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320B1 -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320B1
KR102225320B1 KR1020180152084A KR20180152084A KR102225320B1 KR 102225320 B1 KR102225320 B1 KR 102225320B1 KR 1020180152084 A KR1020180152084 A KR 1020180152084A KR 20180152084 A KR20180152084 A KR 20180152084A KR 102225320 B1 KR102225320 B1 KR 10222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ore
content
cognit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529A (ko
Inventor
윤형보
인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5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각 인지 영역을 균일하게 훈련시킬 수 있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사용자의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에 대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출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응답시간, 총 문제 수, 정답 수, 난이도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및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은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지속됨에 따라 치매 및 인지 저하와 같은 뇌 질환을 앓는 환자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치매의 경우, 치매가 진행된 후에는 치료 반응의 한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치매 고위험군(잠재적 치매환자)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예측하는 것은 치매로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지속적인 관리를 수월하게 해 줄 수 있다. 치매를 예측하기 위한 기존 인지지능검사는 치매 및 기타 인지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검사 비용이 높은 PET, fMRI와 같은 영상 검사 전 선별검사 도구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척도 형태의 MMSE-K 등의 간이 정신상태검사 도구는 현재 치매 위험군 선별검사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치매는 주관적, 객관적 인지 저하와 더불어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유의한 손상이 동반될 때 진단되나, 현재 인지 선별 검사에서 치매 고위험군의 미세한 인지 변화 시그널을 포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인지 상태 검사 도구는 척도 형태로 존재하며, 수기로 작성하는 도구로 검사 과정, 검사 결과에 대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검사자에 따라 진단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인지 상태 검사는 오프라인상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용자의 인지상태변화를 고려하기 어렵다. 그리고 인지 상태 검사는 물론이고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지 훈련을 돕는 것도 시스템화하여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장애를 완화하고 지연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4003호(2018.03.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089호(2018.04.23.)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지 영역을 균일하게 훈련시킬 수 있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에 대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출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응답시간, 총 문제 수, 정답 수, 난이도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및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는 다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점수를 계산하고,
콘텐츠 점수 = [정답 수 * 정답 수 * (ln(난이도)+1) * (ln(난이도)+1)] / (응답시간 * 100 * 0.01) * (총 문제 수)
여기서, ln은 자연로그함수이고, 난이도는 자연수(n=1,2,3, ……)이며, 응답시간의 단위는 초(s) 일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부는 계산된 콘텐츠 점수를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인지 영역의 관여 비율로 할당하여,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인지 영역의 점수와, 각 인지 영역 별 기준 점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는 사용자의 정답 수에 따라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는 최초 1회에는 기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다음 회차부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에게 부족한 인지 영역의 정보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은 문제 제출부가 사용자의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에 대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획득하는 응답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점수 산출부가 응답시간, 총 문제 수, 정답 수, 난이도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콘텐츠 추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에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다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점수 산출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점수를 계산하고,
콘텐츠 점수 = [정답 수 * 정답 수 * (ln(난이도)+1) * (ln(난이도)+1)] / (응답시간 * 100 * 0.01) * (총 문제 수)
여기서, ln은 자연로그함수이고, 난이도는 자연수(n=1,2,3, ……)이며, 응답시간의 단위는 초(s) 일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점수 산출부는 계산된 콘텐츠 점수를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인지 영역의 관여 비율로 할당하여,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는 사용자의 정답 수에 따라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추천 단계에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에게 부족한 인지 영역의 정보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은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다수의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여 각각의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하고,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인지 영역과 관련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인지 영역을 균일하게 훈련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문제 제출부에서 제공하는 각 콘텐츠 별 해당 인지 영역 및 관여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를 캡쳐한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문제 제출부에서 제공하는 각 콘텐츠 별 해당 인지 영역 및 관여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문제 제출부(130), 저장부(140), 점수 산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1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100)에서 측정하는 사용자의 인지 영역은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공간 지각력의 7가지 항목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게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테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의 디스플레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액정 화면, PC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게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다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별 문항(또는 문제) 및 결과(또는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의 키패드, 가상 키패드 또는 마우스 등의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다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각 콘텐츠 별 문항에 대한 답을 제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130)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하나의 콘텐츠는 다수의 인지 영역에 대한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인지 영역 별 관여 비율이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130)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문항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문제 제출부(130)는 사용자의 정답 수에 따라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숫자 메모리 팡팡’이라는 제1콘텐츠는 기억력이 주된 테스트 영역이며, 기억력뿐만 아니라 처리속도 및 주의집중력에 대한 테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콘텐츠에 대한 문항을 풀 때는 기억력과 처리속도 및 주의집중력을 요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콘텐츠에서 각 인지 영역에 대한 관여도는 기억력 100, 처리속도 40, 주의 집중력 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록달록 OX’라는 제2콘텐츠는 주의집중력이 주된 테스트 영역이며, 주의집중력뿐만 아니라 처리속도 및 문제 해결력에 대한 테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콘텐츠에 대한 문항을 풀 때는 주의집중력과 처리속도 및 문제 해결력을 요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콘텐츠에서 각 인지 영역에 대한 관여도는 주의집중력 100, 처리속도 60, 문제 해결력 3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문제 제출부(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도 2에 정리하였다. 도 2에서는 문제 제출부(130)가 14가지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콘텐츠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 제출부(13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필요에 따라 수정되어, 문항의 내용, 해당 인지 영역 및 관여도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제출한 답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점수 산출부(150)로부터 산출된 점수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테스트 결과를 누적되게 저장되어, 사용자가 부족한 인지 영역이 무엇인지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저장부(140)에는 각 인지 영역의 기준 점수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점수 산출부(150)는 상기 문제 제출부(140)에서 제공하는 각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 대한 사용자의 답을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의 점수 및 각 콘텐츠에 관여된 인지 영역의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점수 산출부(150)는 하기 수식 1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점수를 구할 수 있다.
콘텐츠 점수 = [정답 수 * 정답 수 * (ln(난이도)+1) * (ln(난이도)+1)] / (응답시간 * 100 * 0.01) * (총 문제 수)
여기서, ln은 자연로그함수이고, 난이도는 자연수(n=1,2,3,…) 이며, 응답시간은 초(S) 단위이다. 또한, 총 문제 수는 정답 수와 오답 수 및 무 응답 수를 모두 합한 수이다. 더불어, 점수를 산출할 때 난이도의 변동 계수 값이 정답 수에 의한 변동 계수 값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즉, 난이도에 따라서 점수 편차가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수식 1에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은 자연로그함수(ln)를 통해 조정하였다. 또한, 수식 1에서 응답시간에 100을 곱하고 다시 0.01을 곱한 이유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응답하는 시간은 0.01초 단위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콘텐츠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하였고, 총 문제 수 20문제, 정답 수 15문제, 난이도 2, 응답시간이 100초라면, 상기 점수 산출부(150)는 상기 수식1을 사용하여 제1콘텐츠의 점수를 15*15*(ln(2)+1)*(ln(2)+1)/100*20= 129점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점수 산출부(150)에서 산출한 콘텐츠 점수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점수 산출부(150)는 해당 콘텐츠의 점수를 각 인지 영역의 관여 비율로 할당하여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점수 산출부(150)는 하기 수식2를 통해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구할 수 있다.
인지 영역 점수 = 콘텐츠 점수*(해당 인지 영역 비율/관여된 인지 영역의 비율 합)
예를 들어, 상기 수식1에 의해 계산된 제1콘텐츠의 점수가 100점이고, 도 2를 참조하여, 제1콘텐츠가 포함하는 인지 영역이 기억력 100, 처리속도 40, 주의집중력 50 이므로, 상기 점수 산출부(150)는 기억력이 100점*(100/190)=52.6점, 처리속도가 100점*(40/190)=21점, 주의집중력이 100점*(50/190)=26.3점인 것으로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점수 산출부(150)에서 산출한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점수 산출부(15)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인지 영역 별 점수를 확인하여, 다음에 제공할 콘텐츠의 목록을 선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인지 영역을 위주로 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인지 영역 별 점수 중 상대적으로 공간 지각력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도 2를 참조하여, 공간 지각력이 주요 테스트 영역인 제9콘텐츠, 제11콘텐츠 및 제14콘텐츠를 추천하여 사용자가 공간 지각력에 대한 학습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 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천하여, 해당 인지 영역의 학습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문제 제출부(130)는 제어부(160)가 추천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를 캡쳐한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은 콘텐츠 제공 단계(S1), 응답 획득 단계(S2), 점수 산출 단계(S3) 및 콘텐츠 추천 단계(S4)를 포함한다.
먼저, 콘텐츠 제공 단계(S1)는 문제 제출부(130)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제출부(130)는 다수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문제 제출부(130)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콘텐츠의 종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제출부(130)는 무료 사용자의 경우 기본 5가지의 콘텐츠만 제공하고, 유료 사용자의 경우 이 보다 많은 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콘텐츠는 기억력이 100으로 설정된 콘텐츠 1종, 언어력이 100으로 설정된 콘텐츠 1종, 주의집중력이 100으로 설정된 콘텐츠 2종 및 계산력이 100으로 설정된 콘텐츠 1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제 제출부(130)는 선택된 콘텐츠에 포함된 인지 영역과 관여 비율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제출부(130)는 사용자가 제1콘텐츠를 선택하면, 기억력 100, 처리 속도 40, 주의집중력 50 에 해당하는 능력을 요함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응답 획득 단계(S2)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해 문제 제출부(130)가 해당 문항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답을 입력부(120)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이다. 문제 제출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항에 대한 답을 입력한다. 저장부(14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저장된다.
점수 산출 단계(S3)에서, 점수 산출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을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의 점수 및 콘텐츠에 관여된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한다. 점수 산출부(150)는 총 문제 수, 정답 수, 응답 시간,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콘텐츠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수 산출부(150)는 상기 수식1을 통해 콘텐츠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점수 산출부(150)는 콘텐츠 점수로부터 관여된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점수 산출부(150)는 산출된 콘텐츠 점수를 관여된 인지 영역의 비율로 할당하여, 관여된 인지 영역의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천 단계(S4)는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문제 제출부에 명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초 1회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나, 2회부터는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부족한 인지 영역을 캐치하여 부족한 인지 영역을 학습하도록 해당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인지 영역, 즉,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공간 지각력에 대한 각각의 기준 점수는 상기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각 인지 영역의 점수에 따라 부족한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인지 영역을 고르게 훈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30: 문제 제출부
140: 저장부 150: 점수 산출부
160: 제어부

Claims (14)

  1. 사용자의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에 대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출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응답시간, 총 문제 수, 정답 수, 난이도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및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산출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점수를 계산하고,
    콘텐츠 점수 = [정답 수 * 정답 수 * (ln(난이도)+1) * (ln(난이도)+1)] / (응답시간 * 100 * 0.01) * (총 문제 수)
    여기서, ln은 자연로그함수이고, 난이도는 자연수(n=1,2,3, ……)이며, 응답시간의 단위는 초(s) 이고,
    하나의 콘텐츠는 관여 비율이 상이하게 적용된 다수의 인지 영역에 대한 테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산출부는 계산된 콘텐츠 점수를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인지 영역의 관여 비율로 할당하여,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다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인지 영역의 점수와, 각 인지 영역 별 기준 점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사용자의 정답 수에 따라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최초 1회에는 기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다음 회차부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에게 부족한 인지 영역의 정보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9. 문제 제출부가 사용자의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에 대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획득하는 응답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점수 산출부가 응답시간, 총 문제 수, 정답 수, 난이도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인지 영역 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한 인지 영역 별 점수를 각각의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보다 낮은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콘텐츠 추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점수 산출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점수를 계산하고,
    콘텐츠 점수 = [정답 수 * 정답 수 * (ln(난이도)+1) * (ln(난이도)+1)] / (응답시간 * 100 * 0.01) * (총 문제 수)
    여기서, ln은 자연로그함수이고, 난이도는 자연수(n=1,2,3, ……)이며, 응답시간의 단위는 초(s) 이고,
    하나의 콘텐츠는 관여 비율이 상이하게 적용된 다수의 인지 영역에 대한 테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산출부는 계산된 콘텐츠 점수를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인지 영역의 관여 비율로 할당하여, 각 인지 영역의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에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다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력, 계산력, 처리속도, 문제 해결력 및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사용자의 정답 수에 따라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 단계에서 상기 문제 제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에게 부족한 인지 영역의 정보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의 측정 방법.
KR1020180152084A 2018-11-30 2018-11-30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KR10222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84A KR102225320B1 (ko) 2018-11-30 2018-11-30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84A KR102225320B1 (ko) 2018-11-30 2018-11-30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529A KR20200065529A (ko) 2020-06-09
KR102225320B1 true KR102225320B1 (ko) 2021-03-09

Family

ID=7108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084A KR102225320B1 (ko) 2018-11-30 2018-11-30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316A (ko) * 2021-06-04 2022-12-13 플랜비포유 주식회사 신경심리검사 수행 결과 판독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30346297A1 (en) * 2022-05-02 2023-11-02 EMOCOG Co., Ltd.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KR102606336B1 (ko) * 2022-05-02 2023-11-29 주식회사 이모코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
US20230346298A1 (en) * 2022-05-02 2023-11-02 EMOCOG Co., Ltd.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79390A1 (en) 2015-03-12 2016-09-15 Akili Interactive Labs, Inc. Processo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529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320B1 (ko)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Villano et al. Linking early alert systems and student retention: a survival analysis approach
Guye et al. Do individual differences predict change in cognitive training performance? A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pproach
Pässler et al. Interests and intelligence: A meta-analysis
Chen et al. Using task-induced pupil diameter and blink rate to infer cognitive load
Akkermans et al. The role of career competencies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Boekaerts et al. Using multiple calibration indices in order to capture the complex picture of what affects students' accuracy of feeling of confidence
Roebers et al.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ve monitoring and control in second grader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KR101921888B1 (ko) 온라인 평가 기반 언어재활 훈련 방법
CN110389969A (zh) 提供定制的学习内容的系统和方法
Lallé et al. Prediction of users' learning curves for adaptation while using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arinelli et al. Mind the gap: Inconsistencies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financial risk tolerance
Uittenhove et al. From lab-testing to web-testing in cognitive research: Who you test is more important than how you test
US20190114939A1 (en) Situational Awareness Analysis and Fatigue Management System
Kamin et al. Subjective technology adaptivity predicts technology use in old age
Zebrowitz et al. Older and younger adults’ accuracy in discerning health and competence in older and younger faces.
Bradley et al. More than a meme: the Dunning-Kruger effect as an opportunity for positive change in nursing education
CN106063699A (zh) 一种基于眼动技术的医疗器械说明书可用性评估方法
Deserno et al. A magnifying glass for the study of coupled developmental changes: Combining psychological networks and latent growth models
Vonkova et al. Identifying the accuracy of and exaggeration in self-reports of ICT knowledge among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The use of the overclaiming technique
Chua et al. Building metamemorial knowledge over time: insights from eye tracking about the bases of feeling-of-knowing and confidence judgments
Mihăescu Classification of learners using linear regression
Sergis et al. An analysis of open learner models for supporting learning analytics
Marley-Payne et al. Financial education, mathematical confidence, and financial behavior
Bailey et al. The weight of advice in older 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