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736B1 -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4736B1 KR101914736B1 KR1020170133388A KR20170133388A KR101914736B1 KR 101914736 B1 KR101914736 B1 KR 101914736B1 KR 1020170133388 A KR1020170133388 A KR 1020170133388A KR 20170133388 A KR20170133388 A KR 20170133388A KR 101914736 B1 KR101914736 B1 KR 101914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 language
- function
- evaluation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449 langua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935 att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7201 aph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87 memory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152 Cereb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886 Traumatic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977 languag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93 pro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29 traumatic brain inju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Neuro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질환 환자의 효율적인 언어재활을 위해 필요한 언어 및 인지 기능을 온라인 상에서 평가할 수 있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은 피평가자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구성능력, 기억력, 실행기능, 정서, 주의력, 지각 및 집행기능에 관한 제1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피평가자의 언어기능에 관한 제2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검사와 상기 제2검사에 대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및 언어 기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뇌질환 환자의 효율적인 언어재활을 위해 필요한 언어 및 인지 기능을 온라인 상에서 평가할 수 있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뇌졸증, 치매, 외상성 뇌손상 등 다양한 뇌질환으로 인해 언어능력 손상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뇌질환 환자의 언어능력 손상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독립적인 일상활동 및 사회활동의 심한 장애를 유발하며, 한번 손상된 언어능력은 쉽게 회복되기 어려워 상당수의 언어장애를 가진 사람은 평생 의사소통 장애를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장애의 정도를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으로 언어재활 치료가 권고되고 있는데, 언어재활 치료는 언어능력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효과적인 언어재활을 위해서는 손상된 언어기능을 제대로 평가하고 이에 따라 체계적인 재활훈련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실어증 환자로 대표되는 뇌질환군의 언어장애는 비언어적인 인지능력의 손상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언어장애 회복의 예후인자로 기억, 주의력, 집행기능 등의 인지능력의 요인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논의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의 예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환자의 언어평가 뿐만 아니라 다른 관련 인지영역들의 평가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효과적인 언어재활을 위한 평가로서 언어기능 평가와 관련 인지영역 평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평가 프로토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320624호(2013.10.23.)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320624호(2013.1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뇌질환 환자의 효율적인 언어재활을 위해 필요한 언어 및 인지 기능을 온라인 상에서 평가할 수 있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은 피평가자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구성능력, 기억력, 실행기능, 정서, 주의력, 지각 및 집행기능에 관한 제1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피평가자의 언어기능에 관한 제2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검사와 상기 제2검사에 대한 검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및 언어 기능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및 언어 기능에 대한 선별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사 및 제2검사에서 사용되는 검사 과제의 종류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능력 검사는 제시된 특정 시간을 가리키는 시계를 그리거나 제시된 직육면체를 따라 그리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억력 검사는 세 개의 그림 또는 단어를 제시하고 윗줄에 위치한 하나의 그림과 잘 어울리는 그림을 아래의 두 개의 그림 중에 고르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력 검사는 특정한 복합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복합도형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부분도형들로 구성된 그림 세트를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림 세트 중에서 피평가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도형이 상기 복합도형에 포함되는 부분도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기능 검사는 화면에 나타난 숫자 및 문자들을 일련의 크기나 의미에 따라 번갈아가며 순서대로 연결하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의력 검사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원 중에서 일부의 원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화면 상에서 깜빡인 후 상기 복수의 원이 모두 제시될 때, 피평가자가 깜빡이는 순서를 기억하여 깜빡인 순서대로 원을 터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의력 검사는 화면에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랜덤하게 선택되어 일정시간 동안 깜박이는 동안 특정한 숫자가 제시될 때 화면을 터치하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에 의하면,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언어기능과 관련 인지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며, 임상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평가자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검사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평가자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검사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시스템(1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피평가자 단말(20)과 평가 서버(30)를 포함한다.
피평가자 단말(20)은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를 받고자 하는 피평가자 본인에 의해 조작되는 단말기이다.
피평가자 단말(20)은 피평가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각 검사 영역에 대한 검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검사 결과를 평가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평가 서버(30)는 피평가자 단말(20)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고, 검사 결과를 기초로 피평가자의 언어재활에 필요한 언어 및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평가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50)와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50)에는 온라인 평가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검사자 단말(20)은 CPU(21), 통신 장치(22), 입력 및 표시 장치(23), 보조기억 장치(24), 주기억 장치(25), 마이크로폰(26) 및 스피커(27)를 포함하며, 이들은 버스(2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통신 장치(22)는 네트워크(40)를 통해 평가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된다.
피평가자 단말(20)에서 실행되어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평가 서버(40) 또는 그 밖의 다른 서버(미도시)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보조 기억장치(24)는 상기 다운로드 후 설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필요한 파일이나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주기억 장치(25)는 보조기억장치(24)에서 프로그램을 읽어 저장한다. CPU(21)는 주기억 장치(2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피검사자 단말(20)이 갖는 여러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 및 표시 장치(23)는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을 받고 각 영역별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손이나 펜 등을 이용한 화면 터치를 통해 입력을 받아 들인다. 마아크로폰(26)은 피평가자가 발한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스피커(27)는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을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한편, 평가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피평가자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평가자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평가자 단말(20)은 데이터 송수신부(201), 기본정보 취득부(202) 및 검사부(203)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01)는 기본정보 취득부(202) 및 검사부(203)에서 생성 및 가공된 데이터를 평가 서버(30)로 전송하고, 평가 서버(30)로부터 전송된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본정보 취득부(202)는 피평가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피평가자의 나이, 성별 등의 기본 정보를 받아들이고, 회원가입이나 인증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검사부(203)는 선별 검사부(204), 인지기능 검사부(205), 언어기능 검사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별 검사부(204)는 피평가자의 인지 및 언어 기능에 대한 본격적인 검사에 앞서 수행되며,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검사에서 사용되는 검사 과제의 종류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인지기능 검사부(205)는 언어재활에 필요한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7개의 관련 영역을 검사한다. 예컨대, 검사 영역은 구성능력, 기억력, 실행기능, 정서, 주의력, 지각능력 및 집행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언어기능 검사부(206)는 언어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와 관련한 언어기능 평가를 위한 검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평가자 단말(20)은 평가에 앞서 피평가자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 기본정보는 피평가자의 나이, 성별, 학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평가자의 기본정보는 평가 서버(30)로 전송되어 평가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와 함께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될 수 있다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피평가자 단말(20)은 피평가자의 인지 및 언어 기능에 대한 선별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20). 선별검사는 인지선별검사와 언어선별검사로 각각 진행될 수 있다.
인지선별검사는 총 3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선별검사로 6개 분야의 기능을 알아볼 수 있는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와 치매환자의 중증도를 알아볼 수 있는 전반적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언어선별검사는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korea version of frenchay aphasia screening test, K-FAST)와 범주형 이름대기 검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검사가 수행되고 나면, 피평가자 단말(20)은 검사결과에 기초하여 이후의 각 검사 영역에서 수행될 검사 과제의 종류 및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S30).
단계 S30 이후에는 피평가자의 인지기능 및 언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본격적인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S40, S50).
특히, 인지기능에 관한 검사는 구성능력, 기억력, 실행기능, 정서, 주의력, 지각능력 및 집행기능 등 7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검사 영역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 과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검사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성능력 검사는 시계 그리기 검사와 직육면체 그리기 검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피평가자로 하여금 피평가자 단말(20)의 화면에 펜을 이용하여 특정 사각(예, 11시 10분)을 가리키는 시계를 그리도록 하거나 직육면체를 보여주고 빈 화면에 따라 그리게 할 수 있다.
기억력 검사는 의미지식 검사, 시각기억검사 및 Rey 복합도형 따라 그리기 검사, Rey 복합도형 즉각 회상 그리기 검사, Rey 복합도형 지연 회상 그리기 검사, 및 Rey 복합도형 재인 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과제로 할 수 있다.
의미지식 검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세 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윗줄에 위치하는 하나의 그림과 더 잘 어울리는 그림을 아래의 두 개의 보기 중에 고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림과 단어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단어 버전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각기억검사는 시작과 함께 m개의 도형을 1초 간격으로 화면에 제시한 후, 상기 m개의 도형을 포함한 n개의 도형을 모두 한 화면에 나타내고 앞서 제시된 m개의 도형을 기억하여 찾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피평가자는 화면 터치나 클릭을 통해 n개의 도형 중에서 총 m개를 선택할 수 있고, 모든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도형 중 몇 개가 일치하는지를 계산하여 채점할 수 있다.
Rey 복합도형 검사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한 복합도형을 제시한 상태로 이를 따라 그리게 하거나, 제시한 직후 또는 일정 시간 지난 후에 그림을 기억하여 그리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복합도형을 보여주거나 그리도록 한 뒤, 상기 복합도형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부분도형 세트인 도 7 (a) 내지 (d)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며 원 그림인 복합도형에 포함되는 부분도형을 찾도록 할 수 있다.
실행기능 검사에서는 화면에 나타난 숫자, 도형 및 문자들을 일련의 크기나 모양 등의 순서에 따라 연결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또는 문자를 순서대로 연결하도록 하거나, 숫자와 문자를 번갈아가며 순서대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정서 검사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우울함 정도를 단계별로 나타낸 표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노인 우울 척도가 되는 아래 [표 1]의 설문에 '예/아니오'로 답하도록 하는 검사를 수행한다.
[표 1]
상기 설문은 총 30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질문 내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반응과 일치할 때 1점을 부여한다. 채점 결과, 총점이 22점 이상일 때 '심도'의 우울증이고, 19점부터 21점까지는 '중도'의 우울증, 그리고 14점부터 18점사이는 '경도' 우울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주의력 검사에서는 시각주의력 검사, 알버트 검사, 직선이분 검사, 상징 지우기 검사 및 시각적 지속수행 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시각주의력 검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있는 9개의 원 중에서 일부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화면 상에 깜빡이게 되고, 이후 9개의 원이 모두 화면 상에 제시될 때, 피평가자가 깜빡이는 순서를 기억하여 깜빡인 순서대로 원을 제대로 터치하였는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자극은 깜빡이는 원의 개수 3개부터 시작하며 최대 8개까지 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원의 개수에서 각각 2개의 세트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피평가자가 연속하여 두 번 틀리면 검사는 종료된다.
예컨대, 원의 개수 5개에서, 제1세트는 4-2-7-3-1 순으로 깜빡일 수 있고, 제2세트는 7-5-8-3-6 순으로 깜빡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0에서 원 내부의 숫자는 설명을 위해 표시된 것이고 실제 피평가자가 보는 화면에서는 숫자 없이 원만 보이게 된다.
시각적 지속수행 검사는 화면에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랜덤하게 선택되어 일정시간 동안 깜빡이며, 이중 특정한 숫자(예컨대, 3)가 제시될 때 화면을 터치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특정 숫자가 제시되었을 때 반응 시간, 특정 숫자가 제시되었는데 반응하지 않은 오류, 특정 숫자가 제시되지 않았는데 반응한 오류, 특정 숫자가 제시되었을 때 반응한 정답수 등이 측정될 수 있다.
지각력 검사는 청지각 검사와 시지각변별 검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청지각 검사는 두 소리를 같이 들려주고 같은 소리인지 다른 소리인지를 판단하는 과제이며, 시지각변별 검사는 함께 제시되는 두 그림이 같은지 다른지를 판단하게 하는 과제이다.
집행기능 검사는 세 가지 동작을 그림으로 제시하여 보여주고 반복하도록 하거나, 루프 또는 직각 및 삼각이 반복되는 그림을 제시하고 따라 그리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언어기능 검사는 그림-단어 맞추기, 그림 이름대기, 단어 읽기, 그림-범주 맞추기, 다른 범주 골라내기, 문장 완성하기, 문장-그림 맞추기, 문장이해, 단락완성하기, 범주이름대기 등의 과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림-단어 맞추기는 윗줄에 제시한 하나의 그림 또는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그림을 아랫줄의 보기 중에서 고르는 과제이고, 그림 이름대기는 그림을 하나 제시하고 이름을 말하도록 하는 과제이고, 단어 읽기는 단어를 하나 제시하고 읽도록 하는 과제이다.
그림-범주 맞추기는 윗줄에 제시한 그림과 같은 범주에 속하는 그림을 아랫줄 세 개의 보기 중에서 고르도록 하는 과제이고, 다른 범주 골라내기는 주어진 4개의 보기 중 다른 범주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게 하는 과제이고, 범주 이름대기는 단어 또는 그림을 하나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이 속하는 범주를 말하도록 하는 과제이다.
문장 완성하기는 괄호가 포함된 문장 1개와 보기 단어 3개를 주고 괄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를 고르게 하는 과제이고, 문장 그림 맞추기는 제시된 문장에 해당하는 그림을 보기 중에 고르도록 하는 과제이다.
문장 이해는 문장(예컨대, "톱으로 나무를 자를 수 있습니까")의 내용을 읽고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하는 과제이며, 단락완성하기는 3개의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 사이에 괄호를 넣어 괄호에 알맞은 단어를 고르게 하는 과제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 및 단계 S50에서 검사가 수행된 후, 평가 서버(30)는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인지 및 언어 기능에 관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 결과는 각 검사에 대한 피평가자의 입력 데이터 및 채점 데이터를 포함한다. 채점은 피평가자 단말(20)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검사자에 의한 수동 채점 결과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평가는 인지기능과 언어기능을 각 검사 영역 별도로 점수화할 수 있으며, 상호간의 관련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인지기능 대비 언어기능의 손상 정도를 수치화 하거나 평가 점수 별로 각 검사 영역을 그룹핑 할 수 있다. 평가 결과는 피평가자의 기본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 피평가자 단말 30 : 평가 서버
40 : 네트워크 50 : 데이터베이스
201 : 데이터 송수신부 202 : 기본정보 취득부
203 : 검사부 204 : 선별 검사부
205: 인지기능 검사부 206; 언어기능 검사부
40 : 네트워크 50 : 데이터베이스
201 : 데이터 송수신부 202 : 기본정보 취득부
203 : 검사부 204 : 선별 검사부
205: 인지기능 검사부 206; 언어기능 검사부
Claims (8)
- 피평가자 단말의 선별 검사부가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와 전반적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를 이용하여 피평가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선별 검사를 수행하고, 실어증 선별검사와 범주형 이름대기 검사를 통해 상기 피평가자의 언어 기능에 대한 선별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별 검사부가 상기 선별검사에 기초하여 인지 및 언어 기능 검사에서 사용되는 검사 과제의 종류와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피평가자 단말의 인지기능 검사부가 피평가자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구성능력, 기억력, 실행기능, 정서, 주의력, 지각 및 집행기능에 관한 제1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피평가자 단말의 언어기능 검사부가 상기 피평가자의 언어기능에 관한 제2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평가 서버가 상기 제1검사와 상기 제2검사에 대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기능 및 언어 기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서버는,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기능과 언어기능을 각 검사 영역 별로 점수화하고, 검사 영역 상호간의 관련 지수를 산출하고,
인지기능 대비 언어기능의 손상 정도를 수치화하거나 평가 점수 별로 각 검사 영역을 그룹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능력 검사는 제시된 특정 시간을 가리키는 시계를 그리거나 제시된 직육면체를 따라 그리는 과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검사는 세 개의 그림 또는 단어를 제시하고 윗줄에 위치한 하나의 그림과 잘 어울리는 그림을 아래의 두 개의 그림 중에 고르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검사는,
특정한 복합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복합도형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부분도형들로 구성된 그림 세트를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림 세트 중에서 피평가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도형이 상기 복합도형에 포함되는 부분도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는 화면에 나타난 숫자 및 문자들을 일련의 크기나 의미에 따라 번갈아가며 순서대로 연결하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 검사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원 중에서 일부의 원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화면 상에서 깜빡인 후 상기 복수의 원이 모두 제시될 때, 피평가자가 깜빡이는 순서를 기억하여 깜빡인 순서대로 원을 터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 검사는 화면에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랜덤하게 선택되어 일정시간 동안 깜박이는 동안 특정한 숫자가 제시될 때 화면을 터치하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388A KR101914736B1 (ko) | 2017-10-13 | 2017-10-13 |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388A KR101914736B1 (ko) | 2017-10-13 | 2017-10-13 |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4736B1 true KR101914736B1 (ko) | 2018-11-06 |
Family
ID=6432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3388A KR101914736B1 (ko) | 2017-10-13 | 2017-10-13 |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47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3761A (ko) | 2020-02-14 | 2021-08-2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지장애 평가용 베껴 그리기 테스트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
KR20230154752A (ko) * | 2022-05-02 | 2023-11-09 | 주식회사 이모코그 |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624B1 (ko) * | 2012-01-27 | 2013-10-23 | 주식회사 넷블루 |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
KR101702622B1 (ko) | 2015-07-15 | 2017-02-22 | 대한민국 | 언어 재활 치료 방법 |
KR101776254B1 (ko) | 2015-11-05 | 2017-09-07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
-
2017
- 2017-10-13 KR KR1020170133388A patent/KR1019147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624B1 (ko) * | 2012-01-27 | 2013-10-23 | 주식회사 넷블루 |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
KR101702622B1 (ko) | 2015-07-15 | 2017-02-22 | 대한민국 | 언어 재활 치료 방법 |
KR101776254B1 (ko) | 2015-11-05 | 2017-09-07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3761A (ko) | 2020-02-14 | 2021-08-2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지장애 평가용 베껴 그리기 테스트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
KR102338071B1 (ko) * | 2020-02-14 | 2021-12-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지장애 평가용 베껴 그리기 테스트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
KR20230154752A (ko) * | 2022-05-02 | 2023-11-09 | 주식회사 이모코그 |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
KR102619699B1 (ko) * | 2022-05-02 | 2024-01-02 | 주식회사 이모코그 |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61651B (zh) | 评估认知功能的系统和方法 | |
KR101921888B1 (ko) | 온라인 평가 기반 언어재활 훈련 방법 | |
US20110053124A1 (en) | English learning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orting memorization of words using pictures | |
Wolf et al. | Survey item validation | |
JP4662505B2 (ja) | 認知症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認知症検査支援装置 | |
KR101572975B1 (ko) | 기억력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
US11996006B2 (en) |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training medical personnel to diagnose patients | |
US20090287064A1 (en) | Computer implemented cognitive self test | |
Cohen | Research methods for describing variation in intercultural pragmatics for cultures in contact and conflict | |
KR101031304B1 (ko) |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
KR101914736B1 (ko) |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 |
Davies et al. | Reaching consensus on measuring professional behaviour in physical therapy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 |
Nisiforou et al. | Using eye tracking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gnitive abilities on search tasks | |
Shinta et al. |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edia literacy on cervical cancer preventive behaviours | |
Tenneti et al. | Design and delivery of a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 | |
JP2008097380A (ja) | アンケート処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Paulauskaite et al. | Relationships and Sex Education Outcom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rotocol for the Development of a Core Outcome Set | |
CN117769384A (zh) | 基于图像的痴呆症诊断系统及方法 | |
JP2022141056A (ja) |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6007376B2 (ja) | 薬物療法判断能力育成方法及び薬物療法判断能力育成プログラム | |
Adams et al. | A Novel Approach to Clinical Education through Distance Learning | |
Sanetti et al. | Assessing teachers’ intervention-related expectations and self-efficacy: An examin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mplementation beliefs assessment. | |
TWI679654B (zh) | 自動化聽知覺評估方法 | |
JP7154637B2 (ja) |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Schirmer et al. | Evidence of focused psychological strategies provided by counsellors and psychotherapists: A systematic scoping revi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