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07B1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07B1
KR101735307B1 KR1020110014047A KR20110014047A KR101735307B1 KR 101735307 B1 KR101735307 B1 KR 101735307B1 KR 1020110014047 A KR1020110014047 A KR 1020110014047A KR 20110014047 A KR20110014047 A KR 20110014047A KR 101735307 B1 KR101735307 B1 KR 10173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cover window
touch
touch screen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655A (ko
Inventor
강진구
김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 부분에 전극 패턴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서 전극 패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전극 패턴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와, 전극 패턴과 터치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전극 패턴과 터치 센서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구성들을 적층하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및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MOBILE TERMINAL AND TOUCH SCREEN PANEL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이동 단말기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display panel)과 표시 패널에 장착되어 표면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touch)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구비한다. 즉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각종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박형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각각의 구성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구현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구성들이 적층되어 구현된다. 이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박형화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소형화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내부광을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광을 투과시키고, 표면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가장자리 부분에 전극 패턴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서 상기 전극 패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와,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쇄 또는 코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해 내부광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내부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상기 터치를 위한 압력 발생 시, 상기 터치 센서를 향해 하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압력 발생 시, 상기 전극 패턴의 하강을 지원하고, 상기 압력 해제 시, 상기 전극 패턴을 상승시켜 복귀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전극 패턴 하강 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다수개의 구성들을 적층하지 않더라도, 구현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다수개의 구성들을 적층하지 않더라도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커버 윈도우의 전극 패턴이 인쇄 필름, 상부 접착 테이프 및 상부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인쇄 필름, 상부 접착 테이프 및 상부 전극에 해당하는 구성들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10), 커버 섀시(cover chassis; 120), 표시 패널(130) 및 패널 고정체(panel bracket; 14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110)은 표면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터치 스크린 패널(110)은 저항막 타입(Resistive Type) 또는 정전용량 타입(Capacitive Type)과 같은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 패널(110)의 세부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커버 섀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10)과 더불어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커버 섀시(12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커버 섀시(120)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s)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 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 섀시(120)는 커버 윈도우(110)를 일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홀(receiving hole; 121)이 형성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 때 커버 섀시(120)는 수용 홀(12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중앙 영역으로 돌출되어, 커버 윈도우(1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턱(receipt stopper; 1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 턱(123)은 수용 홀(121)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110)을 수용하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110)을 지지한다.
표시 패널(130)은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으로,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질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표시 패널(130)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 패널(130)은 커버 섀시(120)의 수용 홀(121)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110)을 수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커버 섀시(120)의 수용 홀(121)에 수용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130)은 터치 스크린 패널(110) 및 커버 섀시(120)에 의해 보호된다. 이 때 표시 패널(130)은 광 가이드 패널(131) 및 패널 지지체(panel suspension; 133)를 구비한다.
광 가이드 패널(131)은 실질적으로 내부광을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광 가이드 패널(131)은 광원, 도광판 및 글래스 패널로 이루어진다. 광원은 내부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광원은 냉음극 광원(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열음극 광원(Hot Fluorescent Lamp; HCFL) 등의 선광원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점광원일 수도 있다.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내부광을 수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110)로 전달한다. 이 때 도광판은 아크릴(acrylic)과 같은 플라스틱 계열의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래스 패널은 도광판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글래스 패널은 도광판에서 내부광을 수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 소자를 구비한다. 이 때 글래스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은 박말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 기판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표시 패널의 재질이 액정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광판(141)에서 투과되는 내부광의 광 투과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킨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내부광을 액정을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컬러 필터 기판은 액정을 통해 전달된 내부광을 일정 색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컬러 필터 기판은 내부광을 일정 색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RGB(Red, Green, Blue) 화소들로 이루어진다.
패널 지지체(133)는 광 가이드 패널(131)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광 가이드 패널(131)을 지지한다. 이러한 패널 지지체(133)는 표시 패널(130)의 강도 보완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패널 고정체(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널 고정체(140)는 표시 패널(130)을 안착시켜 표시 패널(13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패널 고정체(140)는 터치 스크린 패널(110) 및 커버 섀시(120)와 더불어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널 고정체(14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 때 패널 고정체(140)는 가장자리 영역을 통해 커버 섀시(120)에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110), 커버 섀시(120) 및 패널 고정체(1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표시 패널(130)이 수납되어 보호된다.
도 4는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때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정전용량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200)은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210), 인쇄 필름(patterning film; 220), 상부 접착 테이프(top adhesive tape; 230), 상부 전극(top electrode; 240), 스페이서(spacer; 250),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 260),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270) 및 하부 접착 테이프(bottom adhesive tape; 280)를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21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내부광을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투과시킨다. 그리고 커버 윈도우(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에서 도달하는 외부광을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210)의 표면에서 터치를 위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210)는 터치 스크린 패널(200)에서 터치 감지 영역 및 영상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인쇄 필름(220)은 커버 윈도우(21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인쇄 필름(220)은 커버 윈도우(210)에서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어, 중앙 부분을 노출시킨다. 즉 인쇄 필름(220)은 커버 윈도우(210)에서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을 구분한다. 이 때 인쇄 필름(22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접착 테이프(230)는 인쇄 필름(220)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이 때 상부 접착 테이프(230)는 인쇄 필름(220)과 동일하거나 인쇄 필름(220)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240)은 상부 접착 테이프(230)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즉 상부 전극(240)은 상부 접착 테이프(230)를 통해 인쇄 필름(220)에 부착된다. 이 때 상부 전극(24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은(silver) 분말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50)는 상부 전극(24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이 때 스페이서(250)는 일정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스페이서(250)는 실리콘(silicon; 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260)은 스페이서(25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즉 하부 전극(260)은 스페이서(250)를 경계로 상부 전극(240)과 마주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 전극(260)은 스페이서(250)를 통해 상부 전극(24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하부 전극(260)은 스페이서(250)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로 상부 전극(240)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하부 전극(260)은 상부 전극(240)과 유사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은 하부 전극(26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은 하부 전극(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성 인쇄회로기판(270)과 하부 전극(260)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은 상부 전극(240)과 하부 전극(260) 사이에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은 커버 윈도우(210)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은 커버 윈도우(210)에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하부 접착 테이프(28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270)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그리고 하부 접착 테이프(280)는 커버 섀시(120) 및 표시 패널(130)에 접착된다. 여기서, 하부 접착 테이프(280)는 표시 패널(1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된다. 즉 하부 접착 테이프(28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270), 커버 섀시(120) 및 표시 패널(130)을 상호 접착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300)은 커버 윈도우(310), 스페이서(350), 스토퍼(stopper; 351), 다수개의 터치 센서(360)들, 연성 인쇄회로기판(370) 및 하부 접착 테이프(380)를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31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내부광을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투과시킨다. 그리고 커버 윈도우(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에서 도달하는 외부광을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310)의 표면에서 터치를 위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윈도우(310)는 평판(flat plate) 형태로 구현된다. 게다가, 커버 윈도우(310)는 광 투과성, 내열성, 내화학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윈도우(310)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필름 또는 유리(glass)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plastic) 기판일 수도 있다.
이 때 커버 윈도우(310)는 전극 패턴(electrode pattern; 311)이 형성된 구조로 구현된다. 여기서, 전극 패턴(311)은 커버 윈도우(31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 패턴(311)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 윈도우(310)의 하부면에 인쇄(printing) 또는 코팅(coating)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 패턴(311)은 커버 윈도우(310)의 중앙 부분으로 내부광을 출력하고, 커버 윈도우(3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내부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전극 패턴(311)은 커버 윈도우(310)에서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중앙 부분을 노출시킨다. 다시 말해, 전극 패턴(311)은 커버 윈도우(310)에서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을 구분한다. 이를 통해, 전극 패턴(311)은 터치 스크린 패널(300)에서 커버 윈도우(310)의 중앙 부분을 터치 감지 영역 및 영상 표시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전극 패턴(311)은 터치 스크린 패널(300)에서 커버 윈도우(310)의 장식(decoration)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전극 패턴(311)을 경계로 커버 윈도우(31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이 때 스페이서(350)는 일정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스페이서(350)는 일정 값의 탄성(elasticity)을 갖는다. 즉 커버 윈도우(310)에서 외부 압력 작용 시, 스페이서(350)는 외부 압력에 대응하여 두께를 축소시킨다. 다만, 스페이서(350) 축소 시, 스페이서(350)는 임계값 미만으로 두께를 축소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350)는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페이서(350)는 외부 압력에 대응하여 전극 패턴(311)의 하강을 지원한다. 또한 커버 윈도우(310)에서 외부 압력 제거 시, 스페이서(350)는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두께를 확대시킨다. 이를 통해, 스페이서(350)는 외부 압력 해제에 대응하여 전극 패턴(311)을 상승시켜 복귀시킨다. 여기서, 스페이서(35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351)는 커버 윈도우(310)로부터 스페이서(350)를 통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스토퍼(351)는 스페이서(35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351)는 스페이서(350)와 동일하지 않고 스페이서(250)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스토퍼(351)는 전극 패턴(311)의 하강을 억제한다. 즉 전극 패턴(311) 하강 시, 스토퍼(351)는 스토퍼(351)의 두께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전극 패턴(311)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터치 센서(360)는 스페이서(350) 및 스토퍼(351)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즉 터치 센서(360)는 스페이서(350) 및 스토퍼(351)를 경계로 전극 패턴(311)과 마주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터치 센서(360)는 스페이서(350)를 통해 전극 패턴(31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터치 센서(360)는 스페이서(350)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로 전극 패턴(31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터치 센서(360)는 전극 패턴(311)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한다. 즉 외부 압력에 대응하여 전극 패턴(311)이 터치 센서(360)를 향해 하강하면, 터치 센서(360)는 전극 패턴(311)과의 거리 축소, 다시 말해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압력 해제에 대응하여 전극 패턴(311)이 터치 센서(360)로부터 상승하면, 터치 센서(360)는 전극 패턴(310)과의 거리 확장, 다시 말해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패턴(311) 하강 시, 터치 센서(360)는 스페이서(350) 및 스토퍼(351)에 의해 전극 패턴(311)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즉 스페이서(350)는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두께를 축소할 뿐이기 때문에, 터치 센서(360)는 임계값 이상으로 전극 패턴(311)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351)는 스토퍼(351)의 두께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전극 패턴(311)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터치 센서(360)는 스토퍼(351)의 두께 이상으로 전극 패턴(311)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터치 센서(36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터치 센서(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성 인쇄회로기판(370)과 터치 센서(360)들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전극 패턴(311)과 각각의 터치 센서(360) 사이에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커버 윈도우(310)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전극 패턴(311)과 터치 센서(3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터치 센서(360)에 대응하여 전하량을 측정한다. 이 때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각각의 터치 센서(360)에 대응하여 전하량의 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은 터치 센서(360) 별 전하량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310)에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하부 접착 테이프(38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370)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그리고 하부 접착 테이프(380)는 커버 섀시(120) 및 표시 패널(130)에 접착된다. 여기서, 하부 접착 테이프(380)는 표시 패널(1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된다. 즉 하부 접착 테이프(38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370), 커버 섀시(120) 및 표시 패널(130)을 상호 접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구성들을 적층하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다수개의 구성들을 적층하지 않더라도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커버 윈도우의 전극 패턴이 인쇄 필름, 상부 접착 테이프 및 상부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인쇄 필름, 상부 접착 테이프 및 상부 전극에 해당하는 구성들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가장자리 부분에 전극 패턴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서 상기 전극 패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상기 터치를 위한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 센서를 향해 하강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극 패턴의 하강 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쇄 또는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해 내부광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내부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압력의 발생 시, 상기 전극 패턴의 하강을 지원하고, 상기 압력의 해제 시, 상기 전극 패턴을 상승시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내부광을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광을 투과시키고, 표면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표면으로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분에 전극 패턴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 패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와,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서 상기 터치를 위한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 센서를 향해 하강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극 패턴의 하강 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터치 센서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쇄 또는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해 상기 내부광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내부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압력의 발생 시, 상기 전극 패턴의 하강을 지원하고, 상기 압력의 해제 시, 상기 전극 패턴을 상승시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KR1020110014047A 2011-02-17 2011-02-1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3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47A KR101735307B1 (ko) 2011-02-17 2011-02-1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47A KR101735307B1 (ko) 2011-02-17 2011-02-1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55A KR20120094655A (ko) 2012-08-27
KR101735307B1 true KR101735307B1 (ko) 2017-05-29

Family

ID=468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47A KR101735307B1 (ko) 2011-02-17 2011-02-1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70B1 (ko) * 2012-11-07 2019-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05398B1 (ko) 2014-09-0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7146417A1 (ko) * 2016-02-25 2017-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433A (ja) * 1999-01-21 2000-08-04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スペ―サ形成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997712B1 (ko) * 2010-04-26 2010-12-01 삼광웰텍주식회사 슬림형 윈도우 터치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433A (ja) * 1999-01-21 2000-08-04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スペ―サ形成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997712B1 (ko) * 2010-04-26 2010-12-01 삼광웰텍주식회사 슬림형 윈도우 터치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55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565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US10409099B2 (en) High screen ratio display device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KR101407300B1 (ko) 멀티 터치 평판 표시모듈
US9726927B2 (en) Use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8847908B2 (en) Display device
US9151978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having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313439A1 (en) Display device
US20130222317A1 (en)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05511669A (zh) 一种具有压力检测功能的触控屏及电子设备
US20120326992A1 (en) Touch Panel for Providing a Shield Against Noise
US20130147740A1 (en) Touch display device
KR101107167B1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457704B1 (ko) 표시 장치
US20110285668A1 (en) Touch input device
US10802640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0802653B2 (en) Touch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thereof
JP2013025313A (ja) ユーザ端末及びその表示パネル
KR1017353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33155B1 (ko) 터치 패널
EP322911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thereof
EP2555092A1 (en) Electronic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CN112181198B (zh) 触控模组及电子设备
EP2579132B1 (en) Touch panel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KR20150146066A (ko) 영상 표시 장치
TW201546675A (zh) 觸控顯示面板之模組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