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21A -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21A
KR20150118721A KR1020140044613A KR20140044613A KR20150118721A KR 20150118721 A KR20150118721 A KR 20150118721A KR 1020140044613 A KR1020140044613 A KR 1020140044613A KR 20140044613 A KR20140044613 A KR 20140044613A KR 20150118721 A KR20150118721 A KR 2015011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ent
highlight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766B1 (ko
Inventor
유재봉
강혁
홍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66B1/ko
Priority to EP15163006.8A priority patent/EP2933718B1/en
Priority to CN201580011990.1A priority patent/CN106062706B/zh
Priority to PCT/KR2015/003618 priority patent/WO2015160148A1/en
Priority to US14/687,697 priority patent/US10417974B2/en
Publication of KR2015011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8Gradation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전원을 부분적으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만이 보여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경우에, 전자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콘텐트와 다른 콘텐트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통해 표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일부 영역의 크기,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등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는 오동작을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부분까지 밝게 표시하고, 소모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입장에서, 예를 들면, 추가적인 입력을 통해 일부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를 실행할 수 없으며, 일부 영역에 대한 조작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현재 조도가 낮은 상태(예: 극장, 비행기, 기차 또는 버스 등에서 점등된 상태)에서, 꺼져 있던 화면의 전체 영역이 갑자기 켜지는 경우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다른 사람의 눈부심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전체 영역이 갑자기 켜짐에 따라,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화면에 보안이 필요한 정보(예: 프라이버시)가 밝게 표시되는 경우에, 이러한 보안 정보가 사용자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context)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고, 해당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제어방법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context)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context)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고, 해당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 상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일부 영역의 위치, 크기,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등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일부 영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일부 영역의 크기, 형태,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거나, 일부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일부 영역에 표시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일부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조도가 낮은 환경(예: 극장, 비행기, 기차 또는 버스 등에서 점등된 상태)에서, 일부 정보 또는 일부 영역만을 표시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또한, 사용자의 상황 또는 전자 장치의 상태 등에 따라, 보안이 필요한 정보(예: 프라이버시) 등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어, 사용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제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표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절전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제2,""첫째,""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밴드, 전자 목걸이, 기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애플TVTM,또는 구글 TVTM),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또는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는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및 표시 제어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는,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는,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이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이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상기 전자 장치 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 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는 상기 프로세서 120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는 상기 전자 장치 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132(recommended standard 1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106는 상기 전자 장치 101에서 구현되는 동작(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구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106는 상기 전자 장치 101에 구현된 표시 제어 모듈 170을 지원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서버 모듈 1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 제어 서버 모듈 108은 표시 제어 모듈 17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표시 제어 모듈 170이 수행하는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예: 대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 서버 모듈 108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에 탑재할 수 있는 콘텐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또는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 서버(예: 앱스토어)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예를 들면,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상기 프로세서 120를 이용하여 또는 상기 프로세서 120와 독립적으로, 외부로 표현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 15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150를 통해 표시할 정보(예: 콘텐트(content))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지정된 정보(예: 콘텐트(content))를 표시할 위치 또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하이라이트 영역)이, 다른 영역(예: 비가시 영역, 약가시 영역 또는 절전 표시 영역 등)과 다른(예: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픽셀)을 끄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하나의 색상만 출력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 각각의 복수의 서브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응되는 서브픽셀만 켜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그래픽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 120에 의해 수행되는 로직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2를 통하여 상기 표시 제어 모듈 170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제어 모듈 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 200(예: 표시 제어 모듈 170)은, 콘텐트 결정 모듈 210, 영역 설정 모듈 220 및 화면 제어 모듈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 위치, 시간, 배터리 상태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황 정보는,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움직임, 속도, 전자 장치 주변의 조도, 전자 장치 자체의 발광 정도,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생체 정보(심박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황 정보는 전자 장치의 액세서리 기기(커버, 케이스, 웨어러블 기기)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타입(type), 크기(size), 치수(dimension), 색상, 연결(착용) 상태 또는 커버의 개폐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자동차 제어 유닛(car headunit) 또는 자동차 키트(car kit)인 경우에,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밝기, 조도 또는 날씨 등의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획득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표시할 콘텐트(예: 뉴스, 날씨, 일정, 추천 콘텐트 또는 행동 가이드 등)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발생한 이벤트(예: 사용자 입력, 알람(alarm), 알림(alert) 또는 통지(notification) 등)에 반응하여, 이벤트와 연관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환경 정보 센서 모듈(예: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예: 조도)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예: 현재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약한 경우)에, 주변 환경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예: 현재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경우)에, 상태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콜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잠금(lock)이 설정된 경우에, 현재 날짜, 요일, 시각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연관된 방문 기록에 실시간으로 뉴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웹 사이트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뉴스를 조회하여, 최근에 업데이트된 뉴스를,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높은 가시 상태로 표시될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대적으로 낮은 가시 상태로 표시될 다른 영역(예: 비가시 영역, 약가시 영역, 절전 표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상황 정보, 기설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상황 정보, 기설정된 형태, 사용자 입력 또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예: 원형, 사각형 등)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상황 정보, 기설정된 크기, 사용자 입력,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상황 정보, 기설정된 크기, 사용자 입력,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액세서리(예: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 또는 액세서리의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 시야에 오픈되어 있는 영역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예: 웨어러블 기기)의 타입, 크기, 수치, 색상 또는 밝기(발광 정도) 등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밝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자동차 제어 유닛 또는 자동차 키트)와 관련된 환경 정보(예: 밝기, 조도 또는 날씨)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밝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움직임, 속도, 조도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심박수) 등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밝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야간 조깅 또는 야간 운전 중에는 주간 조깅 또는 주간 운전인 경우보다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결정하거나 밝기를 상대적으로 밝게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자동차 제어 유닛 또는 자동차 키트)와 관련된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밝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홈 오토메이션 기기(예: 스마트 조명, 스마트 티비 또는 스마트 가전기기 등)인 경우에 전자 장치와 관련된 조도 정보 또는 발광 상태 정보 등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밝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차단 콘텐트로 판단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 중 차단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영역 설정 모듈 2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차단 콘텐트가 보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화면 중 차단 콘텐트가 표시될 영역을 비가시 영역, 약가시 영역 또는 절전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야간 조깅 또는 야간 운전 중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가시성을 보다 높이고, 불필요한 정보의 응시를 방지하도록 차단 콘텐트가 표시될 영역을 비가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예: 비가시 영역, 약가시 영역 또는 절전 표시 영역 등)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픽셀을 끌 수 있다(비가시 영역).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로 출력하거나, 콘텐트와 무관한 동일한 색상(예: 블랙)을 출력하거나 나머지 영역의 서브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응되는 서브픽셀만 켤 수 있다(약가시 영역 또는 절전 표시 영역).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기설정된 크기, 사용자 입력, 상황 정보 또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예: 크기, 모양, 밝기, 휘도, 색상, 채도, 선명도, 투명도, 감마, 해상도, 명암비, 시야각, 색 재현율, 색온도, 계조 선형성, 투과도 또는 대비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하이라이트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 중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는 전력(또는 신호)을 차단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상황 정보, 기설정된 크기, 사용자 입력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예: 크기 또는 해상도 등)을 조정(확대)할 수 있다.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야간 조깅 또는 야간 운전 중에는 주간 조깅 또는 주간 운전인 경우보다 콘텐트를 상대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상황 정보, 기설정된 설정 정보, 사용자 입력, 상황 정보 또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색상을 조정(예: 반전 또는 그레이 스케일링)하거나, 크기를 조정(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하이라이트 영역을 회전시키거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인식하면, 하이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인식된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근접 이동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인식하면, 근접 이동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에 반응하여, 적어도 하이라이트 영역이 근접 이동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이 릴리즈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화면 제어 모듈 230은,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콘텐트가 보여지는 동안에,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면, 인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를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의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도록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적어도 일부 픽셀과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 중 적어도 일부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이 서로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콘텐트가 보여지는 동안에,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면, 이벤트에 반응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 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일부 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드들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1 모드(예: 읽기 모드)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모드(예: 쓰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드들은,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모드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변경시키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실행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모드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속성 등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제 3 모드와 달리,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속성 등을 고정된 상태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실행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제어 모듈 230은, 예를 들면, 결정된 콘텐트(예: 웹 페이지), 지정된 설정 정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예: 더블 터치),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가장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현재 설정된 모드(예: 제 1 모드)를 다른 모드(예: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표시 제어 모듈 200이, 콘텐트 결정 모듈 210, 영역 설정 모듈 220, 및 화면 제어 모듈 230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개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제어 모듈 200은 콘텐트 결정 모듈 210, 영역 설정 모듈 220, 및 화면 제어 모듈 23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표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른 일부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가시 상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종이(e-pap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주변 환경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를 생성하는 환경 정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상태와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콜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또는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 또는 상기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 위치, 시간, 배터리 상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액세서리와 관련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정보 혹은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잠금(lock)이 설정된 경우에, 현재 날짜, 요일, 시각 또는 그들의 조합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방문 기록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예: 뉴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상황 정보, 지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근접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 또는 크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차단 콘텐트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차단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상황 정보 또는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setting)을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attribute)을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색상, 밝기 또는 크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콘텐트를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좌우를 반전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제 1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제 2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복수의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적어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상기 콘텐트, 지정된 설정 정보,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a,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예: 사용자 입력, 알람(alarm), 알림(alert) 또는 통지(notification) 등)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전자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01에서 감지된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예: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일부 표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꺼진 상태인 경우에, 일부 표시 기능의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상황 정보(예: 이벤트 관련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05에서 수집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예: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11에서 인식된 제 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예: 가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317에서, 동작 315에서 인식된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 위치,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5 내지 317의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사용자 입력은 제 1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입력이거나,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사용자 입력은 제 1 사용자 입력과 동종이거나 또는 이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근접 또는 터치 입력이고, 제 2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시선 입력일 수 있으며, 또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동작 319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일부 표시 기능의 복수의 모드들, 예를 들면,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지정된 설정 정보(예: 디폴트 모드 정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예: 근접 또는 터치 입력),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가장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19 다음의 A 동작은 도 3b의 A 동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동작 321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13을 통해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동작 307을 통해 결정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323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콘텐트가 표시되는 동안에,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하여 현재 동작중인 모드가 제 1 모드인지 제 2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325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23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가 현재 제 1 모드이고,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3 사용자 입력(예: 근접 이동 입력, 스와이프 입력 또는 시선 이동 입력)을 인식하면, 동작 327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예: 가시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331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동작 323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가 현재 제 2 모드이고,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4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을 인식하면, 동작 333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제 4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33은,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웹 문서 중 제 4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이퍼링크와 연결된 콘텐트의 표시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배경 화면 인터페이스 중 제 4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의 아이콘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35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5 사용자 입력 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현재 모드를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또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모드 전환에 따라, 전자장치는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콘텐트 표시 과정(예: 동작들 319 내지 331)을 반복할 수 있다. 동작 335에서 모드 전환이 있는 경우 전자장치는 B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B 동작은 도 3a의 B 동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동작 337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일부 표시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예: 동작 303 내지 335)에서 전자 장치와 관련한 다른 이벤트가 감지되면, 감지된 다른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에 반응하여, 일부 표시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339에서,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일부 표시 기능이 해제되면, 일부 표시 기능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표시 제어 모듈 17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전체를 통해 콘텐트를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전체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 기능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예: 동작 301 내지 339)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처리되거나, 해당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들 410, 420 및 43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는, 화면 410과 같이,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들)이 꺼진 상황에서, 전자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예: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쥔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이 지정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에, 감지된 움직임에 반응하여, 일부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라이트 영역의 설정을 위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화면 420과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 425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더블 터치)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면,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인식된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에, 인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 425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속성(예: 밝기)은, 예를 들면, 지정된 설정 정보,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다른 정보(예: 근접 입력의 근접 거리, 근접 또는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등),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조도 정보, 시각 정보, 위치 정보,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화면 430과 같이, 하이라이트 영역 433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나머지 영역보다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출력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 433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 433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 43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이라이트 영역 433은 화면의 픽셀들이 꺼지기 전 또는 일부 표시 기능에 진입하기 전에 표시되던 상태에 비해 소모 전력을 감소시킨 상태,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예: 픽셀이 꺼지기 전의 밝기의 약 50%)로 출력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영역 43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된 콘텐트(예: 현재 시간 정보 435)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하이라이트 영역 433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배경 화면 중 하이라이트 영역 433에 대응하는 배경 화면 인터페이스 부분, 화면의 픽셀들이 꺼지기 전 또는 일부 표시 기능에 진입하기 전에 수행되던 어플리케이션 중 하이라이트 영역 433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부분 437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영역 433과 관련하여, 복수의 레이어들을 통해 결정된 콘텐트(예: 현재 시간 정보 435)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어들은, 적어도 제 1 레이어 및 제 1 레이어의 하위에 있는 제 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이어는, 예를 들면, 적어도 콘텐트(예: 현재 시간 정보 435)를 표시하는 계층일 수 있다. 제 2 레이어는 배경 화면 중 하이라이트 영역 433에 대응하는 배경 화면 인터페이스 부분, 화면의 픽셀들이 꺼지기 전 또는 일부 표시 기능에 진입하기 전에 수행되던 어플리케이션 중 하이라이트 영역 433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부분 437등을 표시하는 계층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레이어들 간의 상하위 계층 관계에 기반하여, 예를 들면, 제 2 계층의 표시에 중첩하여, 제 1 계층의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예: 더블 터치),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가장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에 표시한 콘텐트,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등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표시한 콘텐트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화면 440과 같이,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 443의 콘텐트가 현재 시간 정보(예: 435)에서 인터넷 문서로 변경되는 경우에, 하이라이트 영역 443의 모양을 이전의 원 형태에서 문서 보기에 적합한 직사각형 형태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결정된 콘텐트, 지정된 설정 정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예: 더블 터치),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가장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일부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된 모드를 설정하거나, 현재 설정된 모드(예: 제 1 모드)를 다른 모드(예: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복수의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드들은, 예를 들면, 적어도 제 1 모드(예: 읽기 모드) 및 제 2 모드(예: 쓰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모드는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근접 이동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 등)에 따라,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제 2 모드는,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일부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실행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드들은,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모드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변경시키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실행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모드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속성 등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제 3 모드와 달리,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또는 디스플레이 속성 등을 고정된 상태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실행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화면의 일부(예: 상단부)에 현재 동작 중인 모드가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모드인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4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표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계층 구조 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계층 구조 500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 알림 계층 520, 오버레이 계층 530 및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계층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windows application layer) 510은,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계층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들은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위 또는 하위에 배치되거나 동일 레벨로 배치될 수 있다.
알림 계층(alert layer) 520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windows application layer)의 상위에 위치하여, 상위 계층과 독립적으로, 외부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전자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 계층 520은,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을, 해당 이벤트에 반응하여,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위에서 표시할 수 있다. 알림 계층 520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예를 들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에 표시된 화면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오버레이 계층(overlay layer) 530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 및 알림 계층 520의 상위에 위치하여, 전자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처리하지 않고, 전자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하위 계층인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계층 5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은, 오버레이 계층 530의 상위에 위치하여, 전자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 중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이벤트에 반응하여, 하이라이트 영역 또는 나머지 영역(예: 비가시 영역, 약가시 영역 또는 절전 표시 영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 중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근접 입력 550 또는 터치 입력 560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이라이트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은,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은,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예: 근접 입력 550, 터치 입력 560)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시각적 표현을 출력할 수 있다. 일부 표시 구현 계층 54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며, 잠금 기능을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끄거나, 하나의 색상(예: 블랙)으로 표시된 화면으로 덮거나, 낮은 가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610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610(예: 전자 장치 101)는, 일부 표시 기능의 수행을 위한 이벤트의 적어도 일부로, 전자 장치 61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예: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610와 관련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610는, 전자 장치를 소지한 팔을 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 610의 움직임 620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6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움직임 620 에 반응하여,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콘텐트(예: 현재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 630의 위치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정보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 645(예: 근접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시선 입력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화면 640과 같이, 결정되거나, 제 2 사용자 입력 655(예: 근접 이동 입력, 스와이프 입력, 또는 시선 이동 입력 등)에 기반하여, 화면 650과 같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절전 표시 화면 7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전 표시 화면 720은, 일반적인 표시 화면 710보다 낮은 가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절전 표시 화면 720은,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해, 콘텐트 위에 중첩되어, 동일한 색상(예: 블랙)의 픽셀 740들이 격자 무늬로 배치된 형태 730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전 표시 화면 720은, 적어도 콘텐트를 표시하는 제 1 레이어 및 제 1 레이어의 상위에서 동일한 색상(예: 블랙)을 격자 무늬로 출력하는 제 2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절전 표시 화면 720과 관련된 실험 결과, 사용자가 절전 표시 화면 720으로부터 지정된 범위(예: 약 34 cm 이상)의 거리에서 절전 표시 화면 720을 응시하는 경우에, 절전 표시 화면 720은, 화면 티어링(또는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저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절전 표시 화면 720은, 예를 들면, 절전 표시 화면의 픽셀들 중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예: 블랙)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절전 표시 화면 720과 같은 표시 방법은, 예를 들면,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예: 절전 표시 영역)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는, 아몰레드(AMOLED, 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기반의 전자 장치(예: 기기 A, 기기 B)에서, 일정 전압(약 4V)이 인가된 상태에서, 바탕색이 각각 화이트 및 블랙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한 표이다.
기기 기본(default) 최대(max)
휘도 White Black 휘도 White Black
A 160cd 892mW 264mW 335cd 1824mW 264mW
B 139cd 1080mW 624mW 298cd 1708mW 624mW
상기한 표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 A는, 기본 상태(휘도가 약 160 cd인 상태)인 경우에 바탕색이 블랙인 경우에는, 약 264 mW의 전력을 소모하는 반면에, 바탕색이 화이트인 경우에, 블랙인 경우의 약 3.4배인 약 892 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 A는, 최대 휘도를 갖는 상태(휘도가 약 335 cd인 상태)인 경우에는, 바탕색이 블랙인 경우에는, 기본 상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약 264 mW의 전력을 소모하는 반면에, 바탕색이 화이트인 경우에 블랙인 경우의 약 6.9배인 1824 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 B는, 기본 상태(휘도가 약 139 cd인 상태)인 경우에 바탕색이 블랙인 경우에는, 약 624 mW의 전력을 소모하는 반면에, 바탕색이 화이트인 경우에, 블랙인 경우의 약 1.7배인 약 1080 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 B는, 최대 휘도를 갖는 상태(휘도가 약 298 cd인 상태)인 경우에는, 바탕색이 블랙인 경우에는, 기본 상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약 624 mW의 전력을 소모하는 반면에, 바탕색이 화이트인 경우에 블랙인 경우의 약 2.7배인 1708 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상기한 표를 참조할 때,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는, 바탕색으로 화이트를 이용하게 되면, 블랙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 대비할 때, 약 1.7 내지 6.9 배의 전력이 더 소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서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을 하나의 색상을 이용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블랙 색상을 이용하는 것이 전력 소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서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바탕색으로, 블랙 색상을 이용하는 것이 전력 소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절전 효과를 예로 들어 기술하고 있으나, 아몰레드와 유사한 구동 원리를 갖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예: ㅣ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 등)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러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800는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한 설정 정보를 지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 810 및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한 설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인디케이터 8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 메뉴 810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속성(예: 밝기) 811, 크기 812,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모드 813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고정 여부 814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820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 그룹 821, 하이라이트 영역의 고정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그룹 822 및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모드를 823를 나타내는 제 3 이미지 그룹 8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다르면, 인디케이터 820는, 제 1 내지 제 3 이미지 그룹들 821 내지 823에 속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측(예: 상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들 910, 920, 930 및 94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소모 전력 절약, 오동작 방지 또는 보안 등을 위해,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예: 화면 표시 기능 또는 화면과 관련된 근접 또는 터치 입력 수신 기능 등)을 제한하는 잠금(lock)이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잠금이 설정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거나, 현재 전자 장치가 잠금 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지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발생한 이벤트 등에 반응하여 일부 표시 기능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과 관련된 정보(예: 현재 날짜, 요일, 시각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화면 910과 같이,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 913을 통해, 현재 시점과 관련된 정보 916(예: 현재 시각, 날짜 또는 요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상황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웹 사이트 방문 기록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웹 사이트 방문 기록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웹 사이트의 방문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방문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저장 매체(예: 내장 메모리, 외장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에 저장하거나,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일부 표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웹 사이트 방문 기록에 지정된 웹 사이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웹사이트 방문 기록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예: 뉴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웹 사이트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화면 920과 같이,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 923을 통해,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 926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임계값보다 낮거나 사용자에 의해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일부 표시 기능에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화면 930과 같이,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해,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 933을, 예를 들면, 일반적인 화면의 표시 상태에 비해 소모 전력을 감소시킨 표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이 복수의 서로 다른 색상들의 서브픽셀들의 조합(예: RGB(red-green-blue) 또는 RGBW(red-green-blue-white))들인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픽셀들 각각의 서브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응하는 서브픽셀만을 켜서, 하이라이트 영역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일부 표시 기능과 관련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해, 하이라이트 영역 93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936을, 예를 들면, 나머지 영역 936의 해당 픽셀들을 끄는 방법 등으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소모 전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나머지 영역의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차단 콘텐트(예: 유해 콘텐트, 스팸 콘텐트 또는 광고 콘텐트)인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 콘텐트로 판단되는 경우에, 자체적으로, 일부 표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차단 콘텐트와 관련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차단 콘텐트와 관련된 이벤트에 반응하여, 차단 콘텐트의 표시를 차단하기 위해, 일부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화면 940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차단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 946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일부 표시 기능의 하이라이트 영역 943으로 설정하여, 하이라이트 영역 943을 통해, 예를 들면, 표시될 콘텐트 중 차단 콘텐트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 10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예: 콘텐트 결정 모듈 210)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context)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에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예: 영역 설정 모듈 22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예: 화면 제어 모듈 230)는, 입력에 반응하여, 동작 1020에서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처리되거나, 해당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동작이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표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 위치, 시간, 배터리 상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액세서리와 관련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정보 혹은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제 1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제 2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잠금(lock)이 설정된 경우에, 현재 날짜, 요일, 시각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방문 기록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지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근접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 또는 크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차단 콘텐트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차단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상황 정보 또는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setting)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전원을 끄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attribute)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색상, 밝기 또는 크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콘텐트를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좌우를 반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근접 이동 입력, 스와이프 입력 또는 시선 이동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의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과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이 서로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제 1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제 2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복수의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기반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적어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콘텐트, 지정된 설정 정보,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101를 도시한 블록도 1100이다. 상기 전자 장치 11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10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110, 통신 모듈 11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1124, 메모리 1130, 센서 모듈 1140, 입력 장치 1150, 디스플레이 모듈 1160, 인터페이스 1170, 오디오 모듈 1180, 카메라 모듈 1191, 전력관리 모듈 1195, 배터리 1196, 인디케이터 1197 및 모터 1198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11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1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11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11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101(예: 상기 전자 장치 1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1120은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NFC 모듈 11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1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11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상기 AP 11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11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11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11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1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11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1123, 상기 BT 모듈 1125, 상기 GPS 모듈 1127 또는 상기 NFC 모듈 11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1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11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1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129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1129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및 NFC 모듈 1128이 하나의 RF 모듈 11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1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1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130(예: 상기 메모리 130)는 내장 메모리 1132 또는 외장 메모리 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11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11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1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1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11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101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1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1140A, 자이로 센서 1140B, 기압 센서 1140C, 마그네틱 센서 1140D, 가속도 센서 1140E, 그립 센서 1140F, 근접 센서 1140G, color 센서 11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1140I, 온/습도 센서 1140J, 조도 센서 11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11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11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11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1154, 키(key) 11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11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11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11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11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11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1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1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11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11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101는 상기 통신 모듈 112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11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1162, 홀로그램 장치 1164 또는 프로젝터 11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은 상기 터치 패널 1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11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11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1160은 상기 패널 11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1164, 또는 프로젝터 11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1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172, USB(universal serial bus) 11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1176 또는 D-sub(D-subminiature) 11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1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11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1182, 리시버 1184, 이어폰 1186 또는 마이크 1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1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195은 상기 전자 장치 11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1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11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1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11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1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1197는 상기 전자 장치 11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1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11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11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210 및 전자 장치 123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 1200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통신 프로토콜 1200은, 장치 발견 프로토콜(device discovery protocol) 1251, 기능 교환 프로토콜(capability exchange protocol) 1253,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1255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 12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1251은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210 또는 전자 장치 1230)이 자신과 통신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거나 감지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는,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1251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1210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방법(예: Wifi, BT 또는 USB 등)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 1210와 통신 가능한 기기(device)로, 전자 장치 123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210는, 상기 전자 장치 123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1251을 이용하여, 감지된 전자 장치 12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210는, 예를 들면, 적어도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1230와의 통신 연결을 개설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1251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는 적어도 전자 장치 1230와 연결을 위한 통신 정보(예: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SSID(subsystem identification), IP(internet protocol) address)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1210와 상기 전자 장치 1230 간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1253은 전자 장치 1210 또는 전자 장치 12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 및 전자 장치 1230은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1253을 통하여, 각각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정보는 전자 장치 1210 및 전자 장치 1230에서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 서비스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는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1253을 통해 전자 장치 1230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 123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 1210는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1210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1255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210, 전자 장치 1230) 간에, 예컨대,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송수신 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 또는 전자 장치 12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1255을 이용하여, 오류 제어, 또는 데이터 품질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1255은 전자 장치 1210와 전자 장치 123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210 또는 전자 장치 12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1255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세션(session)을 관리(예: 세션 연결 또는 세션 종료)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1257은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또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210(예: 전자 장치 2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1257을 통해 전자 장치 1230(예: 전자 장치 204 또는 서버 206)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1200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 개인 또는 단체에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예: 통신 장치 제조 업체 또는 네트워크 공급 업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환경 101, 104 : 전자 장치
106 : 서버 108 : 표시 제어 서버 모듈
110 : 버스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31 : 커널
132 : 미들웨어
133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134 : 어플리케이션 14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 : 디스플레이 160 : 통신 인터페이스
162 : 네트워크 170 : 표시 제어 모듈

Claims (36)

  1.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 위치, 시간, 배터리 상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액세서리와 관련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정보 혹은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제 1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제 2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잠금(lock)이 설정된 경우에, 현재 날짜, 요일, 시각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방문 기록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지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근접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형태 또는 크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차단 콘텐트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차단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상기 상황 정보 또는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setting)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전원을 끄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디스플레이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attribute)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의 색상, 밝기 또는 크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콘텐트를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좌우반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근접 이동 입력, 스와이프 입력 또는 시선 이동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의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과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이 서로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제 1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제 2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복수의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기반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적어도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과 연관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상기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표시된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의 위치, 형태,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콘텐트, 지정된 설정 정보,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표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른 일부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가시 상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전자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종이(e-pap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 환경 정보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주변 환경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를 생성하는 환경 정보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주변 환경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콜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일부 영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해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일부 영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위치, 크기,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 또는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일부 영역 또는 상기 다른 일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 픽셀의 전원을 끄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통해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다른 일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과 상기 다른 일부 영역의 픽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 픽셀을 제외한 다른 일부 픽셀이 서로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른 일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6.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황 정보(context)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표시할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가시 상태(visibility)로,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140044613A 2014-04-15 2014-04-15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5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13A KR102353766B1 (ko) 2014-04-15 2014-04-15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15163006.8A EP2933718B1 (en) 2014-04-15 2015-04-09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201580011990.1A CN106062706B (zh) 2014-04-15 2015-04-10 用于控制显示器的设备和方法
PCT/KR2015/003618 WO2015160148A1 (en) 2014-04-15 2015-04-10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14/687,697 US10417974B2 (en) 2014-04-15 2015-04-15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13A KR102353766B1 (ko) 2014-04-15 2014-04-15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21A true KR20150118721A (ko) 2015-10-23
KR102353766B1 KR102353766B1 (ko) 2022-01-20

Family

ID=5326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613A KR102353766B1 (ko) 2014-04-15 2014-04-15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7974B2 (ko)
EP (1) EP2933718B1 (ko)
KR (1) KR102353766B1 (ko)
CN (1) CN106062706B (ko)
WO (1) WO201516014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0A1 (ko) * 2016-04-20 2017-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04701A1 (ko) * 2017-06-27 2019-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88667A1 (ko) * 2017-10-30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8116B1 (en) 2014-04-25 2015-10-13 Osterhout Group, Inc. Temple and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US9952664B2 (en) 2014-01-21 2018-04-24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298007B2 (en) 2014-01-21 2016-03-29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229233B2 (en) 2014-02-11 2016-01-05 Osterhout Group, Inc. Micro Doppler presentations in head worn computing
US9715112B2 (en) 2014-01-21 2017-07-25 Osterhout Group, Inc. Suppression of stray light in head worn computing
US9965681B2 (en) 2008-12-16 2018-05-08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400390B2 (en) 2014-01-24 2016-07-26 Osterhout Group, Inc. Peripheral lighting for head worn computing
US9628543B2 (en) 2013-09-27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ly establishing and periodically prefetching digital content
US9746686B2 (en) 2014-05-19 2017-08-29 Osterhout Group, Inc. Content position calibr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10649220B2 (en) 2014-06-09 2020-05-12 Mentor Acquisition One, Llc Content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9671613B2 (en) 2014-09-26 2017-06-0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841599B2 (en) 2014-06-05 2017-12-12 Osterhout Group, Inc. Optical configurations for head-worn see-through displays
US10191279B2 (en) 2014-03-17 2019-01-29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11227294B2 (en) 2014-04-03 2022-01-18 Mentor Acquisition One, Llc Sight information collec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10254856B2 (en) 2014-01-17 2019-04-09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529195B2 (en) 2014-01-21 2016-12-27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829707B2 (en) 2014-08-12 2017-11-28 Osterhout Group, Inc. Measuring content brightness in head worn computing
US20160019715A1 (en) 2014-07-15 2016-01-21 Osterhout Group, Inc. Content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9810906B2 (en) 2014-06-17 2017-11-0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594246B2 (en) 2014-01-21 2017-03-14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575321B2 (en) 2014-06-09 2017-02-21 Osterhout Group, Inc. Content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10684687B2 (en) 2014-12-03 2020-06-16 Mentor Acquisition One, Ll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299194B2 (en) 2014-02-14 2016-03-29 Osterhout Group, Inc. Secure sharing in head worn computing
US11103122B2 (en) 2014-07-15 2021-08-31 Mentor Acquisition One, Llc Content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9939934B2 (en) 2014-01-17 2018-04-10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11669163B2 (en) 2014-01-21 2023-06-06 Mentor Acquisition One, Llc Eye glint imaging in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532715B2 (en) 2014-01-21 2017-01-03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494800B2 (en) 2014-01-21 2016-11-1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11737666B2 (en) 2014-01-21 2023-08-29 Mentor Acquisition One, Ll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766463B2 (en) 2014-01-21 2017-09-19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811159B2 (en) 2014-01-21 2017-11-07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836122B2 (en) 2014-01-21 2017-12-05 Osterhout Group, Inc. Eye glint imaging in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20150205135A1 (en) 2014-01-21 2015-07-23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651788B2 (en) 2014-01-21 2017-05-1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11892644B2 (en) 2014-01-21 2024-02-06 Mentor Acquisition One, Ll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753288B2 (en) 2014-01-21 2017-09-0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651784B2 (en) 2014-01-21 2017-05-1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11487110B2 (en) 2014-01-21 2022-11-01 Mentor Acquisition One, Ll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9846308B2 (en) 2014-01-24 2017-12-19 Osterhout Group, Inc. Haptic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9401540B2 (en) 2014-02-11 2016-07-26 Osterhout Group, Inc. Spatial location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20150241964A1 (en) 2014-02-11 2015-08-27 Osterhout Group, Inc. Eye imaging in head worn computing
USD776126S1 (en) * 2014-02-14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94280B1 (ko) * 2014-03-05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187651A1 (en) 2014-03-28 2016-06-30 Osterhout Group, Inc. Safety for a vehicle operator with an hmd
KR102353766B1 (ko) 2014-04-15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9651787B2 (en) 2014-04-25 2017-05-16 Osterhout Group, Inc. Speaker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US9423842B2 (en) 2014-09-18 2016-08-23 Osterhout Group, Inc. Thermal management for head-worn computer
US10853589B2 (en) 2014-04-25 2020-12-01 Mentor Acquisition One, Llc Language translation with head-worn computing
US9672210B2 (en) 2014-04-25 2017-06-06 Osterhout Group, Inc. Language translation with head-worn computing
US20150309534A1 (en) 2014-04-25 2015-10-29 Osterhout Group, Inc.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US10663740B2 (en) 2014-06-09 2020-05-26 Mentor Acquisition One, Llc Content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10593296B2 (en) 2014-09-05 2020-03-17 Royol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illuminating regions of a displa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US20160071466A1 (en) * 2014-09-05 2016-03-10 Royole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20160131904A1 (en) * 2014-11-07 2016-05-12 Osterhout Group, Inc. Power management for head worn computing
US9684172B2 (en) 2014-12-03 2017-06-20 Osterhout Group, Inc. Head worn computer display systems
USD751552S1 (en) 2014-12-31 2016-03-15 Osterhout Group, Inc. Computer glasses
USD753114S1 (en) 2015-01-05 2016-04-05 Osterhout Group, Inc. Air mouse
US20160239985A1 (en) 2015-02-17 2016-08-18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10222979B2 (en) * 2015-12-04 2019-03-05 Datalogic Usa, Inc. Size adjustable soft activation trigger for touch displays on electronic device
CN105573585A (zh) * 2015-12-15 2016-05-1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US9880441B1 (en) 2016-09-08 2018-01-30 Osterhout Group, Inc. Electrochromic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 systems
JP2019511447A (ja) 2016-03-09 2019-04-25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雑に湾曲したガラス物品の冷間成形
US10824253B2 (en) 2016-05-09 2020-11-03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466491B2 (en) 2016-06-01 2019-11-05 Mentor Acquisition One, Llc Modular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684478B2 (en) 2016-05-09 2020-06-16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911255B2 (en) * 2016-05-31 2021-02-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 free facility status alerts
CN115570743A (zh) 2016-06-28 2023-01-06 康宁公司 将薄强化玻璃层压到用于装饰和显示器盖应用的曲面成型塑料表面
EP3482253B1 (en) 2016-07-05 2021-05-05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CN106375555A (zh) * 2016-08-25 2017-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0690936B2 (en) 2016-08-29 2020-06-23 Mentor Acquisition One, Llc Adjustable nose bridge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USD840395S1 (en) 2016-10-17 2019-02-12 Osterhout Group, Inc. Head-worn computer
US11384001B2 (en)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KR102565553B1 (ko) 2016-11-09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EP4032699A1 (en) 2017-01-03 2022-07-27 Corning Incorporated Cover glass assembly
USD864959S1 (en) 2017-01-04 2019-10-29 Mentor Acquisition One, Llc Computer glasses
CN106980358A (zh) * 2017-03-20 2017-07-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降低用户终端功耗的方法及装置
KR102558993B1 (ko) 2017-05-15 2023-07-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윤곽 유리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US10347193B2 (en) * 2017-06-23 2019-07-0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of applying privacy filter
CN117962601A (zh) 2017-07-18 2024-05-03 康宁公司 复杂弯曲玻璃制品的冷成型
WO2019035619A1 (en) * 2017-08-14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CN107491280B (zh) * 2017-08-22 2021-05-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更新方法及装置
WO2019055469A1 (en) 2017-09-12 2019-03-21 Corning Incorporated INSULATING SCREEN FOR DISPLAY DEVICES COMPRISING A TOUCH PANEL ON DECORATIVE GLASS AND ASSOCIATED METHODS
TW202340816A (zh) 2017-09-13 2023-10-16 美商康寧公司 用於顯示器的基於光導器的無電面板、相關的方法及載具內部系統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KR102538483B1 (ko) * 2017-09-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745588B2 (en) 2017-10-10 2023-09-0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1758063B (zh) 2017-11-21 2022-08-09 康宁公司 用于抬头显示器系统的非球面镜及其形成方法
KR20200084360A (ko) 2017-11-30 2020-07-1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비구면 미러를 진공 성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9108015A2 (en) 2017-11-30 2019-06-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KR102429801B1 (ko) 2018-02-22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표시 모드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7361705B2 (ja) 2018-03-13 2023-10-1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亀裂抵抗性の湾曲したカバーガラスを有する乗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08664190B (zh) * 2018-04-18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8494974B (zh) * 2018-05-10 2021-05-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亮度的调节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313734A (zh) * 2018-06-15 2021-02-02 夏普株式会社 控制装置、显示装置以及控制方法
EP3824456A1 (en) * 2018-07-16 2021-05-26 Corning Incorporated Display with localized brightness adjustment and related methods
JP2021531187A (ja) 2018-07-16 2021-11-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間曲げガラス基板を有する乗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09947229A (zh) * 2019-03-28 2019-06-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区域调整的方法、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0070842B (zh) * 2019-04-02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亮度调整方法及相关设备
CN110457101B (zh) * 2019-07-26 2023-03-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71695A1 (en) 2019-07-31 2021-0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KR20210072498A (ko) *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1125761A (zh) * 2019-12-23 2020-05-08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隐私保护的屏幕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143906A (zh) * 2019-12-31 2020-05-12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240791A (zh) * 2020-01-22 2020-06-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WO2022014740A1 (ko) * 2020-07-15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751711B (zh) * 2020-09-17 2022-01-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器及其顯示模式的控制方法
CN114201064A (zh) * 2020-09-17 2022-03-18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器及其显示模式的控制方法
US11768536B2 (en) 2021-09-09 2023-09-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based vehicle feature control
US11935442B1 (en) * 2022-10-31 2024-03-19 Snap Inc. Controlling brightness based on eye track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853A (ko) * 2008-04-10 200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201000811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8565A (en) * 1993-12-29 1997-01-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power saving
WO1999047990A1 (en) * 1998-03-16 1999-09-23 Gateway 2000, Inc. Electronic privacy screen and viewer
US7036025B2 (en) * 2002-02-07 2006-04-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computer system display screen
US20060227125A1 (en) * 2005-03-29 2006-10-12 Intel Corporation Dynamic backlight control
JP5119587B2 (ja) 2005-10-31 2013-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US8001215B2 (en) * 2005-11-29 2011-08-16 Microsoft Corporation Unlimited history store for navigational web applications
US8358273B2 (en) *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KR100732813B1 (ko) * 2006-08-03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55258B1 (ko) * 2008-05-13 2010-04-30 박재현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방법
US20100320919A1 (en) * 2009-06-22 2010-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pixels based at least in part on ambient light level
US20110181611A1 (en) * 2009-06-30 2011-07-28 Yanli Zhang User interface and control of segmented backlight display
KR101151300B1 (ko) 2009-09-14 2012-06-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터치기구의 접근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
US20110202835A1 (en) * 2010-02-13 2011-08-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tem selection method for touch screen devices
DE102010031405A1 (de) * 2010-07-15 2012-01-19 E.G.O. Elektro-Gerätebau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 Bedieneinrichtung
KR101467747B1 (ko) 2010-10-01 2014-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화면 조절장치 및 방법
KR20120053655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5845A (ko)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KR101842457B1 (ko) 2011-03-09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KR101636765B1 (ko) 2011-05-03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90244A (ko) 2012-02-03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US9483981B2 (en) * 2012-06-27 2016-11-01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isplay adjustment
KR102353766B1 (ko) 2014-04-15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853A (ko) * 2008-04-10 200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201000811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0A1 (ko) * 2016-04-20 2017-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9964A (ko) * 2016-04-20 201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06460B2 (en) 2016-04-20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004701A1 (ko) * 2017-06-27 2019-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257443B2 (en) 2017-06-27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display device
WO2019088667A1 (ko) * 2017-10-30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017201B2 (en) 2017-10-30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fingerprint using display
US11410454B2 (en) 2017-10-30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fingerprint us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48A1 (en) 2015-10-22
EP2933718B1 (en) 2022-06-01
KR102353766B1 (ko) 2022-01-20
CN106062706A (zh) 2016-10-26
EP2933718A1 (en) 2015-10-21
US20150294627A1 (en) 2015-10-15
US10417974B2 (en) 2019-09-17
CN106062706B (zh)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766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0430918B2 (en) Display driver,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driver
KR102219861B1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75103B1 (ko) 저전력 구동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66730B1 (ko) 전자 장치
US2016016224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20150099297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136440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60011915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50141313A (ko) 전자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62086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66882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085650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2588A (ko) 전자장치에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94289A (ko) 전자 장치의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04302A (ko)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798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9183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50106719A (ko) 전자 장치의 촬영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50135911A (ko) Ui 효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076955A (ko)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136792A (ko)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33335A (ko)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54389A (ko)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861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