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673A -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673A
KR20150119673A KR1020140045377A KR20140045377A KR20150119673A KR 20150119673 A KR20150119673 A KR 20150119673A KR 1020140045377 A KR1020140045377 A KR 1020140045377A KR 20140045377 A KR20140045377 A KR 20140045377A KR 20150119673 A KR20150119673 A KR 2015011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shop
preference
personality type
result
partici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원
Original Assignee
(주)에이블웨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블웨이즈 filed Critical (주)에이블웨이즈
Priority to KR102014004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9673A/ko
Priority to PCT/KR2015/000457 priority patent/WO201516007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은,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샵 정보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of arranging the position based on the examination of personality type}
본 발명은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그룹작업방법과 워크샵 장소의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자리배치 해주어 워크샵의 진행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해주는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잡을 수 없을 것 같아 보이는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으며, 그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특히 칼융(Carl G, Jung)의 심리유형론을 기반으로 고안된 엠비티아이(MBTI)라는 성격유형검사방법은 사람의 성격을 16가지로 구분하여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엠비티아이(MBTI) 성격유형검사방법은 종이에 출력된 검사지 혹은 온라인 검사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자가 자가진단을 통하여 자신의 선천적 성격유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선천적 성격유형을 엠비티아이(MBTI) 4가지 선호지표로 구분하고 있다.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는 첫째로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E(외향)-I(내향) 선호지표가 존재하며, 두번째로 인식기능에 따라 S(감각)-N(직관) 선호지표가 존재하고, 세번째로 판단기능에 따라 T(사고)-F(감정) 선호지표, 마지막 네번째로 생활양식에 따라 J(판단)-P(인식) 선호지표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엠비티아이(MBTI) 4가지 선호지표인 E-I, S-N, T-F, J-P 지표에서 각 한 개씩 선택되어 총 16가지의 성격유형으로 구분이 되며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계학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아울러, 엠비티아이(MBTI)는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는데 그 방법으로는 4가지 선호지표별(E-I, S-N, T-F, J-P), 16가지 유형별, 주기능별, 심리기능별, 기질별, 4분할별, 태도지표별로 다양한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유형검사를 개인별로 실시할 경우 자신의 성격유형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나 다른 사람의 성격유형을 이해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개인별로 성격유형검사를 진행하는 방식보다는 다수의 사람들이 워크샵에 참가하여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고 성격유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그룹작업을 진행하는 워크샵 방식으로 엠비티아이(MBTI)가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상기 소프트웨어는 워크샵 참가자들의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통계자료만 제공할뿐이었다. 이에 따라 검사결과에 맞게 참가자들을 자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워크샵 진행자에게 일임되어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다른 방법의 그룹작업을 하기 위하여 자리배치를 다시 할 경우 시간이 비슷하게 소요되어 대부분의 워크샵 진행자들은 그룹작업을 최소화 하고 일방향의 설명과 질의응답으로 워크샵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가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의 자리배치에 있어서, 종래의 소프트웨어는 선호지표만을 가지고 그룹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워크샵 진행자는 선호지표만 반영된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자리배치를 함으로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분명도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자리배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선호분명도란 하나의 지표에서 선호지표가 분명한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어, E(외향)-I(내향) 지표에서 선호지표가 I(내향)일 때, 내향성이 외향성에 비해 크게 두드러질 때 E(외향)-I(내향) 지표의 선호분명도는 높게 나타나지만, 내향성과 외향성이 비슷할 때 E(외향)-I(내향) 지표의 선호분명도는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첫째로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종래의 워크샵의 경우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배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 둘째로 상기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에서 다양한 그룹작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일방향의 설명과 질의 응답으로 진행되어 워크샵 참가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한 문제, 셋째로 상기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의 자리배치에 있어서 선호분명도는 고려되지 않고 선호지표만 고려되어 잘못된 자리배치가 될 수 있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은,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샵 정보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격유형검사는 엠비티아이(MBTI)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는, 성격유형검사의 검사지유형을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샵이 수행되는 장소의 테이블의 배치정보 또는 좌석의 배치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격유형검사는 엠비티아이(MBTI)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지표,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선호분명도중 어느하나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2이상의 선호지표 중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를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가 2이상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 중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에 대한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가장 낮은 선호지표를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가장 낮은 선호지표가 2이상 있을 경우에는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워크샵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에 배정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자리배치되지 않은 워크샵 참가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리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이동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수신하는 워크샵정보수신부,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결과수신부, 및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정보와 상기 결과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리배치결과를 출력하는 자리배치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워크샵 정보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유형, 상기 워크샵이 수행되는 장소의 테이블수, 및 상기 테이블별 좌석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 또는 상기 결과수신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로부터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계산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자리배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출력부는, 상기 자리배치 모듈에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표시하는 초과자표시모듈, 및 테이블과 각 테이블에 배정된 참가자가 표시된 배치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배치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우선, 워크샵 참가자들이 입력한 검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자리배치를 해줌으로써 성격유형검사에 있어서 그룹작업 준비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에서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그룹작업에 대한 자리배치를 언제든 실시간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제한된 시간내에 다양한 방법으로 그룹작업을 가능케 하고, 이에 따라 참가자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성격유형검사에 대한 신뢰를 높여 성격유형검사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배치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배치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성격유형검사 워크샵 진행자의 워크샵 정보입력 화면의 예.
도 4는 성격유형검사 결과 입력화면의 예.
도 5는 선호지표별 통계를 구하여 출력한 화면의 예.
도 6는 1가지 선호지표(E-I)에 따라 자리배치한 결과를 출력한 자리배치출력부(400)의 예.
도 7는 2가지 선호지표(E-I, J-P)에 따라 자리배치한 결과를 출력한 자리배치출력부(400)의 예.
도 8은 4가지 선호지표 (E-I, S-N, T-F, J-P)에 따라 자리배치한 결과를 출력한 자리배치출력부(400)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은,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1),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2),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S3), 상기 워크샵 정보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4), 및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1)에서 상기 워크샵 정보라 함은 워크샵 명칭, 기간, 참가자인원, 성격유형검사도구 종류, 테이블 수, 테이블당 좌석수 등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에 대한 인적, 물적등의 정보를 총칭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를 때 테이블수의 경우 테이블의 줄 수, 열 수를 각각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를 때 테이블당 좌석수를 지정한 후에도 테이블 각각의 좌석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도 3에는 두 개의 실시예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으나, 별개의 화면이 아닌 연속된 화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별개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1)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컨대, 서버, 클라이언트, 모바일 디바이스, 클라우드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2)에서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는 상기 성격유형검사로 나오는 데이터 등 모든 결과물을 총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성격유형검사가 엠비티아이(MBTI)일 때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는 8가지 지표(E, I, S, N, T, F, J, P)의 원점수등 일 수 있으며, 이 단계(S2)에서 워크샵 코드도 입력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 단계(S2)에 따라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워크샵 코드는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1)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에 관한 정보를 입력했을 때 상기 워크샵에 대해 부여되는 코드를 말한다.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2)에서 상기 컴퓨터는 서버, 클라이언트, 모바일 디바이스, 클라우드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S2)에서는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정보 또한 입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뿐만 아니라 참가자의 성별, 생년월일, 이름 등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S3)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 참가자들이 입력한 결과를 취합하여 통계 등을 도출함으로써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단계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성격유형검사가 엠비티아이(MBTI)라 할 때, 본 단계(S3)에서는 개인별로 선호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및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구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선호지표라함은 사람의 선천적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로는 첫째로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E(외향)-I(내향) 선호지표가 존재하며, 두번째로 인식기능에 따라 S(감각)-N(직관) 선호지표가 존재하고, 세번째로 판단기능에 따라 T(사고)-F(감정) 선호지표, 마지막으로 생활양식에 따라 J(판단)-P(인식) 선호지표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개인별 선호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토대로 상기 4가지 E-I, S-N, T-F, J-P 지표에서 각 한 개씩 선택하는 단계를 말한다. 예를들어,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에너지흐름이 외향적이고, 인식기능에 있어서는 감각지향적이며, 판단기능에서는 사고지향적이고, 생활양식에 있어서는 인식지향적이라 할 때 선호지표는 ESTP가 되는 것이다.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라 함은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로부터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이끌어 낼수있는 모든 데이터를 총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선호지표별 통계는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 16가지 유형별 통계, 주기능별 통계, 심리기능별 통계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라 함은 8가지의 선호지표(E, I, S, N, T, F, J, P)에 해당하는 인원을 구하는 것이고, 16가지 유형별 통계라 함은 16가지의 가능한 선호지표 조합(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별 인원을 구하는 것이고, 주기능별 통계라함은 심리기능 지표와 에너지 방향 지표의 조합으로 나올 수 있는 8가지의 경우 즉, 외향감각(Se), 내향감각(Si), 외향직관(Ne), 내향직관(Ni), 외향사고(Te), 내향사고(Ti), 외향감정(Fe), 및 내향감정(Fi)에 해당하는 인원을 구하는 것이고, 심리기능별 통계라 함은 인식기능 지표와 판단기능 지표의 조합으로 나올 수 있는 4가지 경우(ST, SF, NT, NF)에 해당하는 인원을 구하는 것이다.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란 하나의 지표에서 선호지표가 분명한 정도를 숫치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어, E(외향)-I(내향) 지표에서 선호지표가 I(내향)일 때, 내향성이 외향성에 비해 크게 두드러질 때 E(외향)-I(내향) 지표의 선호분명도는 높게 나타나지만, 내향성과 외향성이 비슷할 때 E(외향)-I(내향) 지표의 선호분명도는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4)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S3)에서 나온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이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4)에서 상기 성격유형검사가 엠비티아이(MBTI)방식일 때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로 자리배치하는 방법, 16가지 유형별 분류에 따라 자리배치하는방법, 주기능별 분류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 심리기능별 분류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류방식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선호지표별 통계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하였다.
특히 상기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로 자리배치하는 방법은 1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 2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 3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1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은 도 6처럼 E(외향)-I(내향), S(감각)-N(직관), T(사고)-F(감정), 및 J(판단)-P(인식) 중 어느 하나의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E(외향)-I(내향)의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 한다함은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을 에너지방향이 E(외향)인 사람과 I(내향)인 사람으로 이분하여, 전자의 사람은 E(외향)에 해당하는 테이블에 배치하고 후자의 사람은 I(내향)에 해당하는 테이블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2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은 도 7처럼 상기의 선호지표중에 2가지의 선호지표를 기준으로 상기 참가자들을 분류하여 자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E(외향)-I(내향)의 선호지표와 J(판단)-P(인식)의 선호지표를 기준으로 자리배치 한다함은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을 4가지, 즉 E(외향), I(내향), J(판단), 및 P(인식)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테이블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가지의 선호지표에 따라 분류하게 되면 참가자들은 분류될 수 있는 경우가 2가지가 생길 수 있다. 즉, 각 참가자마다 2개의 테이블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에너지방향 지표가 E(외향)이고 생활양식 지표가 J(판단)인 사람의 경우 E(외향)에 대응되는 테이블에 배치될 수도 있고, J(판단)에 대응되는 테이블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2가지의 선호지표를 기준으로 상기 참가자들을 분류하여 자리배치할 때에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 분석단계(S3)에서 구한 지표(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지표,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선호분명도) 또는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우선, 상기 2가지의 선호지표 중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에 대응되는 테이블에 자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어 E(외향), J(판단)의 선호지표를 갖는 참가자가 있을 때, E(외향)의 선호분명도는 4이고 J(판단)의 선호분명도는 2라면 상기 참가자는 E(외향)에 대응되는 테이블로 자리배치되게 된다.
하지만 두 선호지표의 선호분명도가 같을 때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에 대한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고려하여 통계비율이 더 작은쪽으로 자리배치하게 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한 참가자의 E(외향)와 J(판단)의 선호분명도가 모두 4로 동일해도, 상기 워크샵 전체 참가자들 중 에너지방향이 E(외향)에 해당하는 사람이 50명중 30명이고(30/50 = 0.6), 생활양식이 J(판단)에 해당하는 사람이 50명중 10명이라면(10/50 = 0.2) J(판단)의 통계비율이 0.2로서 E(외향)의 통계비율인 0.6보다 작으므로 상기 참가자는 J(판단)에 해당하는 테이블에 배치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선호지표별 통계비율마저도 동일하다면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고려하여 테이블에 배치되게 된다. 예들들어 대한민국 사람들을 상대로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을 실시하고, 대한민국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E(0.4), J(0.3)이라 한다면(괄호 안의 숫자는 엠비티아이 선호지표별 통계비율) 대한민국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더 작은 J(판단)에 해당하는 테이블에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고려할 때 위 예처럼 상기 통계비율이 더 작은 쪽으로 배치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그 기준은 바뀔 수 있다.
상기 3가지 또는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도 상기 2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상기 선호분명도,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에 대한 선호지표별 통계비율, 상기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단계적으로 검토하여 자리배치하게된다. 다만 비교대상 선호지표가 3가지 또는 4가지가 될 뿐이다. 도 8에는 상기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자리배치하는 일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4)에서 입력받은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리배치를 해주는 결과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의 준비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룹작업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5)는 상기 자리배치 결과 도출단계(S4)의 결과를 웹, 어플리케이션, 인쇄물, 디스플레이등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S5),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S4)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워크샵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에 배정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자리배치되지 않은 워크샵 참가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리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이동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가지 선호지표(E-I, J-P)에 따라 자리배치할 때, E(외향)에 대응되는 좌석 수가 20개인데 E(외향)에 배치되야 하는 참가자수가 25명이면 남은 5명은 자리배치되지 못한다. 이 때 상기 남은 5명은 따로 표시가 되고 상기 워크샵 진행자가 임의로 특정 테이블로 자리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리배치되지 않은 워크샵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배치하는 과정은 드래그 앤 드랍방식으로 입력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은,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수신하는 워크샵정보수신부(100),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결과수신부(200),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정보와 상기 결과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자리배치결과를 출력하는 자리배치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샵 정보를 수신하는 워크샵정보수신부(100)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워크샵 정보라 함은 워크샵 명칭, 기간, 참가자인원, 성격유형검사도구 종류, 테이블 수, 테이블당 좌석수 등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에 대한 인적, 물적등의 정보를 총칭한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를 때 테이블수의 경우 테이블의 줄 수, 열 수도 상기 워크샵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결과수신부(200)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워크샵 참가자들의 검사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는 상기 성격유형검사로 도출되는 데이터 등 모든 결과물을 총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성격유형검사가 엠비티아이(MBTI)일 때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는 8가지 지표(E, I, S, N, T, F, J, P)의 원점수등 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정보와 상기 결과수신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100) 또는 상기 결과수신부(200)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310),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로부터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계산하는 분석모듈(320), 및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자리배치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310)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저장장치를 총칭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320)은 상술한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 분석단계(S3)가 이루어지는 모듈이다.
상기 자리배치모듈(330)은 상술산 자리배치 결과 도출단계(S4)가 이루어지는 모듈이다.
상기 자리배치출력부(400)에서는 상기 자리배치 결과 출력단계(S5)가 이루어지며, 상기 자리배치출력부(400)는 웹, 어플리케이션, 인쇄물,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자리배치출력부(400)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과자표시모듈(410), 배치표시모듈(420)을 포함 할수 있으며, 상기 초과자표시모듈(410)은 상기 자리배치 모듈(330)에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표시하는 모듈이고, 상기 배치표시모듈(420)은 상기 워크샵 장소의 테이블과 각 테이블에 배정된 참가자를 표시하는 모듈이다. 이때 상기 자리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들을 상기 초과자표시모듈(410)에서 드래그 앤 드랍방식으로 상기 배치표시모듈(420)로 옮겨 자리배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 워크샵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S2: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S3: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S4: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S5: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10: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100: 워크샵정보수신부
200: 결과수신부
300: 제어부
310: 저장모듈
320: 분석모듈
330: 자리배치모듈
400: 자리배치출력부
410: 초과자표시모듈
420: 배치표시모듈

Claims (12)

  1.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샵 정보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격유형검사는 엠비티아이(MBTI)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는,
    성격유형검사의 검사지유형을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샵이 수행되는 장소의 테이블의 배치정보 또는 좌석의 배치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격유형검사는 엠비티아이(MBTI)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지표,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선호분명도중 어느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2이상의 선호지표 중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를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워크샵 참가자의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가 2이상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호분명도가 가장 높은 선호지표 중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에 대한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가장 낮은 선호지표를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이 가장 낮은 선호지표가 2이상 있을 경우에는 국가별 엠비티아이(MBTI) 선호지표별 통계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워크샵 참가자가 착석하는 테이블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자리배치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워크샵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에 배정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자리배치되지 않은 워크샵 참가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리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이동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8.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워크샵을 수행하기 위하여, 워크샵 참가자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 정보를 수신하는 워크샵정보수신부;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결과수신부; 및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정보와 상기 결과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성격유형검사결과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배치결과를 출력하는 자리배치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워크샵 정보는,
    상기 성격유형검사 유형, 상기 워크샵이 수행되는 장소의 테이블수, 및 상기 테이블별 좌석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크샵정보수신부 또는 상기 결과수신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로부터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계산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지표, 상기 워크샵 참가자들의 선호지표별 통계, 또는 상기 워크샵 참가자별 선호분명도를 토대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자리배치모듈을 포함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배치출력부는,
    상기 자리배치 모듈에서 자리배치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선호지표에 해당하는 참가자의 수가 해당 선호지표 테이블의 좌석수를 초과한 경우 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표시하는 초과자표시모듈; 및
    테이블과 각 테이블에 배정된 참가자가 표시된 배치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치되지 않은 참가자를 특정 테이블에 배치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시스템.
KR1020140045377A 2014-04-16 2014-04-16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9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77A KR20150119673A (ko) 2014-04-16 2014-04-16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5/000457 WO2015160074A1 (ko) 2014-04-16 2015-01-16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77A KR20150119673A (ko) 2014-04-16 2014-04-16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73A true KR20150119673A (ko) 2015-10-26

Family

ID=5432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377A KR20150119673A (ko) 2014-04-16 2014-04-16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9673A (ko)
WO (1) WO2015160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48B1 (ko) * 2021-10-15 2022-04-28 성기원 개인 캐릭터 도출을 위한 심리평가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심리평가 위한 개인 캐릭터 도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7110A (zh) * 2017-07-27 2017-12-22 北京华文众合科技有限公司 电子排位及电子点名系统与方法
TR201808229A2 (tr) * 2018-06-08 2018-06-21 Enver Demirel Yilmaz Mi̇zaç ti̇pi̇ne uygun eği̇ti̇m ortami sunan sinif yerleşti̇rme si̇stem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328A (ja) * 2005-07-20 2007-02-01 Nec Corp 座席割当システム、サーバ、端末、座席割当プログラム
MX350182B (es) * 2010-06-15 2017-08-08 Ticketmaster L L C Metodo y sistemas para configuracion y modelado por computadora de lugares de eventos y mapas interactvos.
KR20130095387A (ko) * 2012-02-20 2013-08-28 김경현 학생 선호 분석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48B1 (ko) * 2021-10-15 2022-04-28 성기원 개인 캐릭터 도출을 위한 심리평가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심리평가 위한 개인 캐릭터 도출방법
WO2023063589A1 (ko) * 2021-10-15 2023-04-20 성기원 개인 캐릭터 도출을 위한 심리평가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심리평가 위한 개인 캐릭터 도출방법
KR20230054245A (ko) * 2021-10-15 2023-04-24 성기원 개인 캐릭터 도출을 위한 심리평가도구를 이용한 심리평가 위한 개인 캐릭터 도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074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0429C (en) Peripheral vision training and/or testing during central vision fixation
Schwerdtfeger et al. Pick-by-vision: A first stress test
Carenini et al. Highlighting interventions and user differences: Informing adap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support
Hasanzadeh et al. Measuring construction workers’ real-time situation awareness using mobile eye-tracking
Alamirah et al.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for occupant comfort and adaptive behavior research–A comprehensive review of tools and applications
KR101244818B1 (ko)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RU2013145906A (ru) Нормализация и совокупный анализ элементов результатов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й подготовки в познавательном процессе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интерактивные сводные отчеты
Hasse et al. Eye-tracking measurements and their link to a normative model of monitoring behaviour
KR20150119673A (ko)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Obrad et al. Determinants of work engagement among teachers in the context of teleworking
Yoon et al. Assessment model for perceived visual complexity of automotive instrument cluster
Andrews et al. The effect of posture category salience on decision times and errors when using observation-based posture assessment methods
Guarese et al. Augmented situated visualization for spatial and context-aware decision-making
Pepe et al. A consideration of signature complexity using simulators’ gaze behaviour
Liu et al. Influence of semantic cues on hazard-inspection performance: a case in construction safety
Yang et al. Assessing situation awareness in multitasking supervisory control using success rate of self-terminating search
KR101914736B1 (ko)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WO2021192704A1 (ja)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Sun et al. Efficiency improvement by navigated safety inspection involving visual clutter based on the random search model
JP7136775B2 (ja) 脳処理速度測定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271103B1 (ko)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Fernandes et al. Using eye tracking to explore design features in nuclear control room interfaces
Gazica et al. Called to safety?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safety climate and occupational callings on aviator safety performance
JP6376625B1 (ja) オフィス診断システム、オフィス診断用プログラム、及び、オフィス診断方法
RU2579725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и тренинга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 важных качеств инженерно-технических работни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