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762A -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762A
KR20120110762A KR1020110028839A KR20110028839A KR20120110762A KR 20120110762 A KR20120110762 A KR 20120110762A KR 1020110028839 A KR1020110028839 A KR 1020110028839A KR 20110028839 A KR20110028839 A KR 20110028839A KR 20120110762 A KR20120110762 A KR 2012011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impairment
online
evalu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818B1 (ko
Inventor
이인희
전효찬
서석태
김윤년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본 발명은 인지기능 장애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기반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지기능은 일상 생활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는 환자로 하여금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한 활동수행이 가능한지 또는 사회생활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를 위한 기술로는 KCNT(Korea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NT(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3D 가상현실 인지기능 장애평가 프로그램, Internet based Cognitive stability index 기술 등이 있다.
상기한 KCNT는 자극의 제시와 반응과정을 표준화한 것으로, 검사-재검사의 객관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른 영향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컴퓨터 자판에 대한 경험도가 반응시간에 영향을 받으므로, 손 조작 능력(hand dexterity)에 의해 결과가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CNT 검사는 언어성 기억력 평가, 시공간 기억력 평가, 주의력 기능 평가, 시각운동 협응기능 평가(Visuo-motor coordination), 고위 인지기능 검사(Visuo-motor cognitive capacity test)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CNT는 국소적 진단능력이 뛰어난 신경심리검사를 전산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인지 기능장애를 정확하게 진단가능하며, 검사 실시 조건의 통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피검사자가 마우스를 조작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난이도가 너무 높아 다수 뇌손상 환자에서 비정상적 소견이 나타나며, 검사 수행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3D 가상현실 인지기능 장애평가 프로그램은 실생활과 검사환경의 차이를 최소화한 것으로, 신체적 장애에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나, 사이버 시크니스(cyber sickness)에 의해 또는 일시적으로 지남력 장애 판단이 정확하지 않으며, 지하철 이용의 경험자만을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자의 개입이 지속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Cognitive stability index는 알츠하이머(Alzheimer), ADHD와 가벼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인지기능 검사로서 타당한 장점이 있으나, 인터넷 제공 속도나 IBM PC와 Mac PC 등 컴퓨터 사양에 따른 웹 브라우저의 속도차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반응시간을 측정함에 따라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는 검사 또는 재검사시의 객관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하며, 검사자의 참여를 최소화하여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 정보 교류 및 통신 가능,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여야 할 것이 요구되었다.
더구나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은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이 필요하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하게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여, 관리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 구조도.
도 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여, 관리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하게 한다.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은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02)로 구성된다.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104N)와 연결되어 통신을 이행하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관리자 모드 또는 사용자 모드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에 대한 구성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함은 물론이며, 문제관리, 그림관리, 주제관리, 사용자 관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이행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한다. 그리고 사용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에 대응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를 제공하여 안내함과 아울러,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제공받아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장애평가정보는, 40-32점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평가하고, 31-25점인 경우에는 가벼운 인지기능 장애로 평가하고, 24점 이하인 경우에는 인지기능 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제는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실행력, 언어기능으로 나뉘며, 상기 지남력은 시간, 공간, 사람을 인지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상기 집중력은 주의력 산만, 충동성, 시각적 산만한 가운데 질의에 응답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상기 기억력은 정보를 습득 보유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실행력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언어기능은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인지는 우리의 환경에서 행동하고 알아가는 과정으로서, 과거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존재의식을 향상시키며,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되는 일련의 복합적인 사고과정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인지기능은 일상생활 환경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인지기능의 장애는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도 수행과 사회 생활에 매우 큰 걸림돌이 된다. 상기한 인지기능은 집중과 기억의 기본적인 영역이 있고, 그 상위 수준으로는 기획, 체계화, 문제해결 및 추상화 등이 포함되며 감각, 언어 및 시-지각 정보의 통합능력이 그 기초를 이루어고 있다. 인지기능은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과 같은 하위 인지기능과 하위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상위 인지기능인 관리기능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지기능의 주요 영역인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실행력과 언어를 구사하는 언어기능을 측정하여 인지기능 장애를 판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위해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Web My SQL 5.0.67, PHP 5.2.6, Xpress engine, training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와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풀이 이력정보 및 채점결과, 채점결과에 따르는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 컴퓨터 조작 능력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관리자에 의해 구성된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정보 및 정답정보를 저장한다.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이제 상기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에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104N) 중 어느 하나가 접속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여 로그인을 안내한다.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이 수행되면(200,202단계),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관리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사용자 모드로 진입한다(204단계).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6에 도시한 관리자 모드에서의 기본창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관리자에 의해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기 위한 문제정보 및 정답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206단계).
또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관리자 요청에 따라 문제관리, 그림관리, 주제관리, 사용자관리 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따라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처리를 이행하고, 그 처리결과를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안내한다(206단계). 여기서, 상기 문제관리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제의 유형, 제한 시간 등에 대한 상세정보의 설정, 수정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림관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그림에 대한 수정, 추가, 삭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주제관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별 문제 구성, 주제의 수정, 추가 삭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관리는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풀이이력정보 및 채점결과, 채점결과에 따르는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5에 도시한 주제 선택 안내화면을 제공한다(208단계). 상기 주제 선택 안내화면을 토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주제를 선택하면(210단계),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선택된 주제에 대응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답정보를 수신받아 정답정보와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210단계).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는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장애여부를 판별하며, 사용자에 의한 컴퓨터 조작능력 및 시험횟수 등에 따라 상기 기준 점수를 변경하여, 인지기능 장애평가의 신뢰도를 높인다.
상기 종류별 문제정보 출력화면은 도 10 내지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다. 도 10 및 도 11은 지남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내에 표시된 그림에 관련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4는 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에 해당되는 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7 및 도 18은 실행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내에 삽입된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작업 순서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단순 연산을 이행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그리고 도 16은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수의 이미지를 뷰잉한 후에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이전에 뷰잉하였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정해둔 시간내에 그림 또는 텍스트의 문제들을 표시하고,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선택하도록 하여,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에 대한 채점결과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온라인을 통한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문제 풀이 시간을 사용자에 의한 컴퓨터 조작 능력 및 시험 횟수 등에 따라 변경하여, 인지기능 장애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한 후에,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100 :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
102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에 대한 관리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따라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정보에 대한 처리를 이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며,
    상기 기준 점수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문제풀이시간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6.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 및 정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에 대한 관리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따라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정보에 대한 처리를 이행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며,
    상기 기준 점수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문제풀이시간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028839A 2011-03-30 2011-03-30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4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39A KR101244818B1 (ko) 2011-03-30 2011-03-30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39A KR101244818B1 (ko) 2011-03-30 2011-03-30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762A true KR20120110762A (ko) 2012-10-10
KR101244818B1 KR101244818B1 (ko) 2013-03-18

Family

ID=4728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839A KR101244818B1 (ko) 2011-03-30 2011-03-30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1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31B1 (ko) * 2013-05-14 2015-07-08 주식회사 넷블루 치매 인지 평가 장치
KR101684424B1 (ko) *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04637A1 (ko) * 2017-06-30 2019-01-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언어 기반의 게임 방법 및 장치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20200137104A (ko) * 2019-05-29 2020-1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앵글 개수 검출을 통해 인지 능력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7105A (ko) * 2019-05-29 2020-1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의 폐쇄성 판단을 통해 드로잉 테스트 결과물을 채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99031B1 (ko) * 2020-10-26 2021-09-07 김강무 인지 편향 및 의사결정 합리성 진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1261B1 (ko) * 2022-01-05 2022-08-10 주식회사 하이 테스트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매 식별 모델을 학습시키는 기법
CN117476208A (zh) * 2023-11-06 2024-01-30 无锡市惠山区人民医院 一种基于时间序列的医学影像的认知功能障碍智能辅助识别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KR102122545B1 (ko) * 2019-02-18 2020-06-12 주식회사 뉴로공간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52851B1 (ko) * 2019-05-30 2021-05-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검사용 그림의 자동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210009148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뉴로공간 정신 건강 관리 장치, 정신 건강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40078075A (ko) 2022-11-25 2024-06-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개인 맞춤형 인지기능검사 전산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399A (ko) * 2000-03-27 2002-12-11 팬메딕스 인코포레이티드 인지 손상에 대한 측정
KR20010068192A (ko) * 2000-05-26 2001-07-23 김현국 인터넷을 이용한 시력검사방법
US9564058B2 (en) * 2008-05-08 2017-02-07 Nike, Inc. Vision and cognition testing and/or training under stress condition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31B1 (ko) * 2013-05-14 2015-07-08 주식회사 넷블루 치매 인지 평가 장치
KR101684424B1 (ko) *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04637A1 (ko) * 2017-06-30 2019-01-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언어 기반의 게임 방법 및 장치
KR20190002927A (ko) * 2017-06-30 2019-01-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언어 기반의 게임 방법 및 장치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20200137104A (ko) * 2019-05-29 2020-1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앵글 개수 검출을 통해 인지 능력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7105A (ko) * 2019-05-29 2020-1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의 폐쇄성 판단을 통해 드로잉 테스트 결과물을 채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99031B1 (ko) * 2020-10-26 2021-09-07 김강무 인지 편향 및 의사결정 합리성 진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1261B1 (ko) * 2022-01-05 2022-08-10 주식회사 하이 테스트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매 식별 모델을 학습시키는 기법
US11862301B2 (en) 2022-01-05 2024-01-02 Haii Co, Ltd. Technique for training dementia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test result data
CN117476208A (zh) * 2023-11-06 2024-01-30 无锡市惠山区人民医院 一种基于时间序列的医学影像的认知功能障碍智能辅助识别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818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818B1 (ko)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56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ustained attention
Szulewski et al. The use of task-evoked pupillary response as an objective measure of cognitive load in novices and trained physicians: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expertise
Seidel et al. Modeling and measuring the structure of professional vision in preservice teachers
Blanch et al. Medical student gender and issues of confidence
Fleig-Palmer et al. Trus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and knowledge transfer
Lingiardi et al. Exploration of session process: Relationship to depth and alliance.
Zheng et al. Solving complex problems: A convergent approach to cognitive load measurement
AU2017272190A1 (en) Interactive and adaptive learning and neurocognitive disorder diagnosis systems using face tracking and emotion detection with associated methods
Cooper et al. Measuring situation awareness in emergency setting: a systematic review of tools and outcomes
Hardy et al. Physiological responses to events during training: Use of skin conductance to inform future adaptive learning systems
Kreuzmair et al. High numerates count icons and low numerates process large areas in pictographs: results of an eye‐tracking study
Menekse Dalveren et al. Insights from pupil size to mental workload of surgical residents: feasibility of an educational computer-based surgical simulation environment (ECE) considering the hand condition
Garner et al. The soul of supervision: Counselor spirituality
Shreffler et al.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impostor phenomenon in medical students and step 1 performance
Weidner et al. Using standardized patients to asses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graduating physicians for the comprehensive osteopathic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COMLEX) level 2-performance evaluation (level 2-PE)
Caves et al. The impact of high school exit exams on graduation rates and achievement
Barria-Pineda et al. A fine-grained open learner model for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Wu et al. Eye-movements reveal children’s deliberative thinking and predict performance on arithmetic word problems
Kok et al. Re‐viewing performance: Showing eye‐tracking data as feedback to improve performance monitoring in a complex visual task
Nyamathi et al. Computerized bioterrorism education and training for nurses on bioterrorism attack agents
Altieri et al. A decade of nursing leadership research
Avalos et al. The influential factors on nurses’ situation awareness in inpatient settings: A literature review
Liapis et al. Don’t leave me alone: Retrospective think aloud supported by real-time monitoring of participant’s physiology
Alastalo et al.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in skills evaluat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critical care nur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