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42A -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 Google Patents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342A
KR20150119342A KR1020157025369A KR20157025369A KR20150119342A KR 20150119342 A KR20150119342 A KR 20150119342A KR 1020157025369 A KR1020157025369 A KR 1020157025369A KR 20157025369 A KR20157025369 A KR 20157025369A KR 20150119342 A KR20150119342 A KR 2015011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hydrogen
compounds
benzoimid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802B1 (ko
Inventor
에릭 치아오
매튜 마이클 해밀턴
세이 카메오카
브라이언 레오나르드
미리암 트리야트니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11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7Hepat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46Amines, e.g. putres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4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46

상기 식에서, R1 내지 R11은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으로서 및 질병 모델링 적용에 사용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더 성숙하거나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COMPOUNDS FOR IMPROVED STEM CELL DIFFERENTIATION INTO HEPATOCYTES}
본 발명은 줄기세포를 더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물 발견 및 개발 중에, 간 기능을 모델링하기 위한 견고한 생체 외 방법에 대한 매우 큰 요구가 있다. 1차 인간 간세포 배양을 사용하는 통용 방법은, 잘 문서화된 단점, 이른바 공여체 대 공여체의 가변성 및 기능적 불안정성을 갖는다. 유사하게, 간암 세포주는 기능부전을 나타내고 종양 세포주 고유의 유전적 기형을 혼동하고 있다.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조직이 공여체 대 공여체 가변성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약속을 지켰지만, 인간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hiPSC) 유래된 간세포를 검사한 가장 최근 보고는 상기 간세포가 특정 기능에서 성인보다 태아 조직에 더 유사함을 시사하는 바, 이는 성인의 생체 내 상황에 외삽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 발견, 효능 및 안전성 시험을 위한 더 관련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만능 줄기세포를 더 성숙하거나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 더 좋은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hiPSC의 성인-유사 간세포로의 성공적인 분화는 만성 간 질병, 예컨대 간염 B 바이러스(HBV)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물 발견의 노력을 촉진시킬 것이다. 만성 HBV(CHB) 감염은 세계 약 3억 5천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아직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인 큰 요구이다. 통용 치료(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및 인터페론(IFN))는 바이러스를 완전히 없애는데 비효과적이고 바이러스 내성 및/또는 부정적인 부작용에 관련되어 있다. HBV의 바이러스 게놈의 서열 다양성에 기초하여, 이는 7 개의 유전자형으로 분류된다(유전자형 A 내지 H; 주요 유전자형은 A 내지 D이다). HBV 감염의 발병은 연령 및 유전자형에 의존적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CHB 감염은 (엄마에서 유아로의) 수직적인 전달 및/또는 아동기의 감염으로부터 나타난다. 반대로, 바이러스에 노출된 성인의 약 90 %는 6 개월 이내에 HBV 감염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임상 데이터는 바이러스 유전자형이 HBV 질병의 전개 및 IFN 치료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HBV는 또한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ISG)의 하향 조절(down-regulat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숙주 면역 반응을 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BV와 숙주의 선천적인 면역력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더 나은 이해는 CHB 감염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숙주/바이러스 표적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HBV에 대한 새롭고 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를 발견하기 위한 노력은 생리학적이고 견고한 생체 외 시스템이 부족하여 어려웠다. 생산자 및 표적 세포 둘 다로 사용되는 통용 간암-기초 시스템은 견고하지도 않고 HBV의 유전자형의 다양성을 포획하지도 못하였다. 그러므로, 더 생리학적으로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임상 단리물로부터의) 모든 주요 HBV 유전자형의 견고한 감염을 지지하는 새로운 생체 외 시스템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platform)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터페론 반응의 유전자형 의존성의 평가를 포함하는 HBV 질병 모델링에도 유익할 것이다.
그러므로,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으로서 및 질병 모델링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유전자형으로부터 부모로부터 유래된 HBV의 견고한 감염을 지지하는,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의 더 성숙한 간세포로의 개선된 분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11은 하기 정의하는 바와 같다. 게다가,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으로서 및 질병 모델링 플랫폼에 사용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더 성숙한 또는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용량에서 간세포 기능을 포괄하는 유전자의 전반적으로 증가된 발현을 나타내는 열 지도(heat map)를 제공한다. 생물학 열 지도는, cDNA 샘플로부터 수득되는 다수의 양립할 수 있는 샘플(예컨대 다양한 상태에서의 세포, 다양한 환자로부터의 샘플)에 걸쳐 많은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분자 생물학에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도 1 에서, "녹색"은 낮은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반면, "적색"은 높은 발현 정도를 나타낸다. 그래프적인 표현은 가장 낮은 발현(녹색)에서부터 중간(흑색)을 거쳐 가장 높은 발현(적색)까지의 구배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각각의 열을 따라 상대적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7의 화합물로 처리한 후 성숙-관련 유전자의 패널의 유전자 발현에 기초하여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에서의 간세포 기능을 포괄하는 유전자의 증가된 발현을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아이셀(iCell) 간세포에서의 견고한 HBV 감염을 나타낸다. 도 3a는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를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치료한 결과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발생한 HBV 감염에 대한 세포 민감성을 나타내었음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b는 바이러스 감염이 인터페론(100 IU/ml)에 의해 억제됨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d는 아이셀 간세포에서 범 유전자형(pan-genotypic) HBV 감염을 보여주고,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가 모든 4 가지 주요 HBV 유전자형(A 내지 D)의 견고한 감염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일련의 막대 그래프이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연속적인 존재는 견고한 바이러스 감염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된다. 세포는 HBV 감염(6 일) 전에 6 일 동안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예비처리되거나, 6 일 동안 및 감염(전체) 동안에 예비처리되었다. 인터페론(IFN)은 HBV 감염의 특이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도 5는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가 세포 배양 유래된 바이러스(HepG2.2.l5)로부터가 아니고 부모의 혈청으로부터 단리된 HBV(임상적 단리물) 감염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아이셀 간세포는 세포 배양 유래가 아니고 부모 유래의 HBV 감염을 지지한다.
도 6a 내지 6d는 HBV 감염력: 혈청 대 정제된 바이러스에 관한 것이고 혈청 중에 존재하는 과잉의 HBsAg 서브바이러스 입자(SVP)의 제거가,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에서의 견고한 HBV 감염을 달성하는데 전제조건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세포를 HBV 감염(6 일) 전에 6 일 동안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예비처리하였다.
도 6e 및 6f는 과잉의 HBsAg 서브바이러스 입자(SVP)로부터의 HBV 바이러스 입자의 정제에 관한 것이고, 정제된 바이러스(데인(Dane) 입자)는 옵티프렙(Optiprep) 구배 초원심분리에 의해 HBsAg SVP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바이러스 정제가 성공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바이러스 표시자(HBsAg 및 HBV DNA) 및 전자 현미경 검사 분석을 사용하였다.
도 7a는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의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열 지도)이다. 처리 후 2 배 초과(2 시간), 3 배 초과(24 시간) 또는 6 배 초과(7 일)의 상향 및 하향 조절된 유전자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2 시간만큼 빨리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lSG)를 하향 조절시켰다. 또한, HBV 감염에 대한 아이셀 간세포 민감성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두 개의 유전자(비-ISG)가 나타나 있다: CREB3L1(처리 전 2 시간만큼 빨리 하향 조절됨)은 다른 바이러스((HCV, WNV 및 DNA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SLCl0A1(처리 후 7 일에 상향 조절됨)은 HBV 수용체로서 보고되었다.
도 7b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ISG)에 대한 효과에 관한 것이고,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에 ISG 발현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동적 효과를 나타내는 파이 차트를 제공한다. 975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ISG)의 목록은 공용 데이타 데이타베이스(표 1 참조)에 공지된 ISG에 기초한다.
도 7c는 ISG 발현(975 유전자)에 대한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효과에 관한 것이고, 화합물 처리 후 24 시간 및 7 일에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해 개질된 ISG의 예를 나타내는 파이 차트를 제공한다. 975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ISG)의 목록은 공용 데이타 데이타베이스(표 1 참조)에 공지된 ISG에 기초한다.
표 1은 처리 후 2 시간, 24 시간 및 7 일에 ISG에 대한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동적 효과를 보여준다(p-값 < 0.05).
[표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하기 발명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정 용어 및 구절은 하기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잔기"는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에 의해 다른 원자 또는 분자에 부착되어 분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자 또는 화학결합된 원자의 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변수 R1 내지 R11은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식 I의 핵심 구조에 부착된 잔기를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갖는 특정 잔기를 참조하여, 용어 "치환된"은 잔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또 다른 치환체 또는 잔기에 의해 대체되는 것을 지칭한다.
용어 "임의적으로 치환된"은 잔기(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가짐)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또 다른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을 지칭한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기재가 없는 한, 용어 "수소" 또는 "하이드로"는 수소 원자(-H)의 잔기를 지칭하고 H2가 아니다.
아이셀 간세포에서의 용어는 셀룰러 다이나믹스 인터네셔널(Cellular Dynamics International, CDI)로부터의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 유래된 간세포를 지칭한다.
달리 기재가 없는 한, 용어 "화학식의 화합물"은 화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화합물의 종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이러한 임의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함).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한, 유리 염기 또는 유리 산의 생물학적 효과 및 특성을 가진 염을 지칭한다. 염은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바람직하게는 염산, 및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살리실산, 석신산, 퓨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N-아세틸시스테인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은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를 유리 산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비제한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 염 등을 포함한다. 유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비제한적으로, 1차, 2차 및 3차 아민, 치환된 아민(자연적으로 발생한 치환된 아민을 포함함), 환형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에컨대 이소프로필아민, 트라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N-에틸피페리딘,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의 형태(즉, 화학식 I의 산의 메틸 및 에틸 에스터)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용매화, 즉 수화될 수 있다. 용매화는 제조 공정의 과정에 수행되거나, 화학식 I의 초기 무수 화합물의 하이그로스코픽(hygroscopic) 특성의 결과(수화)로서 발생할 수 있다.
동일한 분자식을 가지지만 이의 원자의 결합의 성질 또는 순서, 또는 공간에서의 이의 원자의 배치가 상이한 화합물을 "이성질체"라고 칭한다. 공간에서의 이의 원자의 배치가 상이한 이성질체를 "입체이성질체"라고 칭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거울상이성질체가 아닌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에서 반대 배열을 갖는 입체이성질체이다. 서로 포갤 수 없는 거울상 이미지인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갖는 입체이성질체를 "거울상이성질체"라고 칭한다. 화합물이 비대칭 중심을 갖는 경우, 예컨대 탄소원자가 4 개의 다른 기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한 쌍의 거울상이성질체가 가능하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이의 비대칭 중심(들)의 절대 배열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고 칸, 인골드 및 프레로그(Cahn, lngold 및 Prelog)의 R- 및 S-순위결정 규칙에 의해 기재되거나, 분자가 편광면을 회전시키고 우회전성 또는 좌회전성(각각, (+) 또는 (-)-이성질체)으로 지칭되는 방식에 의해 기재된다. 키랄 화합물은 거울상이성질체 개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비율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세믹 혼합물"이라고 한다.
용어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은 질병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거나 개선시키거나, 치료받는 대상의 생존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인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효과량은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 또는 용량은 넓은 범위에서 다양할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용량은 투여되는 특정 화합물, 투여 경로, 치료받는 상태, 및 치료받는 환자를 포함하는 각각의 개별의 경우에서 개별 요건에 따라 조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략 70 Kg 체중의 성인에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 약 0.1 mg 내지 약 5,000 mg, 약 1 mg 내지 약 1,000 mg, 또는 약 1 mg 내지 약 100 mg의 일일 용량이 적당할 수 있다(처방된는 경우 상기 하한치 및 상한치를 초과할 수 있음). 일일 용량은 단일 용법 또는 분할 용법으로서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의 경우 연속적인 주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성 흡수 지연제, 및 약학 투여와 양립가능한 다른 물질 및 화합물을 비롯하여, 약학 투여와 양립가능한 임의의 모든 물질을 포함하고자 한다. 활성 화합물과 양립가능한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의 종래 매질 또는 시약의 사용이 고려된다. 보충적인 활성 화합물이 또한 상기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다.
달리 지시가 없는 한, 화학식 I 범위 내의 화합물은 이의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즉 (R)-이성질체, (S)-이성질체), 및 라세믹 및 스칼레믹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R1, R2, R3, R4 및 R5가 모두 수소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 이상이 할로겐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 이상이 불소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1, R3 및 R5가 모두 수소이고; R2 및 R4 중 하나는 불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R6, R7, R8, R9 및 R10이 모두 수소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6, R7, R8,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할로겐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6, R7, R8,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염소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6, R8 및 R10이 모두 수소이고; R7 및 R9 중 하나는 염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R11이 수소이다. 더 특정 실시태양에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불소)이고 나머지는 수소이고; R6, R7, R8, R9, R10 및 R11이 모두 수소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11이 하이드록시이다. 더 특정 실시태양에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불소)이고 나머지는 수소이고; R6, R7, R8, R9 및 R10 이 모두 수소이고, R11이 하이드록시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하이드록시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B]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하이드록시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17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18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19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0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1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2
.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3
.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출발물질 및 시약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인 공급처, 예컨대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Aldrich Chemical Co.)로부터 입수 가능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하기 합성 반응식은 단지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합성되는 일부 방법을 예시로 든 것뿐이고, 이러한 합성 반응 반응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적합한 공정은 실시예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예시된 반응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I]
Figure pct00024
메틸 다이아미노벤조에이트(2)(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나이트로 화합물(1)을 수소 및 탄소상의 팔라듐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됨)를 피리딘 알데히드(3)와 축합시키고, 후속적으로 동일 반응계에서 요오드로 산화시켜 벤조이미다졸(4)을 생성한다. 벤조이미다졸의 2-메톡시-3-요오도-피리딘 잔기를 다이옥산 중 염산(4 M)과 반응시켜 3-클로로-피리미돈(5)으로 전환시키고, 몇 시간 동안 100 ℃까지 가열한다. 화합물(5)의 아릴 클로라이드를, 극성 용매(예컨대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N,N-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 중 염기(예컨대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N-메틸모폴린)로 친핵성 방향족 치환시켜 2-페닐-에틸아민으로 대체할 수 있고, 몇 시간 동안 가열한다. 생성된 화합물을 표준 방법,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물 중 수산화리튬을 사용하여 탈에스터화하고 가온하여 벤조이미다졸 카복실산(6)을 수득한다. 산(6)의 축합 및 표준 아미드 커플링 조건(예컨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와 같은 극성 용매 중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으로 벤질 아민을 사용하여 최종 화합물(예컨대 7)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특정 예시적 실시태양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기재되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방법 및/또는 당업자에게 이용가능한 방법에 따라 적절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1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3-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의 합성
2-(4- 요오도 -2- 메톡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Figure pct00025
25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메틸 2,3-다이아미노벤조에이트(1.5 g, 9.03 mmol)를 메탄올(25 mL)과 합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고, 이를 질소 하에서 교반하고 물/드라이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이에, 메탄올(15 mL) 및 DMF(10 mL) 중 용해된 4-요오도-2-메톡시니코틴알데히드(2.37 g, 9.03 mmol)를 적가하였다. 그 동안 반응 생성물에 추가의 메탄올(25.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물/드라이아이스 배쓰에 2.5 시간 동안 유지하고, 3 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가온하고, 이어서 물/드라이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이에, 메탄올(15 mL) 중 용해된 요오드(1.49 g, 5.87 mmol)를 적가하고, 이어서 반응 생성물을 밤새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200 mL) 및 포화된 Na2S2O3(200 mL)로 희석시키고, 혼합하였다. 상당히 불용성 물질이 존재하였고,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분리하고, 생성된 수성 층을 에틸아세테이트(100 mL) 및 DCM(3 x 15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된 Na2S2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적색 오일/고체로서 농축시켰다. 원래의 추출액으로부터의 불용성 고체를 DCM(5 x 100 mL)으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암적색/흑색 고체로서 농축시켰다. 액체 추출된 조질 및 고체 추출된 조질 생성물을 최소한의 DCM 중에 용해시키고, 합하고, 플래쉬(flash)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젤, 120 g, 헥산 중 0 % 내지 60 %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자주색 고체로서 2-(4-요오도-2-메톡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0.73 g). C15H12IN303에 대한 LC/MS 계산치(m/e) 409.0, 측정치 410.0(M+H); 1H NMR(DMSO-d6) δ: 12.68(s, 1H), 8.05(d, J = 5.5 Hz, 1H), 8.01(d, J = 8.0 Hz, 1H), 7.88 - 7.95(m, 1H), 7.67 (d, J = 5.3 Hz, 1H), 7.38(t, J = 7.9 Hz, 1H), 3.96(s, 3H), 3.82(s, 3H). 후속적으로, DCM으로 추출한 후 원래의 불용성 고체 잔사를 비등 메탄올(5 x 20 ml)로 추출하였다. 메탄올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나트륨 염(추정) 및 암자주색 고체(0.57 g)로서 추가적인 생성물(LCMS에 의한 순도 83 %)을 수득하였다. DCM 및 메탄올 추출 후 원래의 불용성 고체 잔사는 나트륨 염(추정) 및 자주색 고체(0.88 g)로서 추가적인 생성물(LCMS에 의한 순도 90 %)을 생성하였다. 합한 수율은 59 %였다.
2-(4- 클로로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 실산 메틸 에스터
Figure pct00026
두 개의 반응을 초기에 동시에 수행하여 가열 전에 합하였다. (20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4-요오도-2-메톡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액체 추출로부터 단리된 고체)(0.88 g, 2.15 mmol)를 1,4-다이옥산(3 mL)과 합하여 흑색 현탁액을 수득하고, 1,4-다이옥산 중 4 M HCl(14.5 mL, 58.1 mmol)을 나누어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0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메틸 2-(4-요오도-2-메톡시-피리딘-3-일)3 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단리됨)(0.73 g, 1.78 mmol)를 1,4-다이옥산(2 mL)과 합하여 흑색 현탁액을 수득하고, 1,4-다이옥산 중 4 M HCl(12 mL, 48.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별개의 반응을 1,4-다이옥산(세정용) 및 1,4-다이옥산(20 mL) 중 4 M HCl의 첨가와 합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오일 배쓰에서 100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고체를 1,4-다이옥산, 물, 1,4-다이옥산 및 헥산으로 세척하고, 하우스 진공으로 건조시켜 흑색 고체로서 2-(4-클로로-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0.91 g, 76.2 % 수율)를 수득하였다. C14H10ClN3O3에 대한 LC/MS 계산치(m/e) 303.0, 측정치 304.1(M+H); 1H NMR(DMSO-d6) δ: 8.05 - 8.16(m,2H), 8.01(d, J = 7.3 Hz, 1H), 7.66 - 7.76(m, 1H), 7.50(t, J = 7.9 Hz, 1H), 3.92 - 4.04 (m, 3H).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Figure pct00027
40 ml의 바이알에서, 2-(4-클로로-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0.91 g, 3.00 mmol), (S)-2-아미노-1-페닐에탄올(822 mg, 5.99 mmol) 및 N-메틸모폴린(909 mg, 988 μL, 8.99 mmol)을 DMF(20 mL)와 합하여 흑색 현탁액을 생성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밀봉하고, 건조 블락(block)에서 85 ℃에서 6.5 시간 동안 가열하고, 주말 동안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물 및 헥산으로 세척하여 연자주색 고체로서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0.87 g, 71.8 %의 수율)를 수득하였다. C22H20N4O4에 대한 LC/MS 계산치(m/e) 404.0, 측정치 405.2(M+H); 1H NMR(DMSO-d6) δ: 13.53(s, 1H), 11.26(d, J = 5.8 Hz, 1H), 10.85(t, J = 5.1 Hz, 1H), 7.85(d, J = 8.0 Hz, 1H), 7.76 - 7.82(m, 1H), 7.55(d, J = 7.3 Hz, 2H), 7.34 - 7.42(m, 3H), 7.26 - 7.34(m, 2H), 6.22(d, J = 7.5 Hz, 1H), 5.80(d, J = 4.5 Hz, 1H), 4.85 - 5.00(m, 1H), 3.98(s, 3H), 3.64 - 3.77(m, 1H), 3.53 - 3.63(m, 1H).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록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Figure pct00028
20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0.87 g, 2.15 mmol) 및 LiOH(258 mg, 10.8 mmol)를 THF(20 mL) 및 물(5 mL)과 합하여 자주색 현탁액을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다음날 반응 생성물을 건조 블락에서 50 ℃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더 많은 물로 희석시키고,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여과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물 및 헥산으로 세척하고, 하우스 진공으로 건조시켜 자주색 고체로서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록-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0.86 g, 102 % 수율)을 수득하였다. C21H18N404에 대한 LC/MS 계산치(m/e) 390.0, 측정치 391.2(M+H); 1H NMR(DMSO-d6) δ: 13.35(s, 1H), 11.19(d, J = 6.0 Hz, 1H), 10.97(t, J = 4.9 Hz, 1H), 7.75(dd, J = 7.7, 3.9 Hz, 2H), 7.56(d, J = 7.3 Hz, 2H), 7.22 - 7.44(m, 5H), 6.20(d, J = 7.5 Hz, 1H), 5.80(br. s., 1H), 4.92(t, J = 5.5 Hz, 1H), 3.54 - 3.74(m, 3H).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3-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
Figure pct00029
10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0.84 g, 2.15 mmol), 3-플루오로-벤질아민(296 mg, 270 μL, 2.37 mmol) 및 DIEA(612 mg, 827 μL, 4.73 mmol)를 DMF(10 mL)와 합하여 흑색 용액을 생성하고, 이에 HATU(982 mg, 2.5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다음날 반응 생성물을 물에 적하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 에틸 에터 및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자주색 고체가 최소 비등 에탄올에 불완전하게 용해되고, 냉각시 형성되는 생성된 고체를 여과시키고, 에탄올 및 헥산으로 세척하여 연자주색 고체로서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수득하였다. C28H24FN5O3에 대한 LC/MS 계산치(m/e) 497.0, 측정치 497.9(M+H); 1H NMR (DMSO-d6-TFA) δ: 11.25(br. s., 1H), 10.77(br. s., 1H), 9.32(t, J = 5.8 Hz, 1H), 7.71 - 7.97(m, 2H), 7.14 - 7.63(m, 10H), 7.03 - 7.13(m, 1H), 6.21(d, J = 7.5 Hz, 1H), 4.84(br. s., 1H), 4.68(br. s., 2H), 3.65(d, J = 12.5 Hz, 1H), 3.46(d, J = 7.0 Hz, 1H).
실시예 2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벤질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30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5N503에 대한 LC/MS 계산치(m/e) 479.0, 측정치 480(M+H), 1H NMR(호변이성질체 1:2; DMSO-d6) δ: 13.38 - 13.52(m, 1H), 11.14 - 11.38(m, 1H), 10.33 - 11.02(m, 1H), 9.18 - 9.43(m, 1H), 7.69 - 7.99(m, 2H), 7.15 - 7.61(m, 12H), 6.12 - 6.30(m, 1H), 5.74 - 5.99(m, 1H), 4.52 - 4.96(m, 3H), 3.49 - 3.30(m, 2H).
실시예 3
2-[4-((S)-2- 하이드록시 -2-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4-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31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4-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4-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4FN503에 대한 LC/MS 계산치(m/e) 497.0, 측정치 498(M+H), 1H NMR(DMSO-d6) δ: 13.35 - 13.53(m, 1H), 11.13 - 11.38(m, 1H), 10.35 - 11.03(m, 1H), 9.19 - 9.42(m, 1H), 7.68 - 7.97(m, 2H), 7.24 - 7.58(m, 9H), 7.08 - 7.22(m, 2H), 6.13 - 6.30(m, 1H), 5.74 - 6.02(m, 1H), 4.49 - 4.98(m, 3H), 3.49 - 3.29(m, 2H).
실시예 4
2-{4-[2-(3- 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벤질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32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클로로-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3-클로로-페닐)-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및 ACN으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합성하였다.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을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LiOH, THF 및 물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을 합성하였다.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4ClN502에 대한 LC/MS 계산치(m/e) 497.0, 측정치 498(M+H).
실시예 5
2-{4-[2-(3- 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4-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
Figure pct00033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4-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4-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3ClFN502에 대한 LC/MS 계산치(m/e) 515.0, 측정치 516(M+H). 1H NMR (호변이성질체, DMSO-d6) δ: 13.30 - 13.51(m, 1H), 11.11 - 11.49(m, 1H), 9.98 - 10.95(m, 1H), 9.06 - 9.36(m, 1H), 7.68 - 8.00(m, 2H), 6.93 - 7.65(m, 11H), 6.22(d, J = 7.3 Hz, 1H), 4.47 - 4.74(m, 2H), 3.59 - 3.85(m, 2H), 3.05(t, J = 6.9 Hz, 2H).
실시예 6
2-{4-[2-(3- 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3-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34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3-카복실산 4-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3ClFN502에 대한 LC/MS 계산치(m/e) 515.0, 측정치 516(M+H). 1H NMR(호변이성질체, DMSO-d6) δ: 13.42(s, 1H), 11.15 - 11.46(m, 1H), 10.00 - 10.91(m, 1H), 9.08 - 9.41(m, 1H), 7.69 - 8.00(m, 2H), 6.98 - 7.59(m, 11H), 6.22(d, J = 7.5 Hz, 1H), 4.49 - 4.78(m, 2H), 3.63 - 3.82(m, 2H), 3.05(t, J = 6.8 Hz, 2H).
실시예 7
2-{4-[2-(3- 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옥소-1,2- 다이하이드로 -피리딘-3-일}-3H- 벤조이미다졸 -4- 카복실산 2- 플루오로 - 벤질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35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2-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수득하는 2-[4-((S)-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3-플루오로-벤질아미드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벤질아민, DIEA, HATU 및 DMF로부터 2-{4-[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3H-벤조이미다졸-4-카복실산 2-플루오로-벤질아미드를 합성하였다. C28H23ClFN502에 대한 LC/MS 계산치(m/e) 515.0, 측정치 516(M+H). 1H NMR(호변이성질체, DMSO-d6) δ: 13.33 - 13.49(m, 1H), 11.14 - 11.45(m, 1H), 10.05 - 10.92(m, 1H), 9.08 - 9.32(m, 1H), 7.70 - 7.98(m, 2H), 7.02 - 7.61(m, 11H), 6.16 - 6.32(m, 1H), 4.53 - 4.80(m, 2H), 3.43 - 3.84(m, 2H), 2.75 - 3.12(m, 2H).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소중한 특성을 지닌다. 상기 화합물은 더 정확한 약학적 시험 및 연구를 위해 줄기세포를 더 성숙하거나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유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줄기세포를 더 성숙하거나 성인-유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있어서 본원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분석에 의해 입증된다. 또한, HBV에 대한 세포 감수성을 나타내는 숙주 유전자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가 또한 기재된다.
인간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를 사용한 생체 외 시험
인간 iPSC 유래된 간세포(아이셀(등록상표) 간세포)를 성인의 기관을 더 잘 모델링하는 작용성이 더 크게 하는 조건을 식별할 목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노출시켰다. 성인 1차 인간 간세포와 비교시 hiPSC 유래된 간세포에서 미숙한 표현형을 나타내거나 낮은 간세포 기능의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32 개의 유전자 발현을 검사하는데 높은-처리량의 미세유체 정량 RT-PCR(qRT-PCR)을 사용하였다. 1차 스크리닝 동안, 성숙-관련 유전자의 수가 상당히 증가한 다수의 화합물이 식별되었다. 2차 스크리닝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가 승인되고 확인되었고, 기능성 결과가 조회되었다.
세포 및 배양 조건
새로운 아이셀(등록상표) 간세포(20 내지 30 일)를 플레이팅하고 아이셀 간세포 해리 및 플레이팅 사용자의 지침(iCell Hepatocytes Dissociation and Plating User’s Guide)에 따라 96 웰 바이오 콜라겐 IV(BIO Collagen IV) 코팅된 플레이트(BD 카탈로그 번호 354429)에서 웰 당 60 k 세포로 배양하였다. 플레이팅한지 4 시간 후 매질 C를 제거하고 매질 D 중 1:50 마트리겔(Matrigel)(카탈로그 번호 354227) 오버레이(overlay)로 대체하였다. 세포를 플레이팅한지 24 시간 후 매질 D 및 1 %의 DMSO 중에 5μM로 투여하였다. 3 일 후, 매질을 제거하고 다시 5 μM을 투여하였다. 4 일 후, RNA를 얻었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화합물 처리 후 다양한 시점에 -80℃에서 동결된 타크만(TaqMan, 등록상표) 유전자 발현 셀즈-투-씨티(Cells-to-CT, 상표) 키트(라이프 테크롤로지즈(Life Technologies) 카탈로그 번호 4387299)를 사용하여 샘플 RNA를 단리하였다. 바이오마크 플루이다임(Biomark Fluidigm) 96.96 칩(비엠케이-엠(BMK-M)-96.96) 및 에이비아이 타크만(ABI Taqman) 탐침을 사용하는 미세유체 정량 PCR에 의해 모든 샘플을 처리하였다. 바이오가젤 큐베이스(Biogazelle qBASE) 및 게놈(Genor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표준화 및 모델-기초 발현 측정치를 계산하였다. 모든 샘플 데이타는 3 회 평균이고 이를 상대적 유전자 발현 값에 대해 5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유전자로 표준화시켰다. 발현 값은 비히클 컨트롤에 대한 배수 변화로 계산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한다.
세포의 성숙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상되는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을 변경시키는 화합물의 능력, 예컨대 성인 특이적 표시자의 증가 또는 태아 특이적 표시자의 감소에 기초하여 상단 화합물 적중을 선택하였다. 2차 확인을 위해 더 넓은 패널의 유전자에 대한 용량 반응으로 스크린 화합물 적중을 선택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이 다양한 용량에서의 간세포 기능에 걸친 유전자의 전반적 증가를 야기하였음이 발견되었다(도 1). 실시예 1의 화합물 및 5 개의 다른 구조적 유사체(실시예 2 내지 7)로의 노출은 성숙-연관 유전자의 패널의 유전자 발현에 기초하여 아이셀 간세포에서 유사한 표현형 변화를 초래하였다(도 2).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사용한 결과는, 아이셀 간세포의 5+ 독립 배치 상에 재생가능한 유전자 발현 변화를 나타내었고 작용 기전 및 기능성 결과의 확인을 목표로 추가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시, 아이셀 간세포는 HBV의 다양한 유전자형으로 감염될 수 있고, IHC 및 ELISA에 기초하여 견고한 수의 감염된 간세포를 생성한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된 아이셀 간세포는,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ISG) 발현에 대한 동적 효과를 포함하여, 숙주 유전자를 상향 및 하향 조절시킨다: 도 7a, 7b, 7c 및 표 1을 참조한다.
혈청으로부터 HBV 의 정제
HBV-함유 혈청 200 μL를 SW41 튜브에서 10 내지 50 %의 옵티프렙(Optiprep) 구배 상에 적용시켰다. 샘플을 4 ℃에서 2 시간 동안 100,000 x g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상층에서 500 μL 분획을 모으고; 각 분획을 HBsAg(ELISA) 및 HBV DNA(타크만 PCR)에 대해 분석하였다. 바이러스 함유 분획을 -80 ℃에서 저장하였다. 도 6e 및 6f를 참조한다.
아이셀 간세포의 HBV 로의 감염
새로운 아이셀(등록상표) 간세포(20 내지 23 일)를 플레이팅하고 아이셀 간세포 해리 및 플레이팅 사용자의 지침에 따라 96 웰 바이오 콜라겐 IV 코팅된 플레이트(BD 카탈로그 번호 354429)에서 웰 당 60 k 세포로 배양하였다. 플레이팅한지 4 시간 후 매질 C를 제거하고 매질 D 중 1:50 마트리겔(카탈로그 번호 354227) 오버레이로 대체하였다. 플레이팅한지 24 시간 후, 세포를 1 %의 DMSO를 함유한 매질 D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 1 μM로 처리하였다. 2 일 후, 새로운 화합물을 함유한 매질을 보충하였다. 플레이팅한지 4 일 후, 세포를 MOI(감염 다중도) 10으로 HBV로 감염시켰다. 간략하게, 정제된 바이러스를 실시예 1의 화합물을 함유한 매질 D로 희석시키고, 4 시간 내지 6 시간 또는 밤새 세포와 배양시켰다. 바이러스 접종원을 제거한 후, 실시예 1의 화합물 1 μM을 함유한 새로운 매질을 첨가하고, 세포를 2 일마자 매질을 바꿔주면서 14 일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매질을 분비된 바이러스 항원(HBsAg, HBeAg) 및 HBV DNA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 3, 4, 5 및 6a 내지 6d를 참조한다.
함께 살펴보면, 상기 데이타는 내생 신호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이셀 간세포 기능성을 개질시키는 신속하고 효율적이고 비유전적이며 경제적인 수단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HBV로 감염시킨 아이셀 간세포의 발생은 기본적인 바이러스학 및 약물 발견 방법을 제공한다. 줄기세포 유래된 세포의 기능적 개선에 대한 소분자 라이브러리 스크린은 약물 발견의 생체 외 평가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 수 있다.

Claims (28)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
    [화학식 I]
    Figure pct00036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가 모두 수소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 이상이 할로겐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 이상이 불소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 R3 및 R5가 모두 수소이고; R2 및 R4 중 하나는 불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6, R7, R8, R9 및 R10이 모두 수소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R6, R7, R8,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할로겐인,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R6, R7, R8,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염소인,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R6, R8 및 R10이 모두 수소이고; R7 및 R9 중 하나는 염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인,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R11이 수소인,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가 불소이고 나머지는 수소이고; R6, R7, R8, R9, R10 및 R11이 모두 수소인,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R11이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가 불소이고 나머지는 수소이고; R6, R7, R8, R9 및 R10이 모두 수소이고; R11이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37
    .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38
    .
  1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39
    .
  17.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40
    .
  18.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41
    .
  1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42
    .
  20.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43
    .
  21.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
    [화학식 IA]
    Figure pct0004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다.
  2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B의 화합물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
    [화학식 IB]
    Figure pct00045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다.
  23. 제 1 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4. 제 1 항의 화합물을 줄기세포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세포가 간염 B 바이러스에 감염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된 간세포가 간염 B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스크린 화합물로 사용되는,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인터페론-자극된 유전자가 분화된 간세포에서 하향 조절된,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세포가 간염 B 바이러스에 감염된, 방법.
KR1020157025369A 2013-03-15 2014-03-12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KR10176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2019P 2013-03-15 2013-03-15
US61/792,019 2013-03-15
US201361811155P 2013-05-22 2013-05-22
US61/811,155 2013-05-22
PCT/EP2014/054763 WO2014140058A1 (en) 2013-03-15 2014-03-12 Compounds for improved stem cell differentiation into hepatocy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42A true KR20150119342A (ko) 2015-10-23
KR101767802B1 KR101767802B1 (ko) 2017-08-11

Family

ID=502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369A KR101767802B1 (ko) 2013-03-15 2014-03-12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334480B2 (ko)
EP (1) EP2970178B1 (ko)
JP (1) JP6129360B2 (ko)
KR (1) KR101767802B1 (ko)
CN (1) CN105051023B (ko)
BR (1) BR112015023185A2 (ko)
CA (1) CA2900690A1 (ko)
HK (1) HK1217199A1 (ko)
MX (1) MX346497B (ko)
RU (1) RU2662954C2 (ko)
WO (1) WO2014140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0441A1 (en) 2017-12-04 2020-10-14 H. Hoffnabb-La Roche Ag Pyrrolo[2,3-b]pyrazine compounds as cccdna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U2021235252A1 (en) 2020-03-11 2022-10-06 Bit Bio Limited Method of generating hepatic cel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8171B2 (en) * 2002-04-12 2009-03-03 Anthrogenesis Corporation Modulation of stem and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assays, and uses thereof
EP1669441A1 (en) * 2003-08-27 2006-06-14 Renomedix Institute Inc. Method of differentiating mesenchymal stem cell into liver cell and artificial human liver cell
WO2007136300A2 (fr) * 2006-05-23 2007-11-29 Alla Chem, Llc Indoles substitués et procédé de production et d'utilisation de ceux-ci
JP6008297B2 (ja) * 2011-04-15 2016-10-19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ヒト間葉系幹細胞を肝細胞へ分化誘導する新規化合物の合成と解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0178A1 (en) 2016-01-20
WO2014140058A1 (en) 2014-09-18
JP6129360B2 (ja) 2017-05-17
CN105051023A (zh) 2015-11-11
JP2016511276A (ja) 2016-04-14
KR101767802B1 (ko) 2017-08-11
MX346497B (es) 2017-03-22
HK1217199A1 (zh) 2016-12-30
US20150197726A1 (en) 2015-07-16
EP2970178B1 (en) 2017-06-14
RU2662954C2 (ru) 2018-07-31
MX2015011505A (es) 2016-01-22
US20150158840A1 (en) 2015-06-11
US9181218B2 (en) 2015-11-10
CN105051023B (zh) 2017-08-22
BR112015023185A2 (pt) 2017-07-18
CA2900690A1 (en) 2014-09-18
US9334480B2 (en) 2016-05-10
RU2015140469A (ru)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9018650B1 (pt) Composto inibidor de antígeno de superfície de vírus da hepatite b,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seus usos
JP2011148833A (ja) 抗ウィルス剤の機能を有する両複素環連結化合物および当該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の、ウィルス性疾患の治療における応用
WO2017219915A1 (zh) 一种腺嘌呤衍生物的膦酸酯前药及其在医药上的应用
KR101767802B1 (ko)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개선되게 분화시키기 위한 화합물
JP7250015B2 (ja) 抗HBVのテトラヒドロイソキサゾロ[4,3-c]ピリジン類化合物
CN113801153B (zh) 一种含硼酸及硼酸频哪醇酯基团的苯磺酰胺类hbv衣壳蛋白抑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200956B (zh) 一种磺胺苯甲酰胺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098212B2 (ja) B型肝炎ウイルス(HBV)感染の処置のためのcccDNA阻害剤としてのピロロ[2,3-b]ピラジン化合物
CN101066981A (zh) 非环核苷膦酸酯类化合物及其组合物、制备方法和用途
JP7072213B2 (ja) B型肝炎抗原タンパク質を標的としたイメージング用petプローブ
WO2016184361A1 (zh) 抗丙肝病毒的核苷类化合物及其应用
JP6021148B2 (ja) Lst−1及び/又はlst−2によって輸送される化合物
WO2020103924A1 (zh) 一种乙肝表面抗原抑制剂的晶型
EP3964509B1 (en) Compound containing fused ring, use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N112521400B (zh) 一种乙肝表面抗原抑制剂的晶型及其应用
WO2023169119A1 (zh) 化合物的固体形式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7624176A (zh) 抗乙肝化合物的制备方法和中间体
CN117730074A (zh) 作为mpro蛋白酶和sars-cov-2复制的抑制剂的利尿酸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