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103B1 -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103B1
KR102271103B1 KR1020180173253A KR20180173253A KR102271103B1 KR 102271103 B1 KR102271103 B1 KR 102271103B1 KR 1020180173253 A KR1020180173253 A KR 1020180173253A KR 20180173253 A KR20180173253 A KR 20180173253A KR 102271103 B1 KR102271103 B1 KR 10227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oom
experiencer
selection
person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558A (ko
Inventor
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to KR102018017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1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공간에 1단계 내지 n단계의 선택방과 최종방으로 구분되는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체험자가 상기 선택방에서 단계별로 이동할 때마다 2개의 출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n단계 선택방의 각 출구마다 서로 다른 최종방으로 이어지는 미로공간; 상기 1단계 내지 n단계의 각 선택방에 대응하는 AR 배경 콘텐츠, 각 선택방의 출구에 대응하는 AR 선택지 콘텐츠 및 상기 최종방에 대응하는 AR 감상 콘텐츠를 포함한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매칭시켜 송출하는 콘텐츠 서버; 및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기기로서, 체험자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송출하는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맞추어 카메라 뷰잉화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상황별 선택 결과를 통해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어느 최종방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Personality diagnosis system using multi-maze space and selective AR content}
본 발명은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구획영역이 미로처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멀티 미로공간 내에서 체험자가 AR 콘텐츠를 체험하고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성향과 적성을 흥미롭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인간 행동의 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046269도 개인의 심리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성격 유형 검사 방법 중 칼융(Carl G, Jung)의 심리 유형론을 기반으로 고안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가 대표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MBTI 검사는 다수의 질문지를 통해 4가지 척도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향을 분석한다. MBTI의 선호지표는 에너지의 방향에 따른 E(외향)/I(내향), 인식기능에 따른 S(감각)/N(직관), 판단기능에 따른 T(사고)/F(감정) 및 생활양식에 따른 J(판단)/P(인식)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이 구분된다.
이러한 성격 유형 검사는 성향별 인간 행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어, 교육, 광고, 직업 선택, 작업 배치 등 인간 심리의 영향을 받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등록특허 10-1712591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등록특허 10-1819965 "자원 협업을 위한 MBTI 기반 IoT 환경 자원 추천 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
다만 위와 같은 성격 유형 검사의 효용성은 그 검사 결과의 객관성과 정확성에 기반을 둘 수 밖에 없는데, 질문지가 많고 복잡하여 검사 참여자가 지루함을 느끼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무성의한 태도로 검사에 임함으로써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10-2018-0000013은 위와 같은 문제 의식에 기초하여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다만 선호경향을 선택하는 선택의 방, 선택의 결과에 따라 최종 성격유형별로 구성된 방, 성격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가상현실 콘텐츠 등이 어떠한 체계로 활용되고 시스템화되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 발명으로 구체화되지 않은 아이디어 단계에 머물러 있다.
1. 등록특허 10-1046269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2. 등록특허 10-1712591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3. 등록특허 10-1819965 "자원 협업을 위한 MBTI 기반 IoT 환경 자원 추천 시스템" 4. 공개특허 10-2018-0000013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
본 발명은 MBTI 등 성격 유형 분석을 위한 질문 상황을 멀티 미로공간에서 AR 콘텐츠 선택 결과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을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체험자가 멀티 미로공간과 AR 콘텐츠를 재미있게 체험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성격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성격 유형 분석 및 관련 산업의 저변이 널리 확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공간에 1단계 내지 n단계의 선택방과 최종방으로 구분되는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체험자가 상기 선택방에서 단계별로 이동할 때마다 2개의 출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n단계 선택방의 각 출구마다 서로 다른 최종방으로 이어지는 미로공간; 상기 1단계 내지 n단계의 각 선택방에 대응하는 AR 배경 콘텐츠, 각 선택방의 출구에 대응하는 AR 선택지 콘텐츠 및 상기 최종방에 대응하는 AR 감상 콘텐츠를 포함한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매칭시켜 송출하는 콘텐츠 서버; 및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기기로서, 체험자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송출하는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맞추어 카메라 뷰잉화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상황별 선택 결과를 통해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어느 최종방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제1군(E/I분류 콘텐츠(E:Extraversion,외향성/ I:Introcersion,내향성)), 제2군(S/N분류 콘텐츠(S:Sensing,감각형/ N:Intultion,직관형)), 제3군(T/F분류 콘텐츠(T:Thinking,사고형/ F:Feeling,감정형)) 및 제4군(J/P분류 콘텐츠(J:Judging,판단형/ P:Perceiving,인식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의 선택 결과에 따른 세부 성향 분석 데이터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무선통신망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m명의 체험자가 1군을 이루는 경우, 모든 체험자의 각 모바일 기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중개를 통해 상기 1군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기 1군 체험자 중 1인의 모바일 기기는 해당 모바일 기기 체험자와 타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m-1)가지 성격 비교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해 재미있는 멀티 미로공간 및 AR 콘텐츠 체험에 의해 자연스럽게 성격 유형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누구에게나 지루함이나 어려움 없이 정확한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구현을 위해 구성된 멀티 미로공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AR 선택지 콘텐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MBTI를 기반으로한 2분법적 성격 분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한 분석 과정을 세분화하거나 단순화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사람의 성격 인자 중 에너지의 방향을 외향(e)과 내향(i)의 대응 선호지표로 구분하기 위해 5가지 상황에서 2개의 선택지가 주어지는 상황을 재현한 콘텐츠 군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 구현을 위해 구성된 멀티 미로공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에 MBTI를 적용하는 경우에 재생되는 성격 유형별 AR 감상 콘텐츠 16가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공간에 1단계 내지 n단계의 선택방과 최종방으로 구분되는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체험자가 상기 선택방에서 단계별로 이동할 때마다 2개의 출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n단계 선택방의 각 출구마다 서로 다른 최종방으로 이어지는 미로공간; 상기 1단계 내지 n단계의 각 선택방에 대응하는 AR 배경 콘텐츠, 각 선택방의 출구에 대응하는 AR 선택지 콘텐츠 및 상기 최종방에 대응하는 AR 감상 콘텐츠를 포함한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매칭시켜 송출하는 콘텐츠 서버; 및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기기로서, 체험자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송출하는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맞추어 카메라 뷰잉화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상황별 선택 결과를 통해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어느 최종방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 미로공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방과 최종방으로 구성된 다수의 구획공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택방은 1단계 내지 n단계로 구분되어, 각 단계별로 이동할 때마다 2개의 출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선택방은 1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구는 다음 단계 선택방의 입구가 되는 것이다. 상기 최종방은 n단계의 선택방과 이어지는 1개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더 이상의 선택 상황 제시 없이 단지 체험자의 퇴실을 위한 출구만을 마련해 둘 수 있다.
통상적인 미로공간은 1개의 입구와 1개의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로 들어간 체험자가 출구를 찾아 나가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것인 반이다. 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 미로공간은 다수의 구획공간이 구획되어 있되, 각 구획공간(즉, 선택방)에서 출구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최종방에 이르도록 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도록 하면서 체험자의 성격이 분석되도록 한 것이므로 통상적인 미로공간과는 차별된다.
상기 콘텐츠 서버와 모바일 기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중앙처리부, 메모리부 등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콘텐츠 서버에는 여러 대의 모바일 기기가 동시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AR(Augmented Reality) 콘텐츠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R 콘텐츠는 상기 1단계 내지 n단계의 각 선택방에 대응하는 AR 배경 콘텐츠, 각 선택방의 출구에 대응하는 AR 선택지 콘텐츠 및 상기 최종방에 대응하는 AR 감상 콘텐츠로 구분된다.
상기 AR 배경 콘텐츠는 각 선택방의 컨셉을 나타내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다음 단계의 구획영역(다음 단계 선택방 또는 최종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구 선택을 위한 설문지를 이미지화시킨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선택방과 상기 선택방과 대응되는 AR 배경 콘텐츠를 바다로 구성한 경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다를 건너야 하는 상황에서 타고 싶은 이동 수단을 A(호화로운 요트)와 B(대형 거북이) 중에서 택일해야 하는 상황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상황별 선택 결과를 통해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체험자가 선택을 반복하여 특정 최종방에 이르렀을 때 상기 최종방에서는 그 최종방을 선택한 체험자의 성향에 따라 AR 감상 콘텐츠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AR 감상 콘텐츠는 체험자의 선택 결과에 따른 맞춤 콘텐츠인 것이다.
상기 "사람의 성격 인자"는 에너지의 방향, 인식기능, 판단기능, 생활양식 등 "사람의 성격을 분류하는 관점"을 의미하는 것이고,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라는 것은 외향성/내향성, 감각적/직관적 등과 같이 "대립적으로 양분될 수 있는 특징"을 의미한다. 사람의 성격 인자 마다 2가지 선호지표를 상정하는 것이다.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2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현된 4개 군(群)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선택지 중 어떠한 것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체험자 선호지표의 우열이 가려진다. 본 발명 시스템에 MBTI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하기 4군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제1군 : E/I분류 콘텐츠(E:Extraversion,외향성/ I:Introcersion,내향성)
- 제2군 : S/N분류 콘텐츠(S:Sensing,감각형/ N:Intultion,직관형)
- 제3군 : T/F분류 콘텐츠(T:Thinking,사고형/ F:Feeling,감정형)
- 제4군 : J/P분류 콘텐츠(J:Judging,판단형/ P:Perceiving,인식형)
아래 [표 1]은 상기 제1군 내지 제4군의 성격인자별 선호지표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표 1]
Figure 112018132118425-pat00001
또한,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군(群) 마다 (2x+1)가지 상황마다 2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x가 0,1,2,3…이므로 상기 각 군(群)별로 1,3,5,7,…가지의 상황 속에서 주어진 2개의 선택지 중 한가지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주어지는 상황의 가지 수를 홀수로 하여 선호지표의 우열을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멀티 미로공간의 선택방 역시 4단계까지 구성하되, 각 단계마다 체험자가 (2x+1)가지의 선택방을 거치며 각 체험자별로 선호지표가 파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MBTI를 기반으로한 2분법적 성격 분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한 분석 과정을 세분화하거나 단순화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선택방 및 AR 콘텐츠를 통해 재현하는 상황이 많을수록 정확하고 자세한 분석이 가능하며 체험자의 흥미면에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나, 공간 점유, 상기 AR 콘텐츠 제작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기기로서,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테블릿 PC는 물론 안경형, 헬멧형 등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송출하는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맞추어 카메라 뷰잉화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상기 최종단계의 구획영역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시스템의 AR 선택지 콘텐츠가 MBTI를 구현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5]는 사람의 성격 인자 중 에너지의 방향을 외향(e)과 내향(i)의 대응 선호지표로 구분하기 위해 5가지 상황에서 2개의 선택지가 주어지는 상황을 재현한 콘텐츠 군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외향(e)을 지향하는 성향의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를 왼쪽 상단 방향의 화살표로, 내향(i)을 지향하는 성향의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를 오른쪽 상단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인데, 외향(e) 콘텐츠를 3회 이상 선택하는 경우(eee eeei eeeii)는 체험자의 선호지표를 외향으로 판정하고, 내향(i) 콘텐츠를 3회 이상 선택하는 경우(iii, iiie, iiiee)는 체험자의 선호지표를 내향으로 판정한다.
일부 체험자는 외향성과 내향성을 모두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분류를 위해 2분법적으로 나누는 것이며, 극단적인 예로 선택결과가 외향 51%, 내향 49% 로 나타나더라도 선호지표는 외향으로 판정한다.
[도 1] 및 [도 6]은 멀티 미로공간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인데, [도 1]은 상기 1단계 내지 3단계의 선택방이 각각 3가지의 선택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도 6]은 상기 1단계 내지 3단계의 선택방이 각각 5가지의 선택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6]모두 4단계 선택방은 1가지의 선택 상황만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시스템에 MBTI를 적용하는 경우, 각 상황별 선택 결과에 따라 도출된 사람의 성격 인자별 선호지표를 종합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은 16가지 중의 하나로 도출되며, 상기 멀티 미로공간의 최종방은 16가지의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성되고, AR 감상 콘텐츠 역시 각각의 최종방에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도 7]에 나타난 성격유형의 특징에 따른 AR 감상 콘텐츠에 관한 상세 내용의 예는 아래 [표 2] 내지 [표 5]에 정리된 바와 같다.
[표 2]
Figure 112018132118425-pat00002
[표 3]
Figure 112018132118425-pat00003
[표 4]
Figure 112018132118425-pat00004
[표 5]
Figure 112018132118425-pat00005
또한, m명의 체험자가 1군을 이루는 경우, 모든 체험자의 각 모바일 기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중개를 통해 상기 1군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기 1군 체험자 중 1인의 모바일 기기는 해당 모바일 기기 체험자와 타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m-1)가지 성격 비교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족이나 친구들이 1군의 체험자군을 이룰 수 있고, m명으로 이루어진 1군의 체험자들이 1단계 선택방에 함께 입장하더라도 AR 선택지 콘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선택을 하며 각자 상이한 최종방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체험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1군 체험자들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모두 취합하여 다시 상기 1군 체험자들의 각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1군의 체험자들이 각자의 성격과 타인의 성격을 함께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들은 각각 당해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거나 착용한 체험자를 중심으로 (m-1)명의 타 체험자들과의 성격 비교 데이터 세트를 생성함으로써, 체험자가 타 체험자와 잘 맞는 점, 잘 맞지 않는 점, 조심해야 할 점 등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없음

Claims (3)

  1. 일정 공간에 1단계 내지 n단계의 선택방과 최종방으로 구분되는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체험자가 상기 선택방에서 단계별로 이동할 때마다 2개의 출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n단계 선택방의 각 출구마다 서로 다른 최종방으로 이어지는 미로공간;
    상기 1단계 내지 n단계의 각 선택방에 대응하는 AR 배경 콘텐츠, 각 선택방의 출구에 대응하는 AR 선택지 콘텐츠 및 상기 최종방에 대응하는 AR 감상 콘텐츠를 포함한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매칭시켜 송출하는 콘텐츠 서버; 및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기기로서, 체험자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송출하는 AR 콘텐츠를 설정된 공간좌표에 맞추어 카메라 뷰잉화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상황별 선택 결과를 통해 사람의 성격 인자별로 대응하는 2가지 선호지표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체험자가 어느 최종방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대비되는 선호지표에 따라 분류된 하기 제1군 내지 제4군으로 구성되되,
    x를 0 이상의 정수라 할 때, 상기 AR 선택지 콘텐츠는 각 군 마다 (2x+1)가지 상황에서 2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각 군에서의 선호지표 선택 결과를 카운팅하여 선택 수가 많은 선호지표를 선별하여 세부 성향 분석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무선통신망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m명의 체험자가 1군을 이루는 경우,
    모든 체험자의 각 모바일 기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중개를 통해 상기 1군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기 1군 체험자 중 1인의 모바일 기기에서 해당 모바일 기기 체험자와 타 체험자의 성격 진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체험자와 타 체험자 사이에 잘 맞는 점, 잘 맞지 않는 점 및 조심해야 할 점을 포함한 (m-1)가지 성격 비교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 제1군 : E/I분류 콘텐츠(E:Extraversion,외향성/ I:Introcersion,내향성)
    - 제2군 : S/N분류 콘텐츠(S:Sensing,감각형/ N:Intultion,직관형)
    - 제3군 : T/F분류 콘텐츠(T:Thinking,사고형/ F:Feeling,감정형)
    - 제4군 : J/P분류 콘텐츠(J:Judging,판단형/ P:Perceiving,인식형)
  2. 삭제
  3. 삭제
KR1020180173253A 2018-12-31 2018-12-31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KR10227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53A KR102271103B1 (ko) 2018-12-31 2018-12-31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53A KR102271103B1 (ko) 2018-12-31 2018-12-31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58A KR20200082558A (ko) 2020-07-08
KR102271103B1 true KR102271103B1 (ko) 2021-06-30

Family

ID=7160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53A KR102271103B1 (ko) 2018-12-31 2018-12-31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1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54B1 (ko)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형 미로에서의 출구찾기 방법 및 출구찾기 시스템
KR101860026B1 (ko) *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69B1 (ko)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53426A (ko) * 2012-10-25 2014-05-08 (주)휴노 3차원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712591B1 (ko) 2015-01-22 2017-03-06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70088279A (ko) * 2016-01-22 2017-08-01 박윤섭 성격 유형 분석을 이용한 친구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80000013A (ko) 2016-06-21 2018-01-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54B1 (ko)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형 미로에서의 출구찾기 방법 및 출구찾기 시스템
KR101860026B1 (ko) *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58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öllenburg Geographic visualization
US9959549B2 (en) Mental state analysis for norm generation
US20140200463A1 (en) Mental state well being monitoring
KR101860026B1 (ko)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AU2011265090A1 (en) Mental state analysis using web services
US1134069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evaluating images and other subjects
US20130218663A1 (en) Affect based political advertisement analysis
WO2014145228A1 (en) Mental state well being monitoring
Golebiowska et al. For your eyes only? Evaluating a coordinated and multiple views tool with a map, a parallel coordinated plot and a table using an eye-tracking approach
KR20160136055A (ko)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01622A (ko) Vr 체험 선택에 의한 성격 진단 시스템
US20130052621A1 (en) Mental state analysis of voters
KR102271103B1 (ko)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KR102463971B1 (ko) 직업기능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업기능 검사 방법
JP2016009342A (ja) 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装置、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方法及び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プログラム
CA25611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understanding using sociomapping
KR20150119673A (ko) 성격유형검사에 기반한 자리배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0658A (ko)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KR102640550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39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WO202322893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40558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83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KR102640566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KR102640554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