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699B1 -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699B1
KR102619699B1 KR1020230054778A KR20230054778A KR102619699B1 KR 102619699 B1 KR102619699 B1 KR 102619699B1 KR 1020230054778 A KR1020230054778 A KR 1020230054778A KR 20230054778 A KR20230054778 A KR 20230054778A KR 102619699 B1 KR102619699 B1 KR 10261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spection
score
inspection proces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4752A (ko
Inventor
노유헌
김혜린
김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모코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모코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모코그
Priority to EP23170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72643A1/en
Priority to JP2023076368A priority patent/JP2023165416A/ja
Priority to US18/142,174 priority patent/US20230346298A1/en
Priority to CN202310486774.9A priority patent/CN116982930A/zh
Publication of KR2023015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752A/ko
Priority to KR1020230191737A priority patent/KR2024000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와,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와,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2년도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의 과제번호 SU220002, "비즈콜 기반 고령자 최적화 치매 조기선별 기술 사업화"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

Description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본 발명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지속됨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치매에 대한 치료약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치매에 대한 가장 혁신적인 대안은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전단계의 고위험군 상태를 가리킨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약 10~15%가 치매로 보고되고 있다.
다만, 경도인지장애는 정형화된 진단 방법이 없고, 의사가 환자를 대면으로 진료하고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살펴 판단하고 있다. 종래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는 기억력을 평가하는 검사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기억력 저하가 특징인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유효한 검사이지만, 기억력 이외의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특징인 다른 치매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9529호(2018.10.08)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명시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여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가 완료된 후에 검사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저장된 과거 결과를 확인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와,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와,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명시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여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가 완료된 후에 검사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저장된 과거 결과를 확인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및 예방책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중 검사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1)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100, 이하 검사 장치라 표기함)와, 사용자 단말기(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검사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한시간(예를 들어, 30초)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를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검사항목은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창성 검사는 실행기능을 구성하는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유창성 검사는 제한된 시간 내에 자연적으로 인지적 유연성 얼마나 산출되는지 평가하는 검사라 할 수 있다. 유창성 검사는 주어진 시간에 범주과제와 철자과제를 부여하고 가능한 많은 단어를 산출하는 언어 유창성 검사와, 주어진 점을 연결하여 도형을 가능한 많이 그리는 시지각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유창성은 언어와 실행 기능 모두를 필요로 하며, 전두측두엽 치매와 진행성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은 두 유형의 언어 유창성과 과제 모두에서 흔히 유의미한 손상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
제1 검사 프로세스는 제1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를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검사항목은 언어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유창성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유창성 검사 및 종래의 유창성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유창성 검사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단어를 검사자가 검사지에 받아 적었다. 반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창성 검사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내용을 녹음하고,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변환한 후, 이를 기반으로 유창성 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언어 유창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을 사용해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의 반응이 부정확하게 텍스트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응답해야 하는 단어는 동물, 과일, 옷과 같이 어떤 특정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가 될 것이고, 범주는 여러 개의 명사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유창성 검사의 점수화 과정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제1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응답한 단어의 수가 점수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화한 전체 단어의 개수 뿐만 아니라 제2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등 다양한 시간 가능) 단위로 응답한 단어의 수를 세어서 점수화 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시간 중 초반부(예를 들어, 0-15초까지)에 응답한 단어의 수에 대해서 제1 가중치를 부여해서 채점할 수 있고, 제1 기설정된 시간 중 후반부(예를 들어, 16-30초까지)에 응답한 단어의 수에 대해서도 제2 가중치를 부여해서 채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응답한 단어수에 제1 값(예를 들어, 2)를 곱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값은 2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1.5에서 2사이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2 가중치는 응답한 단어수에 제2 값(예를 들어, 1.5)를 곱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값은 1.5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1.5에서 2사이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 또는 그림을 학습하고 학습한 단어 또는 그림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화적 기억을 비롯한 장기 기억의 형성은, 1) 등록 또는 부호화 2) 저장 및 유지 3) 인출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기억 평가는 이 세 단계에 대한 세부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토대로 일화적 기억의 손상 여부, 손상 정도, 또는 손상 특성 등이 파악될 수 있다.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통하여 인출 실패 인지 또는 기억 책략의 문제 인지를 판단함으로써, 기억 기능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치매 유형을 변별하는데 진단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및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 또는 그림을 학습하는 능력이 얼마만큼 수행되는지 평가하는 제2-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2-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실행하고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시간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다른 검사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에서 학습한 단어 또는 그림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2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실행하고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에서, 일회적 기억 및 장기 기억은 1) 등록 또는 부호화, 2) 저장 및 유지, 3)인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 개의 과정에 대한 세부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여, 일회적 기억의 손상 여부, 손상 정도 또는 특성 등을 포함하는 기억 평가가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통하여, 기억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치매 유형을 평가하는데 진단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함은, 인출 실패 문제인지 또는 기억 책략의 문제 인지 여부 등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 및 종래의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복수개의 단어를 불러주고 몇 개의 단어를 회상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단어 또는 그림이 속한 범주를 알려주는 단서를 제공 학습을 실시하고 자유 회상에서도 단어가 속한 범주를 알려주면서 질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통하여 정상군과 경도인지장애, 정상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삽화 기억과 관련이 있는 뇌의 부위인 해마상 융기(parahippocampus)의 회백질 부피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언어 기억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단어간섭 기억 검사로 발전될 수 있다. 단어간섭 기억 검사는 리스트-러닝 패러다임(list-learning paradigm)을 기반으로 최신 기억력(recent memory)을 측정하는 언어 기억 검사라 할 수 있다. 리스트-러닝 패러다임은 최신 기억력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패러다임으로, 보통 일련의 단어 리스트를 외우로 이를 재인 또는 회상하도록 하는 절차로 구성될 수 잇다. 단어간섭 기억 검사는 먼저, 첫 번째 단어 리스트(list A, 이하 제1 리스트라 표기함)를 반복적으로 제시한 뒤에, 학습한 단어를 재인할 수 있는 능력(최대 학습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에 첫 번째 단어 리스트(list A)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새로운 단어 리스트(list B, 이하 제2 리스트라 표기함)를 제시하고, 새롭게 학습한 단어를 재인할 수 있는 능력(간섭 억제)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리스트를 학습 및 인출할 때, 이전 단계에서 학습한 제1 리스트가 의미적으로 간섭을 일으키면서 단어간섭 기억 검사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를 순행적 의미 간섭(proactive semantic interference)이라고 할 수 있다. 순행적 의미 간섭은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특징적인 기억의 저장 및 공고화 과정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매우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측하는 중요한 인지적 마커로 알려져 있다. 단어간섭 기억 검사는 최대 학습량과 함께 순행적 의미 간섭을 억제하고 새로운 정보를 변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매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억력 문제를 민감하게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검사 LASSI-L(Loewenstein-Acevedo Scales for Semantic Interference and Learning)은 3개의 의미 범주 중 하나에 해당하는 총 15개의 단어들을 회상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어간섭 기억 검사는 한국 노인의 전반적인 학력 및 일상적 기능 수준을 고려하여 기억해야 하는 단어의 수를 총 8개로 줄었다. 또한 한국 노인에게 친숙한 장보기 리스트 및 장바구니 개념을 적용해 익숙하고 구체적인 단어들로 구성하였다. 더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 수월한 채점 및 점수화가 가능하도록 기존 검사에서 사용된 회상 패러다임(기억해야 하는 단어를 직접 떠올려 말하는 방식)이 아닌 재인 패러다임(제시되는 단어를 보고 기억한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아울러 제2 리스트의 재인 시에, 제1 리스트에 포함되는 단어를 배제해야 하는 비타겟 단어로 제시함으로써 재인 패러다임 내에서도 순행적 의미 간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단어간섭 기억 검사의 점수화 과정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제1 리스트에 대한 재인 점수와, 정확한 예(true positive) 반응 수와, 정확한 아니오(true negative) 반응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인점수는 일 실시 예로, 정확한 예(true positive) 반응 수와, 정확한 아니오(true negative) 반응 수를 합한 값에서 기준값(예를 들어, 4)을 차감하여 산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제2 리스트에 대한 재인 점수와, 정확한 예(true positive) 반응 수와, 정확한 아니오(true negative) 반응 수와, 위양성(false positive) 오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단어간섭 기억 검사의 전체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어간섭 기억 검사의 점수화 결과, 전반적으로 재인 점수가 높을수록 언어적 최신 기억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1 리스트에 대한 재인 점수가 높을수록 최대 학습 가능한 언어적 기억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2 리스트에 대한 재인 점수가 높을수록 순행 간섭을 억제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2 리스트에 대한 위양성 오류가 많을수록 순행적 의미 간섭의 영향에 더 취약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3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3 검사 프로세스는 제시한 기호 이미지를 보고 제시한 기호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를 기설정된 제한시간(예를 들어, 45초) 내에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검사항목은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3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 기능에 속하는 처리 속도(processing speed)는 시각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훑어보고, 차례를 밝히고 변별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는 시각 운동 처리 속도, 단기 시각 기억 학습 능력, 인지적인 유연성, 주의, 집중, 동기화를 측정할 수 있다.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는 화면 중앙에 표시된 기호를 보고, 화면 하단에 있는 숫자판에서 상술한 기호와 연결된 숫자를 찾아 터치해야하는 검사이다.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기호는 총 n개의 기호가 번갈아 제시되며, 화면 하단에 제시되는 숫자는 하나의 기호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3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 및 종래의 기호 숫자 쓰기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기호 숫자 쓰기 검사는 종이-펜 검사 방식으로 실시되며, 종이의 상단에 연결된 숫자-기호표를 보고, 하단 응답부에 쓰여 있는 숫자 아래 빈칸에 해당 숫자와 매칭되어 있는 기호를 수기로 적는 방식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는 화면 중앙에 기호 세트 안에 있는 기호 중 하나가 표시되고, 그 아래 숫자-기호가 연결되어 있는 응답부에서 해당 기호와 매칭되어 있는 숫자를 터치하는 방식이다.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기호 세트가 생성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기호는 정사각형의 모양안에서 생성될 수 있는 4개의 꼭지점과, 4개의 꼭지점의 1/2 지점을 지나는 모든 직선 및 곡선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종래의 기호 숫자 쓰기 검사는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므로 쓰기 능력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에 초점을 둘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에서 사용되는 기호는 기존 기호의 저작권을 고려하여 언어화 될 수 없고, 새롭게 제작한 단순한 형태의 기호를 적용할 수 있다. 초반 문항에서는 거리가 가까운 기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하여 쉬운 난이도로 배치할 수 있다. 후반 문항으로 갈수록 모든 기호를 탐색하도록 구성하여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의 점수화 과정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채점에 활용되는 지표는 1) 주어진 시간 내에 터치한 숫자의 개수, 2) 주어진 시간 내에 화면 가운데 나오는 기호와 연결된 숫자를 터치한 개수, 3) 주어진 시간 내에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기호와 연결되지 않은 숫자를 터치한 개수, 4) 각 숫자 버튼을 터치하는데 걸린 평균 시간 및 표준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검사 프로세스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4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이미지를 학습하고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검사항목은 시각 도식 기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Buschke(1984)가 개발한 Free and Cued Selective Reminding Test는 단어와 연관된 범주 단서를 제공하고, 학습 과정에서의 인출에 대한 연합을 생성하고, 이를 회상 시에도 활용하는 언어 기억 검사이다. 기존의 자유회상 과제를 기반으로 하는 기억 검사들은 기억 과정에서의 비효율적인 전략의 사용, 처리 용량의 감소등으로 효율성 저하와 기억구조물의 손상에 의한 기억 저장의 장애를 구별해 주지 못한다. 또한, 자유회상 과제의 저조한 수행이 치매의 특징이라기 보다는, 노화나 우울증에서도 같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단서 회상 과제에서의 손상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초기 진단에 좀 더 특징적일 수 있다. 부호화 단계인 학습 과정에서 여러 개의 단어들을 하나의 의미군집으로 범주화 시키고, 이를 즉각 회상하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부호화 과정의 효율성 저하를 막아, 기억 구조물의 이상에 의한 기억력 저하 자체의 문제를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서 회상 과제를 이용한 기억력 검사들은 대부분 단어 자극 및 어의적 단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그림 자극은 환자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할 수 있으며 단어 자극에 비해 문맹 노인에게 더 친숙하고 더 접근이 용이할 수 있는 자극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각 도식 기억 검사에서는 그림 자극을 사용하여 시각 언어 기억과제를 구성하여 그림 자극과 도식 단서를 이용해 기억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각 도식 기억 검사에서 즉각 자유 회상은 정상,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형 치매 세 집단을 잘 구분하는 과제였고 학습 과제는 시각적 재인의 속성으로 루이소체 치매를 다른 집단들과 가장 잘 구분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각 도식 기억 검사에서는 학습, 즉각 단서 회상, 즉각 자유 회상과 같이 기억의 저장이나 보유보다는 부호화에 큰 영향을 받는 소검사에서 각 집단 간 차이가 잘 나타났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검사 프로세스는 제4-1 검사 프로세스 및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검사 프로세스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4-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를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시지각 자극을 입력하는 제4-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1 검사항목은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4-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실행하고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4-2 검사 프로세스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시간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다른 검사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5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비로소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다음에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5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8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2 검사 프로세스가 반드시 제3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하고, 제4-2 검사 프로세스가 반드시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즉, 제2-2 검사 프로세스 및 제4-2 검사 프로세스는 제3 프로세스 내지 제10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완료한 수에 실행할 수도 있다.
제4-2 검사 프로세스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에서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4-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2 검사항목은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4-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실행하고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4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시각도식 기억 검사 및 종래의 시각도식 기억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각도식 기억 검사는 언어화 할 수 없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의미 기억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색깔, 무늬, 중첩 정도에 변화를 주어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실행할 때 학습한 이미지와 동일한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를 간섭 이미지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단서를 포함하고 있는 세트 내에서 임의로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시함으로써 과거 검사 실행에 따라 익숙한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는 학습의 효과를 배제할 수 있다.
제5 검사 프로세스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5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 및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5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검사항목은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룹 검사는 목표 반응과 무관한 반응을 억제하여 목표를 유지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스트룹 검사는 치매 환자들과 정상 노인의 검사 실행 능력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치매 환자와 정상 노인을 구분하는데 효율적인 지표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검사 프로세스는 제5-1 검사 프로세스 및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단어를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5-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1 검사항목은 제1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5-1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1 스트룹 검사를 실행하고 제5-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5-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5-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2 검사항목은 제2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5-2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2 스트룹 검사를 실행하고 제5-2 검사 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5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스트룹 검사 및 종래의 스트룹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스트룹 검사는 검사지로 감를 수행하여 주어진 단어를 연속적으로 읽고, 정확하게 읽은 단어수를 카운트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룹 검사는 색상의 이름이 쓰여진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하는 단어 읽기 과제와, 단어의 색상과 일치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색상 읽기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룹 검사는 유의미한 검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수행 시간을 단축하고, 수행 시간 동안의 정반응 수를 평가할 수 있다.
제6 검사 프로세스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6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알아차리는지 평가하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6 검사항목은 얼굴 감정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6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얼굴 감정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의 변화로 감정 인식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매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타인과 감정을 교류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고, 대인관계에서 공감 능력도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는 무감동, 사회적 처리 방식의 오류, 사회적 인식의 손상 등 대인관계 행동의 변화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전측두엽 치매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얼굴 감정 인식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감정 검사는 6 개의 기본 감정(기쁜, 두려운, 슬픈, 화난, 혐오스러운, 놀라운)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얼굴 제시 이미지와, 감정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즉, 무감정의 제2 얼굴 제시 이미지를 복수개로 제공하고, 각 표정에 포함되어 있는 감정을 민감하게 알아차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6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얼굴 감정 검사 및 종래의 얼굴 감정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얼굴 감정 검사는 얼굴 표정 사진을 보고 정확한 감정을 찾아내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감정 검사는 단계별 감정의 세기를 제시하고 일치하는 감정을 평정할 수 있다. 또한 얼굴 감정 검사는 약한 정서와 강한 정서에서의 감정을 구별하는 정도와, 긍정 정서와 부정정서 간의 차이를 평정할 수 있다. 또한 얼굴 감정 검사에서 산출되는 차이점수(contrast)는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와 FTD를 감별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얼굴 감정 검사는 자극에 대한 성별 편향을 배제하기 위해 남녀 비율을 맞추어 자극을 제시할 수 있다.
제7 검사 프로세스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7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제시한 숫자를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와, 숫자들과 요일들을 제시하고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7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검사항목은 기호 잇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호 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는 시각 개념 및 시각 운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검사일 수 있다. 기호 잇기 검사는 숫자 잇기 검사 및 숫자-알파벳 잇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숫자-알파벳 잇기 검사는 수의 번호가 매겨지거나 알파벳 글자가 매겨진 원들을 각각의 순서에 따라 교대로 바꿔가며 선을 그려 연결하는 검사이다. 기호 잇기 검사는 시지각 능력, 시각적 탐색, 운동속도, 복합적 시각 주사, 민첩성 등이 종합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숫자-알파벳 잇기 검사는 세트 전환 능력 등의 인지기능의 변환, 역행적 억제, 두 종류의 병렬된 사고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될 수 잇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검사 프로세스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및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7-1 검사 프로세스는 제7-1 제한시간 내에 시작이라고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고 제시된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7-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7-1 검사항목은 숫자 잇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7-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숫자 잇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7-2 검사 프로세스는 숫자들과 요일들을 제시하고 제7-2 제한시간 내에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7-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7-2 검사항목은 숫자-요일 잇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7-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도안 숫자-요일 잇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호 잇기 검사는 종래의 기호 잇기 검사와 다르게, 한국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파벳 대신 친숙한 요일(월, 화, 수, 목, 금, 토, 일)로 교체하여 개발된 한국판 노인형 기호 잇기 검사를 디지털 버전으로 개발하였다.
제8 검사 프로세스는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8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 및 무게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8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검사항목은 크기 무게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무게 검사는 동물과 사물을 3개씩 제시하여 각각의 자극을 크기별, 무게별로 정렬하도록 하여 의미 기억을 평가하는 언어성 검사일 수 있다. 크기 무게 검사는 동물, 사물 자극들을 한국 노인에게 친숙하도록 수정한 한국형 버전으로 개발하여 타당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검사점수는 정상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AD)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군을 감별할 수 있다. 또한 검사점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의미형 원발진행실어증(SV-PPA)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임상군을 감별할 수 있다. SV-PPA 환자의 뇌영상 결과에서 의미적인 정보를 인출하는데 관여하는 뇌영역인 right inferior frontal cortex, bilateral temporal cortices의 회백질의 부피와, 검사점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검사 프로세스는 제8-1 검사 프로세스 및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8-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8-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8-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8-1 검사항목은 크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8-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크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8-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8-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무게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8-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8-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8-2 검사항목은 무게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8-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무게 검사를 실행하고 제8-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8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크기 무게 검사 및 종래의 크기 무게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크기 무게 검사는 크기에 따른 대상체와 무게에 따른 대상체를 각각 복수개(예를 들어 5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범주 간 수준별 묶음을 통해 난이도를 저/중/고로 구성할 수 있다. 무게의 차이 및 크기의 차이가 큰 범주 간의 조합은 난이도가 낮을 수 있다. 무게의 차이 및 크기의 차이가 작은 범주 감의 조합은 난이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초반에는 쉬운 문항으로 구성하고 후반에는 어려운 문항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는 선으로 된 그림으로 대상체(예를 들어, 동물, 사물 등)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고령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대상체는 배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9 검사 프로세스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9 검사 프로세스는 임의의 이미지와,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질문에 대한 정반응수의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9 검사항목은 마음 이론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9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마음 이론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회인지는 일상 생활에서 끊임없이 접하게 되는 사회적 정보를 지각, 해석, 처리하는 능력이다. 마음 이론은 다른 사람이 가진 믿음, 필요, 의도 등의 마음상태를 해독하거나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그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마음 이론 검사는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음 이론 검사는 마음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9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마음 이론 검사 및 종래의 차례 맞추기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차례 맞추기 검사(WAIS-R)는 주어진 그림을 이야기의 흐름에 맞도록 순서대로 나열하여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례 맞추기 검사는 노인에게서는 난이도가 있어 수행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음 이론 검사는 노인 친화적인 내용으로 이야기를 수정하고, 장면별로 제시되는 내용에서 인물의 의도,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정도와 인물의 감정을 물어보는 검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도형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0 검사항목은 색상 지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색상 지각 검사를 실행하고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색상 지각 검사 및 종래의 색상 지각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색상 지각 검사로서의 먼셀 100 휴 테스트(the Farnsworth Munsell 100 hue test)는 색상의 세 가지 속성인 색조, 채도 및 밝기를 기반으로 하여, 유사한 색상을 4개의 색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나열되어 있다. 사용자는 양쪽 끝 색상을 기준으로 색상의 순서에 맞게 배열함으로써 색상의 차이를 구별하는지 확인한다. 반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지각 검사는 파킨슨병 치매 환자가 청색 및 녹색의 구분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여, 녹색과 청색 계열의 색상계를 기준으로 색을 선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지각 검사는 종래 검사와 같이 전체 색상을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두 개의 색상을 뽑고, 색상의 차이가 적은 것은 난이도가 높게, 색상의 차이가 많은 것은 난이도를 낮게 구성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카테고리 분류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2 검사항목(언어단서 기억 검사) 및 제4 검사항목(시각도식 기억 검사)을 기억력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6 검사항목(얼굴 감정 검사) 및 제9 검사항목(마음 이론 검사)을 사회인지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감별할 수 있는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8 검사항목(크기 무게 검사)을 언어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10 검사항목(색상 지각 검사)을 지각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항목(유창성 검사)과, 제3 검사항목(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과, 제5 검사항목(스트룹 검사)과, 제7 검사항목(기호 잇기 검사)을 주의집행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평가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평가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2 검사점수(언어단서 기억 검사점수) 및 제4 검사점수(시각도식 기억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기억력으로서의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6 검사점수(얼굴 감정 검사점수) 및 제9 검사점수(마음 이론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인지로서의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8 검사점수(크기 무게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언어로서의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10 검사점수(색상 지각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지각으로서의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점수(유창성 검사점수)와, 제3 검사점수(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점수)와, 제5 검사점수(스트룹 검사점수)와, 제7 검사점수(기호 잇기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주의집행으로서의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 장치(100)는 서버 형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검사 장치(100)가 제공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검사 장치(100)가 제공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검사를 받을 사용자 즉, 피검자가 구비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팅 장치(미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201), 스마트폰(202) 노트북(203) 이외에,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300)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WLAN(wireless LAN),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3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대 도로 인프라)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웨이브(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과,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데이터베이스(140), 검사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300)와 연동하여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검사 관리부(150)의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사용자 단말기(200)가 검사 장치(100)에 접속한 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저장 매체(120)는 제어부(1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 매체(12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제1 평가 프로세스 내지 제5 평가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전측두엽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파킨슨병 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후술하는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텍스트와, 제2-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단어 또는 정답 그림과, 제2-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단어 또는 정답 그림과, 제3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4-1 지시문 및 제4-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5-1 지시문 및 제5-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6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7-1 지시문 및 제7-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8-1 지시문 및 제8-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9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10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시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일련의 입력 및 정답을 비교하고, 전체 정답 대비 오답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답의 개수가 많을수록 검사점수가 낮아지고, 오답의 개수가 적을수록 검사점수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점수는, 후술하는 소요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요시간의 카운트 결과가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 검사점수는 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점수 산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과정에서, 정상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군은 인지기능 저하가 없는 정상인 그룹으로써, 성별/학력/나이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정상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결과로 정상군의 제1 내지 제10 검사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정상군의 제1 검사점수 내지 제10 검사점수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0 평균값과, 제1 내지 제10 표준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제3 과정에서, 정상군에 대한 제1 내지 제10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정상군에 대한 제2 검사항목 및 제4 검사항목을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6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8 검사항목을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10 검사항목을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1 검사항목과, 제3 검사항목과, 제5 검사항목 및 제7 검사항목을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4 과정에서, 제1 내지 제10 검사점수에 대한 제1 내지 제10 평균값 및 제1 내지 제10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10 Z-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Z-스코어는 표준편차를 단위로 보았을 때 검사점수가 평균값에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는 스코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 이하인 경우, 해당 검사항목이 포함되는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이로부터 기준점수는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검사점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준점수는 제1 내지 제10 기준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Z-스코어 또한 제1 내지 제10 Z-스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기준점수는 규준의 컷-오프 점수로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규준의 컷-오프 점수는 상술한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검사점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규준의 컷오프 점수는 제1 내지 제10 규준의 컷-오프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준점수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기준점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기존에는 기준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대규모의 대상자에게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점수를 수집하는 과정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새로운 결과가 생성되더라도, 새로운 결과가 기준점수에 반영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검사 결과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고, 그 즉시 기준점수를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항상 최신의 기준점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기준점수 업데이트를 통하여, 사용자가 항상 정확한 기준점수를 토대로 인지 상태를 진단받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검사 과정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사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없이 최신의 기준점수를 기반으로 진단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학력, 연락처, 이메일, 주소,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고유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사용자의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정보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 및/또는 카테고리 이력,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 사용자가 이용한 자원 사용량 정보, 사용자의 자원 사용량에 대응한 과금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검사 관리부(15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관리부(150)는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관리부(150)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검사 관리부(150)는 평가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진료자(예를 들어 의사)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검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중 검사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관리부(150)는 제공부(151) 제1 처리부(152), 제2 처리부(153), 제3 처리부(154) 및 전송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151)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검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5에 제시된 도면은 제공부(151)의 처리에 의해 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는 화면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부(151)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제1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화면은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공부(151)는 제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1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제1 검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로 표현된 제1 검사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줄임말로써, 고령자를 고려하여 간단 명료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공부(151)는 제2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2 검사 내지 제10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 내지 제3 처리부(154)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은 제공부(151)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1 처리부(152)가 제공하는 일련의 데이터는 본래 제공부(151)가 제공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제1 처리부(152)가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처리부(152)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1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1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발화하라는 제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발화 텍스트를 정답 텍스트와 비교하여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검사점수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발화 텍스트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검사점수가 제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유창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유창성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h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도 5a 내지 도 5h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5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b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5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c는 제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503)을 입력하고, 프로그레스 바(504)를 보면서 단어를 발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그래스 바(504)는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d는 제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 버튼(503)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단어를 발화한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 미만이거나, 발화 성량이 작은 경우 제1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
도 5e는 제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f는 제1 지시문 및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505)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g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506)을 입력하고, 프로그래스 바(507)를 보면서 제1 지시문에 대응하여 단어를 발화할 수 있다.
도 5h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및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복수개의 제시 단어 또는 복수개의 제시 그림을 도시하고, 복수개의 제시 단어 또는 복수개의 제시 그림 중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그림을 선택하라는 제2-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1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시 단어 또는 제시 그림 중 어느 한 단어 또는 그림을 선택한 단어 또는 그림 선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단어 또는 그림 선택 결과와 정답 단어 또는 정답 그림을 비교하여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1 검사점수는 제2-1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단어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 또는 기설정된 제시 그림과 함께, 기설정된 제시 단어 또는 기설정된 제시 그림이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인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2-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2-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 또는 기설정된 제시 그림이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 또는 그림인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와, 정답 단어 또는 정답 그림을 비교하여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2 검사점수는 제2-2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점수 및 제2-2 검사점수 중 하나 이상을 합산하여 제2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점수 및 제2-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2-1 검사점수 및 제2-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검사점수가 제2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언어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언어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h은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6e 내지 도 6h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설명의 편의상 단어 또는 그림 중 단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단어 대신 그림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a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b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c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603)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d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e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6)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2 검사 프로세서의 시작 화면은,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f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4)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g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612)를 보면서 예 버튼(605) 및 아니오 버튼(60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h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3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화면의 중앙에 임의의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고, 임의의 기호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를 제3 제한시간 내에 선택하라는 제3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3 지시문에 대응하여 임의의 기호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에 대한 선택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검사점수는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3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3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검사점수가 제3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집행기능이 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집행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k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7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설명보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b 내지 도 7d는 제3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보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 내지 도 7d는 한꺼번에 일괄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7b에서 화면 중앙에 어느 한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고, 손 이미지(702)는 설명 지시문에 맞춰 움직이면서 숫자 1을 선택하는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도 7c에서 화면 중앙에 다른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다. 도 7d에서 손 이미지(703)는 설명 지시문에 맞춰 움직이면서 숫자 5를 선택하는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도 7e는 제3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3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704)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f는 제3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f의 화면은 제3 연습 지시문과,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와,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와,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와 가장 비슷한 기호 이미지를 찾고, 찾은 기호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f에서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와,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f에서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숫자는 터치에 의해 반응할 수 있다.
도 7g는 연습 오답 시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7h는 연습 연속 오답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g 및 도 7h에서는 기호 이미지에 대응하는 숫자를 다시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i는 제3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카운트다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i에서는 제3 검사 프로세스 시작 전에, 3, 2, 1, 시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j는 제3 검사 프로세스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j의 화면은 제3 지시문과,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와,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와,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지시문을 확인한 후,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와 가장 비슷한 기호 이미지를 찾고, 찾은 기호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j에서 사용자가 숫자를 선택할 때까지 경과되는 시간이 프로그래스 바(705)에 의해 카운트될 수 있다.
도 7k는 제3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 및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4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4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4-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4-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1 검사점수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기설정된 제2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2 제시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4-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4-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4-2 지시문이 제공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한 시간까지의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비교의 결과 및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2 검사점수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와,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다 하더라도,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크면 제4-2 검사점수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적다 하더라도,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작으면 제4-2 검사점수는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4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검사점수가 제4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시지각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시지각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h는 제4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8e 내지 도 8h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a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8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b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8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c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1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에 대응하여 예 버튼(803) 및 아니오 버튼(80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d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e는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805)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2 검사 프로세서의 시작 화면은,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f는 제4-1 검사 프로세스 실행시에 제공한 제1 제시 이미지에 대한 회상의 권유를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g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2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2 제시 이미지가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응하여 예 버튼(806) 및 아니오 버튼(807)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h는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 프로세스 및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5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5-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5-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5-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1 검사점수는 제5-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5-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5-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색상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5-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5-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5-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2 검사점수는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5-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5-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점수 및 제5-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5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5-1 검사점수 및 제5-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5-1 검사점수 및 제5-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검사점수가 제5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억제 기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억제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o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i는 제5-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9j 내지 도 9o는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는 제5-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901)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5-1 검사 프로세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b는 제5-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5-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9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c는 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1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선택 단어(903) 및 제2 선택 단어(904)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d는 도 9c로부터 제1 선택 단어(905)를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정답임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선택 단어(905)는 도 9c의 제1 선택 단어(903)와 동일하다.
도 9e는 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 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
도 9f는 제5-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g는 제5-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906)를 보면서 제1 선택 단어(907) 및 제2 선택 단어(908)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h는 도 9g로부터 제1 선택 단어(909)를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정답임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선택 단어(909)는 도 9g의 제1 선택 단어(907)와 동일하다.
도 9i는 제5-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j는 제5-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k는 제5-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5-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5-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910)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l은 제5-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2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선택 단어(911) 및 제2 선택 단어(912)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가진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l에서는 사용자가 제2 선택 단어(912)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m은 제5-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n은 제5-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913)를 보면서 제1 선택 단어(914) 및 제2 선택 단어(915)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가진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n에서는 사용자가 제2 선택 단어(915)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o는 제5-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6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감정이 표현되어 있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와,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가 무엇인지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감정 버튼은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복수개의 감정 버튼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라는 제6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감정 버튼은 기쁨 버튼, 놀람 버튼, 슬픔 버튼, 두려움 버튼, 화남 버튼, 무표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6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에 대하여 복수개의 감정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검사점수는 제6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한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6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검사점수가 제6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a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0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b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6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0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c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6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가 무엇인지를 복수개의 감정 버튼(1003 내지 1008)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d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버튼(1003 내지 1008) 중 슬픔 버튼(1005)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e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f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6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009)를 보면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복수개의 감정 버튼(1003 내지 1008)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1003 내지 1008)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버튼(1003 내지 100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까지의 시간 카운트 결과 값이 제1 처리부(152)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0g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및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7-1 검사 프로세스 및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7-1 제한시간(예를 들어, 300초) 내에 시작이라고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고 제시된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7-1 지시문에 대응하여 시작이라고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고 제시된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가 정답이 되기까지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7-1 제한 시간 내에 오류없이 과제를 수행한 시간을 제7-1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오류없이 과제를 수행한 시간이 짧을수록 집행 기능이 더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7-1 제한 시간 5번 틀리면 제7-1 검사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7-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7-2 제한시간 내에 제시된 숫자들과 요일들 중에서 임의의 숫자와, 임의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번갈아 선택하라는 제7-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7-2 지시문에 대응하여 임의의 숫자와, 임의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번갈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가 정답이 되기까지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7-2 제한 시간 내에 오류없이 과제를 수행한 시간을 제7-2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오류없이 과제를 수행한 시간이 짧을수록 집행 기능이 더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7-2 제한 시간 내에 5번 틀리면 제7-2 검사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7-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7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 각각을 집행기능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의 합산 결과가 제7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집행기능이 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집행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u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a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1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설명보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b 내지 도 11f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보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b 내지 도 11d는 한꺼번에 일괄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11b에서 화면에 임의의 숫자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1b에서 화면에 임의의 숫자들 중 어느 한 숫자에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중 마지막 숫자에는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c 내지 도 11f에서 시작이라고 쓰여진 숫자 1을 선택하고, 다음 숫자들을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1c 내지 도 11f에서 손 이미지(1102)가 숫자 1, 2, 3을 순서대로 터치하면, 터치가 완료된 숫자는 색상이 변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가 완료된 숫자끼리는 선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1g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7-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103)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h는 제7-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h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숫자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1 연습 지시문과, 임의의 숫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숫자들 중 첫 번째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중 마지막으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i는 최초 1회 연습 오답 시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11j는 2회 이상의 연습 연속 오답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i 및 도 11j에서는 숫자를 다시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k는 어떠한 숫자도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k에서는 숫자를 선택하고 검사를 시작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l은 숫자를 하나 이상 선택한 후, 다음 숫자를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l에서는 다음 순서의 숫자를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m은 제7-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검사시작 버튼(1104)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n은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카운트다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n에서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시작 전에, 3, 2, 1, 시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o 및 도 11p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o 및 도 11p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숫자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1 지시문과, 임의의 숫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숫자들 중 첫 번째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중 마지막으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p의 화면에서 터치가 완료된 숫자는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도 11p의 화면에서 터치가 완료된 숫자끼리는 선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1o 및 도 11p로부터 사용자는 경과 시간이 카운트되는 프로그래스 바(1105)를 보면서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q는 최초 1회 오답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11r은 2회 이상의 오답시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q 및 도 11r에서 잘못된 순서로 선택된 숫자는 다른 색상(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도 11q 및 도 11r에서 숫자를 다시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지시문이 출력되는 상황에서도 경과 시간은 계속 카운트될 수 있다.
도 11s는 어떠한 숫자도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s에서는 숫자를 선택하고 검사를 시작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t은 숫자를 하나 이상 선택한 후, 다음 숫자를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t에서는 다음 순서의 숫자를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u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내지 도 12n은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a는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21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설명보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c는 제7-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보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b 및 도 12c는 한꺼번에 일괄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12b에서 화면에 임의의 숫자들과 임의의 요일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2b에서 숫자와 요일을 번갈아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숫자들 중 어느 한 숫자에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중 마지막 숫자에는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c에서 시작이라고 쓰여진 숫자 1을 선택하고, 요일의 시작인 월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c에서 손 이미지(1202)가 숫자 1, 월, 2, 화, 3을 순서대로 터치하면, 터치가 완료된 숫자 및 요일은 색상이 변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가 완료된 숫자와 요일끼리는 선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2d는 제7-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7-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203)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2e는 제7-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e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숫자와 요일을 번갈아 선택하라는 제7-2 연습 지시문과, 임의의 숫자들과 임의의 요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숫자들 중 첫 번째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중 마지막으로 선택해야 할 숫자 또는 요일에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2e에 도시된 임의의 숫자들과 임의의 요일들을 보면서 숫자와 요일을 번갈아 선택하여 연습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f는 제7-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검사시작 버튼(1204)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g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카운트다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g에서는 제7-2 검사 프로세스 시작 전에, 3, 2, 1, 시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h 및 도 12i는 제7-2 검사 프로세스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h 및 도 12i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숫자와 요일을 번갈아가면서 선택하라는 제7-2 지시문과, 임의의 숫자들 및 임의의 요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숫자들 중 첫 번째로 선택해야 할 숫자에는 시작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들 및 임의의 요일들 중 마지막으로 선택해야 할 숫자 또는 요일에는 끝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i의 화면에서 터치가 완료된 숫자 또는 요일은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도 12i의 화면에서 터치가 완료된 숫자 및 요일끼리는 선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2h 및 도 12i로부터 사용자는 경과 시간이 카운트되는 프로그래스 바(1205)를 보면서 숫자 및 요일을 번갈아 선택할 수 있다.
도 12j는 최초 1회 오답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12k는 2회 이상의 오답시 시에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j 및 도 12k에서는 숫자 및 요일 중 하나 이상을 다시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지시문이 출력되는 상황에서도 경과 시간은 계속 카운트될 수 있다.
도 12l는 어떠한 숫자도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l에서는 숫자를 선택하고 검사를 시작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m은 숫자 또는 요일을 하나 이상 선택한 후, 다음 숫자 또는 요일을 선택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을 경과함에 따라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m에서는 다음 순서의 숫자 또는 요일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n은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 프로세스 및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1 대상체에 대한 이름 및 제1 대상체에 대한 모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1 대상체의 각각에 대한 크기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8-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8-1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8-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1 검사점수는 제8-1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2 대상체에 대한 모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2 대상체의 각각에 대한 무게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8-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8-2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8-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8-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2 검사점수는 제8-2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점수 및 제8-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8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8-1 검사점수 및 제8-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8-1 검사점수 및 제8-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검사점수가 제8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의미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의미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제8-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13f 내지 도 13i는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a는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301)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8-1 검사 프로세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b는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3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c는 제8-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8-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303)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크기 순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수정 버튼(1304)을 입력하여 재 선택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1305)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d는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3e는 제8-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f는 제8-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g는 제8-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8-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306)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h는 제8-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8-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307)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무게 순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수정 버튼(1308)을 입력하여 재 선택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1309)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i는 제8-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9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화면에 임의의 한 메인 이미지 및 메인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메인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서브 이미지를 보면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라는 제9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9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검사점수는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9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검사점수가 제9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가 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9 검사점수가 제9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가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g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a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4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설명보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b는 설명보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b에서는 짧은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검사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c는 제9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검사시작 버튼(1402)이 입력되면 제9 검사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4d 내지 도 14f는 제9 검사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d에는 화면에 임의의 한 메인 이미지와, 메인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e에는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메인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서브 이미지와, 질문을 하겠다는 지시문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f에는 복수개의 서브 이미지와, 질문과, 질문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는 답변 버튼(예를 들어, 예 버튼(1403) 및 아니오 버튼(1404))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서브 이미지를 보면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답변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4g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을 도시하고,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하라는 제10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0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검사점수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설명보기 화면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고,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색상 구분 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색상 구분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j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5a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5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b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5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c는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0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503)를 보면서,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형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d는 도 15c에 도시된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한 도형이 정답인 경우 정답 기호 및/또는 정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정답임을 출력하고, 선택한 도형이 오답인 경우 오답 기호 및/또는 오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오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e는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
도 15f는 제10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g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504)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h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0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505)를 보면서,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형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i는 도 15h에 도시된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한 도형이 정답인 경우 정답 기호 및/또는 정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정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도형이 오답인 경우 오답 기호 및/또는 오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오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j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검사 결과 출력을 위해 대기를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의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2 처리부(153)는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2 검사항목 및 제4 검사항목을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6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8 검사항목을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10 검사항목을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1 검사항목과, 제3 검사항목과, 제5 검사항목 및 제7 검사항목을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의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 실행이 완료되면, 제3 처리부(154)는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처리부(154)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이 평가되면, 사용자에게 경도 인지 장애 가능성이 있음을 출력하는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평가 프로세스는 제1 평가 프로세스 내지 제5 평가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2 검사점수 및 제4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2 검사항목에 대한 제2 검사점수를 제2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검사점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기준점수는 제2 Z-스코어가 제2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2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비교결과는 제1-1 비교결과 및 제1-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비교결과는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2 비교결과는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비교결과는 제1-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4 검사항목에 대한 제4 검사점수를 제4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2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검사점수는 시각도식 기억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기준점수는 제4 Z-스코어가 제4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4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비교결과는 제2-1 비교결과 및 제2-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비교결과는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2-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지각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2-2 비교결과는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2-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지각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비교결과는 제2-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1 비교결과 및 제2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기억력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6 검사점수 및 제8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6 검사항목에 대한 제6 검사점수를 제6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3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 검사점수는 얼굴 감정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기준점수는 제6 Z-스코어가 제6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6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비교결과는 제3-1 비교결과 및 제3-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3-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3-2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3-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비교결과는 제3-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9 검사항목에 대한 제9 검사점수를 제9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9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4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9 검사점수는 마음 이론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기준점수는 제9 Z-스코어가 제9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9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비교결과는 제4-1 비교결과 및 제4-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비교결과는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4-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4-2 비교결과는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4-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비교결과는 제4-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3 비교결과 및 제4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사회인지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8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8 검사항목에 대한 제8 검사점수를 제8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5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8 검사점수는 크기 무게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기준점수는 제8 Z-스코어가 제8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8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비교결과는 제5-1 비교결과 및 제5-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5-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의미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5-2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5-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의미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비교결과는 제5-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10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10 검사항목에 대한 제10 검사점수를 제10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6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0 검사점수는 색상 지각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기준점수는 제10 Z-스코어가 제10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10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비교결과는 제6-1 비교결과 및 제6-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6-1 비교결과는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6-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색상 구분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6-2 비교결과는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6-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색상 구분 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비교결과는 제6-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1 검사점수와, 제3 검사점수와, 제5 검사점수 및 제7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1 검사항목에 대한 제1 검사점수를 제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7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검사점수는 유창성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기준점수는 제1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1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비교결과는 제7-1 비교결과 및 제7-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7-1 비교결과는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7-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유창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7-2 비교결과는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7-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유창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비교결과는 제7-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3 검사항목에 대한 제3 검사점수를 제3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8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검사점수는 기호 숫자 맞추기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기준점수는 제3 Z-스코어가 제3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3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비교결과는 제8-1 비교결과 및 제8-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8-1 비교결과는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8-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억제 기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8-2 비교결과는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8-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억제 기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비교결과는 제8-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5 검사항목에 대한 제5 검사점수를 제5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9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 검사점수는 스트룹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기준점수는 제5 Z-스코어가 제5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5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비교결과는 제9-1 비교결과 및 제9-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9-1 비교결과는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9-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9-2 비교결과는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9-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비교결과는 제9-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7 검사항목에 대한 제7 검사점수를 제7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0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7 검사점수는 기호 잇기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기준점수는 제7 Z-스코어가 제7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7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비교결과는 제10-1 비교결과 및 제10-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1 비교결과는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0-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적 억제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0-2 비교결과는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0-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적 억제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비교결과는 제10-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54)는 제7 비교결과와, 제8 비교결과와, 제9 비교결과 및 제10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주의집행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전송부(155)는 감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감별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진료자(예를 들어 의사)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장치(100)는 프로세서(170)와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데이터베이스(140), 검사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가 수행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검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17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연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40)로 구축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자기 저장 매체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8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검사 장치(100)가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프로세서(170)에서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S171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1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검사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8에는 검사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S171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를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1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 또는 그림을 학습하고 학습한 단어 또는 그림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2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제시한 기호 이미지를 보고 제시한 기호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를 기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3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3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이미지를 학습하고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제4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4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4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 및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5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5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6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5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세기를 알아차리는지 평가하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6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7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6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제시한 숫자를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와, 숫자들과 요일들을 제시하고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7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7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8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7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 및 무게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8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8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8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9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8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임의의 이미지와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질문에 대한 정반응수의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9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S1710-1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9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도형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10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7로 돌아와서, S172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2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카테고리 분류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9에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S172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검사항목 및 제4 검사항목을 기억력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S172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6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사회인지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S172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8 검사항목을 언어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S172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0 검사항목을 지각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S172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검사항목과, 제3 검사항목과, 제5 검사항목 및 제7 검사항목을 주의집행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7로 돌아와서, S173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3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평가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0에는 평가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S173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2 검사항목에 대한 제2 검사점수를 제2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4 검사항목에 대한 제4 검사점수를 제4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2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비교결과 및 제2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기억력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기억력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 시에,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에서 제2 검사항목 및/또는 제4 검사항목만을 이용함으로써,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전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리소스 및 프로세싱 속도와 비교하여, 더 적은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하고 더 높은 프로세싱 속도로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S173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6 검사항목에 대한 제6 검사점수를 제6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3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9 검사항목에 대한 제9 검사점수를 제9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4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비교결과 및 제4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사회인지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사회인지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 시에,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에서 제6 검사항목 및/또는 제9 검사항목만을 이용함으로써,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전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리소스 및 프로세싱 속도와 비교하여, 더 적은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하고 더 높은 프로세싱 속도로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S173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8 검사항목에 대한 제8 검사점수를 제8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5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5 비교결과가 생성됨에 따라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언어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언어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 시에,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에서 제8 검사항목만을 이용함으로써,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전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리소스 및 프로세싱 속도와 비교하여, 더 적은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하고 더 높은 프로세싱 속도로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S173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5 검사항목에 대한 제5 검사점수를 제5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6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6 비교결과가 생성됨에 따라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지각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지각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 시에,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에서 제10 검사항목만을 이용함으로써,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전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리소스 및 프로세싱 속도와 비교하여, 더 적은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하고 더 높은 프로세싱 속도로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S173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1 검사항목에 대한 제1 검사점수를 제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7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3 검사항목에 대한 제3 검사점수를 제3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8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5 검사항목에 대한 제5 검사점수를 제5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9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7 검사항목에 대한 제7 검사점수를 제7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0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7 비교결과와, 제8 비교결과와, 제9 비교결과 및 제10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주의집행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주의집행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 시에,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에서 제1 검사항목, 제3 검사항목, 제5 검사항목 및/또는 제7 검사항목만을 이용함으로써, 제1 검사항목 내지 제11 검사항목 전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리소스 및 프로세싱 속도와 비교하여, 더 적은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하고 더 높은 프로세싱 속도로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검사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네트워크

Claims (16)

  1.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 및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상기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단계는,
    임의의 이미지와 상기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질문에 대한 정반응수의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9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는,
    제시한 기호 이미지를 보고 상기 제시한 기호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를 기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3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사단계는,
    화면의 중앙에 임의의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임의의 기호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를 제3 제한시간 내에 선택하라는 제3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3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임의의 기호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임의의 숫자에 대한 선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숫자에 대한 선택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3 검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3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이미지로 제공하고, 상기 제3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알아차리는지 평가하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6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검사단계는,
    감정이 표현되어 있는 상기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와, 상기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가 무엇인지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감정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상기 복수개의 감정 버튼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라는 제6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상태를 상기 복수개의 감정 버튼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6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상기 제6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는,
    기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제시한 숫자를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와, 숫자들과 요일들을 제시하고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7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7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검사단계는,
    제7-1 검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7-1 검사단계는,
    제7-1 제한시간 내에 시작이라고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고 제시된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1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7-1 지시문에 대응하여 시작이라고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고 제시된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숫자들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선택한 결과가 정답이되기까지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7-1 검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검사단계는,
    상기 제7-1 검사단계의 실행이 완료되고 실행되는 제7-2 검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7-2 검사단계는,
    제7-2 제한시간 내에 제시된 숫자들과 요일들 중에서 임의의 숫자와, 상기 임의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번갈아 선택하라는 제7-2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7-2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임의의 숫자와, 상기 임의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번갈아 선택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일을 번갈아 선택한 결과가 정답이 되기까지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7-1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7-1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상기 제7-1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2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7-2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상기 제7-2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9 검사단계는,
    임의의 한 메인 이미지를 제시하면서 상기 메인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상기 메인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서브 이미지를 보면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라는 제9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9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의 선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의 선택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9 검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9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9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 및 이미지로 제공하고, 상기 제9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상기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임의의 이미지와 상기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나레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나레이션의 제공이 완료된 후 질문에 대한 정반응수의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황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KR1020230054778A 2022-05-02 2023-04-26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261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70952.8A EP4272643A1 (en) 2022-05-02 2023-05-02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JP2023076368A JP2023165416A (ja) 2022-05-02 2023-05-02 認知機能低下を評価するための検査方法及び装置
US18/142,174 US20230346298A1 (en) 2022-05-02 2023-05-02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CN202310486774.9A CN116982930A (zh) 2022-05-02 2023-05-04 用于评估认知功能下降的测试方法及装置
KR1020230191737A KR20240007634A (ko) 2022-05-02 2023-12-26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4152 2022-05-02
KR1020220054152 2022-05-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737A Division KR20240007634A (ko) 2022-05-02 2023-12-26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752A KR20230154752A (ko) 2023-11-09
KR102619699B1 true KR102619699B1 (ko) 2024-01-02

Family

ID=88748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57A KR102606336B1 (ko) 2022-05-02 2022-07-29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20230054778A KR102619699B1 (ko) 2022-05-02 2023-04-26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57A KR102606336B1 (ko) 2022-05-02 2022-07-29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63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KR101914736B1 (ko) * 2017-10-13 2018-11-06 대한민국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93B1 (ko) * 2011-03-22 2013-1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규준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KR20180109529A (ko) 2017-03-28 2018-10-08 (주)지아이시그널 치매 진단 장치 및 방법과 어플리케이션
KR102225320B1 (ko) * 2018-11-30 2021-03-09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KR102301143B1 (ko) * 2019-11-21 2021-10-14 주식회사 에임메드 맞춤형 인지 기능 검사 및 재활 훈련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KR101914736B1 (ko) * 2017-10-13 2018-11-06 대한민국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752A (ko) 2023-11-09
KR20230154726A (ko) 2023-11-09
KR102606336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btah Machine learning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 behavioral research: A review and ways forward
Sutton Measuring the effects of self-awareness: Construction of the self-awareness outcomes questionnaire
Hodges The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CAFAS)
Kim et al. Application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with Korean emerging adults.
Festekjian et al. I see me the way you see me: The influence of race o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leadership perceptions
Wilmer et al. Capturing specific abilities as a window into human individuality: The example of face recognition
US10733543B2 (en) Human resource analytics with profile data
CN110570941B (zh) 一种基于文本语义向量模型评估心理状态的系统和装置
Wall et al. Left, right, and gender: Exploring interaction traces to mitigate human biases
Grice et al. Observation-oriented modeling: going beyond “Is it all a matter of chance”?
Burke et al. Using SWPBS expectations as a screening tool to predict behavioral risk in middle school
Rummel et al. Assessing the validity of multinomial models using extraneous variables: An application to prospective memory
US8821232B2 (en) Platform apparatus for serious game
Jamshed et al. Social dominance, sexual double standards, and violence against women in tight and loose cultures
KR102619699B1 (ko)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Yamamoto et al. From high school to postsecondary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Predicting outcomes for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R20240007634A (ko)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Clarke et al. Looking our limitations in the eye: A tutorial for writing about research limitations in psychology
CN116982930A (zh) 用于评估认知功能下降的测试方法及装置
Kaiser Counting what counts: Epidemiologic measurement and generating meaningful findings
EP4272642A1 (en)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CN112669182A (zh) 主观试题内容的评分方法以及装置
Wang et al. Continuous error timing in automation: the peak-end effect on human-automation trust
Bonner et al. A substantive process analysis of responses to items from the Multistate Bar Examination
Beard The Role of Social Context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