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550B1 -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550B1
KR102640550B1 KR1020217000347A KR20217000347A KR102640550B1 KR 102640550 B1 KR102640550 B1 KR 102640550B1 KR 1020217000347 A KR1020217000347 A KR 1020217000347A KR 20217000347 A KR20217000347 A KR 20217000347A KR 102640550 B1 KR102640550 B1 KR 10264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icons
arrangement
subject
chec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625A (ko
Inventor
코이치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Publication of KR2021002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인간의 정신 구조를 시각 정보를 통하여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직업 적성 등 피험자의 성향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
(해결 수단)
프레임이 없는 검사 영역 내에 다수의 에어리어가 형성되고 그 자체 의미를 가지지 않는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체크 시트에 부여되는 복수의 아이콘의 부여 상황에 의해, 피험자의 잠재적인 의식을 표출시킨다. 피험자가 시각으로부터 얻는 정보, 즉 체크 시트 상의 아이콘의 부여 상황으로부터, 화상을 통하여 피험자의 내면적, 잠재적인 의식을 시각상 구체적으로 표출시킨다. 시각 정보에 대해서는 신피질보다 앞서 감정을 컨트롤하는 편도체 쪽이 100ms 빠르게 반응한다. 따라서 무의식하의 잠재적인 의식을 의식하의 컨트롤을 하기 전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피험자의 적성을 알 수 있다. 아이콘은 도형으로서 인식되므로, 감정계를 자극하지 않고, 전두엽의 잠재의식에 영향을 준다.

Description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본원발명은 사람의 정신 분야를 시각 정보를 통하여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판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의 직업에 대하여 피험자가 얼만큼 적합한 소질을 가지는지에 대해 판정하는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행동은 심적인 상황이 초래하는 다양한 영향이 교차하는 것이며, 기초 잠재 능력과 업무 수행 잠재 능력이 관계된다. 업무에 종사할 때 각종 외부 자극이 부담으로서 작용하는 일이 있고, 이러할 때 심신에는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스트레스는 불가시적인 일이 많기 때문에, 업무상의 스트레스의 상태를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곤란한 일이 많았다.
또 종래에는 업무에 있어서의 인간의 퍼포먼스를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해, 마켓 밸류(시장 가치)의 관점에서, 집중(일을 잘한다)이라는 것과, 그것에 대한 격차(돈에 의해 보상한다)라는 사고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퍼포먼스 이론은 분석 결과의 재이용이 어려운 강 구조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한 이론에 기초하는 적성 검사의 결과로부터 적절한 판정을 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런데 사람의 사회 행동에는 다양성이 있다. 다양성이 있는 사람이 어째서 협력 행동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 종래에는 이기적인 낡은 뇌를 전두엽이 억누른다고 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동계가 불공평을 피한다는 학설이 유력하게 되어 있다. 즉 구매 행동의 예측 정밀도, 안정시 fMRI로부터의 IQ 추정, MRI 데이터에 의한 예측으로부터, 사람에게는 불공평을 피하는 메커니즘이 갖춰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심부에 존재하는 낡은 뇌인 편도체가 직감적, 자동적으로 반응하여, 불공평을 피하고, 친사회적인(prosocial한) 행동을 한다고 되어 있다.
친사회적인(prosocial한) 행동이란 자신과 타인의 화합을 최대로 하고, 차를 최소로 하는 행동을 말하고, 자신을 최대로 하는 Individualistic(개인적) 행동, 자신과 타인의 차를 최대로 하는 Competitive(경쟁적) 행동과는 상이한 것이다.
fMRI 데이터의 해석 결과로부터, prosocial 행동에서는 보수차의 절대값과 편도체의 활동이 상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prosocial의 편도체는 보수차의 절대값이 클 때 활동한다.
최종 제안 게임 실험이나 신뢰 게임 실험의 결과가 상기 설을 지지하고, 또 사회적 격차와 우울 경향이 관계될 가능성이 있다.
fMRI 해석의 결과, 진화적으로 새롭고 고차 인지 기능의 중추인 전두전야(전두엽연합야) 즉 신피질이 죄악감을 표현하고, 진화적으로 원시적인 편도체·측좌핵이 불평등감을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대뇌피질의 1/3이 시각에 관계되어 있다.
종래에는 경쟁이 진보를 낳는다(시부야 에이이치),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사회의 노예이다(루소), 타인과의 비교는 불행해지는 최단의 길이다(붓다)라고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유력설은 사회적 격차와 우울 경향이 상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최근의 뇌 기능 화상화 기술의 진전으로, 인간의 사회적 의사 결정의 뇌 내 기반에 피질하 영역, 대뇌피질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있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또 전두엽(신피질)은 의식적인 정보 처리, 편도체는 공포나 기쁨 등의 정동에 관한 정보 처리, 중격·해마는 기억과 정동의 억제에 관계한다. 즉 뇌의 구조를 생각한다면, 사람에게는 두개의 마음이 있고, 하나는 의식적인, 판단 가능한 마음, 그것은 전두엽을 중심으로 하여 존재하고, 또 하나는 의식으로 올라가지 않는 정동의 마음이며, 그것은 편도체를 중심으로 하여 존재한다.
일부의 잠재의식과 현재의식에 관해서는, 인간의 주관적인 의식을 포함하여 지각이나 행동의 결정이 전두엽(신피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에 대해 정동(편도체의 반응)은 직접적으로는 의식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전두엽(신피질)은 어른과 아이에 있어서 발달의 정도가 상이하다. 즉 아이의 경우, 전두엽(신피질)에 의한 반응은 적다고 생각된다. 실제로는 정동이 몸에 표출된 결과를 의식이 감지하여, 과거의 경험과 비교하여 자신의 정동을 인지하고, 이것을 감정으로서 표현한다. 또 습관과 같이 의식은 하지 않지만, 반사적으로 행해버리는 행동도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본원발명이 참조한 주된 문헌은 다음과 같다.
<1> 심리학적인 요구와 의사 결정의 정도로부터의 진전 모델에 대해 비특허문헌 1
<2> 스트레스의 관찰에 대해 비특허문헌 2, 3, 4
<3> 에지 효과에 대해 비특허문헌 5, 6
<4> 무아레 현상에 대해 비특허문헌 7, 8, 9
<5> 사람의 퍼포먼스에 대해 비특허문헌 10, 11
<6> 스트레스 이론 비특허문헌 12, 13, 14
<7> 감정에 대한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어프로치 비특허문헌 15, 16, 17
<8> 범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GAS) 이론 비특허문헌 18
<9> 뇌 과학, 인지 과학, 신경 과학으로부터의 정보 비특허문헌 19
Psychological demand/decision latitude model:Karasek and Theorell(1990) Stress Viewer(model):by Johanna Paula Monique Fikkert, Haike Jacobs - Language Arts & Disciplines - 2003 - 463pages 1995 Metrical Stress Theory:Principles and case studies. ... Hogg, Richard 1992 A Grammar of Old English, volume I:Phonology, Oxford:Basil Blackwall. ... Edge effect and job stress(theory):Cross-Functional Project Groups in Research and New Product Development; Diversity, Communications, Job Stress, and Outcomes Robert T. Keller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3(Jun., 2001), pp.547-555 Stress moire(theory):A Water-Bonded, Floating Element Shear-Stress Sensor Using a Geometric Moire Optical Transduction Technique Stephen Horowitz, Tai-An Chen, Venkataraman Chandrasekaran, Ken Tedjojuwono, Louis Cattafesta, Toshikazu Nishida, and Mark Sheplak Interdisciplinary Microsystems Group, PO Box 116250,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32611-6250 Human Performance(model):Enhancing Human Performance:Background Papers, Stress Management Authors:Committee on Techniques for the Enhancement of Human Performance, National Research Council Stress theory and phonology in Old and Middle English 가미나시 게이코(1994) Managing Stress: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Health and Wellbeing by Brian Luke Seaward - Self-Help - 2005 - 590pages Lazarus, RS, and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1984. Matheny, K.., et al. Stress Coping: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Approaches to Emotion:by Nancy L. Stein, Bennett Leventhal, Tom Trabasso - Psychology - 1990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Springer, Lazarus, RS, Kanner, AD, & Folkman, S.(1980). Emotions:A cognitive-phenomenological analysis. ... Stress without Distress(1974), Stress of Life(1956) by Hans Hugo Bruno Selye CC 2017년 10월 30일 응용 뇌과학 컨소시엄, NICT 뇌정보 통신 융합 센터 하루노 마사히코씨
본원발명은 상기 배경을 감안하여, 인간의 정신 구조를 시각 정보를 통하여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직업 적성 등 피험자의 성향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피험자 단말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본부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적성 검사의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본부 컴퓨터는, 프레임이 없는 검사 영역 내에 그려진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다수의 에어리어가 형성되고 그 자체 의미를 가지지 않는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체크 시트 및 이 체크 시트에 부여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피험자 단말에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체크 시트에 설정된 경계 엘리먼트에 대한 정의를 미리 정한 테이블 1, 상기 아이콘의 종류 및 부여 개수와 그 의미에 대한 정의를 미리 정한 테이블 2, 상기 체크 시트 상의 아이콘의 부여 위치에 있어서의 의미를 미리 정의한 테이블 3이 각각 격납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피험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피험자에 의한 아이콘 부여 완료의 검사 데이터 및 피험자 ID를 상기 기억 수단에 순차적으로 기입하는 기입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검사 데이터 및 피험자 ID를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아이콘의 총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업 실행 수단과, 읽어낸 상기 검사 데이터의 아이콘의 배치에 대해, 상기 각 테이블의 정의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추고, 상기 각 판정으로부터 얻어지는 결과가 상기 본부 컴퓨터에 저장되어, 검사 대상물의 아이콘의 개수 및 검사 대상물의 전체의 형상에 의해 피험자의 적성 검사의 평가 자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계 엘리먼트가 라인, 각의 전부 또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라인이 직선, 곡선, 파선의 전부 또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4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이 가상 프레임의 코너, 라인과 라인의 교점인 접점의 전부 또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부 컴퓨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추가로 복수의 아이콘간 또는 아이콘과 라인간의 위치 관계에 따른 관계성(이하 「아이콘 관계성」이라고 한다)에 대한 의미를 미리 정의한 테이블 4가 격납되고, 읽어낸 상기 검사 데이터의 아이콘의 배치에 대해, 상기 각 테이블의 정의에 따라, 상기 아이콘 관계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부 컴퓨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추가로 부여 아이콘이 특정 패턴을 형성했을 때의 의미를 미리 정의한 테이블 5가 격납되고, 미리 정해져 있는 특정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7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부 컴퓨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추가로 특정 아이콘의 출현에 따른 의미부여를 미리 정의한 테이블 6이 격납되고, 특정 아이콘이 출현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8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이 밀집 배치, 분산 배치, 밸런스 배치, 편차 배치, 저변 배치, 상부 배치, 상하 배치, 좌우 배치, 튀어나옴 배치 및/또는 돌(DOLL)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9에 따른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관계성이 중합, 접합, 라인 접합 및/또는 근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피험자가 시각으로부터 얻는 정보, 즉 체크 시트 상의 아이콘의 부여 상황, 구체적으로는 아이콘의 부여 개수 및 부여 위치로부터, 화상을 통하여 피험자의 내면적, 잠재적인 의식을 시각상 구체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각을 통하여 피험자의 정신 구조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대뇌피질의 1/3은 시각에 관계되어 있다. 시각의 자극 즉 시각 정보에 대해서는, 인지 처리를 한다고 일컬어지는 신피질보다 먼저 감정뇌라고 일컬어지며 감정을 컨트롤하는 편도체 쪽이 빠르게 반응한다. 자극에 대한 편도체의 반응은 수자극 후 100ms이며, 수자극 후 200ms에 일어나는 신피질의 반응보다 100ms 선행한다.
본원발명은 이 편도체의 반응 시간의 신속성을 이용하여, 무의식하의 잠재적인 의식을 표출시킬 수 있다. 이것은 신피질에 의한 보정(의식하의 컨트롤)을 하기 전에, 피험자의 잠재적인 의식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것에 의해 피험자의 적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이콘은 시각(즉 눈)으로 인식됨과 동시에, 낡은 뇌에 속하는 편도체를 자극한다. 이 편도체의 자극은 전두엽으로의 자극에 선행하는 것이다.
잠재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에는, 신피질(전두엽)의 감지하는 감각기로부터의 정보 이외에 편도체의 반응(정동 반응)도 포함된다. 신피질과 편도체의 반응에 100ms의 차가 발생하는 점에서, 편도체의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잠재의식과, 편도체의 반응이 적어 영향을 받지 않는 잠재의식이 있다.
또 아이콘은 사람 아이콘에 있어서도 표정은 가지지 않으며, 도형으로서 인식된다. 따라서, 아이콘은 감정계를 자극하지 않고, 전두엽의 잠재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아이콘 검사는 이 전두엽의 잠재의식을 불러일으키고, 그 반응으로서 아이콘 부여 작업이 표출된다.
100ms 이전에 반응하는 편도체에 있어서는, 즉반응으로 전두엽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적지만, 감정의 누적이 전두엽에 영향을 주는 일이 있어, 이 차가 아이콘의 반응에 나타난다. 본원발명은 이 반응의 시간차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본원발명의 뇌 과학, 인지 과학, 신경 과학 등에 의한 이론적 근거이며, 본원발명은 이러한 근거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직업 적성이나 성향을 파악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하면, 시각을 통하여 피험자의 내면적, 잠재적인 의식을 표출시킬 수 있으므로, 피험자의 정신 구조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결과로부터, 피험자의 성격 및 적성을 평가하는 것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경계 엘리먼트를 다종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간소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잡한 조사로부터 피험자의 부담이 적은 간단한 조사까지 각종의 조사, 분석을 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아이콘 관계성, 특정 패턴, 특정 아이콘에 관한 판정도 할 수 있으므로, 피험자의 적성이나 성향 파악을 한층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 또는/및 청구항 9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패턴이나 아이콘 관계성에 관한 판정을 한층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험자의 적성이나 성향 파악에 한층 효과적이다.
도 1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사용하는 체크 시트 및 아이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b는 도 1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체크 시트에 기재된 라인, 코너, 에어리어 및 접점의 템플릿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템플릿의 환산표이다.
도 2c는 도 2b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a는 각 아이콘의 의미 및 각 아이콘이 각 라인, 각 접점, 각 코너 및 각 에어리어에 놓였을 때의 표시를 나타내는 코드표이다.
도 3b는 도 3a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3b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e는 도 3d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f는 도 3e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g는 도 3f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h는 도 3g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i는 도 3h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j는 도 3i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k는 도 3j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3l은 도 3k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4a는 아이콘의 「중합」의 의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4d는 도 4c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로직 코멘트의 코드표(단독)이다.
도 5b는 도 5a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5b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로직 코멘트의 코드표(중합)이다.
도 7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검사 분석용 마스터 시트이다.
도 7b는 도 7a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7b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본부 컴퓨터용 마스터 시트이다.
도 9a는 「밀집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분산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편차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d는 「저변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e는 「상부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f는 「튀어나옴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g는 「돌(DOLL)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돌(DOLL) 배치의 상세를 판정하기 위해서 별도 마련된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표준 사양, (B)는 샘플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결과의 처리 사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 13의 (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피험자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의 스캐너 입력 화상을 나타낸 도면, (B)는 (A)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컴퓨터 내의 로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피험자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의 스캐너 입력 화상을 나타낸 도면, (B)는 (A)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컴퓨터 내의 로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피험자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의 스캐너 입력 화상을 나타낸 도면, (B)는 (A)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컴퓨터 내의 로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피험자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의 스캐너 입력 화상을 나타낸 도면, (B)는 (A)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컴퓨터 내의 로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피험자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의 스캐너 입력 화상을 나타낸 도면, (B)는 (A)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컴퓨터 내의 로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는 밀집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b는 분산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c는 밸런스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d는 편차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e는 저변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f는 상부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g는 상하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h는 좌우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i는 튀어나옴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j는 돌(DOLL) 배치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k는 중합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l은 접합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m은 근접의 부여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사용하는 체크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체크 시트에 기재된 라인, 코너, 에어리어 및 접점의 템플릿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사용하는 체크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21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사용하는 체크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어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 기초하여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동일한 기능을 이루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에 사용하는 체크 시트 및 아이콘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이 없는 검사 영역 내에 후술하는 경계 엘리먼트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에어리어가 그려지고, 소위 오픈 시트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에어리어는 체크 시트를 구면체의 일부라고 생각했을 때의 윈도우(window)로서 파악된다. 편의상 이 윈도우를 도 1 등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체크 시트에는 직선, 곡선 및 파선으로 이루어지는 라인이 적절히 조합되며 다수의 원모양 도형과 다각형모양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리어가 마련되고, 이들에 의해, 폐공간, 개방 공간, 원개방 공간, 사다리꼴 일부 개방 공간, 슬로프 및 지정 의미 공간이 형성된다. 피험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체크 시트의 화상 상에 아이콘을 부여한다. 아이콘은 18종류 있으며, 상세는 후에 기재한다. 본부 컴퓨터에는 도 1의 체크 시트 및 아이콘과 동일한 도형 및 에어리어가 격납되어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경계 엘리먼트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 단락 이하로 넘긴다. 편의상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윈도우(1) 내에, 상이한 종류의 경계 엘리먼트가 그려진다. 이 경계 엘리먼트는 곡선(3)으로서의 원주의 우측상부에 절결부(4)를 가지는 원모양 도형(5)과, 정점에 절결부(6)를 가지는 삼각형모양 도형(7)으로서, 대향하는 직선으로서의 사변(8, 9) 사이에, 직선으로서의 저변(10)에 평행한 직선으로서의 중간변(11)을 가지는 도형과, 상기 중간변(11)의 우단으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a)까지 우측으로 올라가게 경사진 직선(경사 직선)(13)과, 상기 저변(10)의 반경사 직선(13)측의 단 즉 좌단으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c)까지 좌측으로 올라가게 경사진 파선(경사 파선)(14)과, 상기 저변(10)의 우측에 가까운 중간부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b)까지 하강하는 S자의 곡선(1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종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에어리어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대략 3구분씩 합계 9구분으로 구획된다. 상기 절결부(4, 6)는 어느 것이나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계 엘리먼트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도형은 그 자체로 완결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체크 시트에 구획되는 다수의 에어리어는 이러한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된다.
도 2a는 체크 시트에 기재된 라인, 코너, 에어리어 및 접점의 템플릿, 도 2b 및 도 2c는 그 환산표를 나타낸다. 표 1A는 라인 L1~L18을 나타낸다. 표 1B는 코너 C1~C4를 나타낸다. 표 1C는 에어리어 A-1~A-13을 나타낸다. 표 1D는 접점 X1~X8을 나타낸다. 표 2는 상기 아이콘의 형상 및 호칭, 및 색채를 나타낸다. 표 3A 및 표 3B는 아이콘과 그것이 이미지하는 의미부여와의 관계를 A~H의 각 계별로 나타낸다. 표 4는 선택된 아이콘 총 수의 의미부여의 정의를 나타낸다. 표 5는 특정 상황으로서 파악되는 특정 패턴(후기)의 정의를 나타낸다. 표 6은 이들 특정 패턴의 해석에 대해 정의를 나타낸다. 표 7은 아이콘의 의미를 나타내는 템플릿이다(후기). 본부 컴퓨터에는 도 1 내지 도 11(후기) 및 도 18a 내지 도 18m, 및 표 1A 내지 표 8의 정보가 미리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표 1A 내지 표 8의 내용을 든다. 또 여기서 테이블 1 내지 테이블 6과 각 표 및 각 도면의 관계를 표 8로서 나타낸다. 표 3A, 표 3B, 표 4, 표 5 및 표 6의 지정 코멘트는 검사 결과의 데이터의 통계 처리로부터 얻어진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표 1A]
[표 1B]
[표 1C]
[표 1D]
[표 2]
[표 3A]
[표 3B]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피험자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체크 시트에 아이콘이 선택, 부여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컴퓨터에도 도 1에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일한 아이콘이 격납되어 있다.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아이콘의 부여 개수에 제한이 마련되며, 10개 이상 15개 이내로 설정된다.
그 이유는 본원발명에서는 개개인의 상황을 단독으로 보아 간다기보다, 대량의 피험자를 상정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부여 개수의 제한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하한의 개수라도 프러스트레이션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정도까지 아이콘이 소형화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원발명에서는 아이콘을 체크 시트에 부여하는 경우, 공간점유율이 작아지고, 부여의 자유도가 상실되기 때문에, 부여의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아이콘 자체가 축소된다. 이것에 의해, 체크 시트에 부여했을 때의 공간 인식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컴퓨터의 기억 수단(도시하지 않음)에는 상기한 바의 체크 시트에 기재된 라인, 에어리어, 코너 및 접점의 정의를 미리 테이블 1로서 격납하고, 또 상기한 바의 아이콘의 종류 및 그 의미의 정의를 테이블 2로서 격납한다.
상기 기억 수단의 테이블 3에는, 상기 체크 시트의 어느 위치에, 즉 각 라인, 각 코너, 각 에어리어 및 각 접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아이콘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도 3a 내지 도 3l과 같이 의미부여된 정의 및 코드 번호가 격납된다.
상기 기억 수단의 테이블 4에는, 복수의 아이콘간 또는 아이콘과 라인간의 위치 관계에 따른 관계성(아이콘 관계성)에 의해, 도 4a 내지 도 4d와 같이 의미부여된 정의 및 코드 번호가 격납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테이블 3의 로직 코멘트의 코드표(단독)이며, 도 6은 상기 테이블 3의 로직 코멘트의 코드표(중합)이다. 또 도 7a 내지 도 7c는 검사 분석용의 마스터 시트이며, 도 8은 본부 컴퓨터용의 마스터 시트이다.
상기 기억 수단의 테이블 5에는 표 5 및 표 6과 같이 정의된 특정 패턴이 특정 상황으로서 격납된다. 10종의 특정 패턴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9g에 기초하여 후술한다. 또 상기 기억 수단의 테이블 5에는 표 6에 나타내는 「중합」 「접합」 「라인 접합」 또한 후기하는 「근접」에 대해서 정의된 특정 패턴도 격납된다.
상기 기억 수단의 테이블 6에는 특정 아이콘의 출현에 따른 의미부여에 대해서, 표 7, 및 도 9g 및 도 10과 같이 미리 규정된 정의가 격납된다.
표 3A 및 표 3B, 및 표 4에서 서술한 각 아이콘은 다음의 8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각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다음의 지정 코멘트를 가지고 있다.
A계(사람계):얼굴
사람과 관계되고 싶다. 대상화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 사람을 무시할 수 없다. 소중한 사람이 있다. 싫은 사람이 있다.
B계(원계):원, 타원
원:상냥함. 따뜻함. 느긋함. 긴장하고 있지 않다. 온화한.
타원:유화한. 좋은 사람. 사람(인간). 알, 뜨뜻미지근하다. 안심할 수 있다.
C계(입체계):도넛, 원기둥, 입방체
도넛:위화감. 구멍이 뚫렸다. 도망치고 싶다. 숨기고 싶다. 움직인다. 차. 달린다.
원기둥:충실하고 싶다. 만족하고 싶다. 풍부한.
입방체:안정되었다. 움직이지 않는다. 상자에 들어가고 싶다. 상자.
D계(둥근각계):정육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신경이 쓰이는 사람. 무서운 사람.
정오각형:약. 의뢰심이 있다. 의지하고 싶다. 진정하고 싶다.
E계(사각계):장방형, 정방형
장방형:보통과 동일하다.
정방형:보통과 조금 상이했다.
F계(마름모꼴계):사다리꼴, 마름모꼴
사다리꼴:안정되었다. 간단하게는 움직이지 않는다. 상승 지향.
마름모꼴:구애. 불안정. 진정하고 싶지 않다.
G계(샤프계):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위험한. 불편한. 샤프한, 위험한. 수상한.
이등변삼각형:끊어진다. 위험하다. 찌르다. 찔린다. 송곳.
H계(유니크계):화살표, 달, 별, 하트 도형
화살표:주목. 보다. 여기. 시점.
달:불안. 무섭다. 왠지 모르게. 명확치 않다.
별:희망. 바람. 기대.
하트 도형:기분. 좋아하다. 상냥하다.
또 표 5에 나타내는 「특정 상황」이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서술하는 10종의 특정 패턴이 정의된다. 이어서 기술한다.
도 9a 내지 도 9g는 테이블 5의 특정 상황에 대한 사양이며, 도 9a는 「밀집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b는 「분산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c는 「편차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d는 「저변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e는 「상부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f는 「튀어나옴 배치」의 산출 로직, 도 9g는 「돌(DOLL) 배치」의 산출 로직을 나타낸다.
상기 각 특정 상황의 정의 및 산출 로직을 다음에 나타낸다.
밀집 배치란 근접하는 2개의 에어리어, 또는 근접하는 3개의 에어리어 내에 모든 아이콘의 무게중심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에어리어 A2, A10, A9와 같다.
산출 로직은 다음과 같다.
(가)에어리어 A4는 에어리어 A1 또는 에어리어 A8의 어느 하나의 일부로서 판단된다. 또 에어리어 A5는 에어리어 A3 또는 에어리어 A8의 어느 하나의 일부로서 판단된다.
(나)에어리어 A1~A13에 속하지 않는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밀집 배치」는 아니다.
근접하는 에어리어의 조합은 다음의 58가지이다.
<1>에어리어 A1과 A6, <2>에어리어 A1과 A7, <3>에어리어 A1과 A8, <4>에어리어 A2와 A3, <5>에어리어 A2와 A6, <6>에어리어 A2와 A10, <7>에어리어 A2와 A11, <8>에어리어 A2와 A12, <9>에어리어 A3과 A8, <10>에어리어 A3과 A9, <11>에어리어 A6과 A7, <12>에어리어 A6과 A8, <13>에어리어 A6과 A13, <14>에어리어 A7과 A8, <15>에어리어 A8과 A9, <16>에어리어 A9와 A10, <17>에어리어 A10과 A11, <18>에어리어 A11과 A12, <19>에어리어 A12와 A13,
<20>에어리어 A1과 A6과 A7, <21>에어리어 A1과 A6과 A8, <22>에어리어 A1과 A2와 A6, <23>에어리어 A1과 A6과 A13, <24>에어리어 A1과 A7과 A8, <25>에어리어 A1과 A3과 A8, <26>에어리어 A1과 A8과 A9, <27>에어리어 A2와 A3과 A6, <28>에어리어 A2와 A3과 A10, <29>에어리어 A2와 A3과 A11, <30>에어리어 A2와 A3과 A12, <31>에어리어 A2와 A3과 A13, <32>에어리어 A2와 A3과 A8, <33>에어리어 A2와 A3과 A9, <34>에어리어 A2와 A6과 A7, <35>에어리어 A2와 A6과 A8, <36>에어리어 A2와 A6과 A10, <37>에어리어 A2와 A6과 A11, <38>에어리어 A2와 A6과 A12, <39>에어리어 A2와 A6과 A13, <40>에어리어 A2와 A10과 A11, <41>에어리어 A2와 A10과 A12, <42>에어리어 A2와 A9와 A10, <43>에어리어 A2와 A11과 A12, <44>에어리어 A2와 A12와 A13, <45>에어리어 A3과 A6과 A8, <46>에어리어 A3과 A8과 A9, <47>에어리어 A3과 A7과 A8, <48>에어리어 A3과 A9와 A10, <49>에어리어 A6과 A7과 A8, <50>에어리어 A6과 A7과 A13, <51>에어리어 A6과 A8과 A13, <52>에어리어 A6과 A8과 A9, <53>에어리어 A6과 A12와 A13, <54>에어리어 A7과 A8과 A9, <55>에어리어 A8과 A9와 A10, <56>에어리어 A9와 A10과 A11, <57>에어리어 A10과 A11과 A12, <58>에어리어 A11과 A12와 A13.(도 9a).
분산 배치란 라인에 근접하고 있지 않은 에어리어에 1개 또는 2개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에어리어 A1, A2, A3은 근접하는 라인의 대상으로 하지는 않는다.
산출 로직은 다음과 같다.
(가)에어리어 A1, A2, A3 중 어느 하나에 2개 이상 아이콘이 있는 경우,
(나)A1~A13에 속하지 않는 아이콘이 있는 경우,
(다)A4~A13 중 어느 하나에 3개 이상의 아이콘이 있는 경우에는 분산 배치는 아니다.
(라)또 <1>에어리어 A6, A7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2>에어리어 A6, A8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3>에어리어 A6, A13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4>에어리어 A7, A8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5>에어리어 A8, A9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6>에어리어 A9, A10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7>에어리어 A10, A11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8>에어리어 A11, A12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9>에어리어 A12, A13에 속하는 아이콘이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분산 배치는 아니다(도 9b).
밸런스 배치란 1개의 에어리어 내에 최대 1개의 아이콘만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산출 로직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경우에는 「밸런스 배치」는 되지 않는다.
<1>에어리어 A1~A13에 속하지 않는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
<2>1개의 에어리어 내에 2개 이상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
<3>규정수 이하, 규정수 이상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
편차 배치란 최외측의 2개의 에어리어 내에 모든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단, 에어리어 A4, A5에 대해서는 에어리어 A8로서 판단된다.
산출 로직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경우에는 편차 배치이다.(도 9c)
<1>아이콘이 에어리어 A6, A7 모두 존재하는 경우
<2>아이콘이 에어리어 A6, A13 모두 존재하는 경우
<3>아이콘이 에어리어 A7, A8 모두 존재하는 경우
<4>아이콘이 에어리어 A8, A9 모두 존재하는 경우
<5>아이콘이 에어리어 A9, A10 모두 존재하는 경우
<6>아이콘이 에어리어 A10, A11 모두 존재하는 경우
<7>아이콘이 에어리어 A11, A12 모두 존재하는 경우
<8>아이콘이 에어리어 A12, A13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저변 배치란 저변 에어리어 A11, A12, A13 내에 모든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산출 로직에 의한 저변 배치의 조합은 다음의 7가지이다(도 9d).
<1>에어리어 A11
<2>에어리어 A12
<3>에어리어 A13
<4>에어리어 A11과 A12
<5>에어리어 A11과 A13
<6>에어리어 A12와 A13
<7>에어리어 A11, A12 및 A13
상부 배치란 상부 에어리어 A7, A8, A9 내에 모든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산출 로직에 의한 상부 배치의 조합은 다음의 7가지이다(도 9e).
<1>에어리어 A7
<2>에어리어 A8
<3>에어리어 A9
<4>에어리어 A7과 A8
<5>에어리어 A7과 A9
<6>에어리어 A8과 A9
<7>에어리어 A7, A8 및 A9
튀어나옴 배치란 모든 아이콘이 외측의 라인 L-1 내지 L-7 중 어느 하나를 밟고 있거나, 또는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경우를 말한다.
튀어나옴 배치의 산출 로직은 아이콘의 무게중심 위치가 아니라, 해석 엔진으로부터의 에어리어, 라인 정보에 의해 판단된다. 모든 아이콘이 도 9f에 나타내는 8개의 에어리어, 즉
<1>OUT U/L
<2>OUT U
<3>OUT U/R
<4>OUT R
<5>OUT D/R
<6>OUT D
<7>OUT D/L
<8>OUT L
의 플래그가 온(ON)인 경우, 「튀어나옴 배치」라고 판단된다.
상하 배치란 상부 에어리어 A-7, A-8 및 A-9 내 및 하부 에어리어 A-13, A-12 및 A-11 내에 모든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하고, 이것이 산출 로직이다.
좌우 배치란 좌측 에어리어 A-7, A-6 및 A-13 내 및 우측 에어리어 A-9, A-10 및 A-11 내에 모든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하고, 이것이 산출 로직이다.
돌(DOLL) 배치란 에어리어 A4, A5에 DOLL의 얼굴이 되는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돌(DOLL) 배치의 산출 로직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얼굴이 될 수 있는 아이콘은
얼굴(아이콘 번호 11)
원(아이콘 번호 1)
타원(아이콘 번호 5)
도넛(아이콘 번호 13)
별(아이콘 번호 18)이다.
또 상기 얼굴 아이콘에 다음의 몸통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도 「DOLL 배치」라고 인식된다(도 9g).
<1>얼굴 아이콘(아이콘 번호 11)에, 원기둥(아이콘 번호 4), 입방체(아이콘 번호 10), 정방형(아이콘 번호 2), 장방형(아이콘 번호 6), 정육각형(아이콘 번호 8), 정오각형(아이콘 번호 3) 및 사다리꼴(아이콘 번호 14)이 조합된 경우
<2>원 아이콘(아이콘 번호 1)에, 원기둥(아이콘 번호 4), 입방체(아이콘 번호 10), 정방형(아이콘 번호 2), 장방형(아이콘 번호 6), 정육각형(아이콘 번호 8), 정오각형(아이콘 번호 3) 및 사다리꼴(아이콘 번호 14)이 조합된 경우
<3>타원 아이콘(아이콘 번호 5)에, 원기둥(아이콘 번호 4), 입방체(아이콘 번호 10), 정방형(아이콘 번호 2), 장방형(아이콘 번호 6), 정육각형(아이콘 번호 8), 정오각형(아이콘 번호 3) 및 사다리꼴(아이콘 번호 14)이 조합된 경우
<4>도넛 아이콘(아이콘 번호 13)에, 원기둥(아이콘 번호 4), 입방체(아이콘 번호 10), 정방형(아이콘 번호 2), 장방형(아이콘 번호 6), 정육각형(아이콘 번호 8), 정오각형(아이콘 번호 3) 및 사다리꼴(아이콘 번호 14)이 조합된 경우
<5>별 아이콘(아이콘 번호 18)에, 원기둥(아이콘 번호 4), 입방체(아이콘 번호 10), 정방형(아이콘 번호 2), 장방형(아이콘 번호 6), 정육각형(아이콘 번호 8), 정오각형(아이콘 번호 3) 및 사다리꼴(아이콘 번호 14)이 조합된 경우
도 10은 돌(DOLL) 배치의 상세를 판정하기 위해서 별도 마련된 기준을 나타낸다. 이것도 또 컴퓨터의 기억 수단에 격납되어 있다.
이어서 표 6에서 서술한 「중합」, 「접합」, 「라인 접합」 및 「근접」에 대해 설명한다. 「중합」이란 아이콘끼리가 서로 겹치는 상황을 지칭하고, 「접합」이란 아이콘끼리의 주변부가 접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체크 시트의 라인과 아이콘의 주변부가 접하는 「라인 접합」도 포함된다. 「근접」이란 아이콘이 아이콘 및 체크 시트의 라인과 접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표 7은 컴퓨터에 입력되는 아이콘의 의미를 나타내는 템플릿이다. 표 7에 기초하여, 피험자에 의해 픽업되어 체크 시트에 부여된 아이콘 시일의 유무가 입력된다. 또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의 인정은 컴퓨터가 판단할 수 없는 경우, 표 7에 기초하여 담당자가 행하는 일이 있다.
표 7에 있어서 「지정」란 A~F는 다음의 의미가 있다.
A:개수 지정
B:특정 아이콘의 선택 지정
C:배치 지정
D:튀어나옴 지정
E:인형(DOLL) 지정
F:중합, 접합, 근접 지정
표 7에 기초하여, 체크 시트에 부여 완료 아이콘이 있으면, 그 아이콘 번호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지정란 B에 「원기둥」이 있으면 「1」이 입력되고, 없으면 「0」이 입력된다. 또 지정란 C의 「밀집 배치」 「분산 배치」 「밸런스 배치」 「편차 배치」 「저변 배치」 「상부 배치」 「상하 배치」 「좌우 배치」의 인정은 도 18a 내지 도 18m 참조의 전형예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있으면 「1」이 입력되고, 없으면 「0」이 입력된다. 컴퓨터가 판단할 수 없는 경우, 표 7에 기초하여 담당자가 행하는 일이 있다. 마찬가지로 지정란 D에 있어서 「튀어나옴 배치」라고 인정되면 「1」이 입력되고, 없으면 「0」이 입력된다. 지정란 E에 있어서 「DOLL 배치」라고 인정되면 「1」이 입력되고, 없으면 「0」이 입력된다. 지정란 F에 있어서 「중합」 「접합」 「근접」이라고 인정되면 「1」이 입력되고, 없으면 「0」이 입력된다.
표 7C란 내지 F란의 각 항목의 정의는 다음의 중란의 기재와 같다.
밀집 배치:많은 아이콘이 어딘가의 에어리어에서 모여서(접촉·중합)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a의 전형예 참조)
분산 배치:아이콘이 대부분 분산되어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b의 전형예 참조)
밸런스 배치:각 에어리어에 1개씩과 같이 밸런스 좋게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c의 전형예 참조)
편차 배치:덩어리(클러스터)가 있는 것처럼 중합하여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d의 전형예 참조)
저변 배치:밑바닥 쪽(저변을 포함한다)에 3개 이상의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e의 전형예 참조)
상부 배치:상부 쪽에 3개 이상의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f의 전형예 참조)
상하 배치:상부와 저변부에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고, 중층(상하 이외) 부분에 아이콘이 없는 경우(도 18g의 전형예 참조)
좌우 배치:우측이나 좌측에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고, 중간(좌우 이외) 부분에 아이콘이 없는 경우(도 18h의 전형예 참조)
튀어나옴 배치:아이콘이 외측 프레임의 라인을 튀어나와 부여되어 있는 경우, 외측 프레임의 라인을 밟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도 18i의 전형예 참조)
DOLL 배치:얼굴 및 원형 아이콘이 지정 위치(A4/A5)에 부여되어 있는 경우와, 그 밖의 위치에서 인형(머리와 몸통)과 같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j의 전형예 참조)
중합:아이콘끼리가 겹쳐서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k의 전형예 참조)
접합:아이콘끼리가 선이나 면이나 점에서 접촉하여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l의 전형예 참조)
근접:3개 이상의 아이콘이 다소 접촉할 것 같을 정도로 근접하여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18m의 전형예 참조)
도 18a 내지 도 18m에 표 7의 「견본」란에 기재하는 전형예를 나타낸다.
지정란 C에서는 통상적으로 1개의 항목을 선택하지만, 2개까지 선택해도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선 배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단, 상하좌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에 관해서는, 중합이라도 모순을 발생시키지 않는 조합이 있으므로, 이것을 인정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정신 구조를 판정한다. 피험자는 제한 시간(약5분) 내에 있어서 소망하는 아이콘을 소정수(10개 이상 15개 이내) 상기 체크 시트의 소망하는 장소에 부여한다. 이 아이콘이 부여된 체크 시트를 도 12의 플로우도에 기초하여 S1로부터 S15까지의 스텝을 밟아 컴퓨터 처리해가는 것이다.
이어서 컴퓨터에 의한 처리 순서를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아이콘이 부여된 체크 시트에 대해, 부여된 아이콘의 총 수가 계수된다(「카운트 업」·S1).
이어서 아이콘 부여의 특정 상황이 판정된다. 특정 상황의 판정은 「밀집 배치」(S2), 「분산 배치」(S3), 「밸런스 배치」(S4), 「편차 배치」(S5), 「저변 배치」(S6), 「상부 배치」(S7), 「튀어나옴 배치」(S8), 「돌(DOLL) 배치」(S9), 「상하 배치」(S10), 「좌우 배치」(S11)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다. 일련의 「특정 상황」(S2 내지 S11)의 판정 스텝은 아이콘의 부여 상황을 추출하는 스텝이다.
특정 상황 「유」(on)인 경우 다음과 같이 판정된다.
밀집 배치:강한 의뢰심. 강한 구애. 공격성. 편향성. 시샘 질투. 밀집력. 적당히 할 수 없다.
분산 배치:흐트러뜨린다. 의식 산만. 껍데기를 깨지 않는다. 불명한 불안. 의지할 수 없다.
밸런스 배치:평등 의식, 평균화 의식. 밸런스 감각, 불안 해소. 불안 분산. 세분화 의식.
편차 배치:산만한 기분. 자기 좋을 대로 하다. 적당. 의식의 편차. 우유부단.
저변 배치:안정 지향. 의존심. 안심을 구한다. 자신이 있다. 현상에 대한 강한 의식. 이동하지 않는다.
튀어나옴 배치:의식 과잉, 적당히. 머리로 피가 쏠림. 대상의 배제. 방황. 망설임.
상부 배치:불안정한 의식. 상승 지향. 희망. 바람. 제1의 …. 최초의 …. 현세의 처지.
Doll 배치:사람 의식, 타겟. 그 사람, 이 사람, 저 사람. 인형. 기념물. 공격 대상
좌우 배치:불안정. 분리 의식. 중심으로부터의 도피. 중심에 대한 공포.
상하 배치:불안. 왠지 모를 공포. 잘 모르는 불안.
이어서, 선택, 부여된 아이콘에 대해서, 「중합」(S12), 「접합」(S13) 및 「라인 접합」(S14)이 판정된다. 이들 스텝에 의해, 피험자의 성격의 굴절 방향성(「direction」)이 판단된다. 예를 들면 「중합」이 많은 경우는 편향성이 강한 경향이 있고, 반대로 「라인 접합」이 많은 경우는 안정감을 바라는 경향이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중합:강한 의식하 행동. 편굴. 의식 표현. 편중 사고. 의식 과잉. 규칙 무시. 제멋대로 함. 융합 의식.
접합:흥미가 있는 근접심. 의식된 간격. 의뢰심. 공감을 바란다. 대화나 관계를 바란다.
라인 접합:강한 의뢰심. 안정감을 바란다. 외로움으로부터의 탈출. 규칙에 따르는 의식. 이심전심.
돌(DOLL) 배치의 판정에 관해서는 얼굴과 몸통의 형성에 대한 정의가 격납된 테이블 6(도 1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판정에 관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기준에 기초하여 담당자가 수동에 의해 처리 결과를 수정한다.
이렇게 하여 1명의 피험자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S15), 스텝 1로 되돌아가, 다음의 피험자에 대해 상기한 일련의 스텝을 밟게 된다.
이어서 각 스텝에 있어서의 평가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아이콘의 총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업에 의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1>카운트 업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0:회답 거부에 상당하며 무반응 또는 단순 거부(하고 싶지 않다)라고 평가한다.
1~17:의욕도, 자기 표현력, 자기 주장(많다:높다)이라고 평가한다.
18(ALL):자기 주장(상당히 높다), 고의욕, 고흥미라고 평가한다.
<2>카운트 업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10 이상 18 이하)
9 이하:착각, 저반응 또는 단순 거부(하고 싶지 않다)라고 평가한다.
10~17(지정):의욕도, 자기 표현력, 자기 주장(많다:높다)이라고 평가한다.
18(ALL):착각, 자기 주장(상당히 높다), 고의욕, 고흥미라고 평가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신 구조 즉 마음의 작용에는 편도체의 반응으로서 파악되는 것과, 신피질의 반응으로서 파악되는 것이 있다. 사람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편도체의 반응이 신피질의 반응보다 100ms정도 선행한다. 편도체의 반응은 좋고 싫음, 위험을 찰지함, 혐오감이나 위화감 등이 포함된다. 편도체는 체 내에 들어오는 이물(미지의 물질도 포함된다)에 대하여 위험 신호를 발하고, 반사신경운동 등이 신피질을 경유하지 않고 즉시 행해진다.
이에 대해, 신피질의 반응은 특정 개인의 경험이나 지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인식되어 있다. 이것은 편도체의 반응을 빠져나간 것이 최종적으로 신피질의 반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선택, 배치된 아이콘의 분석에 있어서, 편도체의 반응만으로 결정된 것과, 신피질의 반응에까지 다다른 것이 있다라는 인식에 근거를 둔다.
이 관점으로부터, 특정 상황의 해석 스텝에 있어서의 중합, 접합, 라인 접합의 평가에 대해 설명한다.
「중합」은 복수의 아이콘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편도체의 반응으로서 파악된다. 선택·부여되는 아이콘은 사람이나 사물의 대표격으로서 인식되고, 중합에 의해, 숨기고, 눌러 으깨는 등의 잠재하의 의식이나 경향이 표출된다.
「접합」은 아이콘끼리의 주변부가 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신피질의 반응으로서 파악된다. 이것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지만, 중합까지는 내디딜 수 없는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라인 접합」은 체크 시트의 라인과 아이콘의 주변부가 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편도체의 반응으로서 파악된다. 이것은 위화감을 대표하는 것으로, 드문 반응이다. 신피질의 반응이 그다지 작용하지 않는 무의식의 반응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근접」은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 및 체크 시트의 선 성분과 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신피질의 반응이다.
아이콘 부여에 의한 특정 상황의 판정은 다음의 3개의 조건에서의 반응으로 분류되고, 편도체의 반응이 신피질의 반응보다 100ms 선행하는 점에서, 다음과 같이 평가된다.
<1>채용된 아이콘과 비채용의 아이콘
이 반응은 아이콘에 대한 흥미 관심의 반응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하고, 감각적인 반응이 선행하게 된다. 또 흥미 관심 뿐만아니라 필요성 등의 인식도 알 수 있다.
<2>아이콘의 에어리어나 체크 시트의 선 성분에 영향을 받는 것
아이콘은 에어리어나 선 성분에 영향을 받아 부여된다. 즉 에어리어나 라인 성분에 대한 영향의 유무가 관찰의 대상이 된다.
아이콘 단독이 아닌 경우, 편도체의 반응 뿐만아니라, 나중에 신피질의 반응이 더해진다. 즉 뇌의 반응은 시행 착오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되지만, 선택 부여가 비가역 반응인 점에서, 결과적으로는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하는 결과가 관찰되게 된다.
<3>아이콘끼리의 상호작용
아이콘은 단독 뿐만아니라, 근접이나 접합에 의한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콘끼리로 상하나 주종 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아이콘과 체크 시트의 선 성분의 관계는, 움직일 수 있는 것(아이콘)과, 움직일 수 없는 것(체크 시트)의 관계가 된다. 이에 대해 아이콘과 아이콘의 관계는 움직일 수 있다라는 것이 상이할 뿐이며, 편도체의 반응이 신피질의 반응보다 100ms 선행하기 때문에, 이 영향은 전항의 반응 외에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아이콘의 선택 부여의 전후 관계가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아이콘끼리의 상호작용이란 아이콘 단독의 존재 의의가 떨어지고, 아이콘끼리의 관계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별 아이콘과 달 아이콘은 천체로서의 인식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인식된다. 둥근 아이콘과 네모난 아이콘과의 조합은 그 형상으로부터 인형(돌)을 상기시킨다.
밀집 배치는 아이콘이 특정의 에어리어나 포인트에 집중되는 것이다. 밀집은 단계적으로 근접 밀집, 접합 밀집, 중합 밀집이 있고, 내향성을 나타내며, 스스로를 모임 안에 숨겨넣어버리는 요구 등도 포함된다. 이 반응은 좋고 싫음에 유래하고,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한다.
분산 배치는 아이콘이 밀집되지 않고, 아이콘끼리나 선 성분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황이다. 분산 배치는 개방성, 외향성을 나타낸다. 「자유롭게 쭉쭉 ‥」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편도체의 반응이 없었던 것처럼 신피질에 도달한다. 즉, 분산 배치는 신피질의 반응이다.
밸런스 배치는 에어리어에 1개씩 등과 같이, 밸런스 좋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것은 분산 배치의 특별한 상태이며, 신피질의 반응이다. 신피질에 밸런스 감각이 없는 경우에는 밸런스 배치가 형성되지 않는다.
편차 배치는 밀집 배치 정도는 아니며, 다소 에어리어에 아이콘이 치우쳐서 집중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편차 배치는 아이콘의 분포가 치우치는 경우이며,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하여 영향을 준다. 신피질은 나중으로부터의 수정을 부득이하게 하게 되는 점에서 영향이 작다.
저변 배치는 프레임의 저변에 아이콘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다. 저변 배치는 안정성을 요구하는 반응이며, 편도체보다 늦은 신피질에 의한 반응이다.
상부 배치는 아이콘이 상부의 3개의 에어리어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이다. 상부 배치는 당연한 감각을 유지하는 것으로, 아이콘과의 관계가 중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별이나 달은 본래 상부의 하늘에 위치하는 것으로, 통상 감각을 대표한다. 별이나 달의 아이콘이 하부에 배치된 경우, 신피질에 어떠한 영향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많은 아이콘이 상부에 배치된 경우 등은 불안을 나타내고 있다. 불안은 신피질의 반응이며, 나중으로부터의 반응의 영향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 배치는 아이콘이 상부와 하부의 에어리어에 위치하고 중앙·중심부에 아이콘이 그다지 없는 경우이다. 상하 배치는 좋고 싫음이나 위화감의 감각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서 표출된다. 즉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된다.
좌우 배치는 아이콘이 좌우의 에어리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며, 논리 반응이므로, 신피질의 반응이다. 상하 배치, 좌우 배치의 반응이 나오는 빈도는 적다.
튀어나옴 배치는 프레임으로부터의 완전 튀어나옴과, 부분 튀어나옴으로 분류된다. 완전 튀어나옴은 편도체의 반응이 우선된 경우의 반응이며,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있던 것이 표출의 장이 주어진 것으로부터 반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부분 튀어나옴은 편도체의 반응보다 신피질의 반응이 우선되는 경우의 반응이며, 주저하고 있는 상태도 이 반응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돌 배치는 하방에 위치하는 아이콘이 사각형류이며 상방에 위치하는 아이콘이 원형류인 경우이다. 돌 배치는 신피질의 반응이며, 원래 신피질의 반응이 잠재화하고 있던 것이 표출된 것이다.
아이콘은 그 자체에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내는 의미를 포함하는 점에서, 어떠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이 자기 자신의 마음의 작용이나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내성적이라고 해석된다. 이에 대해, 아이콘이 체크 시트라는 환경의 어느 위치, 각도 등에 배치되는가라는 상호작용으로부터 해석되는 경우, 외성적이라고 파악된다. 마찬가지로, 아이콘끼리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외성적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즉 「내성적」이란 자기 자신의 마음의 작용이나 상태를 뒤돌아보는 것이며, 「외성적」이란 자기 자신의 마음의 작용이나 상태를 뒤돌아보지 않고, 밖으로부터 의미나 해석이 주어지는 것이다.
편도체의 반응은 신피질의 반응보다 100ms 선행하는 점에서, 신피질에 의한 사고·분석·판단에 선행하여, 감각계가 먼저 반응한다. 즉, 시각 정보에 의해 망막이 반응하고, 편도체에 전해진다. 이 때, 뇌는 신피질의 반응도 가해져 잠재적인 반응이 표출되는 것이다. 아이콘 부여는 시간과 함께 싫증나는 반응도 나타나지만, 흥미나 의욕이 높으면 반응은 지속되고, 부여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카운트 업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도 신피질은 범위 제한 내에서 마찬가지의 반응을 한다.
도 11은 기억 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처리 사양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고, 이것에 의해 처리된 결과가 검사 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아이콘부(카운트:부여 개수)
아이콘부(특정 상황)
아이콘부(아이콘 부여의 위치 상황)
아이콘부(채용 아이콘의 단독과 조합 상황)
컴퓨터 처리된 데이터는 본원발명에 의한 검사 결과로서 본부 컴퓨터 내에 저장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아이콘의 배열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아이콘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여, 둥그스름한 아이콘으로부터 서서히 각진 아이콘이 배열된다. 이 배열순에 있어서, 아이콘 번호 12(달), 아이콘 번호 18(별) 및 아이콘 번호 16(하트 도형)의 설정은 별도로 취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또한 배열순은 상기 순서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배열된다.
(실시예)
도 13 내지 도 17에 피험자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당해 피험자에 의한 아이콘의 부여예, (B)는 이 부여된 아이콘의 로케이션을 집계한 컴퓨터 내 데이터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13(A)에 있어서, 피험자 0001의 표 7에 기초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은 다음과 같다.
[표 9]
따라서, 피험자 0001은 이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된다.
[표 10]
도 14(A)에 있어서, 피험자 0002의 표 7에 기초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은 다음과 같다.
[표 11]
따라서, 피험자 0002는 이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된다.
[표 12]
도 15(A)에 있어서, 피험자 0003의 표 7에 기초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
따라서, 피험자 0003은 이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된다.
[표 14]
도 16(A)에 있어서, 피험자 0004의 표 7에 기초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은 다음과 같다.
[표 15]
따라서, 피험자 0004는 이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된다.
[표 16]
도 17(A)에 있어서, 피험자 0005의 표 7에 기초한 아이콘의 부여 상황은 다음과 같다.
[표 17]
따라서, 피험자 0005는 이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된다.
[표 18]
상기한 이들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각 데이터는 검사 결과로서 본부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 다음의 스텝으로서의 자료로서 활용된다.
본원발명에 의한 아이콘 부여의 표준적인 테스트 시간은 5분정도로 한다. 또 검사 대상자에 대해서는 연령 제한이 있어, 취무(就務) 가능 연령에 이른 자로서 60세까지인 자가 검사를 받을 수 있고, 특히 45세정도까지인 자에 적합하다.
본원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리어가 구획 형성되는 도형 형상은 도 1과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이 생각되며, 예를 들면 도 19a나 도 20과 같은 도형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도 된다.
도 19a의 경우, 윈도우 가상선(1a 내지 1d)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윈도우(1) 내에 그려지는 경계 엘리먼트는, 곡선(3)으로서의 원주의 상부에 절결부(4)를 가지는 원모양 도형(5)과, 정점에 절결부(6)를 가지는 삼각형모양 도형(7)으로서, 대향하는 직선으로서의 사변(8, 9) 사이에 직선으로서의 저변(10)에 평행한 직선으로서의 중간변(11)을 가지는 도형과, 상기 중간변(11)의 우단으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b)까지 우측으로 내려가게 경사진 직선(경사 직선)(13)과, 상기 경사 직선(13)의 중도부로부터 원모양 도형(5)의 하부까지 우측으로 올라가게 경사진 파선(경사 파선)(14)과, 상기 저변(10)의 중간부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d)까지 상승하는 S자의 곡선(1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종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상기 서술한 에어리어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대략 3구분씩 합계 9구분으로 구획된다. 상기 절결부(4)는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6)는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0의 경우, 윈도우 가상선(1a) 내지 윈도우 가상선(1d)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윈도우(1) 내에 그려지는 경계 엘리먼트는, 곡선(3)으로서의 원주의 우측상부에 절결부(4)를 가지는 원모양 도형(5)과, 정점에 절결부(6)를 가지는 삼각형모양 도형(7)으로서, 대향하는 직선으로서의 사변(8, 9) 사이에 직선으로서의 저변(10)에 평행한 직선으로서의 중간변(11)을 가지는 도형과, 상기 중간변(11)의 우단으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a)까지 우측으로 올라가게 경사진 직선(경사 직선)(13)과, 상기 저변(10)의 반경사 직선(13)측의 단 즉 좌단으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c)까지 좌측으로 올라가게 경사진 파선(경사 파선)(14)과, 상기 저변(10)의 우측에 가까운 중간부로부터 윈도우 가상선(1b)까지 하강하는 S자의 곡선(15)과, 상기 원모양 도형(5)의 절결부(4)의 일단과 상기 삼각형모양 도형(7)의 절결부(6)의 일단을 연결하는 다른 직선(연결 직선)(16)과, 또한 상기 중간변(11)의 반경사 직선(13)측단 즉 좌단과 저변(10)의 우단을 연결하는 다른 경사진 직선(경사 직선)(1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종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에어리어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대략 3구분씩 합계 9구분으로 구획된다. 상기 절결부(4, 6)는 어느 것이나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1은 상기한 경계 엘리먼트의 일부를 사용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경계 엘리먼트는, 상기 윈도우(1) 내에, 직교한 직선(18a, 18b)으로 이루어지고, 상부(19)가 개방된 4각형의 구멍(20)이 왼쪽에,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21a, 21b)과 이 직선(21a, 21b)의 하단을 연결하는 반원상의 곡선(22)으로 이루어지고, 상부(23)가 개방된 U자형의 구멍(24)이 오른쪽에 배열설치된다.
도 21과 같은 체크 시트로 한 경우에는 비교적 간단한 조사가 되기 때문에, 피험자의 부담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해, 도 1, 도 19a 및 도 20과 같은 경계 엘리먼트가 많고 에어리어가 많은 체크 시트로 한 경우에는 비교적 복잡한 조사가 되기 때문에, 광범위한 조사를 가능하게 하고, 또 다양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한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은, 예를 들면 회사나 관청 등의 입사 시험(중도 채용 시험을 포함한다), 승진 시험 등 직종에 따른 인재의 적성을 판정하는 것에 활용할 수 있고, 또 인사고과에 이용할 수 있다.
1…윈도우
1a…윈도우 가상선
1b…윈도우 가상선
1c…윈도우 가상선
1d…윈도우 가상선
3…곡선
4…절결부
5…원모양 도형
6…절결부
7…삼각형모양 도형
8…사변
9…사변
10…저변
11…중간변
13…경사 직선
14…경사 파선
15…곡선
16…연결 직선
17…경사 직선
18a…직선
18b…직선
19…상부
20…구멍
21…직선
22…곡선
23…상부
24…U자 구멍

Claims (9)

  1. 피험자 단말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적성 검사의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터는,
    그 자체 의미를 가지지 않는 도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이 없는 테스트 에어리어 내에 그려진 경계 엘리먼트에 의해 다수의 에어리어가 형성된 체크 시트를 포함하는 스크린 및 피험자에 의해 선택되어 체크 시트에 첩부된 다수의 아이콘의 정보를 상기 피험자 단말에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체크 시트 상의 경계 엘리먼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1 테이블, 아이콘의 종류 및 첩부 개수와 그 의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2 테이블, 상기 체크 시트 상의 아이콘의 첩부 위치에 있어서의 의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3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단말을 통하여 피험자에 의해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체크 시트에 첩부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검사 데이터 및 상기 피험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피험자 ID의 저장 수단으로의 기입 수단-상기 검사 데이터는 피험자에 의한 임의의 아이콘의 선택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체크 시트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피험자가 특정한 아이콘을 선택하고 체크 시트 상의 특정한 위치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배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임,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검사 데이터 및 피험자 ID를 읽어내어, 체크 시트에 첩부된 아이콘의 총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업 실행 수단과,
    읽어낸 상기 검사 데이터의 아이콘의 배치에 대해, 저장 수단에 저장된 테이블의 정의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체크 시트에 첩부(apply)된 아이콘의 총 수 및 아이콘의 배치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적성 검사의 평가 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판정 결과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경계 엘리먼트는, 원모양 도형 및 삼각형모양 도형의 적어도 하나가 절결부를 포함하는 불완전한 도형이며, 각각 완전한 원 또는 완전한 삼각형을 형성하지 않는 원모양의 도형 및 삼각형모양의 도형의 적어도 하나, 경사 직선, 경사 파선, S자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사 데이터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및 배치가, 피험자의 신피질의 반응 표현 및 편도체의 반응 표현의 적어도 1개를 반영하는지 여부의 식별로부터 얻어지는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적성과 성향을 결정하고,
    컴퓨터에 추가로 테스트 에어리어의 복수의 아이콘간 또는 아이콘과 윈도우 가상선간의 위치 관계에 따른 관계성에 대한 의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4 테이블이 저장되고,
    검사 데이터의 아이콘의 배치에 대해, 제4 테이블의 정의에 따라, 상기 관계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의 실행하고
    검사 데이터 중의 아이콘의 배치에 상기 관계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식별의 실행은, 중합 관계, 접합 관계, 라인 접합 관계 및 근접 관계의 적어도 하나로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및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은, 피험자의 검사 데이터에 표시된 아이콘의 배치가 상기 중합 관계 및 상기 라인 접합 관계의 적어도 하나이면 편도체의 반응 표현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접합 관계 및 상기 근접 관계의 적어도 하나이면 신피질의 반응 표현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추가로 첩부(apply) 아이콘이 특정 패턴을 형성했을 때의 의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5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는 추가로 체크 시트에 첩부(apply)된 아이콘에 특정 패턴 중 하나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추가로 특정 아이콘의 출현에 따른 의미의 정의를 포함하는 제6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는 추가로 특정 아이콘이 출현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은 밀집 배치, 분산 배치, 밸런스 배치, 편차 배치, 저변 배치, 상부 배치, 상하 배치, 좌우 배치, 튀어나옴 배치 및 돌(DOLL) 배치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정 패턴의 적어도 하나가 체크 시트에 첩부된 아이콘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의 식별의 실행은 상기 아이콘이 밀집 배치, 분산 배치, 밸런스 배치, 편차 배치, 저변 배치, 상부 배치, 상하 배치, 좌우 배치, 튀어나옴 배치, 및 돌(DOLL) 배치의 적어도 하나로 배치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7000347A 2018-06-27 2019-06-21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1570 2018-06-27
JP2018121570A JP6872515B2 (ja) 2018-06-27 2018-06-27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PCT/JP2019/024718 WO2020004263A1 (ja) 2018-06-27 2019-06-21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625A KR20210022625A (ko) 2021-03-03
KR102640550B1 true KR102640550B1 (ko) 2024-02-27

Family

ID=6898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347A KR102640550B1 (ko) 2018-06-27 2019-06-21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18324A1 (ko)
EP (1) EP3816905A4 (ko)
JP (1) JP6872515B2 (ko)
KR (1) KR102640550B1 (ko)
CN (1) CN112740247A (ko)
WO (1) WO202000426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6802A1 (en) 2012-08-31 2014-03-06 Greatbatch Ltd. Cognition and Usability Aptitude Evaluations for Clinician Programmers
US20150278183A1 (en) 2013-03-26 2015-10-01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questionnaire, and method for filling in the graphical questionnai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727B2 (ja) * 1998-04-02 2001-09-04 有限会社イソップ 心理状態分析装置
US6377781B1 (en) * 1999-09-22 2002-04-23 Qu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ssions for computer-based quizzes
JP2007226531A (ja) * 2006-02-23 2007-09-06 Ryoji Yamazaki 性格診断システムおよび性格診断方法
US8239000B1 (en) * 2006-03-21 2012-08-07 Morris Jon D Dimensional approach to identifying emotional responses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KR20110055215A (ko) * 2009-11-19 2011-05-25 정효경 다중지능을 이용한 적성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직업 적성 검사 방법 및 시스템
CN104750952B (zh) * 2013-12-25 2018-04-10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图形化问卷产生方法及问卷进行方法
KR101661698B1 (ko) * 2014-06-19 2016-10-05 오미라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JP6618702B2 (ja) * 2015-04-06 2019-12-11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知覚意味内容推定装置および脳活動の解析による知覚意味内容の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6802A1 (en) 2012-08-31 2014-03-06 Greatbatch Ltd. Cognition and Usability Aptitude Evaluations for Clinician Programmers
US20150278183A1 (en) 2013-03-26 2015-10-01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questionnaire, and method for filling in the graphical questionn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6905A4 (en) 2022-03-23
WO2020004263A9 (ja) 2020-07-16
CN112740247A (zh) 2021-04-30
EP3816905A1 (en) 2021-05-05
JP2020003977A (ja) 2020-01-09
WO2020004263A1 (ja) 2020-01-02
JP6872515B2 (ja) 2021-05-19
KR20210022625A (ko) 2021-03-03
US20210118324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550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39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46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58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54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102640583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KR102640566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KR102640576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