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83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83A
KR20150121383A KR1020140046937A KR20140046937A KR20150121383A KR 20150121383 A KR20150121383 A KR 20150121383A KR 1020140046937 A KR1020140046937 A KR 1020140046937A KR 20140046937 A KR20140046937 A KR 20140046937A KR 20150121383 A KR20150121383 A KR 2015012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bending
brightness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236B1 (ko
Inventor
김상호
최병화
배재우
하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36B1/ko
Priority to US14/495,180 priority patent/US20150301672A1/en
Priority to CN201510035848.2A priority patent/CN105047085B/zh
Publication of KR2015012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가요성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부림 정도에 따라 패널 영역의 휘도를 결정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동성을 기반으로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 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센서를 이용하여 구부림 정도를 측정하고,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패널의 영역 별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부림 정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표시 패널의 휘도를 최소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복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 영역 별로 구부림 정도 혹은 구부림 방향에 기초하여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클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작을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및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간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 영역의 휘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 혹은 폴딩(folding)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대형 디스플레이 혹은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가 세로축을 중심으로 휘어질 때, 같은 세로축에 위치한 화소들의 휘도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가로축으로 휘어질 때 같은 가로축에 위치한 화소들의 휘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폴딩 라인이 정해진 폴딩 디스플레일 때, 상기 센서부의 센서는 상기 폴딩 라인에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 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전체 휘도가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평면 모드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든 영역의 휘도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액정 소자 혹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투명,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외력 혹은 원격 조종에 의해 구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력 혹은 원격 조종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이 구부려지는 단계;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를 센서부가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복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 영역 별로 구부림 정도 혹은 구부림 방향에 기초하여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클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작을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가요성 표시 장치의 구부림에 의해 발생하는 표시 장치의 영역 별 사용자와의 거리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가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일 때 사용자와의 거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a를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형상 변형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영역 별로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표시 장치(1,2,3)는 평면 모드(PM: Plane Mode)와 곡면 모드(CM: curved mode) 혹은 폴딩 모드(FM: Folding mode)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 210, 310)을 구비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커브드(curved) 타입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든 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등일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 단말기의 홈 화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전면(前面)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활성화되는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예컨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플렉서블 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플렉서블 LCD(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평면 모드(PM)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등의 외력에 의해 구부려져 곡면 모드(CM)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구부려지는 방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구비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평면 모드(PM)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2 장변부(110a, 110b), 및 상기 제1,2 장변부(110a, 1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단변부(110c, 110d)를 구비하며, 4개의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의 장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a의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가 명확히 표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두리가 없는(borderless display)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평면 모드(P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 될 수 있다. 외력의 크기에 따라, 곡면 모드(CM)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패널 중심부(C)에서 적어도 일 측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패널 중심부(C)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 모서리 부분, 즉 제1,2 단변부(110c, 110d)로 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대칭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곡면 모드(CM)에서 곡면의 중심(C)에서 하나의 변곡점을 형성하며, 제1 단변부(110c)로부터 중심(C)으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가 감소하다가, 중심(C)으로부터 제2 단변부(110d)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는 평면 모드(P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1, 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2 장변부(110a, 100b)에서 패널 중심부(C)으로 올수록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제1,2 단변부(110c, 110d)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2 장변부(110a, 110b)로 구부려질 수도 있다. 혹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네개의 모서리에 평행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도 구부려질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표시 장치(2)는 폴딩(folding) 타입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b는 (a)와 달리 표시 패널 전체가 기울어지는 것이 아니라 폴딩 라인(FL: Folding line)을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210)이 구부려진다. 도 1b의 실시예에서는 폴딩 라인(FL)이 제1,2 단변부(210c, 210d)와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2 장변부(210a, 210c)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2)는 평면 모드(PM) 및 폴딩 모드(FM)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b의 실시예에서는 폴딩 라인(FL)이 패널 중심부(C)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면 모드(PM)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폴딩 라인(FL)을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210)이 구부려지며, 구부려지는 각도는 외력에 비례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표시 장치(3)는 도 1a, 도 1b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아닌 거치식 표시 장치(3)일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표시 장치(3)는 일정 크기 이상의 텔레비전, 모니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3)는 이동식 단말기가 아니므로 표시 패널(310)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35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표시 장치(3)는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310)을 포함하며, 가요성 표시 패널(310)은 평면 모드(PM) 혹은 곡면 모드(CM)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3)는 표시 장치(1, 2)와 달리 직접적인 물리적 외력이 없어도 원격 조정에 의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는 표시 장치(1), 표시 장치 (2) 및 표시 장치(3)를 구분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추가의 부연 설명이 없더라도 그 내용이 표시 장치(2), 표시 장치(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은 가요성 표시 패널(210) 및 가요성 표시 패널(31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간의 도면 부호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1)가 평면 모드(PM) 및 곡면 모드(CM)일 때 사용자와의 거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비록 표시 장치(1)를 예시로 하였지만,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2, 3)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표시 장치(1)의 크기를 시청자(V)의 크기에 비해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표시 장치(1)의 크기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의 크기를 따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패널 중심부(C)의 연장선 상에 대략 위치하고 있을 때, 평면 모드(P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보다 곡면 모드(C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든다. 그러나, 시청자(V)와 패널 중심부(C) 사이의 거리(D)는 평면 모드(PM)일 때나 곡면 모드(CM)일 때나 동일하다.
따라서, 기존의 평면 모드(PM)만 지원하는 표시 장치들과 달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적용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는, 구부림에 의해 표시 패널(110)의 위치 별로 사용자와 거리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기존의 평면 모드(PM)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위치 별로 픽셀의 휘도가 같아도 사용자가 인지하는 밝기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패널 중심부(C)와의 거리(d) 및 가장자리인 제1, 2 단변부(110c, 110d)와의 거리(r)의 차가 휘도의 차이를 인지할 만큼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패널 중심부(C)가 사용자(V)로부터 멀어지게끔 구부려지는 경우, 패널 중심부(C)과의 거리(d)가 제1, 2 단변부(110c, 110d)와의 거리(R)보다 커져 이로 인한 거리차로 인해 사용자의 몰입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중심(C) 인근의 픽셀의 휘도가 가장자리 부근의 픽셀의 휘도보다 낮다고 인지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정면에서 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모든 픽셀에 동일한 휘도 값을 적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영상의 밝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구부려짐에 의해 제1, 2 단변부(110c, 110d)가 사용자에게 가깝고 패널 중심부(C)이 사용자에게서 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패널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패널 중심부(C)로 갈수록 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심할 겨우 패널 중심부(C) 부근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구부림 위치, 방향 및 구부림 정도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역별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a를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제1 가요성 기판(111)에 대향 배치된 제2 가요성 기판(113)과,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113)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112)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기판(111)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베리어막(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막(미도시)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막(미도시)은 불필요한 성분이 가요성 기판(111)을 투과해 유기 발광 소자(11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의 Ⅱ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112)는 화소 전극(112-1)과, 공통층인 대향 전극(112-3)과, 그 사이에 구비된 유기발광층(112-2)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12-1)은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기 발광 소자(112)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소자(112) 상에 유기 발광 소자(112)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로서 제2 가요성 기판(113)이 구비된다. 제2 가요성 기판(113)은 전술한 제1 가요성 기판(111)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무기막 구조,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제2 가요성 기판(113)에는 다양한 보호 부재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12)는 화소 전극(112-1)과 대향 전극(112-3)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유기발광층(112-2)에 포함된 유기 고분자 또는 유기 저분자가 발광하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많다. 물론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요성을 가지는 액정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지는 다른 표시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정도로 패널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일 측에 형상 변형부(1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 변형부(12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반대 면,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구비된다.
형상 변형부(120)는 평면 모드(PM) 및 곡면 모드(CM)의 전환 과정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형상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평면 모드(PM) 및 곡면 모드(CM)의 상호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형상을 변형 및 유지한다.
도 5는 도 3의 형상 변형부(12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형상 변형부(120)는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 사이에 액츄에이터(123)가 배치된다.
제1전극(121)은 액츄에이터(123)의 일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다분할 되어 배치되고, 제2전극(122)은 액츄에이터(123)의 다른 일 면에 통전극으로 배치된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로 회로부(124)에서 다분할 된 각각의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에 소정의 전압(V1, V2, V3)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123)가 자세를 취함으로써, 형상 변형부(120)의 일 측에 구비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음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평면 모드(PM)를 유지하고, 제2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가 자세를 전환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을 휘어지게 하여 곡면 모드(CM)로 전환하게 하고, 제3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음으로써 곡면 모드(CM)로 전환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즉, 형상 변형부(120)는 형상 유지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제1 레벨의 전압과 제3 레벨의 전압에서 강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에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레벨의 전압과 제3 레벨의 전압은 동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레벨의 전압은 특정 전압값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특정 범위의 전압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123)로는 전기 응답형 고분자, 또는 형상 기억 합금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 변형부(120)에는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을 보호하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평면 모드(P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을,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양 측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감소하도록 형상 변형부(120)에 인가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C)에 대한 수평 방향의 양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면, 형상 변형부(12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평면 모드(PM) 혹은 곡면 모드(CM)를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레벨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잡고 구부리는 경우 형상 변형부(120)는 곡면 모드(CM)를 적용하여 제2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패널을 외력 정도에 대응하는 만큼 구부리고, 외력의 인가가 종료되면 제3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곡면 모드(CM)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 내부의 결정값을 사용하여 원격 조종에 의해 형상 변형부(120)가 평면 모드(PM) 혹은 곡면 모드(CM) 중 하나를 적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c에 도시된 표시 장치(3)의 경우, 형상 변형부(120)는 가요성 표시 패널(310)에 물리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평면 모드(PM) 혹은 곡면 모드(CM)를 적용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30)가 존재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형상이 변형된 정도, 즉 구부림 정도 및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구부러질 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가요성 표시 패널(110)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30)는 필름 타입으로서, 필름 타입의 센서부(130)는 수 ~ 수십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표시 장치(1)가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전면 상에 배치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구부러질 때, 센서부(130)에 압력이 작용한다. 센서부(130)는 가해진 압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30)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센서부(130)를 이루는 물질이 한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구부러짐 정도에 따라 센서부(130)에 작용하는 압력이 달라지므로, 센서부(130)는 이와 같은 압력 값을 반영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130)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압저항(piezo resistance) 방식을 이용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피에조 필름 센서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과 같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부(130)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른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도 3과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 외에도 형상 변형부(120)에 인접하여 제1 가요성 기판(111)과 반대 면에 위치하거나, 형상 변형부(120)와 제1 가요성 기판(11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c와 같은 커브드 타입의 표시 장치(1,3)의 경우에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 310)의 전체에 센서부(130)가 분포할 수 있고, 도 1b와 같은 폴딩 타입의 표시 장치(2)의 경우에는 폴딩 라인(FL) 부근에만 센서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 형상 변형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모드 제어부(141) 및 휘도 제어부(142)를 포함하며,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곡면의 휘는 정도를 변경하거나, 휘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 변형부(12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평면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구부리거나 구부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구부려진 위치, 방향 및 구부림 정도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모드 제어부(14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일정 수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원격 조종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형상 변형부(120)에 소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형상 변형부(120)의 자세를 전환시킴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평면 모드(PM)와 곡면 모드(CM)를 상호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드 제어부(141)는 형상 변형부(120)에 위치 별로 다르게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의 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제어부(141)가 형상 변형부(120)에 일정 수준의 전압을 가하지 않더라도, 외력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휘도 제어부(142)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및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휘도 제어부(142)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역 별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사용자와의 거리가 먼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역을 휘도가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휘도 제어부(142)는 센서부(130)가 측정한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및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역 별 거리를 산출하고, 영역 별 사용자 거리에 따라 영역 별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구부림 방향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후면 방향(사용자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경우)인 경우 구부림 정도가 심한 영역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고, 구부림 방향이 전면 방향인 경우 구부림 정도가 심한 영역의 휘도를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휘도 제어부(142)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제어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영역 별로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휘도 제어부(142)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다수개의 서브 영역(sub area)로 분할하고, 서브 영역마다 서로 다른 휘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영역(sub area 1)과 제2 서브 영역(sub area 2)의 휘도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휘도 제어부(142)가 가요성 표시 패널을 8개의 서브 영역으로 나누고 각 서브 영역마다 휘도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휘도 제어부(142)는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서브 영역으로 나누고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혹은, 휘도 제어부(142)는 픽셀 별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의 실시예에서, 화살표 위의 그림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이고, 화살표 아래 그림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서브 영역별 휘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린 경우이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의 화살표 아래 그림에 나타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서브 영역별 휘도는 상대적인 값을 뜻한다.
도 8a는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좌우측인 제1,2 단변부(110c, 110d) 부근에 각각 동일한 힘을 가했을 때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패널 중심부(C)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좌우측이 곡률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가 '10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가 '90'으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a와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이 구부려질 경우,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인 제2,3,6,7 서브 영역의 구부림 정도가 가장 크고,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멀다. 휘도 제어부(142)는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및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영역 별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와 거리가 먼 영역일수록 휘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a의 실시예에서는,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를 주변 휘도보다 높게 설정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b는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좌측인 제1 단변부(110c) 부근에 더 큰 힘을 줘서 구부린 경우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패널 중심부(C)으로부터 왼쪽 부분의 구부러진 정도가 더 크다. 따라서, 패널 중심부(C)에서 왼쪽 부근 영역이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제2,6 서브 영역의 휘도가 '100', 제3,7 서브 영역의 휘도가 '9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가 '80'으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b와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이 비대칭적으로 구부려지는 경우에 구부림 정도가 큰 서브 영역의 휘도를 높게 설정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c는 도 1b와 같은 폴딩형 가요성 표시 패널(210)을 사용자가 폴딩 라인(FL)을 따라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210)은 폴딩 라인(FL)에만 각이 생기며,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가 '11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가 '80'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8c와 같은 폴딩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은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보다 같은 외력이 가해질 때 구부려지는 각도가 큰 경우가 많으므로, 폴딩 라인(FL) 근방의 서브 영역들이 사용자에게서 멀어지는 정도가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폴딩 라인(FL) 근방의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가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경우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과 달리 사용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휘어진 경우를 나타내는 실시에들이다.
도 9a는 도 8a에 대응되며,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좌우측인 제1,2 단변부(110c, 110d) 부근에 각각 동일한 힘을 가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사용자 방향으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좌우측 가장자리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좌우측 가장자리 주변에 위치한 서브 영역의 휘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를 '9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b는 도 8b에 대응되며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좌측인 제1 단변부(110c) 부근에 더 큰 힘을 줘서 사용자쪽으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앙 좌측 서브 영역이 사용자에게 가까워지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2,6 서브 영역의 휘도를 '80', 제3,7 서브 영역의 휘도를 '9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c)는 도 8c에 대응되며 폴딩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을 폴딩 라인(FL)을 따라 사용자 방향으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210)의 폴딩 라인(FL) 근방이 사용자에게 가까워지며, 제2,3,6,7 서브 영역의 휘도를 '80', 제1,4,5,8 서브 영역의 휘도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더블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은 구부림 각도(θ)가 일정 수치 이하가 되면 가요성 표시 패널(210)의 전체 휘도를 최소값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폴더블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을 일정 각도 이하가 되도록 구부리는 경우 사용자가 가요성 표시 패널(210)을 off시킬 의도인 것으로 파악하여 휘도 제어부(142)는 가요성 표시 패널(210) 전체의 휘도를 최소값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210)이 폴딩 라인(FL)을 따라 일정 각도 이하의 구부림 각도(θ)에 도달할 때, 휘도 제어부(142)는 가요성 표시 패널(210)의 모든 영역의 휘도값을 '0'으로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도 10에서는 폴더블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에 대해서 예시하였지만, 이는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커브드 타입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경우에는 구부려지는 곡률이 일정 수치 이상이 되면 휘도가 최소값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 2, 3: 표시 장치 110, 210, 310: 가요성 표시 패널
120: 형상 변형부 130: 센서부
140: 제어부 141: 모드 제어부
142: 휘도 제어부

Claims (20)

  1.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복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 영역 별로 구부림 정도 혹은 구부림 방향에 기초하여 휘도를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클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작을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및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간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 영역의 휘도를 높게 설정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 혹은 폴딩(folding) 표시 패널인 가요성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대형 디스플레이 혹은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인 가요성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가 세로축을 중심으로 휘어질 때, 같은 세로축에 위치한 화소들의 휘도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가로축으로 휘어질 때 같은 가로축에 위치한 화소들의 휘도는 서로 동일한 가요성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폴딩 라인이 정해진 폴딩 디스플레일 때,
    상기 센서부의 센서는 상기 폴딩 라인에만 존재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 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전체 휘도가 최소값을 가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평면 모드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든 영역의 휘도가 동일한 가요성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액정 소자 혹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투명,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외력 혹은 원격 조종에 의해 구부려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16. 외력 혹은 원격 조종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이 구부려지는 단계;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를 센서부가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부림 방향, 구부림 위치 혹은 구부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역 별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복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 영역 별로 구부림 정도 혹은 구부림 방향에 기초하여 휘도를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클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부림 방향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인 경우, 상기 구부림 위치에 대응하는 구부림 정도가 작을수록 상기 구부림 위치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46937A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218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37A KR102181236B1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US14/495,180 US20150301672A1 (en) 2014-04-18 2014-09-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035848.2A CN105047085B (zh) 2014-04-18 2015-01-23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37A KR102181236B1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83A true KR20150121383A (ko) 2015-10-29
KR102181236B1 KR102181236B1 (ko) 2020-11-23

Family

ID=5432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937A KR102181236B1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01672A1 (ko)
KR (1) KR102181236B1 (ko)
CN (1) CN105047085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3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부러짐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70074101A (ko) * 2015-12-21 2017-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센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70075173A (ko) * 2015-12-23 2017-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36838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6960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팬스컴스 드론 동시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방법
KR20190066961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팬스컴스 임베디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조형물
KR20190083422A (ko)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팬스컴스 가상공간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 매핑 방법
KR20190083423A (ko)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팬스컴스 가상공간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배치방법
US11435780B2 (en) 2019-04-05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of curved portion of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3108A3 (en) * 2014-08-05 2016-07-13 LG Innotek Co., Ltd. Fingerprint sensor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751744B (zh) * 2015-03-02 2017-07-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方法及电子设备
US10614757B2 (en) * 2015-12-02 2020-04-07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bending state thereof
KR20170070574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549785B (zh) * 2015-12-29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7454932A (zh) * 2016-04-15 2017-12-0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发光装置
CN106057855B (zh) * 2016-05-30 2019-02-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EP3400590A4 (en) 2016-06-01 2019-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11243567B2 (en) 2016-07-13 2022-02-08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US10251056B2 (en) 2016-07-13 2019-04-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372892B2 (en) 2016-07-13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878771B2 (en) * 2016-07-13 2020-12-29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JP6998690B2 (ja) * 2016-07-28 2022-01-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端末
CN107978230B (zh) * 2016-10-25 2020-01-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弯曲显示补偿方法和系统
WO2018098638A1 (zh) * 2016-11-29 2018-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拍摄方法和装置
EP3537261A4 (en) * 2016-11-30 2019-10-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6504695B (zh) * 2016-12-15 2019-03-01 深圳市奥拓立翔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led显示屏局部亮度调整的控制方法
CN106686423B (zh) *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8288448B (zh) * 2017-01-09 2021-04-3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驱动系统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7123402B (zh) * 2017-05-26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64165B1 (ko) * 2017-06-30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7146529A (zh) 2017-07-13 2017-09-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屏的显示方法、柔性显示装置
CN107393468B (zh) * 2017-08-24 2019-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色偏校正方法及色偏校正装置
CN108037886A (zh) * 2017-11-29 2018-05-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的显示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8010948B (zh) * 2017-11-30 2020-08-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和显示装置
US10403199B2 (en) * 2018-02-05 2019-09-0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mpensation of a curved display
CN108447433A (zh) * 2018-02-28 2018-08-2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及其应力检测及电压调节方法
CN108874224A (zh) * 2018-06-27 2018-11-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显示面板及其折叠角度检测方法和系统
CN108877526B (zh) * 2018-06-29 2021-02-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弯折区域弯折程度的检测方法
CN109004001B (zh) * 2018-07-03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弯折柔性基板、显示面板及显示设备
CN109036148B (zh) * 2018-09-20 2020-11-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US10504421B1 (en) * 2018-10-12 2019-12-1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mpensation o a curved display
CN109192144B (zh) * 2018-10-26 2021-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补偿子像素单元、制作及驱动方法、像素结构及显示面板
US11335868B2 (en) * 2019-01-11 2022-05-17 Chongq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substr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CN109616020B (zh) * 2019-01-30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120837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I736266B (zh) * 2019-05-20 2021-08-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可撓式電子裝置
CN110277429B (zh) * 2019-06-20 2021-11-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102665352B1 (ko) * 2019-06-27 202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2241194B (zh) * 2019-07-19 2023-03-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照明方法和装置
TWI742519B (zh) * 2019-07-26 2021-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1093262B2 (en) 2019-07-29 2021-08-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normal and privacy modes of operation
US11113375B2 (en) 2019-09-09 2021-09-0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proximity authentication and gaze actuation of companio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12542118A (zh) * 2019-09-20 2021-03-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柔性屏显示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578588B (zh) * 2019-09-27 2023-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模组、显示亮度的校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0706595A (zh) * 2019-10-08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763748B2 (en) * 2019-10-21 2023-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xel-addressable display having curvable area
CN110853579A (zh) * 2019-11-29 2020-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045776B (zh) * 2019-12-11 2023-09-26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切换方法、装置、折叠终端和存储介质
CN111276521A (zh) * 2020-02-11 2020-06-1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220030372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1968526B (zh) * 2020-09-28 2022-10-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81565A (ko) * 2020-12-09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N113327514B (zh) * 2021-05-25 2022-09-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和交通载具
CN113470560B (zh) * 2021-06-30 2023-08-2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拉伸显示面板及其亮度控制方法
CN113674657A (zh) * 2021-08-20 2021-11-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痕补偿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01149A (ko) * 2021-12-29 2023-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56A (ko) * 2008-08-21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42B1 (ko) * 2002-09-20 2010-08-24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보상 장치 및 방법, 가요성 디스플레이 및 휴대형 장치
JP4327180B2 (ja) * 2006-07-24 2009-09-0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CN101425264B (zh) * 2008-11-20 2010-08-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亮度均匀的显示装置与方法
US8963857B2 (en) *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56A (ko) * 2008-08-21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3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부러짐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70074101A (ko) * 2015-12-21 2017-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센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70075173A (ko) * 2015-12-23 2017-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36838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6960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팬스컴스 드론 동시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방법
KR20190066961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팬스컴스 임베디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조형물
KR20190083422A (ko)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팬스컴스 가상공간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 매핑 방법
KR20190083423A (ko)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팬스컴스 가상공간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배치방법
US11435780B2 (en) 2019-04-05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of curved portion of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1672A1 (en) 2015-10-22
CN105047085A (zh) 2015-11-11
CN105047085B (zh) 2019-11-19
KR102181236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38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1420329B1 (ko) 표시 장치
US20230126630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291843B2 (en) Display apparatus
US10735571B2 (en) Display device
KR10213803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168565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KR10257272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17526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플렉서블 리모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733671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613522B1 (ko)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926816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5012454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10043693A1 (en) Sensor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using the same
US9678377B2 (en) Touch structure, LCD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9009733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50086728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17353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US116838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954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mages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