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564A - 창업준비시스템 - Google Patents

창업준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564A
KR20200126564A KR1020190050358A KR20190050358A KR20200126564A KR 20200126564 A KR20200126564 A KR 20200126564A KR 1020190050358 A KR1020190050358 A KR 1020190050358A KR 20190050358 A KR20190050358 A KR 20190050358A KR 20200126564 A KR20200126564 A KR 2020012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mentee
mente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497B1 (ko
Inventor
성창용
Original Assignee
㈜팀경영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팀경영컨설팅 filed Critical ㈜팀경영컨설팅
Priority to KR102019005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4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업 교육을 받는 교육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교육영상을 제공하고, 교육으로 습득한 내용을 창업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인 방법으로 실습할 수 있으며, 실습 후에는 결과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결과에 대한 솔루션 피드백을 신속하게 받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성격 맞춤형 창업 동업자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Start-up preparation system and Running method of Start-up pr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업 교육을 받는 교육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교육영상을 제공하고, 교육으로 습득한 내용을 창업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인 방법으로 실습할 수 있으며, 실습 후에는 결과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결과에 대한 솔루션 피드백을 신속하게 받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성격 맞춤형 창업 동업자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생산기기들의 혁명을 통하여 현대사회는 점점 소규모 창업이 증가하는 추세를 띠고 있다. 이러한 소규모 창업은 자본 및 생산기기의 간소화로 인하여 1인 기업과 같이 소수의 인원도 창업이 가능하며, 따라서 젊은 층에서 창업 붐이라고 회자될 정도로 많은 창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창업 붐에 발맞추어 다양한 창업교육방법이 시도되어왔다.
종래의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창업교육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04336호로 게시된 바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창업교육방법은 창업 준비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습득하고 온라인상에 가상 점포를 개설하여 일정기간 시뮬레이션을 통한 점포운영을 경험하게 함으로서 실제 창업 시에 앞서 단기간의 실습과 체험으로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창업 준비자가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으로 회원 가입을 하고 운영서버로부터의 창업과 관련된 정보 및 교육을 습득하는 창업준비단계와 인터넷을 통해 창업할 업종과 사업 타당성 및 상권을 분석한 후 현장을 답사하여 운영할 점포를 계약하고, 인테리어 및 상품, 직원 선발 등의 점포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 함께 투자되는 자금 및 세무관리를 체험하는 창업교육단계, 웹 사이트에서 운영되는 가상 점포에 대해 운영서버가 도매상 또는 고객 역할을 하고, 창업 준비자는 오프라인 상 점포의 점주와 같이 고객 응대행위를 통해 영업활동을 실습하면서 실제 창업 후의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는 점포운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단순히 창업에 필요한 절차들을 미리 경험해보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으며, 소규모 점포를 창업하는 시나리오가 주를 이루고 있어서 스타트업과 같은 아이디어를 인터넷에서 소비시키는 현재의 기업형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기업형태에 맞추어 창업 전 사전준비를 교육하고, 교육한 내용을 창업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다 실전에 가까운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창업은 혼자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자금력, 아이디어 실현 등의 이유로 같이 동업하는 경우도 허다한데, 자신에 맞는 창업자를 찾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동업을 하려는 창업준비에 있어서는 자신에게 맞는 창업자를 찾아주는 방편이 모색되면 산업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원에게 동영상 강의를 통하여 창업 준비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이후에는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및 마케팅에 이르는 창업준비 전반에 걸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성격 맞춤형 창업 동업자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은, 창업을 준비하는 멘티의 입/출력 수단인 멘티 단말; 창업에 도움을 주는 멘토의 입/출력 수단인 멘토 단말 및 상기 멘티 단말 및 멘토 단말과 각각 연동되는 창업준비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업준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업준비서버부는, 상기 멘티 단말로 창업교육영상을 제공하는 창업교육서버;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아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 후 멘티 단말로 반환하는 창업시뮬레이션과,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에 관련한 질문 또는 시스템 사용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창업관련문의를 전달받아 상기 멘토 단말로 전송하며 멘토 단말로부터 창업관련문의에 대한 창업관련문의답변을 전달받아 멘티 단말로 반환하는 창업피드백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 및 성격판단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기 멘티 단말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멘티 단말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하여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이용하여 동업자 멘티 단말을 매칭해 주는 동업자 연계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업준비서버부는, GIS, SNS을 포함하는 정보 수단을 이용하여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 아이템 선정 도움 요청이 있을 경우에 수집된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멘티 단말로 전송하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업체의 창업지원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창업시뮬레이션을 진행할 경우에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결과 점수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기준치 이상의 점수면, 상기 창업지원서버로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업준비시스템은, 기 창업 업체에 설치되는 방문확인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에 요청한 멘티 단말의 관심 창업 아이템 관련 업체에 대한 내방 미션을 부여하고, 내방 미션에 포함된 일정 수의 방문확인장치로부터 미션을 수행중인 멘티 단말의 고유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여 미션 완료 내역을 상기 멘티 단말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상기 미션 완료 내역을 상기 멘티 단말로 전송할 시에,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로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상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로부터 전달된 미션 완료 내역을 창업시뮬레이션에 대한 점수에 가중치로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창업교육서버에 접속한 멘티 단말 사용자가 창업교육서버의 회원DB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미회원인 경우, 멘티 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에 상기 회원정보를 회원DB에 저장하며, 회원인 경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인증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인증단계; 상기 회원인증단계에서 입력된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로 회원DB에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불러오는 회원정보인출단계; 창업교육DB에 미리 입력된 창업교육영상을 멘티 단말로 출력하고 창업교육영상을 출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회원정보에 링크시키는 창업교육영상출력단계; 창업교육영상의 출력이 완료된 회원에게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가 멘티 단말로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제출 요청을 전달하여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고,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은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멘티 단말로 전송하는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 및 창업준비결과처리단계를 완료한 멘티 단말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동업자 연계서버가 동업자 매칭 요청을 전달 받아 멘티 단말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 후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멘티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멘티 단말로부터 희망하는 매칭 성격을 전송 받아 희망하는 매칭 성격에 해당하는 멘티 단말을 검색하거나,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와 조화를 이루는 성격 정보가 저장된 멘티 단말을 검색하여 매칭해주는 동업자 매칭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창업교육 영상을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어, 회원이 시간과 공간에 상관없이 교육을 시청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창업교육을 이수한 이후,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의 부분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교육에서 습득한 내용들에 대한 실제 대입이 가능하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나온 결과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결과에 대한 맞춤형 대응 솔루션을 제공 받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창업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성격 맞춤형 창업 동업자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자신에 맞는 창업 동업자를 보다 효과적이고 쉽게 찾아 창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격 맞춤형 창업 동업자 찾기와 더불어 창업아이템 선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창업 무 경험자 등의 창업 초보자도 쉽게 창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업시뮬레이션 결과를 창업지원서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창업자와 창업지원기관의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자금조달 등 창업준비에 필요한 사항을 즉각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업시뮬레이션이 미션식으로 진행되어 창업에 대한 흥미를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창업준비서버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 및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은, 멘티 단말(10), 멘토 단말(20) 및 창업준비서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멘티 단말(10)은 창업을 준비하는 멘티(또는 '회원'이라 함)의 입/출력 수단이고, 멘토 단말(20)은 창업에 도움을 주는 전문가인 멘토의 입/출력 수단으로서, 멘티 단말(10) 또는 멘토 단말(20)은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형태인 모바일 단말, 태블릿 PC, 개인용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멘티 단말(10) 및 멘토 단말(20)은, 각각 창업준비서버부(3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등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준비서버부(30)로 접속하며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창업준비서버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창업준비서버부(30)는 먼저 창업교육서버(31),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 및 동업자 연계서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창업준비서버부(30)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 및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업교육서버(31)는 창업준비서버부(30)로 접속된 멘티 단말(10)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하고, 회원임이 인증된 멘티 단말(10)로 창업교육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서버(31)는 회원DB(311)와 창업교육DB(3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DB(311)는 멘티 단말(10)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창업교육서버(31)에 접속한 멘티 단말(10)의 사용자가 미회원인지 회원인지 판별할 수 있는데, 입력되어 있지 않은 미회원이 접속한 경우에는, 멘티 단말(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며, 회원가입 절차 진행 후에는 회원정보를 저장하여 다음 접속 시에는 회원인증만 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회원DB(311)는 회원인 멘티 단말(10)의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에는, 고유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회원인증절차를 거치며, 회원인증절차가 마무리 된 후에는 접속을 허가하여 멘티 단말(10)이 창업준비서버부(3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식별정보는 회원임을 식별하기 위한 ID(Identity)와, ID를 통하여 본인임을 인증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유식별정보는 ID와 비밀번호 외에도 본인임을 인증하기 위한 전화번호, 생체인식, 주소, 별명 중 하나 이상의 추가인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창업교육DB(312)는 회원임이 인증된 멘티 단말(10)로 창업교육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DB(312)는 다수의 주제로 구성된 창업교육영상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창업교육DB(312)는 인증된 회원이 창업교육영상에 대한 시청 기록이 있는 회원일 경우에는 최근 접속이 종료된 시점의 시청영상부터 제공할 수 있으며, 영상의 시청 구간 또한 종료된 시점의 시청 구간부터 시청할 수 있도록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봤던 영상과 시청 구간을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중복되는 시청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아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 후 멘티 단말로 반환하는 창업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에 관련한 질문 또는 시스템 사용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창업관련문의를 전달받아 멘토 단말(20)로 전송하며 멘토 단말(20)로부터 창업관련문의에 대한 창업관련문의답변을 전달받아 멘티 단말(10)로 반환하는 창업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창업시뮬레이션과 창업피드백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자금조달 등의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업체의 창업지원서버(4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보다 빠른 자금조달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창업 효율을 높이고자 함으로써, 이에 대한 설명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동업자 연계서버(33)는 성격판단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성격판단 프로그램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나 애니어그램 등 공지된 성격판단 프로그램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동업자 연계서버(33)는 멘티 단말(10)로부터 동업자 매칭 요청을 받을 수 있는데, 동업자 매칭 요청을 받을 경우에 성격판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청한 멘티에 맞는 성격의 동업자 멘티를 매칭하여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멘티 단말(10)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동업자 연계서버(33)는 멘티 단말(10)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하여 성격판단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멘티 단말(10)로부터 진행된 성격판단검사를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MBTI의 경우 성격판단검사를 진행하면 E(외향형), S(감각형), T(사고형), J(판단형), I(내향형), N(직관형), F(감정형), P(인식형)의 판단요소의 조합을 통해 ESFP, INTJ, ENFJ, ISTP 등과 같은 성격판단검사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성격판단검사결과가 도출되면 동업자 연계서버(33)는 먼저, 성격판단검사결과를 저장하면서 성격판단검사를 수행한 멘티 단말(10)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전송하여 멘티가 확인하도록 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매칭 성격이 있을 경우에는 요청된 성격을 매칭하여 주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매칭 성격이 없을 경우에는 저장된 성격판단검사결과에 따라 판단된 맞춤형 성격을 검색하여 매칭하여 줄 수 있다.
즉, 동업자 매칭 요청을 신청한 멘티의 성격판단검사결과가 ESFP로 도출되었을 경우, 멘티는 먼저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확인하여 자신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성격 예컨대, 자신이 활발한 성격인데 동업자는 조용한 성격을 원하면 I(내향형)으로 시작하는 INTJ, ISTP 등과 같은 동업자의 매칭을 요구할 수 있고, 원하는 성격을 고르기 어려워 선택을 안한다면 동업자 연계서버(33)가 ESFP와 어울리는 성격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창업에 있어 동업자가 필요할 경우, 창업 동업자를 보다 효과적이고 쉽게 찾도록 하여 창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동업자 연계서버(33)가 성격 맞춤형으로만 동업자를 찾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동업자는 창업 아이템 등에 따라서도 찾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업자를 창업 아이템 등에 따라서도 찾도록 형성될 경우, 창업 아이템과 성격을 동시에 활용하여 매칭함으로써 보다 세세하고 정확한 맞춤형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창업준비서버부(30)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는, GIS, SNS 등의 정보 수단을 이용하여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는 창업 아이템 목록이나 일 창업 아이템에 대한 등록업체 수 등일 수 있으며,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는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 아이템 선정 도움 요청이 있을 경우에 수집된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멘티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가능한 형태란 지도, 그래프, 비교표 등의 육안으로 한눈에 확인 및 비교가 가능한 형태로서, 이러한 비교 가능한 형태로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는 멘티의 창업 아이템 선정 시에 창업 아이템 현황은 물론 창업 실태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창업 분야로 유도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지도, 그래프, 비교표 등으로 출력되는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는 대분류에서 소분류 순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일 아이템에 대한 각 도별로 창업 현황을 보여 준 후, 일 아이템에 대한 시별로 창업 현황을 보여주고, 그 다음 동별로 창업 현황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 아이템 등에 대한 국내의 창업 현황들을 순차적으로 면밀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색으로도 찾아갈 수 있고, 순차를 달리할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창업준비서버부(30)는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가 온라인 상에서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채점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라면,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에서 더 능동적으로 나아가 실질적인 창업 경험을 시뮬레이션하도록 돕는 구성으로서, 멘티 단말(10)로 성공을 이룬 창업 업체들로의 방문과 같은 미션을 부여하여 창업 업체들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창업이 실질적으로 느껴지도록 하는 큰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는 먼저 기 창업 업체에 설치되는 방문확인장치(5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창업 업체는 각 창업 분야에서 성공을 이루는 업체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문확인장치(50)는 NFC나 비콘 등의 멘티 단말(10)과 연동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는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업체방문요청이 있을 경우에, 창업업체방문을 요청한 멘티 단말(10)의 관심 창업 아이템 관련 업체 대한 내방 미션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창업 아이템은 미리 등록될 수 있거나, 창업업체방문 요청 당시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내방 미션에는 관심 창업 아이템과 관련된 창업 업체가 복수의 수로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업체 들은 위치, 연락처 등과 함께 지도 등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방문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순서 없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는 내방 미션을 부여한 후에는 내방 미션에 포함된 각 방문확인장치로부터 멘티 단말(10)의 고유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며, 이를 계수하고, 계수 시에는 일정 수 이상이 계수되면 내방 미션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하여 멘티 단말(10)로 내방 미션의 완료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업을 하고자 하는 멘티는 자신의 창업 아이템과 관련된 기업들을 알아가며 공부할 수 있어 보다 실질적인 창업 경험이 가능하며, 특히 단조로운 시뮬레이션이 아닌 미션식으로 진행되어 창업에 대한 흥미를 돋아 보다 효율적인 창업이 가능케 할 수 있다.
한편,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는 상기 미션 완료 내역을 멘티 단말(10)로 전송할 시에, 미션 완료 내역을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창업준비의 일환으로서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가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 부여 시에 가중치로 부여하도록 하고자 함이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의 내방 미션을 완료한 멘티는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 받도록 할 수가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창업계획확인모듈(321), 창업마인드확인모듈(322),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모듈(323), 재무력확인모듈(324), 마케팅확인모듈(325), 결과입력폼DB(326), 창업결과DB(3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업계획확인모듈(3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티 단말(10)로 창업계획확인질문을 전송하는 창업계획질의DB(321a)와, 창업계획확인질문에 따른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를 멘티 단말(10)로부터 반환 받아 저장하는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DB(321b),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DB(321b)에 저장된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창업계획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는 창업계획배점표DB(321c), 상기 창업계획배점표를 근거로 배점된 배점결과를 저장하는 창업계획점수DB(32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창업계획확인모듈(321)을 통해 창업계획에 대한 회원의 개념 이해도 및 계획 진행도를 수치로 구체화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창업마인드확인모듈(3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티 단말(10)로 창업마인드확인질문을 전송하는 창업마인드질의DB(322a)와, 창업마인드확인질문에 따른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를 멘티 단말(10)로부터 반환 받아 저장하는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DB(322b),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DB(322b)에 저장된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창업마인드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는 창업마인드배점표DB(322c), 상기 창업마인드배점표를 근거로 배점된 배점결과를 저장하는 창업마인드점수DB(3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창업마인드확인모듈(322)을 통해 회원이 소유하고 있는 창업마인드를 수치로 구체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모듈(3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티 단말(10)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을 전송하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질의DB(323a)와,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에 따른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를 멘티 단말(10)로부터 반환 받아 저장하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DB(323b),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DB(323b)에 저장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배점표DB(323c), 상기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된 배점결과를 저장하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점수DB(32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모듈(323)을 통해 회원은 시뮬레이션의 주제가 되는 사업아이템을 평가하는 방식을 수치로 구체화하여 알 수 있다.
재무력확인모듈(3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티 단말(10)로 재무력확인질문을 전송하는 재무력질의DB(324a)와, 재무력확인질문에 따른 재무력확인질문결과를 멘티 단말(10)로부터 반환 받아 저장하는 재무력확인질문결과DB(324b), 재무력확인질문결과DB(324b)에 저장된 재무력확인질문결과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재무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는 재무력배점표DB(324c), 상기 재무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된 배점결과를 저장하는 재무력점수DB(3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무력확인모듈(324)을 통해 회원은 재무력에 대한 개념을 보다 현실적을 잡을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무력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이 가능하고, 수치로 구체화된 상황파악이 가능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마케팅확인모듈(3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티 단말(10)로 마케팅확인질문을 전송하는 마케팅질의DB(325a)와, 마케팅확인질문에 따른 마케팅확인질문결과를 멘티 단말(10)로부터 반환 받아 저장하는 마케팅확인질문결과DB(325b), 마케팅확인질문결과DB(325b)에 저장된 마케팅확인질문결과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마케팅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는 마케팅배점표DB(325c), 상기 마케팅배점표를 근거로 배점된 배점결과를 저장하는 마케팅점수DB(32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확인모듈(325)을 통해 회원은 마케팅에 대하여 보다 실제적인 질문들을 얻게 되고, 수치화된 결과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케팅 개념의 상태 및 마케팅 마인드를 점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결과입력폼DB(326)는 창업계획점수, 창업마인드점수,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점수, 재무력점수, 마케팅점수에 대한 점수폼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창업계획점수DB(321d), 창업마인드점수DB(322d),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점수DB(323d), 재무력점수DB(324d), 마케팅점수DB(325d)에 저장된 점수 각각을 결과입력폼DB(326)에 저장되어 있는 점수폼과 매칭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매칭 시에는 창업결과표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창업결과DB(327)는 결과입력폼DB(326)와 매칭되어 생성된 창업결과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창업결과표를 멘티 단말(1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업결과표는 회원에게 창업준비 및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부분에서 구체적인 질문들로 수치화환 현재 상태를 표현함으로써 보다 회원에게 정확한 자신의 모습을 인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토채점모듈(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멘토채점모듈(328)은 창업결과표 생성 시에 객관적인 결과도출이 가능하도록 멘토 단말(20)로부터 채점이 진행되도록 하는 모듈로서, 멘토채점질의DB(328a), 멘토채점결과DB(328b), 멘토채점배점표DB(328c), 멘토채점점수DB(328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멘토채점질의DB(328a)는 멘토 단말(20)로부터 미리 입력된 관리자채점질문이 저장되어 있어, 멘티 단말(10)의 요청 시에 관리자채점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멘토채점결과DB(328b)는 멘티 단말(10)로 전송된 관리자채점질문에 대한 관리자채점질문결과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멘토채점배점표DB(328c)는 멘토채점배점표가 기 저장되어 있어 멘토채점배점표를 근거로 멘토채점결과DB(328b)에 저장된 멘토채점질문결과에 대해 배점할 수 있으며, 멘토채점점수DB(328d)는 멘토채점질문결과에 대해 배점된 멘토채점점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의 멘토채점점수는 결과입력폼DB(326)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점수폼과 함께 매칭되어 창업결과표로 도출될 수 있으며, 멘토채점점수를 포함하여 도출된 창업결과표는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멘토채점모듈(328)은 회원이 작성한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 또는 답변에 걸린 시간 등의 요소를 통해 멘토가 추가적인 가점을 줄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상술한 창업시뮬레이션 외에 창업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관리모듈(3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업피드백은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에 관련한 질문 또는 시스템 사용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창업관련문의가 입력될 경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창업관련문의를 전달받아 멘토 단말(20)로 전송하는 동시에 회원관리모듈(329)로 전송되고, 멘토 단말(20)로부터는 창업관련문의에 대한 창업관련문의답변을 전달받아 멘티 단말(10)로 반환하고, 회원관리모듈(329)로부터는 창업관련문의를 근거로 하는 질문점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원관리모듈(32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입력된 창업관련문의를 저장하여, 전달되는 창업관련문의와 비교 수행하는 회원관리질의DB(329a)와, 회원관리질의DB(329a)를 통해 비교수행되어 판별된 창업관련문의난이도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는 회원관리질문결과DB(329b)와, 미리 창업관련문의난이도에 대한 배점표가 미리 입력되어 있어, 배점표를 근거로 회원관리질문결과DB(329b)에 저장된 창업관련문의난이도에 대해 배점하여 질문점수를 생성하는 회원관리질문배점표DB(329c)와, 회원관리질문배점표DB(329c)에서 생성된 질문점수를 저장하는 회원관리질문점수DB(329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점수가 높은 것은 심도 있는 창업관련문의가 이루어졌거나, 시스템 운영에 획기적인 문의를 하였음을 나타내며, 이를 통하여 회원이 교육 및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다가 느낀 불편함과 아쉬운점을 조사할 수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보강할 수 있고, 창업을 할 때에 필요한 부분을 쉽게 인지하고 제공할 수 있어 회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솔루션서버(36)를 더 포함하거나 솔루션서버(36)와 연동될 수 있는데, 솔루션서버(36)는 솔루션이 미리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된 창업결과표를 근거로 솔루션을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멘티 단말(10)은 솔루션서버(36)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다양한 결과에 대한 솔루션 중에서 상기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된 창업결과표와 매칭되는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원이 자신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솔루션을 제공받도록 하여 보다 실질적으로 창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업체의 창업지원서버(40)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기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되는 창업결과표들 중 높은 점수(예를 들어,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가 부여된 창업결과표를 도출한 멘티가 있을 경우, 해당 멘티로부터 도출된 창업결과표와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를 창업지원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멘티로부터 도출된 창업결과표와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를 전송받은 창업지원서버(40)의 담당자는 이를 검토하여 창업지원에 활용할 수 있고, 창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금조달 등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보다 신속하게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는 창업 아이템 등과 같은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정보일 수 있으며,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전부를 전송하지 않고 개략적인 일부만 전송하기에 아이템을 도둑질 당할 염려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업체 등은 크라우드 펀딩 업체나 정부 창업 지원 기관 등일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높은 점수일 경우에는 창업지원서버(40)와 더불어 기술 공개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미도시) 등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어 자신의 창업 아이템임을 공개시킴으로써 도용 당할 여지 등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창업지원서버(40) 또는 기술 공개 사이트 운영 서버 등과 연동되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의 구성을 통해, 창업 예비자인 멘티가 일일이 자금을 위해 찾아가지 않아도 되고, 뛰어난 창업 아이디어는 보호함과 동시에 보다 빠른 창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창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회원인증단계(S10), 회원정보인출단계(S20), 창업교육영상출력단계(S30),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 및 동업자 매칭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인증단계(S10)는 창업교육서버(31)에 접속한 멘티 단말(10) 사용자가 창업교육서버(31)의 회원DB(311)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미회원인 경우, 멘티 단말(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에 상기 회원정보를 회원DB(311)에 저장하며, 회원인 경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인증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회원정보인출단계(S20)는 회원인증단계(S10)에서 입력된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로 회원DB(311)에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일 수 있으며, 회원정보인출단계(S20)는 창업교육DB(312)에 미리 입력된 창업교육영상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창업교육영상을 출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회원정보에 링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회원정보인출단계(S20)에서 인출된 정보에 창업교육영상을 출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링크되어 있을 경우 창업교육영상을 넘어가 바로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로 갈 수 있다.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는 창업교육영상의 출력이 완료된 회원에게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가 멘티 단말(10)로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제출 요청을 전달하여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고,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은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멘티 단말(1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동업자 매칭단계(S50)는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를 완료한 멘티 단말(10)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동업자 연계서버(33)가 동업자 매칭 요청을 전달 받아 멘티 단말(10)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 후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멘티 단말(10)로 전송함과 동시에 멘티 단말로부터 희망하는 매칭 성격을 전송 받아 희망하는 매칭 성격에 해당하는 멘티 단말을 검색하거나,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와 조화를 이루는 성격 정보가 저장된 멘티 단말(10)을 검색하여 매칭해주는 단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는 창업계획확인단계(S41), 창업마인드확인단계(S42),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단계(S43), 재무력확인단계(S44), 마케팅확인단계(S45), 창업결과처리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멘토채점단계(S47), 솔루션출력단계(S48), 회원관리질문단계(S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업계획확인단계(S41)는 창업교육영상 시청이 완료된 회원에게 창업계획확인모듈(321)의 창업계획질의DB(321a)의 창업계획확인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응답받은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를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DB(321b)에 저장하고, 상기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DB(321b)에 저장된 창업계획확인질문결과를 창업계획배점표DB(321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창업계획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창업계획점수DB(321d)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업계획에 대한 회원의 개념 이해도 및 계획 진행도를 수치로 구체화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창업마인드확인단계(S42)는 창업마인드확인모듈(322)의 창업마인드질의DB(322a)의 창업마인드확인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응답받은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를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DB(322b)에 저장하고, 상기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DB(322b)에 저장된 창업마인드확인질문결과를 창업마인드배점표DB(322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창업마인드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창업마인드점수DB(322d)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회원이 소유하고 있는 창업마인드를 수치로 구체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단계(S43)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모듈(323)의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질의DB(323a)의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응답받은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를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DB(323b)에 저장하고, 상기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DB(323b)에 저장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질문결과를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배점표DB(323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점수DB(323d)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회원은 시뮬레이션의 주제가 되는 사업아이템을 평가하는 방식을 수치로 구체화하여 알 수 있다.
재무력확인단계(S44)는 재무력확인모듈(324)의 재무력질의DB(324a)의 재무력확인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응답받은 재무력확인질문결과를 재무력확인질문결과DB(324b)에 저장하고, 상기 재무력확인질문결과DB(324b)에 저장된 재무력확인질문결과를 재무력배점표DB(324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재무력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재무력점수DB(324d)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회원은 회원은 재무력에 대한 개념을 보다 현실적을 잡을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무력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이 가능하고, 수치로 구체화된 상황파악이 가능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마케팅확인단계(S45)는 마케팅확인모듈(325)의 마케팅질의DB(325a)의 마케팅확인질문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고, 멘티 단말(10)로부터 응답받은 마케팅확인질문결과를 마케팅확인질문결과DB(325b)에 저장하고, 상기 마케팅확인질문결과DB(325b)에 저장된 마케팅확인질문결과를 마케팅배점표DB(325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마케팅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마케팅점수DB(325d)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확인모듈(325)을 통해 회원은 마케팅에 대하여 보다 실제적인 질문들을 얻게 되고, 수치화된 결과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케팅 개념의 상태 및 마케팅 마인드를 점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업결과처리단계(S46)에서 상기 창업계획점수DB(321d), 창업마인드점수DB(322d),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점수DB(323d), 재무력점수DB(324d) 및 마케팅점수DB(325d)에 저장된 점수를 근거로 결과입력폼DB(326)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폼에 각각의 점수를 매칭하여 창업결과표를 만들어 창업결과DB(327)에 저장하고 멘티 단말(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멘티 단말(10)에 출력된 창업결과표는 회원에게 창업준비 및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부분에서 구체적인 질문들로 수치화환 현재 상태를 표현함으로써 보다 회원에게 정확한 자신의 모습을 인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업결과처리단계(S46)에서 멘토채점모듈(328)의 멘토채점질의DB(328a)에 미리 입력된 멘토채점질문을 멘토 단말(20)로 출력하고, 멘토 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멘토채점질문결과를 멘토채점결과DB(328b)에 저장하고, 상기 멘토채점결과DB(328b)에 저장된 멘토채점질문결과를 멘토채점배점표DB(328c)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멘토채점배점표를 근거로 배점하여 멘토채점점수DB(328d)에 저장하는 멘토채점단계(S47)에서 멘토채점점수DB(328d)에 저장된 점수를 추가하여 결과입력폼DB(326)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폼에 각각의 점수를 매칭하여 창업결과표를 만들어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회원이 작성한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 또는 답변에 걸린 시간 등의 요소를 통해 멘토가 추가적인 가점을 줄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솔루션서버(36)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솔루션 중에서 상기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된 창업결과표를 근거로 매칭된 솔루션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는 솔루션출력단계(S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솔루션서버(36)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다양한 결과에 대한 솔루션 중에서 상기 창업결과DB(327)에 저장된 창업결과표와 매칭되는 솔루션을 멘티 단말(10)로 출력하여 회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이 자신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솔루션을 제공받도록 하여 보다 실질적으로 창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원관리질문단계(S49)에서 멘티 단말(10)로부터 창업관련문의가 입력되고,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는 창업관련문의를 전달받아 멘토 단말(20)로 전송하는 동시에 회원관리모듈(329)로 전송되고, 멘토 단말(20)로부터는 창업관련문의에 대한 창업관련문의답변을 전달받아 멘티 단말(10)로 반환하고, 회원관리모듈(329)로부터는 창업관련문의를 근거로 하는 질문점수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점수가 높은 것은 심도 있는 창업관련문의가 이루어졌거나, 시스템 운영에 획기적인 문의를 하였음을 나타내므로, 이를 통하여 회원이 교육 및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다가 느낀 불편함과 아쉬운점을 조사할 수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보강할 수 있고, 창업을 할 때에 필요한 부분을 쉽게 인지하고 제공할 수 있어 회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 이전에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34)를 통한 창업아이템 선정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35)를 통한 미션 시뮬레이션 수행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S40)의 창업결과처리단계(S46) 이후에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32)와 연동되는 창업지원서버(40) 또는 기술 공개 사이트 운영 서버(미도시) 등으로 창업결과표와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를 전송하는 창업결과전송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창업 초보자도 쉽게 창업에 참여할 수 있고, 창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며, 좋은 창업 아이디어의 보호가 뛰어나며, 자금조달이 용이하고, 창업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멘티 단말
20 : 멘토 단말
30 : 창업준비서버부
31 : 창업교육서버
311 : 회원DB
312 : 창업교육DB
32 :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
321 : 창업계획확인모듈
322 : 창업마인드확인모듈
323 :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확인모듈
324 : 재무력확인모듈
325 : 마케팅확인모듈
326 : 결과입력폼DB
327 : 창업결과DB
328 : 멘토채점모듈
329 : 회원관리모듈
33 : 동업자 연계서버
34 :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
35 :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
36 : 솔루션서버
40 : 창업지원서버
50 : 방문확인장치

Claims (6)

  1. 창업을 준비하는 멘티의 입/출력 수단인 멘티 단말;
    창업에 도움을 주는 멘토의 입/출력 수단인 멘토 단말 및
    상기 멘티 단말 및 멘토 단말과 각각 연동되는 창업준비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업준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업준비서버부는,
    상기 멘티 단말로 창업교육영상을 제공하는 창업교육서버;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아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 후 멘티 단말로 반환하는 창업시뮬레이션과,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에 관련한 질문 또는 시스템 사용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창업관련문의를 전달받아 상기 멘토 단말로 전송하며 멘토 단말로부터 창업관련문의에 대한 창업관련문의답변을 전달받아 멘티 단말로 반환하는 창업피드백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 및
    성격판단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기 멘티 단말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멘티 단말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하여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이용하여 동업자 멘티 단말을 매칭해 주는 동업자 연계서버를 포함하는 창업준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업준비서버부는,
    GIS, SNS을 포함하는 정보 수단을 이용하여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 아이템 선정 도움 요청이 있을 경우에 수집된 창업 아이템 관련 정보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멘티 단말로 전송하는 창업아이템 선정 도움 서버를 더 포함하는 창업준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업체의 창업지원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창업시뮬레이션을 진행할 경우에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결과 점수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기준치 이상의 점수면, 상기 창업지원서버로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준비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기 창업 업체에 설치되는 방문확인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에 요청한 멘티 단말의 관심 창업 아이템 관련 업체에 대한 내방 미션을 부여하고, 내방 미션에 포함된 일정 수의 방문확인장치로부터 미션을 수행중인 멘티 단말의 고유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여 미션 완료 내역을 상기 멘티 단말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를 더 포함하는 창업준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상기 미션 완료 내역을 상기 멘티 단말로 전송할 시에,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로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상기 제2 창업시뮬레이터서버로부터 전달된 미션 완료 내역을 창업시뮬레이션에 대한 점수에 가중치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준비시스템.
  6. 창업교육서버에 접속한 멘티 단말 사용자가 창업교육서버의 회원DB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미회원인 경우, 멘티 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에 상기 회원정보를 회원DB에 저장하며, 회원인 경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인증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인증단계;
    상기 회원인증단계에서 입력된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로 회원DB에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불러오는 회원정보인출단계;
    창업교육DB에 미리 입력된 창업교육영상을 멘티 단말로 출력하고 창업교육영상을 출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회원정보에 링크시키는 창업교육영상출력단계;
    창업교육영상의 출력이 완료된 회원에게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가 멘티 단말로 창업계획, 창업마인드, 창업아이템 및 기술력, 재무력, 마케팅을 포함하는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제출 요청을 전달하여 멘티 단말로부터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고, 창업준비정보를 전달받은 제1 창업시뮬레이터서버는 각 창업준비정보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멘티 단말로 전송하는 창업준비시뮬레이션단계 및
    창업준비결과처리단계를 완료한 멘티 단말의 동업자 매칭 요청 시에, 동업자 연계서버가 동업자 매칭 요청을 전달 받아 멘티 단말로 성격판단검사를 제공 후 반환 받아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를 멘티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멘티 단말로부터 희망하는 매칭 성격을 전송 받아 희망하는 매칭 성격에 해당하는 멘티 단말을 검색하거나, 도출된 성격판단검사결과와 조화를 이루는 성격 정보가 저장된 멘티 단말을 검색하여 매칭해주는 동업자 매칭단계를 포함하는 창업준비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90050358A 2019-04-30 2019-04-30 창업준비시스템 KR10222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58A KR102222497B1 (ko) 2019-04-30 2019-04-30 창업준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58A KR102222497B1 (ko) 2019-04-30 2019-04-30 창업준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64A true KR20200126564A (ko) 2020-11-09
KR102222497B1 KR102222497B1 (ko) 2021-03-03

Family

ID=7342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58A KR102222497B1 (ko) 2019-04-30 2019-04-30 창업준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4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565B1 (ko) 2021-06-17 2022-01-07 이도열 노코드 기반 창업 정보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창업 정보 제공시스템
WO2022139154A1 (ko) * 2020-12-24 2022-06-30 최철만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전문가 매칭 시스템
KR20220114399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타임리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2899A (ko) * 2021-07-16 2023-01-26 ㈜팀경영컨설팅 경영 시뮬레이션 시스템, 이를 이용한 경영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2519093B1 (ko) * 2022-08-11 2023-04-06 임형태 소화기 및 폐소화기를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554B1 (ko) 2022-11-11 2023-10-31 주식회사 매일벤처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창업 가이드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642A (ko) * 2013-11-13 2015-05-22 주식회사 해보고 창업체험 제공 서버
KR20160029185A (ko) * 2014-09-04 2016-03-15 정해원 창업 매칭 지원 서비스 시스템
KR20160050621A (ko) * 2014-10-30 2016-05-11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단계별 사업지원 연계를 통한 창업 보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3220A (ko) * 2015-06-30 2017-01-09 성창용 창업교육 및 시뮬레이션의 운영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642A (ko) * 2013-11-13 2015-05-22 주식회사 해보고 창업체험 제공 서버
KR20160029185A (ko) * 2014-09-04 2016-03-15 정해원 창업 매칭 지원 서비스 시스템
KR20160050621A (ko) * 2014-10-30 2016-05-11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단계별 사업지원 연계를 통한 창업 보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3220A (ko) * 2015-06-30 2017-01-09 성창용 창업교육 및 시뮬레이션의 운영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154A1 (ko) * 2020-12-24 2022-06-30 최철만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전문가 매칭 시스템
KR20220114399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타임리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48565B1 (ko) 2021-06-17 2022-01-07 이도열 노코드 기반 창업 정보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창업 정보 제공시스템
KR20230012899A (ko) * 2021-07-16 2023-01-26 ㈜팀경영컨설팅 경영 시뮬레이션 시스템, 이를 이용한 경영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2519093B1 (ko) * 2022-08-11 2023-04-06 임형태 소화기 및 폐소화기를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497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497B1 (ko) 창업준비시스템
US9870591B2 (en) Distributed electronic document review in a blockchain system and computerized scoring based on textual and visual feedback
Shafiee et al. Proposing a new framework for personal brand positioning
Shah et al. Social Q&A and virtual reference—comparing apples and oranges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users
US20150220880A1 (en) Suggesting a candidate enrollment item for a candidate student
US20140032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job recruiting
WO2012150458A1 (en) Data matching
KR20180014259A (ko)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KR102319077B1 (ko) 온라인 지원자 이력 제공 및 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demodi Reference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Accommod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llahbakhsh et al. Crowdsourcing planar facility location allocation problems
Lee et al. Assimilation of military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in Korea: The mediating role of structural appropriation
JP2019185388A (ja) 人工知能を用いた質疑応答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で利用されるq&aデータベースの構築方法
Ismail et al. A serverless academic adviser chatbot
Kommey et al. SwyftTapp: An NFC based attendance system using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20140095399A1 (en) Competition-based method of ranking job candidates
KR102612772B1 (ko) 커뮤니티 구성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180174256A1 (en) Enroll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154287B1 (ko) 서비스 인력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KR101627397B1 (ko) 단어 연상 퀴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4857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lating intra-organization objects
Hamzah et al. Career Finder System using Rule-Based Filtering for University Student Candidates
US20140317533A1 (en) Information technology tool for exchange of questions and responses
KR102615328B1 (ko) 디지털 콘텐츠 산업분야별 특성에 따라 3d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특화 컨설팅이 구비된 교육플랫폼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635525B1 (ko) 기술 이전 사례 분석 및 기술 특허 정보, 사용 이력을 고려한 양방향 기술 특허 추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