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105A -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105A
KR20150117105A KR1020140042419A KR20140042419A KR20150117105A KR 20150117105 A KR20150117105 A KR 20150117105A KR 1020140042419 A KR1020140042419 A KR 1020140042419A KR 20140042419 A KR20140042419 A KR 20140042419A KR 20150117105 A KR20150117105 A KR 2015011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welding torch
printer
wir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매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매트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매트릭스
Priority to KR102014004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105A/ko
Publication of KR2015011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지 또는 용접토치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여 스테이지 상에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는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물체의 적층 성형시 스테이지를 둘러싸는 공간이 진공으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의 3차원 물체가 스테이지 상에 적층됨에 따라 0.8mm의 정밀도로 원하는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3D printer using arc welding}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지 또는 용접토치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여 스테이지 상에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는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화된 모델링 파일을 3차원 공간 안에서 실제 사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3D프린팅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 중 UV경화 수지계열을 프린팅하고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면서 모형의 단면을 세분화시켜 인쇄 적층하는 방식으로 어떤 모형이든지 만들어 낼 수 있는 종래 잉크젯프린트 방식의 기술을 집약시킨 방식이 있다.
이러한 3D 프린팅 시스템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대표격인 ABS의 소재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프린터기 출력방식은 크게 잉크젯프린트의 기계로 버블젯방식의 노즐에 순간적인 열을 가하여 발생하는 소재의 기포 방울을 따라 뒤쪽의 플레이트가 줄어드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미세한 소재를 분사하는 방식과, 써멀젯방식 즉, 열 전사 방식으로도 불리는 순간적인 고열로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현재는 비교적 작은 모형을 만드는 기계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사용되는 소재는 극히 제한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업 현장, 생활 속에서 필요한 제품을 쉽게 만들 수 있는 3D프린트가 상용화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금속, 세라믹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잡한 형상의 금속으로 모형을 만들 때 설계단계에서 5축 가공기로 깎아 만들 수 있으나, 단품의 경우와 수량이 적을 때에는 5축 가공기도 유용하지만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밀주조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성형을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며, 이러한 금형 제조를 위해 기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JP1993-192767 A
(특허문헌 2) KR10-2012-0128171 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용접토치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융해하여 적층시킴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는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스테이지 상에서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는 용접토치에 의해 융해되는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가 적층되어 3차원 물체를 성형하는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는, 아크용접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상에 3차원 물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고정되어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용접토치에 의해 융해되는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가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어 상기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과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과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모듈은 상기 스테이지를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용접부는, 상기 용접토치를 둘러싸는 비전도체의 용접토치 홀더; 상기 용접토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선; 상기 스테이지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의 접지 클램프; 상기 접지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 및 상기 전기선 및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 용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아크 용접기와 상기 이송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아크 용접기 및 상기 이송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용접기에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는, 아크용접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상에 3차원 물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토치는 상기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가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어 상기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과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과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용접토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용접부는, 상기 용접토치를 둘러싸는 비전도체의 용접토치 홀더; 상기 용접토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선; 상기 스테이지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의 접지 클램프; 상기 접지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 및 상기 전기선 및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 용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아크 용접기와 상기 지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아크 용접기 및 상기 지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용접기에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상기 지지부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용접토치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아크용접을 통해 융해하여 적층시킴으로써 금속 재질의 3차원 물체를 적층하여 0.8mm의 정밀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물체의 적층 성형시 스테이지를 둘러싸는 공간이 진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하는 제품의 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아크용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 스테이지, 및 용접토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의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 스테이지, 및 용접토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100)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100)는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모듈(110), 스테이지모듈(110) 상의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121)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120), 용접토치(121)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30), 전원공급부(140) 및 제어부(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그들 합금 등과 같은 금속종류를 모두 포함하여 적용 가능하다.
스테이지모듈(110)은 스테이지(111) 및 이송장치(112)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11)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평판이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가 용접토치(121)에 의해 융해되면서 일정 형상을 만들어 적층된다. 이러한 스테이지(111)는 용접토치(121)에 의해 융해되는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가 스테이지(111) 상에 적층되어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한다.
이송장치(112)는 스테이지(111)를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그 방식은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크용접부(120)는 스테이지(111)와 이격된 상태에서 스테이지(111) 상부에 고정되어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융해시키며, 용접토치(121), 용접토치 홀더(122), 전기선(123), 접지 클램프(124), 접지선(125) 및 아크 용접기(126)를 포함한다.
용접토치(121)는 금속 탈착식 판으로서, 전기를 흐르게 하고 전기 아크를 만든다.
또한, 용접토치(121)에서는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3차원 물체가 성형되는 공간의 공기를 최대한 산화시킨다.
아울러,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의 일단과 용접토치(121)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용접토치(121)의 일단과 스테이지(111)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스테이지(111)의 일면과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다. 이러한 거리는 스테이지(111)에 붙지 않으면서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균일하게 적층시키도록 한다.
용접토치 홀더(122)는 용접토치(121)를 둘러싸는 비전도체 물질로서, 이러한 용접토치 홀더(122)는 후술되는 지지부(130)에 고정된다.
전기선(123)은 용접토치(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전기선(123)은 아크용접기(126)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용접토치(12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접지 클램프(124)는 스테이지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이며, 용접할 부분을 접지선에 연결하는 집게이다.
접지선(125)은 접지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아크 용접기로 돌려보내는 케이블이다.
아크 용접기(126)는 전기선 및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용접토치(121)에 전기를 보내는 장치로서, 전류의 세기는 용접할 부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지지부(130)는 지면에 모든 자유도(X축, Y축, Z축)가 구속되어 고정되며, 이러한 지지부(130)는 용접토치 홀더(122)가 거치됨에 따라 용접토치(121)를 스테이지(111) 상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아크 용접기(126)와 이송장치(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50)는 아크 용접기(126) 및 이송장치(112)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150)는 아크 용접기(126)에서 용접토치(121)로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이송장치(112)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용접토치(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지(111)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고, 고정된 용접토치(121)에 의해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가 융해되어 이동하는 스테이지(111')에 적층됨으로써 3차원 물체가 형성되며, 이때의 성형 정밀도는 0.8mm까지 가능하다.
2.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100')
이하,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를 설명하되,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스테이지모듈(110)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는 스테이지(111')를 포함하는 스테이지모듈(110') 및 스테이지(111') 상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121)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120)를 포함하고, 용접토치(121)는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가 스테이지(111') 상에 적층되어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한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스테이지모듈(110')은 스테이지(111')만 포함될 뿐 제 1 실시예의 이송장치(112)는 포함되지 않는다.
스테이지모듈(110')은 모든 자유도가 구속되어 고정되는 스테이지(111')를 포함하며, 스테이지(111') 상에 용접토치(121)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의 일단과 용접토치(121)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용접토치(121)의 일단과 스테이지(111')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스테이지(111')의 일면과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다. 이러한 거리는 스테이지(111')에 붙지 않으면서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균일하게 적층시키도록 한다.
아크용접부(120)는 용접토치(121)를 둘러싸는 비전도체의 용접토치 홀더(122), 용접토치(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선(123) 스테이지(111')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의 접지 클램프124), 접지 클램프(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125) 및 전기선(123) 및 접지선(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 용접기(126)를 포함한다.
지지부(130)는 용접토치(12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테이지(111') 상에서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지지부(130)는 제 1 실시예의 이송장치(112)와 같은 별도의 장치(미도시)에 의해 X축, Y축, Z축으로 이동 가능하다.
전원공급부(140')는 아크 용접기(126)와 지지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50')는 아크 용접기(126) 및 지지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150')는 아크 용접기(126)에서 용접토치(121)로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지지부(130')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스테이지(111')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토치가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10)를 융해시키고, 스테이지(111')에 적층시킴으로써 3차원 물체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스테이지(111, 111')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용접토치(121)에서 공급되는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가스에 의해 산화된 상태이거나 진공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
100, 100' :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110, 110' : 스테이지모듈
111, 111' : 스테이지
112 : 이송장치
120 : 아크용접부
121 : 용접토치
122 : 용접토치 홀더
123 : 전기선
124 : 접지 클램프
125 : 접지선
126 : 아크 용접기
130, 130' : 지지부
140, 140' : 전원공급부
150, 150' : 제어부

Claims (11)

  1. 아크용접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상에 3차원 물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고정되어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용접토치에 의해 융해되는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가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어 상기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과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과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모듈은 상기 스테이지를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용접부는,
    상기 용접토치를 둘러싸는 비전도체의 용접토치 홀더;
    상기 용접토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선;
    상기 스테이지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의 접지 클램프;
    상기 접지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 및
    상기 전기선 및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 용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6.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아크 용접기와 상기 이송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아크 용접기 및 상기 이송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용접기에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 이동형 3D 프린터.
  7. 아크용접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상에 3차원 물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융해시키는 용접토치를 포함하는 아크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토치는 상기 융해된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가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어 상기 3차원 물체가 형성되도록 X축, Y축, Z축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과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고,
    상기 용접토치의 일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이며,
    상기 스테이지의 일면과 상기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0.5mm~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용접토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용접부는,
    상기 용접토치를 둘러싸는 비전도체의 용접토치 홀더;
    상기 용접토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선;
    상기 스테이지와 탈착 가능한 전도체의 접지 클램프;
    상기 접지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 및
    상기 전기선 및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 용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
  11. 제 9 항 및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아크 용접기와 상기 지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아크 용접기 및 상기 지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용접기에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 상기 지지부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치 이동형 3D 프린터.
KR1020140042419A 2014-04-09 2014-04-09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KR20150117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19A KR20150117105A (ko) 2014-04-09 2014-04-09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19A KR20150117105A (ko) 2014-04-09 2014-04-09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05A true KR20150117105A (ko) 2015-10-19

Family

ID=5439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19A KR20150117105A (ko) 2014-04-09 2014-04-09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1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3053A (zh) * 2016-03-04 2016-06-08 贵州师范大学 熔化极气体保护电弧熔敷三维打印方法
WO2017073947A1 (ko) * 2015-10-26 2017-05-04 비즈 주식회사 아크 및 합금금속분말 코어 와이어를 이용한 ded 아크 3차원 합금금속분말 프린팅 방법 및 그 장치
CN107457469A (zh) * 2016-06-06 2017-12-12 南京理工大学 一种碳钢结构件自压缩电弧增材制造方法
CN108500423A (zh) * 2018-04-09 2018-09-07 南京理工大学 基于trio运动控制器的金属打印运动系统及实现方法
CN109079287A (zh) * 2018-09-14 2018-12-25 大连理工大学 一种三丝气体保护间接电弧焊方法、装置及其应用
CN109523855A (zh) * 2018-11-21 2019-03-26 南通理工学院 基于增材制造技术的圆筒埋弧焊接模拟装置
KR101979727B1 (ko) * 2017-11-21 2019-05-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연결재 삽입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3d 프린팅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47A1 (ko) * 2015-10-26 2017-05-04 비즈 주식회사 아크 및 합금금속분말 코어 와이어를 이용한 ded 아크 3차원 합금금속분말 프린팅 방법 및 그 장치
CN105643053A (zh) * 2016-03-04 2016-06-08 贵州师范大学 熔化极气体保护电弧熔敷三维打印方法
CN107457469A (zh) * 2016-06-06 2017-12-12 南京理工大学 一种碳钢结构件自压缩电弧增材制造方法
CN107457469B (zh) * 2016-06-06 2020-04-07 南京理工大学 一种碳钢结构件自压缩电弧增材制造方法
KR101979727B1 (ko) * 2017-11-21 2019-05-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연결재 삽입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3d 프린팅 장치
CN108500423A (zh) * 2018-04-09 2018-09-07 南京理工大学 基于trio运动控制器的金属打印运动系统及实现方法
CN109079287A (zh) * 2018-09-14 2018-12-25 大连理工大学 一种三丝气体保护间接电弧焊方法、装置及其应用
CN109523855A (zh) * 2018-11-21 2019-03-26 南通理工学院 基于增材制造技术的圆筒埋弧焊接模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7105A (ko) 아크용접을 이용한 3d 프린터
KR101346704B1 (ko) 멀티칼라 제품성형이 가능한 3d 프린터
KR101614860B1 (ko) 아크 및 합금금속분말 코어 와이어를 이용한 ded 아크 3차원 합금금속분말 프린팅 방법 및 그 장치
CN107511683A (zh) 一种大型复杂金属结构件增减材制造装置及方法
EP3513895B1 (en) System of additive structural build techniques
Karunakaran et al. Low cost integration of additive and subtractive processes for hybrid layered manufacturing
Karunakaran et al. Retrofitment of a CNC machine for hybrid layered manufacturing
WO2015172540A1 (zh) 挤出式金属流3d打印机
JP4911651B2 (ja) 溶融プラスチック材料を選択的に堆積する装置と方法
KR101760832B1 (ko) 아크 용접방식을 갖는 3d 프린터의 냉각 시스템
CN204505842U (zh) 一种激光3d快速成形装置
KR20120128171A (ko) 금속 분말을 적층 레이저 용접 방식의 3차원인쇄
KR20160102489A (ko) 첨가식 제조 장치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140038958A (ko) 임의 형상 제작에 의해 금속 물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배열체
CA2241597A1 (en) Moldless molding method using no mold and apparatus therefor
EP3676035B1 (en) Metal 3d printing with local pre-heating
KR20170041563A (ko) 마그네틱 볼 조인트를 이용한 델타 방식 3d 프린터 장치
CN107253004A (zh) 一种金属结构件熔丝增材装置及其熔丝制造工艺
KR20160127425A (ko) 다색 3d 프린터의 필라멘트 공급장치
CN105750542A (zh) 一种模具等离子3d打印设备及方法
JP2015221511A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複合成形品の成形システム、および複合成形品
JP2019081187A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CN109967741B (zh) 一种基于增强学习的3d打印工艺优化方法
CN204431747U (zh) 一种双电机送丝3d打印机
CN104647759A (zh) 一种双电机送丝3d打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