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130A -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130A
KR20150116130A KR1020140040736A KR20140040736A KR20150116130A KR 20150116130 A KR20150116130 A KR 20150116130A KR 1020140040736 A KR1020140040736 A KR 1020140040736A KR 20140040736 A KR20140040736 A KR 20140040736A KR 20150116130 A KR20150116130 A KR 2015011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room
result data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준
Original Assignee
(주) 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키트웍스 filed Critical (주) 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4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130A/ko
Publication of KR2015011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디수의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는 방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MOTHOD OF MANAGING ROOM O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참여자가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의 보급등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활성화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가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등을 비교하고 순위를 매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공유하는 것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를 쉽게 친구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단계가 수행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륵된 친구 중에서 일부를 모으거나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복잡한 단계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온라인상에서 쉽게 사용자를 모집하고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는 방을 생성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없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게시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온라인상의 방이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식별이 빠르고 간소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디수의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는 방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하는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은 특정 URL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과 데이터와 관련된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 중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표시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오름 차순 또는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여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 중 선택된 하나를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구분하여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상기 제1 또는 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수신한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은 온라인상에서 쉽게 사용자를 모집하고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은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게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를 빠르고 간소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의 몇몇 단계에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의 방의 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은 네트워크(N)에 연결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들(100)으로서 제1 단말기(110), 제2 단말기(120) 및 방 운영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말기(110, 1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거나, 다른 단말기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말기(110, 120)는 후술할 방 운영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말기(110, 120)로 표현한 것은 상술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서로 다른 임의의 단말기를 지칭하기 위함이지 특정한 단말기를 지힝하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단말기(110, 120)로 표현한 것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제1과 제2로 표현한 것으로 방 운영 장치(200)의 운영자 등의 운영 방식 또는 기호에 따라 제3, 제4 또는 제5 단말기 등도 존재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및 제2 단말기(110, 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온라인상에서 방을 운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온라인상의 방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입장하여 특정한 정보 등을 공유하거나 특정한 행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탬플릿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사용자가 입장하여 서로 간의 의사소통할 수 있는 채팅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사용자가 입장하여 동일한 편(party) 또는 서로 대적하는 편(party)으로 묶여서 게임 등을 수행하는 게임의 멀티플레이 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사용자가 입장하여 동일한 영상 또는 음악 등을 동시에 또는 각각 다른 시간에 감상할 수 있는 감상방이 있을 수 있다. 온라인 상의 방의 종류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라인상의 방은 호스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호스트는 온라인상에서 방을 생성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방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게스트가 입장할 수 있다. 게스트가 방에 입장하는 것은 게스트만의 의사에 따라 혹은 게스트와 호스트의 모두의 의사에 따라 허용될 수 있다. 게스트가 방에 입장하는 것은, 상기 방의 기존 참여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는 모두 방의 참여자이다. 제1 사용자는 방의 호스트일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방의 게스트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사용자는 상기 방에 대해서 호스트인 것으로, 다른 방에 대해서는 게스트일 수도 있다. 제2 사용자 역시 상기 방에 대해서 게스트인 것으로, 다른 방에 대해서는 호스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방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월드 와이드 웹이란 넙은 의미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치 또는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월드 와이드 웹이란 좁은 의미로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접속 가능한 정보 공간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에서 월드 와이드 웹이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 가능한 정보 공간과 대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좁은 의미의 월드 와이드 웹은 HTTP 또는 HTML 등과 같이 표준화된 프로토콜 또는 언어로 구현되어 별도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지 않고,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언어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접속 가능한 정보 공간일 수 있다.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언어는 예를 들어,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이 개발하고 규정한 프로토콜 또는 가이드 라인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의 몇몇 단계에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의 방의 화면의 일례이다.
제1 단말기(110)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10)는 방 운영 장치(200)에 접속하여 방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방을 생성할 수 있다. 방은 다수의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에 입장할 수 있는 참여자의 수는 방 운영 장치(2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생성하는 방의 다양한 설정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의 참여자들이 팀의 분류 방식 또는 진행 기간 등에 관한 설정을 부가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방 운영 장치(200)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identifier)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제1 단말기(110)가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접속하여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여 제1 단말기(110)를 식별한다. 사용자 ID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식별문구, 사용자의 전자 우편 주소, 주민등록번호 또는 핸드폰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은 특정한 URL을 통해서 특정될 수 있고, 상기 URL을 통해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URL을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통해서 방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방이 생성되면, 상기 방에 대응하는 고유의 방의 ID가 생성된다. 방의 ID는 방을 특정하는 이름, 번호 또는 상술한 URL일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의해 제1 단말기(110)는 생성한 방의 URL을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수신한 URL을 통해 제1 사용자가 생성한 방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는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120)는 방 운영 장치(200)에 접속하여 방에 입장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2 단말기(120)의 요청에 의해 제2 사용자를 방에 입장시킬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는 방 운영 장치(200)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제2 단말기(120)가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접속하여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여 제2 단말기(120)를 식별한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2 사용자가 방에 입장한 사실을 방에 게시할 수 있다. 상기 게시한 것에 의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가 방에 입장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방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로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할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방에 참여하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는 방의 참여자에게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것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동시에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시간에 각각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한 방에서 "모두의게임한판"과 "ELF DEFENSE"라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고 결과를 공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가 방에 참여하기 전에 미리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1 또는 제2 사용자가 방에 참여하기 전에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상술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통해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한 방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두의게임한판"과 "ELF DEFENSE"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바로가기" 링크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링크 버튼은 제1 단말기(110)에 요청에 따라 혹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방 운영 장치(200)가 생성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메시지를 게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가 메시지를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하고,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방에 게시한다. 게시한 메시지는 방의 참여자들이 열람할 수 있다.
게시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방의 참여자 중 한 명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함께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데이터에 따른 제안 등이 될 수 있다. 함께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결과 데이터는 게임의 승패 결과, 획득 포인트, 달성한 레벨 또는 점수 등이 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제1 단말기(110)에 "점심시간 꼴지가 커피 쏘기!"라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하면,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 메시지를 방 참여자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게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방 운영 장치(200)는 각각의 참여자가 방의 참여자를 확인할 수 있는 목록을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방 운영 장치(200)는 각각의 참여자가 서로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게 사용자 ID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 ID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ID는 상술한 방 운영 장치(200)에 제공한 사용자 ID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수집할 수 있다. 단말기 ID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식별 데이터로서, 단말기 고유의 기기 식별자, 기기 이름 또는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ID와 기기 ID를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ID와 기기 ID를 수신하여,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한다. 즉,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1 단말기(110)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하고,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2 단말기(120)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한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느 방에 참여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결과 데이터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조작 등에 따른 성취 및 달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결과 데이터는 게임의 승패 결과, 획득 포인트, 달성한 레벨 또는 점수 등이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는 제1 결과 데이터를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결과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바로 방 운영 장치(200)에 전달될 수도 있고, 방 운영 장치(200)와 별개로 운영되는 서버를 거쳐 방 운영 장치(2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결과 데이터를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의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실행되는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결과 데이터와 단말기 ID는 연관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1 단말기(110)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1 결과 데이터와 제1 단말기(110)의 단말기 ID가 연관되어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의 제1 결과 데이터와 단말기 ID를 수신한다.
방 운영 장치(200)는 미리 사용자 ID와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한 것을 통해 수신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ID와 연관시킨다. 따라서 수신한 제1 결과 데이터가 어느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생성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결과 데이터를 연관된 사용자가 참여한 방에 게시한다. 게시된 제1 결과 데이터는 방 참여자가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과 데이터가 제1 단말기(110)에서 생성되면 제1 단말기(110)의 단말기 ID와 함께 방 운영 장치(200)에 수신된다. 방 운영 장치(200)는 수신한 제1 결과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연관시킨다. 그 후, 제1 사용자가 참여한 방에 제1 결과 데이터를 게시한다. 게시된 제1 사용자의 제1 결과 데이터는 방에 참여한 제1 또는 제2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 운영 장치(200)는 방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ID와 연관시키고, 방에 게시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결과 데이터를 방에 게시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온라인상의 방의 화면의 일례이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최초 한번 이상 실행되어, 사용자 ID와 단말기 ID를 전송한 이후에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 운영 장치(200)는 이미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한 상태이다.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추가로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게 사용자 ID를 요청하지 않는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단지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단말기 ID만을 수집한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2 결과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집한 단말기 ID와 함께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한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의 제2 결과 데이터와 단말기 ID를 수신한다. 이를 미리 연관하여 저장해놓은 사용자 ID와 단말기 ID의 정보을 통해 제2 결과 데이터와 사용자 ID를 연관시킬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연관된 사용자가 참여한 방에 게시한다. 게시된 제2 결과 데이터는 방 참여자가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또는 제2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최초 한 번만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ID를 입력하면 된다. 최초 한 번의 입력에 의해 방 운영 장치(200)에서는 사용자 ID와 단말기 ID를 연관시켜 저장하기 때문이다. 이 후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사용자 ID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방 운영 장치(2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들 중 선택된 일부만을 게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결과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요청에 따라 또는 방 운영 장치(200)에 미리 프로그램된 것에 따라 선택된 한 종류의 결과 데이터만을 게시할 수 있다.
또한, 방 운영 장치(200)는 제1 및 제2 결과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게시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데이터를 오름 차순 또는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여 게시할 수 있다.
또한, 방 운영 장치(2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 중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 데이터를 별도로 표시하여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데이터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1등"이라고 표시할 수 있고, 결과 데이터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을 "꼴지"라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과 데이터의 점수가 특정 범위 이내에 있을 경우 "당첨"이라고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 데이터의 점수가 당첨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당첨 유력"이라고 표시할 수도 있다. 조건과 표시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건은 방 운영 장치(200)에 미리 프로그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건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로부터 방 운영 장치(200)가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에서 방의 참여자 중 결과 데이터의 점수가 낮은 3명에게 "점심 사기 당첨"이라는 표시를 하는 조건에 관한 내용을 방 운영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상기 조건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여 그와 같은 표시를 하여 게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 중,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반복적으로 실행되고, 새로운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새롭게 생성된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 운영 장치(200)는 새롭게 생성된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기존에 게시된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 대체하여 갱신할 수 있다. 대체하여 갱신하는 것에는 다양한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수신한 결과 데이터가 종래의 결과 데이터보다 점수 등이 높은 경우에만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게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새롭게 수신한 결과 데이터와 종래의 결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게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경우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하나의 방에서 취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 또는 운영사가 다르더라도 하나의 방에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여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친목 관계가 있는 사용자들의 집단에서 최초 한 번만 온라인상의 방을 생성하여 입장하면 여러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상의 방이 어플리케이션과는 별개로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생성되고 구현되므로 방을 생성하거나 방에 입장하여 참여하는 것을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가 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최초에 방을 입장할 때와 최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만 사용자 ID를 입력하면 되므로 번거로운 본인 확인 또는 식별 수단이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방 운영 장치(200)는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 제2 사용자를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S200),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 및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 및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디수의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는 방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사용자가 방의 호스트가 될 수 있다.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에서 방은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에서 방은 특정 URL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에서 방은 후술할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 이후에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방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를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S200)는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120)의 요청에 의해 제2 사용자를 상기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이다. 제2 사용자는 방의 게스트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방을 생성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S200)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는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서 실행되는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에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S3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제1 또는 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S32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에서,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31, S332)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32)는 제2 결과 데이터와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것일 수 있다.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이다.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결과 데이터를 오름 차순 또는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여 게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로부터 결과 데이터와 관련된 조건을 수신하고, 수신한 결과 데이터 중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표시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 중 선택된 하나를 게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구분하여 게시하는 것일 수 있다.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하는 것일 수 있다.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S400)는, 제2 결과 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은 것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단말기들 110: 제1 단말기
120: 제2 단말기 200: 방 운영 장치
S100: 방을 생성하는 단계
S110: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
S200: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
S210: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단계
S300: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310: 사용자 ID와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
S320: 사용자 ID와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
S331: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332: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400: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

Claims (23)

  1.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디수의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는 방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방에 입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하는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상에서 생성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은 특정 URL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방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과 데이터와 관련된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 중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표시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오름 차순 또는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여 게시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 중 선택된 하나를 게시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과 데이터를 구분하여 게시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되는 것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월드 와이드 웹상에서 입력받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은 것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상기 제1 또는 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수신한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것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ID에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 게시하는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단말기 ID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의 ID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받은 것인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KR1020140040736A 2014-04-04 2014-04-04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KR20150116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36A KR20150116130A (ko) 2014-04-04 2014-04-04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36A KR20150116130A (ko) 2014-04-04 2014-04-04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130A true KR20150116130A (ko) 2015-10-15

Family

ID=5435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736A KR20150116130A (ko) 2014-04-04 2014-04-04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1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5254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f registering friend in game
KR101673267B1 (ko) 미디어 배포 플랫폼으로부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피드백 제공
KR2012013756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연예인과 팬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JP6949310B2 (ja) 情報処理装置、投票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65319A1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KR101437355B1 (ko) 친구 등록을 통한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229475B2 (ja) 情報システム
JP2010204738A (ja) 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JP2022168309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1460B2 (ja) 交流支援サーバ装置、交流支援システム及び交流支援サーバプログラム
KR101565473B1 (ko) 게임제공방법 및 게임제공시스템
KR20150116130A (ko) 온라인상의 방을 운영하는 방법
US10391403B2 (en) Game extensions in a gaming environment
JP6814837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6535399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2411B1 (ko) 네트워크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혈연관계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6325716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9131B1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20090011679A (ko) 멀티 게임에 연동되는 커뮤니티형 온라인 게임 서비스시스템
JP6548770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42478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anaging avatars
JP6523384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101189973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친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925074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온라인 게임 컨텐츠의 연동방법 및 시스템
JP2014154086A (ja) 管理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