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45B1 -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45B1
KR102122545B1 KR1020190045799A KR20190045799A KR102122545B1 KR 102122545 B1 KR102122545 B1 KR 102122545B1 KR 1020190045799 A KR1020190045799 A KR 1020190045799A KR 20190045799 A KR20190045799 A KR 20190045799A KR 102122545 B1 KR102122545 B1 KR 10212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icons
memory
screen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영
윤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공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공간
Priority to JP201909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561361B1/ja
Priority to EP19916051.6A priority patent/EP3928844A4/en
Priority to PCT/KR2019/013720 priority patent/WO20201713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45B1/ko
Priority to US17/404,971 priority patent/US1191890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79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keeping something hidden or invisible
    • A63F2011/0081"Memory"-type games, e.g. finding the corresponding hidde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83Memory oriented or pattern match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부,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아이콘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부, 및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문화와 스마트폰에 특화된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점차 기억해야 할 내용을 전자기기에 의존하게 되어 과거에 비해 기억력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소년기부터 노령화에 따른 기억력의 감퇴 속도를 늦출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의 기억력을 평가하고, 평가된 기억력을 기초로 훈련 단계를 결정하며, 결정된 훈련 단계에 해당하는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억력 향상 훈련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인지신경과학의 이론에 의하면 기억한 내용을 자주 인출하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과거의 경험을 인출함으로써 미래의 상상, 문제 해결, 및 창의성과 연결되며, 인간은 자신과 관련된 자전적 기억을 더 잘 기억한다.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자전적 기억 회상은 해마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되며, 자신의 경험을 인출함으로써 기억의 왜곡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10584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자전적 기억 회상을 통한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테스트와 피드백 및 재시도를 통한 메타 인지 기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부,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아이콘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부, 및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부를 구비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제1 아이콘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는,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와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면 제공부는 상기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증강 장치는,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기억 점수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소속되는 특정 집단의 평균치 및 상기 특정 집단 또는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평균치/통계치 산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화면 제공부는,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기억 점수 표시부, 상기 특정 집단의 평균치를 표시하기 위한 평균치 표시부, 및 상기 특정 집단 또는 상기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표시하기 위한 통계치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화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한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도록 제안하는 재시도 제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 단계,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 단계를 구비하는, 기억력 증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억력 증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적 기억 회상을 통한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와 피드백 및 재시도를 통한 메타 인지 기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입력 화면 제공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입력 화면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입력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는, 로그인 화면 제공부(110), 아이콘 저장부(120), 입력 화면 제공부(130),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150), 기억 점수 산출부(160), 및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로 구성된다.
기억력 증강 장치(100)는 프로세서(CPU)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통한 앱으로 제공되며(예를 들어, 스마트폰 내에서), 로그인 화면 제공부(110)는 이러한 앱에 사용자가 로그인하기 위한 로그인 화면을 제공한다.
아이콘 저장부(120)는 사전에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아이콘은 미팅, 스포츠, 영화 관람, 업무 등의 활동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며, 제2 아이콘은 각각의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 성취도, 또는 기분(이하, 만족도로 칭함)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일반적인 아이콘, 이모티콘, 및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1 아이콘 또는 제2 아이콘으로 이미지를 사용하면,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손상된 기억으로부터 올바른 기억을 인출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입력 화면 제공부(130)는,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아이콘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을 선택(132)하고, 선택한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선택(133)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활동한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아이콘을 선택한 후, 해당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예를 들어, 다섯 단계의 레벨 중에서 선택한다. 만족도의 레벨은 다섯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적게 또는 더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더불어 간단한 메모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는 메모 입력 시에 입력된 메모를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함께 저장한다.
이 경우, 메모 대신(또는 함께) 이미지(사진)를 저장할 수도 있다. 현대인의 감성을 고려하면 텍스트보다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이미지 또는 각각의 활동에 관련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텍스트를 사용한 메모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150)는,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활동 인출 테스트를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고 나서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실시하는 것은, 인간은 잠을 잠으로써 기억을 공고화시킬 수 있기에 사용자가 기억의 공고화를 위한 시간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밤 12시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는, 예를 들어, 익일 새벽 4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로그인하면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적어도 4시간) 동안 수면을 취한다는 것이 중요하므로, 당일일지라도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포함된다면(예를 들어, 새벽 1시경에 아이콘을 선택하고 수 시간의 수면을 취한다고 가정하면, 시간대에 따라서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이러한 경우도 익일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익일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는 일종의 일기 쓰기와 일기에 근거한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두뇌의 광범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인지신경과학적 이론에 따르면, 기억한 내용을 자주 인출하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정보를 인출하는 방법 중 하나가 테스트이다.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틀리는지를 확인하게 되면 메타 기억까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인출 테스트는 사용자의 경험과 감정에 대한 기억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뿐만 아니라, 재도전을 통한 피드백으로 메타 인지 능력과 기억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는, 활동 내용과 순서, 정서 별로 일연의 내용을 연결시켜 기억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고난이도의 기억력을 발휘하도록 시스템화되어 있다.
기억 점수 산출부(160)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즉,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해당하는 날에 사용자가 수행한 활동과 각각의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사용자 자신이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 및 그 순서를 기억해 내서 선택하는 것이므로 이 둘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기억력이 좋으므로 높은 기억 점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날이란, 익일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자정 12시를 기점으로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고 난 후를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전을 포함한다.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는, 기억 점수 산출부(160)가 산출한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복수의 제1 아이콘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함께 저장한다. 기억 점수 산출부(160)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와 선택 아이콘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입력 화면 제공부(13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화면 제공부(130)는 아이콘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131)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15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150)는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1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억력 증강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 점수 산출부(160)가 산출한 기억 점수를 토대로 사용자가 소속되는 특정 집단의 평균치 및 특정 집단 또는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평균치/통계치 산출부(162)를 더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는, 기억 점수 산출부(160)가 산출한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기억 점수 표시부(171), 특정 집단의 평균치를 표시하기 위한 평균치 표시부(172), 및 특정 집단 또는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표시하기 위한 통계치 표시부(1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는, 사용자에게 활동 인출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도록 제안하는 재시도 제안부(174)를 더 포함한다. 재시도 제안부(174)는, 예를 들어 기억 점수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 재시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억 점수가 좋지 않거나 테스트를 다시 수행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재시도 제안부(174)를 통해 테스트를 다시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부(151)는 활동 인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1단계 테스트에서는,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9개의 보기 아이콘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했던(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활동 아이콘을 찾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한다. 2단계 테스트에서는,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20개의 보기 아이콘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했던(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활동 아이콘을 찾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아이콘 표시부(151)는, 활동 인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 이외에, 도 1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특정 도형의 형태로 아이콘을 숨기고, 사용자가 아이콘 위치를 클릭해서 열어 해당 위치의 아이콘을 기억했다가 순서대로 입력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부(151)는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부(151)는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입력 화면 제공부(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방법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 단계(S510),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 단계(S520), 사용자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S530),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S540),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S610),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 단계(S620),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S630),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 단계(S640), 및 기억 점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한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 단계(S7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방법은, 프로세서(CPU)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통한 앱으로 구현된다(예를 들어, 스마트폰 내에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아이콘은 미팅, 스포츠, 영화 관람, 업무 등의 활동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며, 제2 아이콘은 각각의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 성취도, 또는 기분(이하, 만족도로 칭함)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일반적인 아이콘, 이모티콘, 및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1 아이콘 또는 제2 아이콘으로 이미지를 사용하면,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손상된 기억으로부터 올바른 기억을 인출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입력 화면 제공 단계(S520)는,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활동한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아이콘을 선택한 후, 해당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예를 들어, 다섯 단계의 레벨 중에서 선택한다. 만족도의 레벨은 다섯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적게 또는 더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S540)는, 사용자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더불어 간단한 메모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S540)는 메모 입력 시에 입력된 메모를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함께 저장한다.
이 경우, 메모 대신(또는 함께) 이미지(사진)을 저장할 수도 있다. 현대인의 감성을 고려하면 텍스트보다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이미지 또는 각각의 활동에 관련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텍스트를 사용한 메모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 단계(S620)는,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제1 테스트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활동 인출 테스트를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고 나서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실시하는 것은, 인간은 잠을 잠으로써 기억을 공고화시킬 수 있기에 사용자가 기억의 공고화를 위한 시간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밤 12시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는, 예를 들어, 익일 새벽 4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로그인하면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적어도 4시간) 동안 수면을 취한다는 것이 중요하므로, 당일일지라도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포함된다면(예를 들어, 새벽 1시경에 아이콘을 선택하고 수 시간의 수면을 취한다고 가정하면, 시간대에 따라서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이러한 경우도 익일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익일은 입력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방법은 일종의 일기 쓰기와 일기에 근거한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두뇌의 광범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인지신경과학적 이론에 따르면, 기억한 내용을 자주 인출하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정보를 인출하는 방법 중 하나가 테스트이다.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틀리는지를 확인하게 되면 메타 기억까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인출 테스트는 사용자의 경험(활동)과 감정(만족도)에 대한 기억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기억 점수 산출 단계(S640)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S630),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즉, 입력 화면에서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해당하는 날에 사용자가 수행한 활동과 각각의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사용자 자신이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 및 그 순서를 기억해 내서 선택하는 것이므로 이 둘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기억력이 좋으므로 높은 기억 점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날이란, 익일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자정 12시를 기점으로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고 난 후를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전을 포함한다.
피드백 화면 제공 단계(S710)는, 기억 점수 산출 단계(S640)에서 산출한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제1 아이콘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함께 저장한다. 기억 점수 산출 단계(S640)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와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방법은, 사용자에게 활동 인출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도록 제안하는 재시도 제안 단계(S72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기억 점수가 좋지 않거나 테스트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재시도 제안 단계(S720)를 통해 테스트를 다시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활동 인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1단계 테스트(S620)에서는,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9개의 보기 아이콘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했던(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활동 아이콘을 찾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한다. 2단계 테스트(S650)에서는,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20개의 보기 아이콘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했던(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활동 아이콘을 찾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한다.
기억 점수 산출 단계(S670)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S660),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입력 화면에서 선택했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활동 인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 이외에, 도 1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특정 도형의 형태로 아이콘을 숨기고, 사용자가 아이콘 위치를 클릭해서 열어 해당 위치의 아이콘을 기억했다가 순서대로 입력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입력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피드백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증강 장치(100)의 입력 화면 제공부가 제공하는 입력 화면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800)의 앱 형태로 제공되어, 타이틀 영역(810), 텍스트 영역(820), 및 아이콘 영역(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이틀 영역(810)은, 예를 들어, 일기쓰기, 활동 내용 등 표시된 화면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텍스트 영역(820)은 아이콘 영역(830)을 텍스트 형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활동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다.
아이콘 영역(830)은 아이콘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 중 소정의 개수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총 9개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스크롤 기능을 지원하거나 복수의 페이지에 걸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아이콘 영역(830)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나서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아이콘 영역(830)에서 영화관람(910) 아이콘을 선택하여 5단계의 만족도 아이콘(920) 중에서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메모 영역(930)에는 선택한 아이콘(910, 920)에 대한 간단한 메모나 힌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화면에서 만족도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또는 다음(940)을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추가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추가 화면에서는, 입력 영역(1010)에는 도 8과 도 9에서 입력한 아이콘(910, 920)과 해당하는 활동에 대한 메모 또는 힌트가 표시되고, 추가 영역(1020)에서 +기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계속해서 활동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1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의 일례로, 아이콘 영역(1120)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했던 아이콘을 기억해내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입력 영역(1110)에 차례로 입력된다. 입력이 완료된 후 다음(1130)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했던 아이콘과 일치하는지 여부가 표시하거나, 선택한 각각의 아이콘에 대한 만족도를 기억해내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는 만족도 별로 각 만족도에 해당하는 활동 아이콘을 기억해내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1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에서는 총 9개의 아이콘을 표시해서 그 중에서 사용자가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했던 아이콘을 기억해내 선택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의 일례로, 도 11에 도시된 1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과 달리, 총 20개의 아이콘을 표시해서 그 중에서 사용자가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했던 아이콘을 기억해내 선택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3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의 일례로, 특정 패턴의 아이콘 영역(1310)을 아이콘이 할당되지 않은 영역(1320)과 아이콘이 할당된 영역(1330)으로 나눠서, 사용자가 전날 또는 그 이전에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했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영역(1330)에 할당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어떤 위치에 어떤 아이콘이 할당되어 있는지 사용자는 알 수 없으며, 영역(1330)의 각각의 아이콘 할당 위치를 모두 터치 또는 클릭해서 아이콘의 위치를 기억해 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3단계 활동 인출 테스트에서는 숨겨진 아이콘의 위치도 기억 내용에 포함시켜 보다 복잡한 기억에 대한 기억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특정 패턴을 변경하거나, 아이콘이 할당되는 영역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아이콘이 할당된 영역의 각 위치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복잡한 기억에 대한 기억력을 증강시킬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화면의 일례로, 테스트를 실시한 날짜(1410), 절대 점수(1420), 절대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상대 점수(1430), 반응 시간(1440) 등을 표시한다. 피드백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속하는 특정 집단의 통계치를 스크롤 기능을 통하거나 복수의 페이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일기 형식으로 그날 수행한 활동과 해당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여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입력한 활동과 만족도를 기억해 내는 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기억력 증강 장치를 실시예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스케줄러의 기능을 통해 미래의 일정을 입력한 후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입력한 일정을 기억해 내는 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스케줄러의 기능을 통해 미래의 일정을 입력하고 해당일에 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하는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한 후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입력한 일정과 만족도를 기억해 내는 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적 기억 회상을 통한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와 피드백 및 재시도를 통한 메타 인지 기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억력 증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억력 증강 장치 110: 로그인 화면 제공부
120: 아이콘 저장부 130: 입력 화면 제공부
140: 선택 아이콘 저장부 150: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
160: 기억 점수 산출부 170: 피드백 화면 제공부

Claims (12)

  1.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부;
    활동 내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아이콘 저장부;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부; 및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부
    를 구비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제1 아이콘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는,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와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선택 순서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면 제공부는 상기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기억 점수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소속되는 특정 집단의 평균치 및 상기 특정 집단 또는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평균치/통계치 산출부를 더 구비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화면 제공부는,
    상기 기억 점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기억 점수 표시부,
    상기 특정 집단의 평균치를 표시하기 위한 평균치 표시부, 및
    상기 특정 집단 또는 상기 전체 집단의 통계치를 표시하기 위한 통계치 표시부
    를 포함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화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한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도록 제안하는 재시도 제안부를 더 포함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한 테스트의 단계 별로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의 개수를 다르게 표시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소정의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기억력 증강 장치.
  11.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 제공 단계;
    활동 내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아이콘 저장 단계;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아이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아이콘 및 복수의 제2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저장하는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했던 사용자가 익일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로그인하면,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선택했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 제공 단계;
    상기 활동 인출 테스트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과 상기 선택 아이콘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억 점수를 산출하는 기억 점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기억 점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기억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화면을 제공하는 피드백 화면 제공 단계
    를 구비하는,
    기억력 증강 방법.
  12. 제11항에 기재된 기억력 증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45799A 2019-02-18 2019-04-19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2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1792A JP6561361B1 (ja) 2019-02-18 2019-05-15 記憶力増強装置、記憶力増強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9916051.6A EP3928844A4 (en) 2019-02-18 2019-10-18 MEMORY AUGMENTATION APPARATUS, MEMORY AUGMENT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PCT/KR2019/013720 WO2020171337A1 (ko) 2019-02-18 2019-10-18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7/404,971 US11918903B2 (en) 2019-02-18 2021-08-17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nhancing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83 2019-02-18
KR20190018683 2019-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45B1 true KR102122545B1 (ko) 2020-06-12

Family

ID=7108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799A KR102122545B1 (ko) 2019-02-18 2019-04-19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8903B2 (ko)
EP (1) EP3928844A4 (ko)
KR (1) KR102122545B1 (ko)
WO (1) WO20201713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25A1 (ko) * 2019-07-16 2021-01-21 주식회사 뉴로공간 정신 건강 관리 장치, 정신 건강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0A (ja) * 2000-02-08 2001-08-14 Ntt Comware Corp 記憶力診断方法および記憶力診断装置
KR100532225B1 (ko)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30010584A (ko) 2011-07-19 2013-01-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억력 향상 훈련 방법 및 기억력 향상 훈련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44818B1 (ko) * 2011-03-30 2013-03-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7182173A (ja) * 2016-03-28 2017-10-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用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877A (en) * 1977-01-31 1978-09-19 Goldfarb Adolph E Memory skill game
US5855513A (en) * 1996-08-26 1999-01-05 Tiger Electronics, Ltd. Electronic matching and position game
US6588756B1 (en) * 1998-11-20 2003-07-08 Kimberly D. Hughes Playing card system for teaching musical notation
US6641402B2 (en) * 2002-03-05 2003-11-04 David Bogg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memory
US7631872B2 (en) * 2003-09-15 2009-12-15 Bally Gaming, Inc. Method for playing a matching game
US20120021811A1 (en) * 2010-07-26 2012-01-26 Mattel, Inc. Sequence memory games
US20120258436A1 (en) * 2011-04-08 2012-10-1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Automated assessment of cognitive, fine-motor, and memory skills
CN104064061B (zh) * 2014-05-09 2016-05-25 山东建筑大学 植物空间视觉记忆训练装置
WO2016004396A1 (en) * 2014-07-02 2016-01-07 Christopher Decharms Technologies for brain exercise training
EP3517160B1 (en) * 2016-09-26 2021-11-10 The Asan Found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memory training through brain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0A (ja) * 2000-02-08 2001-08-14 Ntt Comware Corp 記憶力診断方法および記憶力診断装置
KR100532225B1 (ko)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장치 및 방법
KR101244818B1 (ko) * 2011-03-30 2013-03-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0584A (ko) 2011-07-19 2013-01-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억력 향상 훈련 방법 및 기억력 향상 훈련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JP2017182173A (ja) * 2016-03-28 2017-10-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用表示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25A1 (ko) * 2019-07-16 2021-01-21 주식회사 뉴로공간 정신 건강 관리 장치, 정신 건강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8844A1 (en) 2021-12-29
US11918903B2 (en) 2024-03-05
US20210370173A1 (en) 2021-12-02
WO2020171337A1 (ko) 2020-08-27
EP3928844A4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506B2 (en)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Ashbrook Enabling mobile microinteractions
US9807559B2 (en) Leveraging user signals for improved interactions with digital personal assistant
CN103930860B (zh) 用于触摸屏移动设备的快速数据输入通道
US10712908B2 (en) Career history exercise data visualization
US20160063874A1 (en) Emotionally intelligent systems
US20180353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activity
US10365806B2 (en) Keyword-based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CN108829457A (zh) 应用程序预测模型更新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04602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cheduling activities modelled from activities of third parties
US20180014755A1 (en) Portable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parameter related to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KR20220034123A (ko)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된 데이터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70616A1 (en) Career history exercise with "flower" visualization
KR102122545B1 (ko) 기억력 증강 장치, 기억력 증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40272898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mpound answers to survey questions
US20150199171A1 (en) Handwritt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667296B1 (en) Generating a password from a media item
JP2010054792A (ja) 学習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561361B1 (ja) 記憶力増強装置、記憶力増強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741594A (zh) 一种信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756759A (zh) 一种弹幕信息推荐方法和装置
JP7282444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US113977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enhancement of hippocampal replay
JPH11232277A (ja) 情報共有支援方法および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76368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ability testing through selectiv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