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658A -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658A
KR20210030658A KR1020190112059A KR20190112059A KR20210030658A KR 20210030658 A KR20210030658 A KR 20210030658A KR 1020190112059 A KR1020190112059 A KR 1020190112059A KR 20190112059 A KR20190112059 A KR 20190112059A KR 20210030658 A KR20210030658 A KR 2021003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ity
experiencer
index
propensity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632B1 (ko
Inventor
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to KR102019011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6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험자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속에서 롤플레잉(Role Playing) 게임을 하듯 여러 가지 설정 상황별로 제시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도록 하고, 체험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을 분석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VR 스토리 영상 진행에 따라 체험자에게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하는 영상 구동부;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는 설정부; 체험자의 선택 결과를 집계하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매체에 저장된,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Personality analysis program by VR role-playing game}
본 발명은 체험자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속에서 롤플레잉(Role Playing) 게임을 하듯 여러 가지 설정 상황별로 제시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도록 하고, 체험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을 분석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인간 행동의 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046269도 개인의 심리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성격 유형 검사 방법 중 칼융(Carl G, Jung)의 심리 유형론을 기반으로 고안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가 대표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MBTI 검사는 다수의 질문지를 통해 4가지 척도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향을 분석한다. MBTI의 선호지표는 에너지의 방향에 따른 E(외향)/I(내향), 인식기능에 따른 S(감각)/N(직관), 판단기능에 따른 T(사고)/F(감정) 및 생활양식에 따른 J(판단)/P(인식)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이 구분된다.
이러한 성격 유형 검사는 성향별 인간 행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어, 교육, 광고, 직업 선택, 작업 배치 등 인간 심리의 영향을 받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등록특허 10-1712591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등록특허 10-1819965 "자원 협업을 위한 MBTI 기반 IoT 환경 자원 추천 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
다만 위와 같은 성격 유형 검사의 효용성은 그 검사 결과의 객관성과 정확성에 기반을 둘 수 밖에 없는데, 질문지가 많고 복잡하여 검사 참여자가 지루함을 느끼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무성의한 태도로 검사에 임함으로써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10-2018-0000013은 위와 같은 문제 의식에 기초하여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다만 선호경향을 선택하는 선택의 방, 선택의 결과에 따라 최종 성격유형별로 구성된 방, 성격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가상현실 콘텐츠 등이 어떠한 체계로 활용되고 시스템화되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 발명으로 구체화되지 않은 아이디어 단계에 머물러 있다.
등록특허 10-1860026은 다수의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동하여 최종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의 성격유형을 판별토록 함으로써, 성격유형 검사에 참가하는 사용자의 검사의욕과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등록특허 10-1860026의 구현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멀티 미로영역의 구성과 성격유형 판단 방법에 제한이 있다,
1. 등록특허 10-1046269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2. 등록특허 10-1712591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3. 등록특허 10-1819965 "자원 협업을 위한 MBTI 기반 IoT 환경 자원 추천 시스템" 4. 공개특허 10-2018-0000013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 5. 등록특허 10-1860026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본 발명은 체험자가 가상 현실 공간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과 같이 주어진 설정 상황에서 자신의 주관적 선택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스토리 진행에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성격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성격 유형 분석 및 관련 산업의 저변이 널리 확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VR 스토리 영상 진행에 따라 체험자에게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하는 영상 구동부;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는 설정부; 체험자의 선택 결과를 집계하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매체에 저장된,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설정부는, MBTI 체계의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되,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이 입력된 사전 체험자 다수의 상기 설정 상황별 선택 결과 통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서,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집중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체험자의 선택 소요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체험자에 대한 성격 분석 결과와, 상기 체험자의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을 상기 설정부의 통계에 반영하여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재부여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 프로그램에 의해 아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재미있는 가상현실 체험에 의해 자연스럽게 성격 유형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누구에게나 지루함이나 어려움 없이 정확한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각종 전시공간이나 체험공간에 본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체험자에게 자신과 타인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발명 시스템의 운용자는 광고, 콘텐츠 판매, 체험서비스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연계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프로그램 구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VR 스토리 영상 진행에 따라 체험자에게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하는 영상 구동부;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는 설정부; 체험자의 선택 결과를 집계하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매체에 저장된,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이하 '본 발명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에 직·간접적으로 내장되는 바, 본 발명 프로그램이 직접 내장된 컴퓨터 장치 및 별도의 저장매체 모두 상기 "매체"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 프로그램은 본 발명 프로그램이 직·간접적으로 내장된 컴퓨터 장치 자체 또는 상기 컴퓨터 장치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타 컴퓨터 장치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컴퓨터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장치는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있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 프로그램의 각 구성부(영상 구동부, 설정부, 연산부 등)는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구동부는 VR 스토리 영상 진행에 따라 체험자에게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한다. 상기 VR 스토리 영상은 시간 또는 공간에 따라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VR 스토리 영상이 시간에 따라 재생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미리 마련된 VR 스토리 영상이 영화처럼 재생되되, 상기 설정 상황별 선택지가 제시될 때에는 상기 VR 스토리 영상의 진행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체험자의 선택지 선택 완료 후 다시 재생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체험자가 영화의 스토리 진행에 참여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VR 스토리 영상이 공간에 따라 재생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체험자가 가상 공간에서 이동하는 경로(시선의 이동 등)에 따라 VR 스토리 영상이 재생되며, 그 이동 경로 곳곳에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함으로써, 각 선택지의 선택을 완료하는 것을 미션으로 적용함으로써, 체험자가 VR 게임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R 스토리 영상은 전술한 시간 및 공간에 따른 재생이 혼합된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체험자의 체감 효과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체험자가 VR 스토리 영상에 시간 또는 공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통칭하여 롤플레잉 게임 방식이라 칭한다.
상기 설정부는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한다.
상기 지표 성향은 "외향성", "내향성", "이성적", "감성적"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체계의 지표 성향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MBTI 체계에서는 사람의 성격 인자를 에너지의 방향, 인식기능, 판단기능 및 생활양식의 관점에서 대응하는 2가지 성향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성격 인자별 지표 성향은 아래와 같은 4군으로 구성된다.
- 제1군(에너지의 방향) : E/I분류(E:Extraversion,외향성/ I:Introcersion,내향성)
- 제2군(인식기능) : S/N분류(S:Sensing,감각형/ N:Intultion,직관형)
- 제3군(판단기능) : T/F분류(T:Thinking,사고형/ F:Feeling,감정형)
- 제4군(생활양식) : J/P분류(J:Judging,판단형/ P:Perceiving,인식형)
즉, 상기 MBTI 체계의 지표 성향은 총 8개가 되며, (E,I), (S,N), (T,F), (J,P)가 짝을 이룬다.
아래 [표 1]은 상기 제1군 내지 제4군의 성격인자별 지표 성향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설정부가 MBTI 체계의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는 과정은 1) 상기 VR 스토리 영상의 설정 상황이 어떠한 성격인자에 관련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제시된 선택지별로 지표 성향을 매칭하는 과정으로 세분될 수 있다.
본 발명 프로그램에서 상기 설정부는 입력된 메뉴얼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미리 부여하지 않고,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이 입력된 사전 체험자 다수의 상기 설정 상황별 선택 결과 통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프로그램을 소비자(즉, 체험자 : 본 발명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는 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사전 체험자 다수의 설정 상황별 선택 결과 통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이 특정된다.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서면 검사) 결과값을 알고 있는 사전 체험자 다수의 설정 상황별 선택 결과에 따라 선택지별로 지표 성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VR 스토리 영상 내의 "설정 상황 1(선택지 1,2 제시)"에서 사전 체험자의 선택지별 선택이 다른 성격인자들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지만, 선택지 1에는 "E"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70% 이상 몰리고, 선택지 2에는 "I"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70% 이상 몰리는 경우 상기 선택지 1,2에는 지표 성향 E, I가 각각 부여된다.
한편,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서,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집중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상황 2(선택지 a, b 제시)"에서 사전 체험자의 선택지별 선택이 다른 성격인자들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지만, 선택지 a에는 "E"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60% 이상 몰리고, "S"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90% 이상 몰리며, 선택지 b에는 "I"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60% 이상 몰리고, "N"성향의 사전 체험자가 90% 이상 몰리는 경우 경우 상기 선택지 a, 에는 각각 지표 성향 (E,S) 및 (I, N)이 부여된다. 이 때, 선택지 a에 지표 성향이 E, S 두 가지가 되는데, 지표 성향의 집중도가 60%, 90%로 상이하므로 지표 성향 E의 가중치는 낮게, 지표 성향 S의 가중치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에서 상기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 기초하여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할 때에는 일반 통계 분석 솔루션을 적용하거나, 인공지능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 및 학습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체험자의 선택 결과를 집계하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아래 [표 2]는 n개의 설정 상황에서 양자 택일의 선택지가 주어짐에 따라, 상기 설정부에서 각 선택지에 부여된 지표 성향을 분류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체험자의 선택을 집계하여, 상기 MBTI 체계의 성격인자군 별 집계결과 비교에 따라 선택 회수가 많은 지표 성향을 추출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을 도출한 실시예이다.
[표 2]
Figure pat00002
위의 [표 2]에 대해 예를 들어 부연설명하면,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 따라 VR 스토리 영상 중 제1군 성격인자에 관련된 설정 상황이 10개이고, 상기 설정 상황에 주어진 선택지마다 지표 성향 E(외향성) 및 I(내향성)가 부여된 상태에서, 체험자가 지표 성향 E에 해당하는 선택지를 4개 선택하고, 지표 성향 I에 해당하는 선택지를 6개 선택한 경우, A=10, AE=4, AI=6 이고, AE<AI이므로, 체험자의 제1군 성격인자는 I(내향성)으로 판별된다.
또한, 상기 설정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집중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경우,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집중도에 따라 지표 성향에 가중치(Inten)를 부여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을 도출한 실시예이다. 상기 가중치(Inten)는 집중도 90%일 때 0.9, 70%일 때 0.7과 같이 부여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03
위의 [표 3]에 대해 예를 들어 부연설명하면, 체험자의 선택 결과는 [표 2]와 같은 상황에서, 각 선택지별 집중도와 지표 성향 선택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을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이 경우,
AE' = 1×0.9 + 1×0.8 + 1×0.8 + 1×0.9 = 3.4
AI' = 1×0.6 + 1×0.6+ 1×0.7 + 1×0.6 + 1×0.6 + 1×0.6 = 3.7 이고,
AE'<AI'이므로, 체험자의 제1군 성격인자는 I(내향성)으로 판별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아래 [표 5]와 같이, 상기 체험자의 선택 소요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설정 상황에서 선택지 선택 소요 시간이 짧을 수록 그 선택지에 부여된 지표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래 [표 6]과 같이 선택 소요 시간별 상수값(sec값)을 설정하여, 상기 상수값(sec값)이 성격 유형 분석 결과에 반영되도록 하는 연산식을 적용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6]
Figure pat00006
위의 [표 5]에 대해 예를 들어 부연설명하면, 체험자의 선택 결과와 각 선택지별 집중도는 [표 4]와 같은 상황에서, 각 선택지별 선택 소요 시간은 아래 [표 7]과 같을 수 있다.
[표 7]
Figure pat00007
이 경우,
AE” = 1×0.9/(1+0.1×0) + 1×0.8/(1+0.1×2) + 1×0.8/(1+0.1×0) + 1×0.9/(1+0.1×0) ≒ 3.27
AI” = 1×0.6/(1+0.1×8) + 1×0.6/(1+0.1×0) + 1×0.7/(1+0.1×0) + 1×0.6/(1+0.1×4) + 1×0.6/(1+0.1×6) + 1×0.6/(1+0.1×6) = 2.81,
AE”>AI”이므로, 체험자의 제1군 성격인자는 E(외향성)으로 판별된다.
상기 상수값(sec값)에 의해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가 달라지게 된 결과가 확인된다.
또한 본 발명 프로그램은 체험자에 대한 성격 분석 결과와, 상기 체험자의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을 상기 설정부의 통계에 반영하여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재부여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체험자를 상대로 서면에 의한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를 추가 실시 함으로써, 본 발명 프로그램에 의한 성격 유형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전술한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 누적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통계값 산출을 위한 모집단 수를 늘리고, 본 발명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해당없음

Claims (5)

  1. VR 스토리 영상 진행에 따라 체험자에게 설정 상황별 선택지를 제시하는 영상 구동부;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는 설정부;
    체험자의 선택 결과를 집계하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매체에 저장된,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2. 제1항에서,
    상기 설정부는, MBTI 체계의 지표 성향에 따라 성격 유형을 분류하되,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이 입력된 사전 체험자 다수의 상기 설정 상황별 선택 결과 통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3. 제2항에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통계에서, 사전 체험자의 선택 결과 집중도에 따라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4. 제2항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체험자의 선택 소요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체험자의 성격 유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체험자에 대한 성격 분석 결과와, 상기 체험자의 일반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값을 상기 설정부의 통계에 반영하여 상기 선택지별 지표 성향을 재부여하는 피드백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KR1020190112059A 2019-09-10 2019-09-10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KR10227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59A KR102279632B1 (ko) 2019-09-10 2019-09-10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59A KR102279632B1 (ko) 2019-09-10 2019-09-10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58A true KR20210030658A (ko) 2021-03-18
KR102279632B1 KR102279632B1 (ko) 2021-07-20

Family

ID=7523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59A KR102279632B1 (ko) 2019-09-10 2019-09-10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7159A (zh) * 2021-06-30 2021-10-0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人格数据的确定方法、装置以及电子终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159A (ko) *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한국색채연구소 색채를 이용한 아동 성향 분석방법
KR101046269B1 (ko)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2591B1 (ko) 2015-01-22 2017-03-06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70113475A (ko) * 2017-04-07 2017-10-12 장현수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20180000013A (ko) 2016-06-21 2018-01-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
KR101860026B1 (ko)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KR20190101622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Vr 체험 선택에 의한 성격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69B1 (ko)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54159A (ko) *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한국색채연구소 색채를 이용한 아동 성향 분석방법
KR101712591B1 (ko) 2015-01-22 2017-03-06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80000013A (ko) 2016-06-21 2018-01-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성격유형분석 방법
KR20170113475A (ko) * 2017-04-07 2017-10-12 장현수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1860026B1 (ko)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KR20190101622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Vr 체험 선택에 의한 성격 진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 등록특허 10-1819965 "자원 협업을 위한 MBTI 기반 IoT 환경 자원 추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7159A (zh) * 2021-06-30 2021-10-0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人格数据的确定方法、装置以及电子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632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Loon et al. Virtual reality perspective-taking increases cognitive empathy for specific others
D’Mello et al. The affective computing approach to affect measurement
De Lope et al. A comprehensive taxonomy for serious games
Ekman et al. What is meant by calling emotions basic
Maneuvrier et al. Presence promotes performance on a virtual spatial cognition task: Impact of human factors on virtual reality assessment
US201303449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value from game play data
Georgiou et al. Adaptive user modelling in car racing games using behavioural and physiological data
Wesiak et al. Iterative augmentation of a medical training simulator: Effects of affective metacognitive scaffolding
Lockhead Absolute judgments are relative: A reinterpretation of some psychophysical ideas
Bogdanovych et al. What makes virtual agents believable?
Hussain et al. Automatic cognitive load detection from face, physiology, task performance and fusion during affective interference
Olofsson et al. Beyond smell-o-vision: Possibilities for smell-based digital media
Pimentel et al. Voices of the unsung: The role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vity in building empathy in 360 video
Oliveira et al. Humor–Robot interaction: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future directions
Mok et al. Attentional focus and the dynamics of dual identity integration: Evidence from Asian Americans and female lawyers
Lawson I just love the attention: implicit preference for direct eye contact
Okur et al. Behavioral engagement detection of students in the wild
Sharma et al. Sensing technologies and child–computer interaction: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Khan Multimodal behavioral analytics in intelligent learning and assessment systems
Benlamine et al. BARGAIN: behavioral affective rule-based games adaptation interface–towards emotionally intelligent games: application o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for socio-moral development
KR20210030658A (ko) Vr 롤플레잉 게임 방식의 성격 분석 프로그램
KR20190101622A (ko) Vr 체험 선택에 의한 성격 진단 시스템
Schrader et al. Performance in situ: Practical approaches to evaluating learning within games
Ma et al. Stories that engage the audience: An investigation of popular breast cancer narratives on social media
Moreira et al. The relation of attention between player profiles: A study on the eye-tracking and profile brainH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