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066A -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066A
KR20150117066A KR1020140042321A KR20140042321A KR20150117066A KR 20150117066 A KR20150117066 A KR 20150117066A KR 1020140042321 A KR1020140042321 A KR 1020140042321A KR 20140042321 A KR20140042321 A KR 20140042321A KR 20150117066 A KR20150117066 A KR 2015011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umen shaft
fixed
wire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658B1 (ko
Inventor
최태규
Original Assignee
(주) 더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 더스탠다드
Priority to KR102014004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간편한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고정되는 루멘 샤프트, 그리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말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절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전단에 고정되는 피니언 부재;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부재에 계합되는 랙 부재; 및 상기 랙 부재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일부가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Curve adjusting apparatus of the end part of lumen shaft for catheter}
본 발명은 인체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료 또는 진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인체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료 또는 진단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특히, 시술자가 카테터를 인체 내부에서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카테터 중 루멘 샤프트(lumen shaft)의 말단부에 대해 커브량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조립체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320호(등록일: 2014. 03. 07.)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국특허에 개시된 카테터 조립체에서는 이러한 조절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다이얼 몸체(152)에 결합된 조절 다이얼(151)을 포함하고, 다이얼 몸체(152)의 암나사부와 작동 나사부(153)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어, 조절 다이얼(151)을 회전시키면 튜브(134)의 말단에 고정된 와이어(136)가 풀리거나 당겨지면서 튜브(134)의 말단부가 구부러지게 된다.
그러나, 조절 다이얼(151)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잡고 엄지 손가락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조절 다이얼(151)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엄지 손가락의 인대(또는 근육) 중 좌우로 움직이는 인대(또는 근육)는 통상 거의 사용되지 않는 관계로, 조절 다이얼을 이 인대(또는 근육)로만 미세하게 조절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한 손으로는 하우징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이 조절 다이얼을 조절해야 하므로, 두 손이 모두 이에 사용되어 다른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 등)의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74320호 (등록일: 2014. 03. 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간편한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기술적 과제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고정되는 루멘 샤프트, 그리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말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절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전단에 고정되는 피니언 부재;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부재에 계합되는 랙 부재; 및 상기 랙 부재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일부가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피니언 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니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나온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멘 샤프트 중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놓이는 부분은, 상기 피니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행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이 상기 관통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향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이 상기 조절 와이어의 고정측에 닿지 않도록 그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조절 와이어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동 부재에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통과공; 및 상기 고정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과한 상기 조절 와이어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는, 상기 랙 부재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 및 제2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노브의 사이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부재, 피니언 부재, 랙 부재, 그리고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특히 조절 노브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한 손으로도 조절 노브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엄지 손가락 인대(또는 근육)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 되어, 즉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으로 조절 노브를 회전시킬 수 있어 조절 노브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한 손으로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므로 다른 한 손으로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 등)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II-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하우징을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카테터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II-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하우징을 제거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하우징(10)의 전단[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루멘 샤프트(lumen shaft)(20)의 말단을 향하는 단]에 고정되는 루멘 샤프트(20), 그리고 루멘 샤프트(2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루멘 샤프트(20)의 말단[하우징(1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단](도 5의 20a)에 일단이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30)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210)와, 피니언 부재(220)와, 랙 부재(230)와, 그리고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2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노브(2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하우징(11)과, 이동 부재(210)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하우징(13)과, 제2 하우징(12)을 감싸는 제3 하우징(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조절 와이어(30)의 타단을 고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210)는 피니언 부재(220)에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에는 도랑과 같은 채널(channel)(2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채널(211)에는 조절 와이어(30)가 놓이며 조절 와이어(30)의 타단부는 고정부(250)를 통해 채널(21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251), 통과공(252), 그리고 고정홈(25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251)는 이동 부재(210)에 고정되거나 이동 부재(210)에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공(252)은 고정 몸체(251)에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조절 와이어(30)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홈(253)은 고정 몸체(251)의 일면에 형성되어 통과공(252)을 통과한 조절 와이어(30)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253)에 조절 와이어(30)의 타단부가 놓이면 별도의 고정 볼트(B)를 이용하여 조절 와이어(30)의 타단을 고정홈(253)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피니언 부재(pinion member)(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의 전단[이동 부재(2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0)의 전단을 향하는 단]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피니언 부재(220)는 이동 부재(210)에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부재(220)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고, 루멘 샤프트(20)의 선단[루멘 샤프트(20)의 말단(20a)의 반대되는 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루멘 샤프트(20)의 선단으로부터 나온 조절 와이어(30)를 통과시키는 관통로(221)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산(22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로(221)는 상술한 이동 부재(210)의 채널(211)과 연통되며, 관통로(221)를 통과한 조절 와이어(30)의 타단은 채널(211)을 거쳐 고정 몸체(251)의 통과공(252)을 통과하게 된다.
나아가, 루멘 샤프트(20) 중 하우징(10)의 내부에 놓이는 부분(21)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부재(220)가 하우징(10)의 후단을 행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루멘 샤프트(20)의 선단이 관통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부재(220)가 하우징(10)의 전단을 향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루멘 샤프트(20)의 선단이 조절 와이어(30)의 고정측(250 참조)에 닿지 않도록 그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랙 부재(rack member)(2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H)을 중심으로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니언 부재(22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랙 부재(2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22)에 대응되는 기어 이(231)가 형성되어 서로 기어 맞물림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부재(23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부재(220) 및 이동 부재(21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조절 와이어(30)의 타단이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렇게 조절 와이어(30)의 타단이 당겨지는 동안 조절 와이어(30)의 일단에 고정된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는 도 5의 (a)상태에서 도 5의 (b)상태로 만곡되면서 그 커브량이 조절된다.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부재(230)와 동심을 이루며 하우징(10)의 외면에 일부가 돌출된다. 특히, 조절 노브(240)가 랙 부재(230)와 함께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H)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한 손으로도 조절 노브(240)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엄지 손가락 인대(또는 근육)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 되어, 즉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으로 조절 노브(24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조절 노브(240)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2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부재(23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 및 제2 조절 노브(241)(242)를 포함하고, 피니언 부재(220)는 제1 및 제2 조절 노브(241)(242)의 사이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 부재(220)가 제1 및 제2 조절 노브(241)(242)에 의해 좌우 요동 없이 안내되므로 별도의 안내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부재(230) 및 피니언 부재(220)를 통해 이동 부재(210)가 하우징(10)의 전단을 향해(즉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이동 부재(210)에 고정된 조절 와이어(30)가 느슨해지면서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에 내장된 형상 합금(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는 직선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도 5의 (a)에 도시된 조절 노브(2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랙 부재(230) 및 피니언 부재(220)에 의해 이동 부재(210)가 하우징(10)의 후단, 즉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 부재(210)에 고정된 조절 와이어(30)가 당겨지게 된다. 이렇게 조절 와이어(30)가 당겨지는 동안 조절 와이어(30)의 일단에 고정된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는 도 5의 (a)상태에서 도 5의 (b)상태로 만곡되면서 그 커브량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가 심장의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에 적용될 경우, 정맥을 통해 기 삽입된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루멘 샤프트(20)가 삽입되어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가 심장의 내벽에 위치될 때, 심장의 내벽 형상에 맞게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 a)에 커브량을 줄 수 있다. 특히, 심장의 형상은 사람 마다 모두 다르므로 루멘 샤프트(20)의 말단부(20a)에 커브량을 조절하는 것은 정확한 치료 및 진단을 위해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부재(210), 피니언 부재(220), 랙 부재(230), 그리고 조절 노브(240)를 포함하고, 특히 조절 노브(240)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H)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한 손으로도 조절 노브(240)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엄지 손가락 인대(또는 근육)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 되어, 즉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으로 조절 노브(24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조절 노브(240)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한 손으로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므로 다른 한 손으로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 등)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하우징 20: 루멘 샤프트
20a: 루멘 샤프트의 말단부 30: 조절 와이어
210: 이동 부재 211: 채널
220: 피니언 부재 221: 관통로
222: 나사산 230: 랙 부재
231: 기어 이 H: 축
B: 볼트 240: 조절 노브
241: 제1 조절 노브 242: 제2 조절 노브
250: 고정부 251: 고정 몸체
252: 통과공 253: 고정홈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고정되는 루멘 샤프트, 그리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말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절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전단에 고정되는 피니언 부재;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부재에 계합되는 랙 부재; 및
    상기 랙 부재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일부가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
    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피니언 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피니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나온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루멘 샤프트 중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놓이는 부분은,
    상기 피니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행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이 상기 관통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향해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루멘 샤프트의 선단이 상기 조절 와이어의 고정측에 닿지 않도록 그 길이가 정해지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조절 와이어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동 부재에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통과공; 및
    상기 고정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과한 상기 조절 와이어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절 노브는,
    상기 랙 부재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 및 제2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노브의 사이를 통해 안내되는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KR1020140042321A 2014-04-09 2014-04-09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KR101613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21A KR101613658B1 (ko) 2014-04-09 2014-04-09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21A KR101613658B1 (ko) 2014-04-09 2014-04-09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66A true KR20150117066A (ko) 2015-10-19
KR101613658B1 KR101613658B1 (ko) 2016-04-19

Family

ID=5439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21A KR101613658B1 (ko) 2014-04-09 2014-04-09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61A1 (ko) * 2018-07-19 2020-01-2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복합 카테터
JP2020022562A (ja) * 2018-08-06 2020-02-13 ジェイソル・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カテーテ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68289A1 (de) 2013-11-01 2015-05-06 ECP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Flexibler Katheter mit einer Antriebswel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3595B2 (en) 2005-12-30 2017-12-05 Biosense Webster, Inc. Dual-lever bi-directional handle
US20070219550A1 (en) 2006-01-27 2007-09-20 Mark Thompson Device and system for surgical dissection and/or guidance of other medical devices into body
KR101374320B1 (ko) * 2013-10-15 2014-03-17 홍문기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61A1 (ko) * 2018-07-19 2020-01-2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복합 카테터
JP2020022562A (ja) * 2018-08-06 2020-02-13 ジェイソル・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658B1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806B2 (en) Control handle for a contact force ablation catheter
KR101374320B1 (ko)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JP7074666B2 (ja) 操縦可能なシースカテーテル及び使用方法
US7381917B2 (en) Footswitch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JP6794606B2 (ja) トルク装置及び固定機構
US20170086652A1 (e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endoscope
KR101613658B1 (ko) 카테터용 루멘 샤프트의 커브량 조절 장치
US11083871B2 (en) Selectively deployable catheter ablation devices
US20100217072A1 (en) Shock absorbing mechanism and medical instrument
RU2676841C2 (ru)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ая рукоятка управления катетером с контролем натяжения
EP1982637A1 (en) Endoscopic operation assisting device
WO2017043124A1 (ja) 内視鏡
WO2016013274A1 (ja) 医療用拡張器
WO2020059773A1 (ja) 眼科用手術器具
KR20180112355A (ko) 조종 가능한 카테터
KR101860906B1 (ko)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TW201402160A (zh) 醫療用軟管的控制把手及醫療用軟管裝置
CN102697442A (zh) 基于电控驱动器械的软式内窥镜系统
JP6063773B2 (ja) 挿入装置
JP2000126119A (ja) 内視鏡
WO2015163019A1 (ja) 挿入機器
JP2008104831A (ja) 心臓カテーテル
JP2015213541A (ja) 挿入機器
US922845A (en) Speculum.
KR102275597B1 (ko) 귀 내시경용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귀 내시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