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276A -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276A
KR20070078276A KR1020060008391A KR20060008391A KR20070078276A KR 20070078276 A KR20070078276 A KR 20070078276A KR 1020060008391 A KR1020060008391 A KR 1020060008391A KR 20060008391 A KR20060008391 A KR 20060008391A KR 20070078276 A KR20070078276 A KR 2007007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rol panel
button assembly
dishwasher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872B1 (ko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8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눌리도록 개선된 버튼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각종 조작을 위한 버튼 어셈블리와,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설치공과 근접한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는 버튼 어셈블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노출된 면을 일정량의 힘으로 가압하면 후방으로 이동되며, 배면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압하는 일정량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렸다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 탄성력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중간부위가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만곡진 한 쌍의 탄성리브; 상기 각각의 탄성리브 끝단에 연결된채,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탄성리브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식기세척기,버튼어셈블리,탄성리브,컨트롤패널,고정부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fixable structure of button assembly and control panel for dish washer}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중 요부만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컨트롤 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정면도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I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본체 케이스 200 : 도어
300 : 컨트롤 패널 310 : 설치공
311 : 외벽 320 : 결합부
321 : 격벽 321a : 탈거방지턱
322 : 제1가이드 돌기 323 : 제2가이드 돌기
324 : 제3가이드홈 400 : 버튼 어셈블리
401 : 걸림부 401a : 가압돌기
410 : 버튼 420 : 탄성리브
430 : 고정부 431 : 제1가이드홈
432 : 제2가이드홈 440 : 제3가이드 돌기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조작을 위한 버튼의 누름시,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개선된 버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사용된 식기류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나 오물등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수압의 조절에 의해 제거하는 기기로서, 식기세척은 물론 헹굼, 살균, 건조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여 그 수요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각종 식기류를 수납하는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척실(미도시)과, 상기 세척실을 보호하며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식기세척기의 운전을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케이스(10)는 식기세척기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11)와, 양 측 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캐비닛(12)과, 후면을 구성하는 백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 케이스(10) 전면의 일부는 식기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0)의 전면 중 투입구의 일측에 도어(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20)의 상측에는 식기세척기의 각종 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30)이 설치된다.
컨트롤 패널(30)에는 사용자에게 식기세척기의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1)와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버튼(32)이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30)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32)의 조작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버튼의 구조는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정부와, 연결부와, 누름부로 구성된다.
고정부(32a)는 컨트롤 패널(30)의 배면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2a)에는 일단이 지지된채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타단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32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2b)의 타단 전면에는 사용자가 고정부(32a)를 중심으로 연결부(32b)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누름부(32c)가 구성되고, 연결부(32b)의 타단 후면에는 제어부에 접촉하면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돌기(32d)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종래의 버튼(32)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 되었다.
상기 연결부(32b)의 일단만 고정부(32a)에 고정됨으로써, 누름부(32c)를 정확히 누르지 못하고 누름부(32c)의 일부분만 눌렀을 경우에, 상기 고정부(32a)를 중심으로 연결부(32b)의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따라, 연결부(32b)의 타단 후면에 설치된 돌기(32d)가 제어부에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고 어긋나게 되면서, 선택된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버튼(32)을 다시 눌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의 눌림시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개선된 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조작을 위한 버튼 어셈블리와,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설치공과 근접한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는 버튼 어셈블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노출된 면을 일정량의 힘으로 가압하면 후방으로 이동되며, 배면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압하는 일정량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렸다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 탄성력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중간부위가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만곡진 한 쌍의 탄성리브; 상기 각각의 탄성리브 끝단에 연결된채,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탄성리브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탄성리브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 중 어느 한 쪽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 홈 및 제2가이드 홈의 형상도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의 상측 혹은, 하측 중 어느 한 측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제3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널의 배면 중 설치공의 일측에는 제3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3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부에 결합되었을 때, 고정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부가 결합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탈거방지턱이 더 형성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기세척기는 크게, 본체 케이스(100)와, 도어(200)와, 컨트롤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100)는 식기세척기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110)와, 양 측면을 구성하는 캐비닛(120)과 후면을 구성하는 백커버(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각종 식기류가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척실(미도시)이 구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전면에는 식기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개방된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척실에는 식기류를 수납하는 수납랙이 구비되며, 세제수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분사암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200)는 식기세척기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도어(200)의 하측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어(200)가 투입구를 완전 개방했을 때, 사용자의 식기류 수납이 용이하도록 세척실에 구비된 수납랙이 도어의 내측면까지 인출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300)은 식기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200) 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300)의 일측에는 식기세척기의 운전 조작을 위한 버트 어셈블리(400)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300)에는 설치공(310)이 형성되며, 식기세척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30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 중 상기 설치공(310)의 가장자리측은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으로부터 컨트롤 패널(300)의 후방을 향해 소정간격 돌출된 외벽(311)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400)의 일부를 상기 외벽(311)의 테두리에 걸리게 하여 버튼 어셈블리(400)의 위치를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으로부터 외벽(311)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버튼 어셈블리(400)의 노출면의 위치가 컨트롤 패널(300)의 전면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에는 버튼 어셈블리(400)의 양 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310)에 근접한 양 측에 한 쌍의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결합부(320)는 사방이 둘러싸이도록 격벽(321)으로 이루어지되, 설치공(310)의 외벽(311)을 향한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결합부(320)에는 버튼 어셈블리(400)의 양 측이 결합부(320)에 결합되었을 때,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버튼 어셈블리(400)가 컨트롤 패널(300)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탈거방지턱(321a)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탈거방지턱(321a)은 각각의 격벽(321) 테두리로부터 격벽(32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격벽(321) 내측에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400)와 결합부(32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가이드 돌기(322)와 제2가이드 돌기(323)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300)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400)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식기세척기의 각종 기계장치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식기세척기를 제어하는 구성요소를 총칭하며, 택트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버튼 어셈블리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 어셈블리(400)는 버튼(410)과, 탄성리브(420)와, 고정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튼(410)은 사용자에 의해 일정량의 힘이 가압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어부에 선택된 기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버튼(410)은 사각형태의 식기세척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튼(410)의 후면에는 상기 설치공(310)을 형성하는 외벽(311)의 테두리에 걸려 버튼 어셈블리(400)가 컨트롤 패널(3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버튼(410)의 둘레크기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걸림부(4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401)의 배면 중 중앙부위에는 택트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401a)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리브(420)는 사용자의 가압하는 힘에 의해 버튼(410)이 전,후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401)의 양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고정부(4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리브(420)는 탄성력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비교적 얇게 형성시키기 위해 걸림부(401)의 양 측에 각각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탄성리브(420)의 중간부위는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반 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부(430)는 버튼(410)의 양 측에 형성된 탄성리브(420)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리브(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430)의 둘레의 크기는 상기 결합부(320)를 형성하는 격벽(321)의 내부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격벽(321)의 내면 둘레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320)와 대향하는 고정부(430)의 일면에는 결합부(320)의 제1가이드 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 홈(431)이 형성되고, 제2가이드 돌기(3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 홈(4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돌기(322)의 크기와 제2가이드 돌기(323)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2가이드 돌기(322,323)에 대응되는 제1,2가이드 홈(431,432)의 크기도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는, 버튼 어셈블리(400)가 컨트롤 패널(30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버튼 어셈블리(400)의 상,하부의 위치가 바뀐 상태에서는 제1가이드홈(431)의 위치와 제2가이드홈(432)의 위치도 서로 바뀌게 되므로, 제1가이드 돌기(322)에는 제2가이드홈(432)이 대응되고, 제2가이드 돌기(323)에는 제1가이드홈(431)이 대응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 돌기(311,321)가 제1,2가이드홈(431,432)에 삽입되는 것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버튼 어셈블리(400)의 상,하부 위치가 바뀐 상태에서는 버튼 어셈블리(400)가 컨트롤 패널(300)에 결합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버튼(410)의 상측 혹은, 하측에는 제3가이드 돌기(440)가 더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벽(311)의 상측 혹은, 하측에는 제3가이드홈(32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버튼(410)이 사용자에 의해 설치공(310)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버튼(41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버튼(410)이 설치공(310)의 하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3가이드 돌기(440)가 제3가이드홈(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3가이드 돌기(440)는 제3가이드홈(324)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제3가이드 돌기(440)와 제3가이드홈(324)이 버튼 (410)의 하측과 외벽(311)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 과정 및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 어셈블리(400)의 버튼(410)은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에서 설치공(310)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버튼(4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부(401)는 상기 설치공(310)의 외벽 (311) 테두리에 걸리게 되고, 상기 버튼(410)의 전면은 설치공(310)을 통해 컨트롤 패널(3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버튼(410)의 하측에 설치된 제3가이드 돌기(440)는 외벽(311)의 하측에 형성된 제3가이드홈(324)에 자연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3가이드 돌기(440)는 제3가이드홈(324)에 꽉 끼이는 것이 아니라, 버튼(410)의 설치공(310)에 대한 올바른 위치만 가이드할 수 있는 정도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버튼(410)의 양 측에 구비된 고정부(430)를 결합부(320)에 고정시킨다.
이때, 각각의 고정부(430)는 결합부(320)를 구성하는 격벽(321) 중 개방된 부위를 통해 삽입되면서 결합부(320)의 내부에 끼워진다.
또한, 고정부(430)는 상기 고정부(430)의 일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431)이 결합부(320)에 형성된 제1가이드 돌기(322)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홈(432)은 제2가이드 돌기(323)에 삽입되면서 결합부(32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430)의 상,하단의 둘레부위는 격벽(321)의 상,하단에 형성된 탈거방지턱(321a)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결합부(320)로부터 후방으로 쉽게 탈거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00)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410)의 전면에 일정량의 힘을 가압한다.
이때, 버튼(410)은 컨트롤 패널(300)의 배면 중 설치공(310)의 양 측에 고정된 고정부(430)에 지지된채로 탄성리브(420)의 탄성력에 의해 설치공(310)으로부터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또한, 버튼(410)은 상기 버튼(410)에 형성된 제3가이드 돌기(440)가 상기 제3가이드홈(324)에 가이드 되면서 설치공(3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버튼(41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돌기(401a)는 버튼(410)의 후방에 설치된 제어부의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식기세척기의 각종 기계장치에 명령을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는 버튼(410)의 전면을 가압하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버튼(410)은 상기 버튼(410)의 양 측을 탄성지지 하고 있던 탄성리브(42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410)의 원래 위치인 설치공(310)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버튼(410)의 걸림부(401)는 상기 설치공(310)의 외벽(311) 테두리에 걸리고, 버튼(410)의 전면은 설치공(310)을 통해 컨트롤 패널(3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상기 버튼(410)은 컨트롤 패널(300)의 원래 위치로 복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에 의하면, 버튼은 탄성리브 및 고정부에 의해 상기 버튼의 양 측에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때 상기 버튼이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버튼의 어느 부위를 누르더라도 선택된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리브의 중간 부위를 탄성리브의 후방을 향해 반 원 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시킴으로써, 탄성리브의 탄성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데 되었다.
또한, 고정부의 일 면에 각각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부의 제1가이드 돌기와 제2가이드 돌기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버튼 어셈블리가 설치공으로 조립되는 방향이 바뀌면 제1,2가이드홈 과 제1,2가이드 돌기는 서로 조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 어셈블리가 컨트롤 패널에 오조립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되었다.

Claims (6)

  1. 각종 조작을 위한 버튼 어셈블리와,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설치공과 근접한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는 버튼 어셈블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노출된 면을 일정량의 힘으로 가압하면 후방으로 이동되며, 배면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압하는 일정량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렸다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 탄성력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중간부위가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만곡진 한 쌍의 탄성리브;
    상기 각각의 탄성리브 끝단에 연결된채,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탄성리브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리브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 중 어느 한 쪽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 홈 및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 돌기 및 제2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 홈 및 제2가이드 홈의 크기도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측 혹은, 하측 중 어느 한 측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제3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널의 배면 중 설치공의 일측에는 제3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3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고정부가 결합부에 결합되었을 때, 고정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부가 결합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탈거방지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KR1020060008391A 2006-01-26 2006-01-26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KR10124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91A KR101241872B1 (ko) 2006-01-26 2006-01-26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91A KR101241872B1 (ko) 2006-01-26 2006-01-26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276A true KR20070078276A (ko) 2007-07-31
KR101241872B1 KR101241872B1 (ko) 2013-03-11

Family

ID=3850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91A KR101241872B1 (ko) 2006-01-26 2006-01-26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7316B (zh) * 2008-06-30 2010-06-0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碗装置
CN101347320B (zh) * 2008-07-21 2010-06-0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碗机
EP3189765A1 (en) 2016-01-06 2017-07-1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ith a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35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전자렌지용 버튼의 구조
KR20040059682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콘트롤러의 버튼장치
KR20050114343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버튼부 체결 구조
KR200397979Y1 (ko) 2005-05-24 2005-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버튼 고정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7316B (zh) * 2008-06-30 2010-06-0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碗装置
CN101347320B (zh) * 2008-07-21 2010-06-0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碗机
EP3189765A1 (en) 2016-01-06 2017-07-1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ith a user interface
US10064538B2 (en) 2016-01-06 2018-09-04 Lg Electronics Inc. Dish washer
US10485399B2 (en) 2016-01-06 2019-11-26 Lg Electronics Inc. Dish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872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944B2 (en) Dishwasher door assembly
EP2818092B1 (en) Dishwasher
US7928857B2 (en) Console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EP0858768B1 (en)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KR101241872B1 (ko)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WO2010133505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drawer
US20230277032A1 (en) Pocket handle assembly for an appliance
US7927431B2 (en) Switch assembly support syste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10575707B2 (en) Dishwasher appliances and user interfaces
EP0671143A1 (en)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US7578566B2 (en) Ribbed escutcheon for appliance door assembly
KR100862325B1 (ko) 탑마운트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
CN117940054A (zh) 洗碗机组件
WO2024019694A1 (en) A control panel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KR101052135B1 (ko) 식기 세척기의 버튼부 체결 구조
EP1366704A3 (en) Improved dishwashing machine
KR20210036711A (ko) 식기세척기
KR20210036709A (ko) 식기세척기
KR2021003671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37740A (ko) 식기세척기
KR20210036712A (ko) 식기세척기
KR100234107B1 (ko) 붙박이형 식기세척기
JP2004000790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