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622B1 - 언어 재활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 재활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622B1
KR101702622B1 KR1020150100197A KR20150100197A KR101702622B1 KR 101702622 B1 KR101702622 B1 KR 101702622B1 KR 1020150100197 A KR1020150100197 A KR 1020150100197A KR 20150100197 A KR20150100197 A KR 20150100197A KR 101702622 B1 KR101702622 B1 KR 10170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rehabilitation
patient
terminal device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970A (ko
Inventor
편성범
황유미
박기남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0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에게 최적화된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환자 스스로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어 재활 치료 방법 {The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an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장애 유형 또는 장애 수준에 맞는 맞춤형 치료 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 장애라 함은 구어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과정 즉, 입력과정, 인지과정, 산출과정 등의 언어 연쇄 고리 중 한 곳에서의 결함으로 말미암아 언어습득이 지체되는 것으로, 그 습득과정이 정상적인 경우와 유의한 편차를 보이는 의사소통장애의 유형을 통칭하여 언어장애라 부른다.
이러한 언어 장애는 개인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야기할 뿐 아니라 사회 및 경제적 활동에도 많은 제약을 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처방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면 1도는 기존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의사 등의 치료사(10)가 환자(20)와의 직접적인 면담을 통하여 훈련이 진행되었다. 즉, 치료사(10)는 환자(20)에게 그림, 단어 또는 도형이 그려진 검사 카드(30)를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보여주고 환자(20)가 그에 대하여 대답하거나 그 의미를 설명토록 함으로써, 언어 재활 치료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병원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환자(20)와 치료사(10)간의 직접적인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명의 치료사(10)가 많은 환자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보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20)를 평가한 데이터(data)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없어서, 이후 다른 환자(20)의 언어 장애 여부 또는 언어 장애 판단시 적합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 2도는 기존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도의 실시 예에 비하여, 도면 2도의 실시 예는 컴퓨터(40, computer)를 이용하여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치료사(10)의 부담이 다소 완화되는 효과가 있으나, 도면 2도의 실시 예도 여전히 제한된 공간에서 환자(20)와 치료사(10) 간의 직접 대면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치료사(10)가 관리할 수 있는 환자(20)의 수는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자(20)도 언어 재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항상 병원 등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환자(20)의 컴퓨터(40) 화면을 통하여 제시될 뿐 획일적인 치료 과정이 진행되므로, 환자(20)의 언어 장애 유형과 언어 장애 정도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료 과정이 전적으로 담당 치료사(10)에게 일임되어 있어서 언어 장애 환자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의사가 각 담당 치료사들의 치료 대응 과정을 일일이 모니터링(monitoring) 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언어 장애 환자가 언제 어디서나 장소, 시간의 제약 없이 언어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획일적인 문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언어 장애 유형 또는 언어 장애 정도에 따라 맞춤형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개별훈련과제를 훈련받을 수도 있으며, 또한 의사나 치료사가 지정한 프로그램과제도 훈련받을 수 있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master)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에서 환자 식별 아이디(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개별선택훈련문제 셋(set)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와 상기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을 상기 언어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에서 환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와 상기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상기 언어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 가입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에서 환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와 상기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을 상기 언어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정보에서 환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와 상기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상기 언어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치료사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환자 배분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훈련문제는 복수의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환자 또는 치료사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등록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요청정보가 환자인 경우,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환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마스터 단말장치에 환자의 가입을 통지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환자 또는 치료사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등록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요청정보가 치료사인 경우,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치료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에 치료사의 가입을 통지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언어재활서버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원 여부를 나타내는 가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정보를 통하여 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 신규등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신규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가입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원정보가 환자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에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원정보가 환자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에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로부터 상기 테스트 문제의 채점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회원정보와 상기 치료사 선택 정보를 상기 언어재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단말장치가 언어재활서버로부터 가입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언어재활서버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원정보가 치료사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 승인여부요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 승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가 상기 회원정보와 상기 치료사 승인 정보를 상기 언어재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에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환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언어재활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언어재활문제 요청이 개별선택과제훈련 요청인지 프로그램훈련 요청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문제 요청이 선택과제훈련 요청인 경우,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의 훈련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을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가 환자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환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언어재활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언어재활문제 요청이 선택과제훈련 요청인지 프로그램 훈련 요청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문제 요청이 프로그램훈련 요청인 경우, 상기 환자 식별 아이디의 훈련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은 복수의 개별선택훈련문제 셋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환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환자 상태 정보가 훈련상태미진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자 단말장치, 치료사 단말장치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로부터 가입정보, 회원정보, 환자정보 또는 치료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전송받는 입력 모듈; 상기 환자 단말장치,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 또는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로 가입정보, 회원정보, 환자정보, 치료사 정보,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 훈련 문제 셋을 전송하는 출력 모듈;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 훈련 문제 셋을 저장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 환자 또는 치료사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답안이 음성 답안인 경우, 음성 답안의 의미를 추출하여 정답 여부를 평가하는 음성 평가 모듈; 상기 출력 모듈, 상기 입력 모듈,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음성 평가 모듈 사이의 데이터 교환과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재활서버; 상기 언어재활서버에 접속하여 언어재활문제를 수신하는 환자 단말장치; 상기 언어재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환자 단말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장치가 학습할 언어재활문제 셋을 입력하는 치료사 단말장치; 상기 언어재활서버를 관리하며, 상기 환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의 상기 언어재활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마스터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의사 또는 치료사와의 직접 대면 없이도, 환자가 언제 어디서나 언어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의사 또는 치료사가 환자의 언어 장애 종류 또는 언어 장애 수준에 맞는 맞춤형 문제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의사나 치료사가 환자별로 프로그램훈련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별 맞춤형 재활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마스터인 의사가 치료사와 그 치료사에게 배분된 환자 사이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언어 재활 치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넷째, 환자의 언어 재활 치료 훈련 진행 상태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체크(check)할 수 있음으로서, 의사나 치료사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언어 재활 치료가 가능하므로 훈련의 연속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마스터 단말장치의 소유자인 의사가 치료사별로 배정되어 있는 환자들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치료사에게로 환자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사별로 적절한 환자와 환자 수를 배분함으로써 언어 재활 치료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언어 재활 치료 훈련의 미진시, 환자 단말장치 스스로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 및 치료사 단말장치에 의하여 알람이 제공되므로 환자의 성실한 훈련 과정 수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환자가 수동적으로 치료 과정에 동참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 문제를 다 푼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요청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치료 훈련의 주체로 참여함으로써 그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기존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기존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사용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신규 등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선택과제훈련 모드시에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프로그램훈련 모드 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그림 이름대기 문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언어 재활 치료 문제들 중 구 만들어 보기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문제 중의 일 예인 그림과 의미가 일치하는 그림을 선택하는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검사 항목들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를 승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에게 배분된 환자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환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를 치료사 단말장치에 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가 현재 언어 치료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제 셋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에서 의사 또는 치료사가 환자에게 학습할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추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가 수생하고 있는 훈련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개별선택문제 셋에 대한 답안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개별선택문제 셋에 대한 답안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의 채점이 완료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면 2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서 회원 또는 치료사의 신규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환자와 치료사가 구분되어 가입됨으로써 각각의 단말장치의 역할을 분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서 마스터 단말장치로 환자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가입되었음 알려주는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로 환자 배분 알림이 이루어졌을 때, 해당 환자에게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로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 단말장치로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사용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언어재활서버로 지칭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환자(20)들의 언어 재활 치료를 위한 문제 또는 언어 장애 환자들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00, database)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의 주위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고,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와 같은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는 단말장치들은 그 사용자에 따라 다음의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단말장치들 중의 일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과 권한을 가지는 마스터 단말장치(100)일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의 관리 권한을 가지는 단말일 수 있으며 또한,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최종 책임을 가지는 의사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들 중 다른 일부는 치료사(10)가 사용하는 치료사 단말장치(200)일 수 있다.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마스터 단말장치(100)와 같이 환자(20)의 분류, 관리 또는 배분하거나, 개별훈련문제 셋이나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 자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단말장치는 아니지만, 배분받은 환자(20)의 언어 장애 정도 또는 언어 재활 치료 수준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환자(20)에게 적절한 수준의 훈련을 코칭(coaching)하는 치료사(10)들이 사용하는 단말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 3도에서 나머지 단말장치들은 환자(20)가 언어 재활 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일 수 있다. 즉, 어떠한 환자(20)는 가정 등에 구비되는 환자의 개인용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여 언어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고, 또 다른 사용자는 태블릿 컴퓨터(400)을 이용하여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언어 재활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20)는 최근 널리 보급된 스마트 폰(500)을 이용하여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여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들은 총칭해서 환자 단말장치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설명에서 환자 단말장치라 함은 개인용 컴퓨터(300), 태블릿 컴퓨터(400) 또는 스마트 폰(500)과 같은 어느 일정한 고정된 단말장치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로 식별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편의상 치료사 단말장치(200)와 마스터 단말장치(100)를 개인용 컴퓨터의 형식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유형의 장치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 역시 치료사(10)나 의사로 식별되는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하는 단말장치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장소나 시간의 구애 없이 언어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신규 등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가 처음으로 접속하는 경우 도면 4도와 같이 신규 등록 화면을 제공한다.
처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사용자는 화면상 제공되는 치료사 선택 버튼(1110) 또는 환자 선택 버튼(1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치료사 또는 환자의 신분으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가입할 수 있다.
또한, 신규 등록 화면은 가입하고자 하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개인 정보 입력란(1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입력란(1130)은 아이디,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이름, 소속, 이메일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이렇게 접속되는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환자 또는 치료사로 구분되어 가입됨으로써, 환자(20)에게는 언어 장애 정도에 따른 맞춤형 언어 재활 치료가 가능해지고, 치료사(10)도 자신에게 배분되는 환자(20)를 원격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아이디(ID) 입력란(1210)과 비밀번호 입력란(1220)을 통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면 5도의 화면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치료사 단말장치(200)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100)에 상관없이 접속시에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로그인(login) 화면 내에는 오프라인(off line) 모드(mode) 버튼(1230)이 포함될 수 있다. 오프라인 모드 버튼(1230)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와 접속이 끊긴 상태에서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버튼으로서, 이를 위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는 수신된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언어재활서버에 접속이 끊긴 상태에서도 환자(20)가 계속적으로 언어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선택과제훈련 모드시에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두 가지 모드의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선택과제훈련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프로그램 훈련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선택과제훈련은 개별적인 언어 재활 치료 문제 셋들을 통하여 언어 재활 치료가 이루어지는 모드로서, 각각의 특징이 있는 개별적인 문제들의 집합의 셋들을 개별적으로 적용받아 치료받는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선택과제훈련 모드의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은 숫자 짝짓기 문제 셋, 그림 - 범주 맞추기 문제 셋과 같은 문제들의 집합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훈련 모드는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들을 조합하여 작성된 하나의 문제 셋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선택과제 훈련 버튼(1310)과 프로그램 훈련 버튼(1320)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과제 훈련 버튼(1310)를 클릭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버튼(1330)들의 리스트들을 보여주는 화면을 전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화면에서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버튼(1330)을 클릭하면, 해당 문제 셋에 저장된 문제들이 문제 보기 화면(135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프로그램훈련 모드 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가 제공하는 화면 내에서 프로그램 훈련 버튼(1320)을 클릭하면 프로그램훈련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프로토콜 훈련 버튼(1340)들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토콜훈련이라고도 지칭되는 이러한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은 치료사(10) 또는 의사가 환자(20)의 언어 장애 유형과 정도를 감안하여 개별선택훈련문제 셋들 중에서 선택한 문제 셋들의 집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는 이렇게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제공받음으로써 자신에게 가장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치료받아 언어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면 내에서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클릭하면, 역시 문제 보기 화면(1350)에는 해당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니즈에 따라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의 치료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의사 또는 치료사가 환자별로 지정해주는 훈련인 프로토콜훈련이라고도 지칭되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의 치료 과정도 수행할 수 있어서, 그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그림 이름대기 문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도면 8도와 같이 사진 또는 그림(1352)을 보여주고, 해당 사진 또는 그림(1352)의 단어를 환자(20)가 응답하는 방식의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20)가 응답하는 내용은 녹음 버튼(1351)을 통하여 녹음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으로 전송되어 채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편의상 언어재활서버로 호칭될 수도 있다. 즉,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에서 풀이한 답안은 언어재활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채점될 수 있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언어 재활 치료 문제들 중 구 만들어 보기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도면 9도와 같이 두 개의 그림을 보여주고 단어를 연상하여 구를 만드는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왼쪽 그림(1353)과 오른쪽 그림(1354)의 단어를 연상하고 해당 단어 사이의 관계를 연결하여 하나의 구를 만들도록 함으로써 언어 재활 훈련을 도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음성은 녹음 버튼(1351)을 통하여 녹음되어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음성 평가 모듈(1500)을 이용하여 이러한 음성을 분석하고 채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문제 중의 일 예인 그림과 의미가 일치하는 그림을 선택하는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은 도면 10도와 같이 왼쪽 그림(1353)과 보기 그림(1356)들 중 그 단어 의미가 일치하는 그림을 찾는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 - 단어 맞추기 문제는 문자 정보를 최대한 배제하고 환자(20)의 단어 의미 자체의 파악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검사 항목들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일 예로 단어 수준 이해 능력 향상, 범주 이해 능력 향상, 문장 이해 능력 향상 등과 같은 검사항목을 포함하고, 그러한 검사항목에 대하여 일상 사물-사물 그림 짝짓기, 두 단어 범주 고르기 등과 같은 문제들을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으로 포함하여 환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문제들을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과정에 사용할 뿐 아니라 환자의 언어 장애 유형 또는 언어 장애 정도에 따라서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를 승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가입된 치료사(10)의 목록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사의 목록을 통하여 승인된 치료사와 미승인된 치료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소유자인 의사는 치료사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치료사(10)들 중에서 엄선된 치료사(10)들만 환자의 언어 재활 치료 훈련 과정에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치료사에게 배분된 환자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에 제공되는 화면에서 치료사 버튼(1410)을 클릭(click)하거나 터치(touch)하면, 각 치료사(10)별로 배정된 배정환자목록(1420)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치료사(10)들 중 어느 누구에게 환자가 집중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환자(20)를 치료사에게 배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어느 한 치료사(10)에게 환자(20)가 집중되어 과다한 로드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언어 재활 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가 환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가입하면,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환자가입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환자 등록 창(1430)을 통하여 환자의 아이디, 이름 등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를 시스템 상에 등록할 수 있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를 치료사 단말장치에 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환자 배정 창(1440)을 통하여 도면 14도를 통하여 등록된 환자(20)들을 치료사(10)들에게 각각 배분할 수 있다. 즉, 치료사(10)를 선택하고 해당 치료사에게 배정할 환자(20)를 지정하여 환자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소유자인 의사가 환자(20)의 특성과 언어 장애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사(10)에게 해당 환자를 배분하여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학습할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지정하여 시스템에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문제 셋은 프로토콜 훈련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프로그램훈련 추가 창(145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이러한 개별 환자(20)별로 그들에게 최적화된 프로그램 훈련 문제 셋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언어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가 현재 언어 치료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제 셋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의 화면은 마스터 단말장치(100), 치료사 단말장치(200) 또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경우에는 치료사 버튼(1410)을 클릭하고 해당 치료사(10)에 배정된 환자 목록을 확인하고 이를 터치하여 해당 환자별로 현재 훈련받고 있는 검사 명과 환자의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개별선택훈련 시작 버튼(1510)과 프로토콜 훈련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프로그램훈련 시작 버튼(1520)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단말장치(100)은 이러한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함으로써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선택과제 훈련 또는 프로그램 훈련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입장에서는 알람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치료사 단말장치(200)도 환자 목록를 확인하고 해당 환자별로 개별선택훈련 시작 버튼(1510)과 프로그램훈련 시작 버튼(1520)을 클릭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훈련을 실시하도록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환자(20)의 성실한 훈련 과정 수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에서 의사 또는 치료사가 환자에게 학습할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추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식정보검사 버튼(1530)을 선택함으로써, 제공훈련 문제 리스트 창(1540)을 통하여 현재 시스템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언어 재활 치료 훈련 문제 셋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문제 셋들을 환자(20)가 훈련토록 추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가 환자(20)에게 필요한 언어 치료 문제들을 추가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가 수생하고 있는 훈련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환자를 지정하고, 해당 환자가 수행하고 있는 개별훈련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포함하는 전체 훈련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훈련이라 지칭 가능한 프로그램훈련 버튼(1610)을 클릭하면, 해당 프로토콜 훈련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선택훈련들을 확장 창(162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의사 또는 치료사(10)가 환자가 현재 훈련 중인 언어 재활 치료 리스트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현재 적절한 문제들이 분배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개별선택문제 셋에 대한 답안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는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에 대한 훈련이 완료되면, 해당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을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답안을 수신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 알람을 발송하고 이러한 답안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를 전송받은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환자를 선택하고 훈련 진행 상황 창(1710)을 통하여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발송된 채점 요구 알람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개별선택문제 셋에 대한 답안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의 채점이 완료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언어재활서버로도 지칭되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각 문제 셋에 대한 답안을 채점을 완료하면, 각 문제 셋에 대한 정오율, 풀이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훈련 진행 상황 창(171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다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수행 중인 환자(20)는 실시간적으로 자신의 치료 과정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치료사(10)도 자신에게 배분된 환자(20)의 훈련 진행 성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제어 모듈(1100), 입력 모듈(1200), 출력 모듈(1300),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0), 음성 평가 모듈(1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모듈(1200)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치료사 단말장치(200)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 모듈(1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정보, 회원정보, 환자정보 도는 치료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 모듈(1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서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는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및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0)는 환자(20) 또는 치료사(1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 평가 모듈(1500)은 환자(20)의 단말장치로부터 입력 모듈(1200)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 모듈(1100)은 입력 모듈(1200), 출력 모듈(1300),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0), 음성 평가 모듈(1500)의 작동과정을 총괄적으로 지휘하고, 해당 모듈과 데이터베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2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서 회원 또는 치료사의 신규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단말장치의 접속을 확인한 이후에(S23-1), 그 다음으로 해당 단말장치의 회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3-2)
만일, 단말장치의 접속자가 회원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접속된 단말장치로 신규등록을 요청하는 화면을 전송하고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를 신규등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3-3)
환자(20) 또는 치료사(10)가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신규등록이 완료된 이후에는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자가 치료사(10)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3-4) 이 단계에서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치료사(10)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단말장치로 치료사 정보를 입력토록 요청하고, 해당 치료사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3-8) 그리고, 해당 치료사의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마스터 단말장치(100)에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의 가입을 통지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23-7)
앞의 과정에서 단말장치의 접속자가 치료사(10)가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자가 환자(20)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3-5)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환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해당 단말장치로부터 환자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S23-6), 환자 정보가 입력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로 환자의 가입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S23-7)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은 환자와 치료사가 구분되어 가입됨으로써 각각의 단말장치의 역할을 분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서 마스터 단말장치로 환자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가 가입되었음 알려주는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서,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가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의 가입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해당 단말장치가 가입되었음을 알려주는 가입 알림 신호를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4-1)
이러한 가입 알림을 수신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언어재활서버라고 불릴 수 있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원정보를 수신한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환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4-2)
이 과정에서, 해당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확인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테스트 문제를 전송토록 하고(S24-3), 그 다음으로 언어재활서버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부터 테스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테스트 결과를 수신한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에 기가입된 치료사들 중에 어느 한 명을 택하여 해당 환자(20)를 배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치료사 단말장치(200)들 중 어느 하나로 환자(20)를 배분할 수 있다.
만일, 앞의 과정에서 가입알림을 통지한 단말장치가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아닌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가입알림을 통지한 단말장치가 치료사 단말장치(200)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4-6)
이 과정에서 해당 가입알림을 전송한 단말장치가 치료사 단말장치(200)인 경우,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이러한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언어 재활 치료 장치로의 가입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4-7) 해당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장치(100)가 치료사(10)의 언어재활서버로의 가입을 승인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이러한 정보를 언어재활서버로 전송하여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가입을 최종적으로 승인할 수 있다.
도면 2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장치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로 환자 배분 알림이 이루어졌을 때, 해당 환자에게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를 통하여 환자(20)가 시스템에 가입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로 환자 배분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25-1) 또한,
이러한 환자 배분 알림을 수신한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환자정보를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고(S25-2), 수신된 환자정보로부터 환자 훈련상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5-3)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개별훈련문제 또는 프로그램훈련문제를 선택받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25-2), 이러한 과정을 거친 마스터 단말장치(100)는 환자정보로부터 추출한 환자 식별 아이디와 함께 선택된 개별 또는 프로그램훈련문제를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5-5)
이러한 과정은 또한 치료사 단말장치(200)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를 통하여 마스터 단말장치(100)가 지정한 환자의 환자 배분 알람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알람을 수신한 치료사 단말장치(200)의 사용자는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언어 재활 치료에 사용될 개별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를 지정하여 다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환자(20)의 언어 장애 유형 또는 장애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제공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로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가 접속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S26-1)
그 다음으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부터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요청받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2)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요청받은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이러한 요청이 개별선택과제훈련 문제 셋들에 대한 요청인 선택과제훈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3)
만일,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의 요청이 선택과제훈련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그 다음으로 환자정보로부터 환자의 훈련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4)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수신된 환자정보로부터 훈련 진행 정도에 따른 잔여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5) 즉, 환자(20) 이전에 언어 재활 치료 훈련을 열심히 수행하여 모든 문제를 다 풀었다면 새로운 언어 재활 치료 문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훈련 진행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잔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로부터 개별선택과제훈련 문제 셋을 요청하여(S26-7), 수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8)
다음으로, 이러한 문제를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6-6)
만일,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부터의 언어 재활 요청이 선택과제훈련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프로그램훈련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9)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훈련 요청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환자정보로부터 환자의 훈련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10)
다음으로, 훈련 진행 정도에 따른 잔여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6-11)
이 과정에서 잔여 문제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로부터 프로그램훈련 문제 셋을 요청하고(S26-12), 이를 수신하여(S26-13),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6-14)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는 환자(20)가 수동적으로 언어 재활 치료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20)가 능동적으로 치료 훈련의 주체로 참여함으로써 그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2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 단말장치로 언어 재활 치료 문제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부터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언어 제활 문제를 전송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S27-1)
다음으로,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7-1)
그 다음으로, 이러한 요청이 선택과제훈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고(S27-3),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부터의 요청이 선택과제훈련 요청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부터 해당 환자에 적절한 선택 문제를 선택 받고(S27-4), 이를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27-5) 여기서, 선택 문제는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이 될 수 있다.
만일,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에서의 요청이 선택과제훈련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는 이러한 요청이 프로그램훈련 요청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S27-6), 이 요청이 프로그램훈련 요청인 경우,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로부터 적절한 프로그램 문제를 선택받아(S27-7), 해당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전송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 의하면 의사 또는 치료사(10)가 환자의 훈련 진행 상태를 확인하다가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시점에 개별선택훈련 문제 셋 또는 프로그램훈련문제 셋을 택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전송하여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훈련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면 2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에서 환자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의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개별 환자의 훈련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8-1)
그리고, 각 개별 환자의 훈련 상태가 미진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28-2), 이 과정에서 훈련이 미진한 것으로 확인되면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를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300, 400, 500)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전송 과정은 마스터 단말장치(100) 또는 치료사 단말장치(200)단에서 확인하여 진행될 수도 있으나, 언어재활서버로 불리우는 언어 재활 치료 장치(1000)가 직접 환자의 훈련 상태를 확인하고 알람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20)의 언어 재활 치료 훈련 상태를 중복적으로 더블(double)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치료사
20 : 환자
30 : 검사 카드
40 : 컴퓨터
100 : 마스터 단말장치
200 : 치료사 단말장치
300 : 개인용 컴퓨터
400 : 태블릿 컴퓨터
500 : 스마트 폰
1000 : 언어 재활 치료 장치
1100 : 제어 모듈
1110 : 치료사 선택 버튼
1120 : 환자 선택 버튼
1130 : 개인 정보 입력란
1200 : 입력 모듈
1210 : 아이디 입력란
1220 : 비밀번호 입력란
1230 : 오프라인 모드 버튼
1300 : 출력 모듈
1310 : 선택과제 훈련 버튼
1320 : 프로그램 훈련 버튼
1330 : 개별선택훈련문제 셋 버튼
1320 : 프로그램 훈련 버튼
1340 : 프로토콜 훈련 버튼
1350 : 문제 보기 화면
1351 : 녹음 버튼
1352 : 그림
1353 : 왼쪽 그림
1354 : 오른쪽 그림
1356 : 보기 그림
1400 : 문제 데이터베이스
1410 :치료사 버튼
1420 : 배정환자목록
1430 : 환자 등록 창
1440 : 환자 배정 창
1450 : 프로그램훈련 추가 창
1500 : 음성 평가 모듈
1510 : 개별선택훈련 시작 버튼
1520 : 프로그램훈련 시작 버튼
1530 : 공식정보검사 버튼
1540 : 제공훈련 문제 리스트 창
1600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610 : 프로그램훈련 버튼
1620 : 확장 창
1710 : 훈련 진행 상황 창
20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9)

  1. 언어재활서버가 수행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어재활서버에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언어재활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훈련문제 셋(set) 및 훈련실시알람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훈련문제 셋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치료사 단말장치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로 상기 환자정보, 상기 답안 및 채점요구알람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답안에 대응하는 채점결과정보를 포함하는 훈련진행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의 훈련 진행 상태를 확인하여 훈련 상태가 미진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서버가 상기 환자의 훈련 상태가 미진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 1 훈련 미진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 서버가 상기 치료사 단말장치 또는 마스터 단말장치로부터 제2 훈련 미진 알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언어재활 서버가 상기 제1 훈련 미진 알람 또는 상기 제2 훈련 미진 알람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언어 재활 치료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00197A 2015-07-15 2015-07-15 언어 재활 치료 방법 KR10170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97A KR101702622B1 (ko) 2015-07-15 2015-07-15 언어 재활 치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97A KR101702622B1 (ko) 2015-07-15 2015-07-15 언어 재활 치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70A KR20170008970A (ko) 2017-01-25
KR101702622B1 true KR101702622B1 (ko) 2017-02-22

Family

ID=5799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197A KR101702622B1 (ko) 2015-07-15 2015-07-15 언어 재활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36B1 (ko) 2017-10-13 2018-11-06 대한민국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KR101921888B1 (ko) * 2017-10-13 2018-11-28 대한민국 온라인 평가 기반 언어재활 훈련 방법
KR102021700B1 (ko)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환자 맞춤형 의사소통장애 재활 방법
KR20210077202A (ko) 2019-12-17 2021-06-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블릿 기반의 원격 언어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2726A (ko) 2021-12-17 2023-06-26 (주)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30093121A (ko) 2021-12-17 2023-06-27 (주)마인드허브 Vr 콘텐츠를 이용한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시스템과 언어 재활 치료 공유 시스템
KR20240039927A (ko) 2022-09-20 2024-03-27 조연주 인공지능을 이용한 언어 치료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08B1 (ko) * 2017-06-30 2019-10-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언어 기반의 게임 방법 및 장치
KR102484006B1 (ko) * 2021-01-14 2022-12-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 장애 환자를 위한 음성 자가 훈련 방법 및 사용자 단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66B1 (ko) 2013-02-14 2014-08-01 (주)세화하이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재활 치료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재활 치료 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820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넷블루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320624B1 (ko) * 2012-01-27 2013-10-23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28630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치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66B1 (ko) 2013-02-14 2014-08-01 (주)세화하이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재활 치료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재활 치료 관리 서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36B1 (ko) 2017-10-13 2018-11-06 대한민국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KR101921888B1 (ko) * 2017-10-13 2018-11-28 대한민국 온라인 평가 기반 언어재활 훈련 방법
KR102021700B1 (ko)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환자 맞춤형 의사소통장애 재활 방법
KR20210077202A (ko) 2019-12-17 2021-06-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블릿 기반의 원격 언어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2726A (ko) 2021-12-17 2023-06-26 (주)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30093121A (ko) 2021-12-17 2023-06-27 (주)마인드허브 Vr 콘텐츠를 이용한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시스템과 언어 재활 치료 공유 시스템
KR20240039927A (ko) 2022-09-20 2024-03-27 조연주 인공지능을 이용한 언어 치료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70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622B1 (ko) 언어 재활 치료 방법
Clemensen et al. Participatory design methods in telemedicine research
MacLean et al. Realism and presence in simulation: nursing student perceptions and learning outcomes
Halkett et al.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radiation therapists: preparing patients for radiation therapy
Day et al. Feasibility study of an EHR-integrated mobile shared decision making application
Price et al. Implementing the 2: 1 student placement model in occupational therapy: Strategies for practice
KR20200126564A (ko) 창업준비시스템
Pierce et al. Perspectives on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ed mobile apps: Results from a survey of students and professionals
US20070212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ing education
US20200193854A1 (en) Virtual reality training method for developing soft skills
KR102507733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 및 취업지원 방법 및 시스템
Halkett et al.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adiation therapist‐led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prior to commencing radiotherapy
Meyer et al. Promoting patient-centered hearing care through the use of e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Garcia et al. Provider factors predict use of evidence-based psychotherapies in veterans affai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pecialty programs: The role of profession, theoretical orientation, and training.
Winkel et al.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about an early result acceptance program to complement the residency match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Xu et al. A comparison of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Peeler et al. Centralized registry for COVID-19 research recruitment: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preliminary results
KR101703253B1 (ko)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
Mittal Family-centered rounds: a decade of growth
KR20110108752A (ko) 시험 문제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시험 문제 출제 시스템
McComb et al. Introducing client feedback into marriage and family therapy supervision: A qualitative study examining the transition to empirically informed supervision
Kim et al. Ubiquitous testing using tablets: its impact on medical student perceptions of and engagement in learning
Chapman et al. Self-directed multimedia process for delivering participant informed consent
US20170330476A1 (en) Mobile education platform
Gibson Shared decision-making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