗浄機
KR102570441B1 (ko) 비데
JP6587944B2 (ja) 水栓装置
KR20070078276A (ko)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