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375A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375A
KR20150118375A KR1020140044135A KR20140044135A KR20150118375A KR 20150118375 A KR20150118375 A KR 20150118375A KR 1020140044135 A KR1020140044135 A KR 1020140044135A KR 20140044135 A KR20140044135 A KR 20140044135A KR 20150118375 A KR20150118375 A KR 2015011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oling
secondary battery
cooling pl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697B1 (ko
Inventor
엄영섭
김기연
성준엽
유성천
강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4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97B1/ko
Priority to EP15780686.0A priority patent/EP3133668B1/en
Priority to PL15780686T priority patent/PL3133668T3/pl
Priority to PCT/KR2015/003199 priority patent/WO2015160115A1/ko
Priority to US15/304,009 priority patent/US10263303B2/en
Publication of KR2015011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서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또는 그와 연결된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 공간에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의 상부 및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 공간에 벤팅 유로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에서 발생한 가스가 냉각 유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폴리머 수지의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 케이스로 포장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포함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차 전지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그 유동을 방지하며,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레임은 카트리지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는데, 보통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4개의 변 부분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다수가 적층된 형태로 이용되며, 이차 전지는 프레임이 적층되었을 때 생기는 내부의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수의 이차 전지가 조립되도록 하는 경우, 이차 전지 사이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냉각 핀이 개재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여름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이차 전지 자체적으로도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이차 전지가 서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 이차 전지의 온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는데, 이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아지면 이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차 전지 사이에 냉각 핀을 개재시켜, 이러한 냉각 핀을 통해 이차 전지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형태의 냉각 핀, 즉 냉각 플레이트를 이차 전지 사이에 개재시킨 배터리 모듈의 경우,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이차 전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방식 중 대표적으로는, 냉각 플레이트 주변으로 외부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냉각 플레이트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이차 전지의 온도를 낮추는 공냉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냉식을 이용하여 이차 전지를 냉각시키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냉각 플레이트 주변에 냉각용 유로를 확보하고, 이러한 냉각용 유로를 덕트와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 내외부 간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및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사용 중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한 유해 가스가 냉각용 유로로 침투하게 되면, 침투된 유해 가스는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가스를 배터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많은 이차 전지가 포함된 중대형 배터리 팩이 장착되므로 이차 전지로부터 가스가 배출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서 유해 가스가 배출되어 덕트로 유입되면, 자동차 운전자가 덕트로 유입된 유해 가스를 흡입하여 인체에 해를 입는 것은 물론, 운전 중 유해 가스로 인해 운전 능력이 감소되어 사고를 당할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또는 그와 연결된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 공간에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의 상부 및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 공간에 벤팅 유로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유로는, 상기 냉각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유로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 유로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냉각 기체의 흐름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팅 유로는,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벤팅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 유로의 우측 개구부를 커버하고, 외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냉각 유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유입 덕트; 및 상기 냉각 유로의 좌측 개구부를 커버하고, 외측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 유로로부터 배출된 냉각 기체가 상기 개방부로 인입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 덕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덕트 및 상기 유출 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의 접촉 부분에 기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덕트 실링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유로의 개구부 측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탭이 위치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탭에 접촉되어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센싱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벤팅 유로의 개구부 측에서 유입된 벤팅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적층 시, 상기 요철부가 상호 결합되어 내측 벤팅 기체가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및 우측 단위 프레임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상부 및 우측 단위 프레임 상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상부 및 우측 단위 프레임 상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둘 이상의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사이로 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프레임 실링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좌측 실링부 및 우측 실링부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냉각 기체가 흐르는 냉각 유로와 이차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 사이가 물리적으로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적층시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하부 및/또는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이 삽입 체결됨으로써, 이차 전지가 수납된 내측 공간으로부터 냉각 유로로 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는 경로가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에서 가스 발생 시, 프레임 내측 압력이 높아져 돌출부와 삽입홈이 더욱 가깝게 변형됨으로써, 프레임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경로가 보다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 전지에서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및 덕트를 통해 배터리 팩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배터리 모듈에서 하나의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에서, 센싱 어셈블리가 추가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 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100) 및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차 전지(100)는, 배터리 모듈에 다수 개 포함될 수 있으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 방향, 이를테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를 적층하는데 이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카트리지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200)은, 이차 전지(100)를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 전지(100)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200)은,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를 적층시키기 위해, 적층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적어도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배터리 모듈에서 하나의 프레임(200)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C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200)들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 그리고 메인 프레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는,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넓은 면이 상방과 하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 이를테면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넓은 면이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넓은 면과 상호 대면되는 형태로, 각 프레임에서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다소 떨어진 형태로 배치되어,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 사이에는, 도 4에서 P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빈 공간으로는 냉각을 위한 유체, 이를테면 외부 공기와 같은 냉각 기체가 흐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 사이의 빈 공간은 유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사이 공간에 냉각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전체적으로 이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접촉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에는 비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각 비딩부가 서로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비딩부가 형성되고,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비딩부가 형성되어,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비딩부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의 비딩부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딩부 간 접촉으로 인해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딩부 이외의 부분에서 형성된 냉각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100)와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2개의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성이 뛰어나면서도 성형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냉각 플레이트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냉각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등 다른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30)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의 외주부, 즉 테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230)은, 4개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고, 각각의 단위 프레임은 양단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변을 구비하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본 형태가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230)에 있어서 각 단위 프레임은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변을 갖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의 외주부는, 4개의 변 모두 메인 프레임(230)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거나, 4개의 변 중 일부 변, 이를테면 도 1에서 F1 및 F2 방향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전방 및 후방, 2개의 변이 메인 프레임(230)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메인 프레임(230)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적층용 프레임(200)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가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230)을 인서트 사출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프레임 제조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러한 프레임(200)을 둘 이상 포함하며, 각 프레임(20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적층된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각 프레임(200)들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한 채,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이라 지칭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여 적층된 프레임(200)은 제2 프레임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D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프레임(200)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200)의 적층으로 인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이차 전지가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프레임이 적층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제1 프레임(201)이고,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제2 프레임(202)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201) 및 제2 프레임(202)은, 각각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를 구비하여, 냉각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201) 및 제2 프레임(202)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상부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1)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고,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프레임(201)의 상부에 적층된 제2 프레임(202) 역시,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하나의 이차 전지를 수용하고,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이차 전지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201)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제2 프레임(202)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 사이 공간에는 2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수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적층된 제1 프레임(201)과 제2 프레임(202)은, 적층으로 인해 그 사이 공간에 벤팅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벤팅 유로는 이차 전지에서 가스 발생 시, 발생된 가스가 벤팅되기 위해 배터리 모듈 내에서 이동하는 통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유로는, 냉각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이라 함은, 배터리 모듈 내에서, 벤팅 유로와 냉각 유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 구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서, 벤팅 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냉각 유로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벤팅 유로와 냉각 유로가 상호 차단되어 있으므로,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벤팅 유로를 통해 흐를 수 있을 뿐, 냉각 유로를 통해 흐를 수는 없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유로는, 제1 프레임(201)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제2 프레임(202)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 사이 공간에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1)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와 제2 프레임(202)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데, 벤팅 유로는, 점선 V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란, 도 6에서 S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가 열융착 등으로 실링되는 테두리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는, 배터리 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형태를 기준으로 할 때, 개구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는, 각 유로에서 유체의 흐름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을 이루되, 각각의 흐름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냉각 유로에서 냉각 기체의 흐름 방향과 상기 벤팅 유로에서 벤팅 기체의 흐름 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팅 기체란, 이차 전지 등에서 발생되어, 배터리 모듈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기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냉각 유로는, 도 5 및 도 6에서 O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배터리 모듈 외부의 냉각 기체는 이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냉각 유로 내부로 유입되고, 냉각 유로를 따라 흐르던 냉각 기체는 다른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냉각 유로로부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냉각 기체의 흐름 방향은, 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팅 유로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O)와 다른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벤팅 유로의 개구부는,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벤팅 기체의 흐름 방향은, 배터리 모듈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구성에서, 냉각 유로는 F3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의 우측 및 F4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의 좌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벤팅 유로는 F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의 전방측 및/또는 F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의 후방측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 기체가 배출되는 방향과 벤팅 기체가 배출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벤팅 기체가 냉각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덕트(310) 및 유출 덕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덕트(310)는 배터리 모듈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배터리 모듈의 해당 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유입 덕트(310)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O) 중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덕트(310)는, 냉각 유로의 우측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덕트(310)는 외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유입 덕트(310)는 우측 상부에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좌측에 개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311)를 통해 우측 상단에서 유입된 공기와 같은 냉각 기체는, 유입 덕트(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덕트(310)는, 프레임의 외측면에 대면하는 좌측, 즉 내측에 개방부(312)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각 기체가 이러한 개방부(312)를 통해 냉각 유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 덕트(320)는 배터리 모듈의 타 측면에 위치하여, 배터리 모듈의 해당 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유출 덕트(320)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O) 중 타측, 즉 유입 덕트(310)가 구비된 측의 반대측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덕트(320)는, 냉각 유로의 좌측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 덕트(320)는 외측에 유출구(321)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유출 덕트(320)는 좌측 상부에 유출구(321)가 형성되고 우측에 개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출 덕트(320)의 개방부(322)는 프레임의 외측면에 대면하는 우측, 즉 내측에 형성되어, 냉각 유로로부터 배출된 냉각 기체는 개방부(322)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방부(322)를 통해 유출 덕트(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각 기체는 유출 덕트(3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유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덕트(310)는, 덕트 실링 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덕트 실링 부재(330)는, 제1 프레임(201) 및 제2 프레임(202)과의 접촉 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덕트(310)의 개방부(312)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 실링 부재(330)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O)에서 유입 덕트(310)와 제1 프레임 사이, 또는 유입 덕트(310)와 제2 프레임 사이가 보다 잘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내부의 냉각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기체가 냉각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 덕트(320)는, 덕트 실링 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출 덕트(320)의 덕트 실링 부재(330)는 유입 덕트(310)의 덕트 실링 부재(330)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덕트 실링 부재(330)는,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 실링 부재(330)는, 고무, 실리콘, 스티로폼,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벤팅 유로는 전방 측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방 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차 전지의 전극 탭(110)이 돌출될 수 있다. 즉, 벤팅 유로의 개구부 측에는 이차 전지의 전극 탭(11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센싱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어셈블리는 이차 전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7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에서, 센싱 어셈블리(500)가 추가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싱 어셈블리(500)는, 이차 전지의 전극 탭(110)이 돌출된 부분에 구비되어, 각 전극 탭(110)과 접촉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전압 등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극 탭(110)이 위치한 부분에는 벤팅 유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차 전지에서 가스 발생시, 이러한 가스, 즉 벤팅되어야 할 벤팅 기체는 벤팅 유로의 개구부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500) 측으로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센싱 어셈블리(500)는 벤팅 유로의 개구부를 통해 유출된 벤팅 기체를 외부 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51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어셈블리(500)는, 이러한 배출구(510)를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 방향으로 흐르던 벤팅 기체는 벤팅 유로의 개구부를 통해 센싱 어셈블리(500)로 향하게 되고, 센싱 어셈블리(500)의 배출구(510)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프레임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제2 프레임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프레임의 상부 및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부는 상하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은, 상부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볼록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하부에 오목부(232)가 형성되거나, 하부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상하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적층 시, 각 프레임의 요철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벤팅 기체가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부(231)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231)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오목부(232)가 형성된 경우, 제1 프레임의 돌출부(231)와 제2 프레임의 오목부(23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231)와 오목부(232)의 결합 부분에서는 프레임 내측에서 외측 방향, 즉 도 6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경로가 복잡하게 형성되므로, 프레임 내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 측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가스는 돌출부(231)와 오목부(232)의 결합 부분 사이로 쉽게 새어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231)와 오목부(232)의 결합으로 인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적층된 틈새 사이로 벤팅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벤팅 기체가 주로 벤팅 유로로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이차 전지가 수납된 프레임 내측의 압력, 이를테면 도 6의 V 부분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이러한 압력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프레임에 힘이 인가되어, 프레임의 요철부가 다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은 돌출부(231)와 오목부(232)가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의 적층 틈새 사이로 벤팅 기체가 유출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요철부는, 각 프레임, 이를테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좌측 테두리) 및 우측 단위 프레임(우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과 우측 단위 프레임에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각 프레임의 요철부는, 냉각 유로의 개구부가 형성된 측의 단위 프레임 부분에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냉각 유로의 개구부(O)는 각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과 우측 단위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요철부는 이러한 각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과 우측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형성된 요철부 결합 구성으로 인해, 프레임 내측의 벤팅 기체가 냉각 유로 내지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3의 C 부분에 대한 단면의 다른 형태라 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우측 테두리 상부에 2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의 우측 테두리 하부에 2개의 오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볼록부와 오목부(232)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프레임이 둘 이상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각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2개의 볼록부는, 바로 상부에 적층된 다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2개의 오목부(23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2개의 오목부(232)는, 바로 하부에 적층된 또 다른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2개의 볼록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프레임의 좌측 테두리 상부 및 하부에도 각각 2개 이상의 볼록부 및 오목부(232)가 형성되어, 각 프레임의 적층 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요철부가 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된 실시예에 의하면, 각 프레임의 결합된 틈새 사이로 내측의 벤팅 기체가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즉, 요철부가 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내측의 벤팅 기체가 외측 방향으로 나가기 위한 유출 경로는 더욱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스 유출 방지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철부가 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둘 이상의 요철부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2개의 볼록부가 프레임의 우측 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2개의 볼록부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볼록부는 상호 간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우측 테두리 하부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232) 역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요철부는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벤팅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다중 차단함으로써, 기체 차단력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요철부는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돌출부(231)와 오목부(2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3의 C 부분에 대한 단면의 또 다른 형태라 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은, 우측 테두리(단위 프레임) 상부에 1개의 볼록부와 1개의 오목부(2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은, 이러한 상부 볼록부와 오목부(232)에 대응되는 위치 및 형태로 우측 테두리 하부에 1개의 오목부(232)와 1개의 볼록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프레임이 둘 이상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각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볼록부 및 오목부(232)는, 바로 상부에 적층된 다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오목부(232) 및 볼록부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오목부(232) 및 볼록부는, 바로 하부에 적층된 또 다른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볼록부 및 오목부(23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프레임의 좌측 테두리 상부 및 하부에도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프레임의 상부 내지 하부에 형성된 다양한 요철부 구성으로 인해, 프레임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가스 유출 경로가 더욱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 측에서 벤팅 기체가 발생되더라도,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벤팅 기체 유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특히 냉각 유로로 벤팅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도 3의 C 부분에 대한 단면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요철부에 프레임 실링 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실링 부재(233)는, 요철부에 구비되어 요철부 간 결합 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실링 부재(233)는, 요철부가 결합될 때, 결합 부분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1)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 실링 부재(233)는, 오목부(232)의 표면에 구비되거나 돌출부(231) 및 오목부(232)의 표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실링 부재(233)는, 고무,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경우, 탄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프레임 사이의 틈새 공간으로 유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확보하는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프레임 실링 부재(233)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 실링 부재(233)는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좌측 실링부 및 우측 실링부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E 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우측 실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프레임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우측은 프레임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측이라 할 수도 있고, 냉각 유로의 개구부가 형성된 측이라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우측 실링부와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좌측 실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링부가 이차 전지가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됨으로써, 실링부의 단부가 이차 전지의 외측이 아닌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측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실링부의 단부를 통해 유출되더라도, 이러한 벤팅 기체가 프레임을 향하여 직접적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적층 부분의 틈새 사이로 벤팅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제2 프레임)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220)와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제1 프레임)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210) 사이 공간에는, 2개의 이차 전지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2개의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실링부는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부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실링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차 전지의 실링부의 절곡 부분은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실링부를 통해 유출된 벤팅 기체가 외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실링부 간 접촉 부분에 의해 1차적으로 방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적층 사이 공간으로 벤팅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 및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 및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는, 대략 넓은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배터리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각 프레임 및 이차 전지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와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이차 전지의 상부와 하부에서 이차 전지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와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는 강성 확보를 위해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과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이러한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와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와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와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 그리고 프레임은 상호 결합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는 네 모서리에 상하 방향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봉이 구비되어,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의 각 삽입봉이 프레임의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이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엔드 플레이트(410)에는 이러한 하부 엔드 플레이트(420)의 삽입봉을 삽입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삽입봉이 삽입된 후, 너트 등으로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팩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팩 케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팩 케이스(600)는, 상부 케이스(610)와 하부 케이스(620)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620)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600)는, 이차 전지 측에서 발생한 가스, 즉 벤팅 기체를 배터리 팩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벤팅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벤팅부(630)에는 벤팅 기체량등을 조절할 수 있는 벤팅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6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 케이스(600)의 상부, 이를테면 상부 케이스(6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도 7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10)이 구비된 방향으로 벤팅 유로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벤팅 유로의 개구부에는 센싱 어셈블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싱 어셈블리(500)의 상부에는 배출구(510)가 형성되어, 벤팅 유로의 개구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부 방향으로 배출시켜, 벤팅 기체가 팩 케이스(600)의 벤팅부(630)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구성에서는, 벤팅부(630)가 팩 케이스(600)의 전면 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벤팅부(630)는 팩 케이스(600)에서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 케이스의 벤팅부(630)는 전면 측 이외에 후면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벤팅 유로는, 탭(110)이 형성된 측의 반대 측에도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팩 케이스(600) 이외에도,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이차 전지
200: 프레임
201: 제1 프레임
202: 제2 프레임
210: 상부 냉각 플레이트
220: 하부 냉각 플레이트
230: 메인 프레임
231: 볼록부
232: 오목부
310: 유입 덕트
320: 유출 덕트
410: 상부 엔드 플레이트
420: 하부 엔드 플레이트
500: 센싱 어셈블리
600: 팩 케이스
610: 상부 케이스
620: 하부 케이스

Claims (16)

  1.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 공간에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의 상부 및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 공간에 벤팅 유로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유로는, 상기 냉각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유로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 냉각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냉각 기체의 흐름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팅 유로는,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벤팅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의 우측 개구부를 커버하고, 외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냉각 유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유입 덕트; 및
    상기 냉각 유로의 좌측 개구부를 커버하고, 외측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 유로로부터 배출된 냉각 기체가 상기 개방부로 인입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덕트 및 상기 유출 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의 접촉 부분에 기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덕트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유로의 개구부 측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탭이 위치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탭에 접촉되어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센싱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벤팅 유로의 개구부 측에서 유입된 벤팅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적층 시, 상기 요철부가 상호 결합되어 내측 벤팅 기체가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및 우측 단위 프레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상부 및 우측 단위 프레임 상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측 단위 프레임 상부 및 우측 단위 프레임 상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사이로 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프레임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좌측 실링부 및 우측 실링부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40044135A 2014-04-14 2014-04-14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4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35A KR101743697B1 (ko) 2014-04-14 2014-04-14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15780686.0A EP3133668B1 (en) 2014-04-14 2015-03-3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PL15780686T PL3133668T3 (pl) 2014-04-14 2015-03-31 Moduł baterii akumulatorowej i zawierający go pakiet akumulatorów
PCT/KR2015/003199 WO2015160115A1 (ko) 2014-04-14 2015-03-31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5/304,009 US10263303B2 (en) 2014-04-14 2015-03-3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35A KR101743697B1 (ko) 2014-04-14 2014-04-14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75A true KR20150118375A (ko) 2015-10-22
KR101743697B1 KR101743697B1 (ko) 2017-06-20

Family

ID=543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35A KR101743697B1 (ko) 2014-04-14 2014-04-14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63303B2 (ko)
EP (1) EP3133668B1 (ko)
KR (1) KR101743697B1 (ko)
PL (1) PL3133668T3 (ko)
WO (1) WO2015160115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97A1 (ko) * 2015-10-23 2017-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7104878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WO2017138753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WO2018034383A1 (ko) * 2016-08-18 2018-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WO2018062863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과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88298B1 (ko) 2017-02-15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8186562A1 (ko)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428022A (zh) * 2017-08-31 2019-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以及电池包
WO2019107717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CN110100325A (zh) * 2016-12-27 2019-08-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CN110854330A (zh) * 2019-11-27 2020-02-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排气定位工装、电池模组和电池包
WO2020256304A1 (ko)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CN112259937A (zh) * 2019-07-05 2021-01-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3488717A (zh) * 2021-06-08 2021-10-08 同济大学 一种车用软包锂离子动力电池的雾化冷却方法及装置
US11552360B2 (en) 2017-03-03 2023-01-10 Lg Energy Solution, Ltd.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1062B (zh) * 2016-12-06 2024-04-12 Sk新能源株式会社 二次电池模块
KR20180070764A (ko) * 2016-12-16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CN207217718U (zh) * 2017-09-14 2018-04-10 微宏动力系统(湖州)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
KR102280096B1 (ko) * 2017-10-17 2021-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냉매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KR102330378B1 (ko) 2018-04-20 2021-11-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디개싱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580847B1 (ko) * 2018-04-26 2023-09-1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랙
KR102414037B1 (ko) * 2019-03-15 2022-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0323381B (zh) * 2019-06-18 2022-08-0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壳体、动力电池包以及车辆
EP4055657A1 (en) * 2019-11-06 2022-09-14 Taiga Motors Inc. Battery cooling panel for electric vehicles
DE102021102523A1 (de) * 2020-02-07 2021-08-12 Sk Innovation Co., Ltd. Batteriepack-untereinheit und batteriemodul enthaltend diese
CN111769221A (zh) * 2020-06-02 2020-10-1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蓝谷动力系统分公司 用于车辆的电池模组和车辆
CN112490579A (zh) * 2020-12-16 2021-03-12 广东和胜新能源汽车配件有限公司 电池箱体
KR20240040994A (ko) * 2022-09-22 2024-03-2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6937008B (zh) * 2023-09-18 2023-12-01 浙江启辰新能科技有限公司 电池冷却装置及电池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11B1 (ko) 2007-06-28 2012-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냉각 및 배기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
US7851080B2 (en) * 2008-04-09 2010-1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attery cooling plate design with discrete channels
DE102009040147A1 (de) 2009-09-04 2011-03-10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Kühlen oder Erwärmen eines solch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WO2011073424A1 (de) * 2009-12-18 2011-06-23 Magna E-Car Systems Gmbh & Co Og Kühl-/heizelement für einen akkumulator
US8574740B2 (en) * 2010-08-10 2013-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lded frame with corrugated cooling fin for air-cooled battery
JP5648643B2 (ja) * 2011-04-05 2015-01-07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
AT511887B1 (de) 2011-09-12 2016-05-15 Avl List Gmbh Wiederaufladbare batterie
KR101447062B1 (ko) * 2012-01-26 2014-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898292B1 (ko) 2012-04-25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어셈블리
US9960395B2 (en) * 2012-08-16 2018-05-01 Lg Chem, Ltd. Battery module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233B2 (en) 2015-10-23 2019-09-1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WO2017069397A1 (ko) * 2015-10-23 2017-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7104878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10074835B2 (en) 2015-12-18 2018-09-11 Lg Chem, Ltd. Battery pack
WO2017138753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170095144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US10622663B2 (en) 2016-02-12 2020-04-14 Lg Chem, Ltd. Cartridg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8034383A1 (ko) * 2016-08-18 2018-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11848431B2 (en) 2016-08-18 2023-12-1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US11557807B2 (en) 2016-08-18 2023-01-1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US10847770B2 (en) 2016-08-18 2020-11-24 Lg Chem, Ltd. Battery module
US10957949B2 (en) 2016-09-28 2021-03-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channel, and assembling method and frame assembly thereof
WO2018062863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과 프레임 어셈블리
CN110100325A (zh) * 2016-12-27 2019-08-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CN110100325B (zh) * 2016-12-27 2022-04-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US10700397B2 (en) 2017-02-15 2020-06-30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KR101888298B1 (ko) 2017-02-15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552360B2 (en) 2017-03-03 2023-01-10 Lg Energy Solution, Ltd.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20180113811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957955B2 (en) 2017-04-07 2021-03-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8186562A1 (ko)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428022A (zh) * 2017-08-31 2019-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以及电池包
US11239511B2 (en) 2017-12-01 2022-02-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having heat dissipation plate
WO2019107717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WO2020256304A1 (ko)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CN112259937A (zh) * 2019-07-05 2021-01-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0854330A (zh) * 2019-11-27 2020-02-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排气定位工装、电池模组和电池包
CN113488717A (zh) * 2021-06-08 2021-10-08 同济大学 一种车用软包锂离子动力电池的雾化冷却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3419A1 (en) 2017-02-02
KR101743697B1 (ko) 2017-06-20
EP3133668A4 (en) 2017-11-08
PL3133668T3 (pl) 2020-09-21
EP3133668A1 (en) 2017-02-22
EP3133668B1 (en) 2020-03-18
WO2015160115A1 (ko) 2015-10-22
US10263303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697B1 (ko)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610876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92675B1 (ko) 배터리 모듈
JP6600750B2 (ja) 二次電池用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588251B1 (ko)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36378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60922B1 (ko) 배터리 모듈
KR10169631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020095A (ko) 배터리 모듈
KR20140147979A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5532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806412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851432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95703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46765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78490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70052059A (ko) 배터리 모듈
KR101898292B1 (ko) 전지팩 어셈블리
KR20160041635A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