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57A - 용접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57A
KR20150116057A KR1020140040294A KR20140040294A KR20150116057A KR 20150116057 A KR20150116057 A KR 20150116057A KR 1020140040294 A KR1020140040294 A KR 1020140040294A KR 20140040294 A KR20140040294 A KR 20140040294A KR 20150116057 A KR20150116057 A KR 20150116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ed
magnetic force
diameter portio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765B1 (ko
Inventor
이태오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4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64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는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자력에 의해 피용접부재가 탈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돌출 높이가 조정되게 상기 베이스부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쿠션부 및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용접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접 경로를 따라 간극홈이 형성된 용접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용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제공하여 피용접부재를 밀착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용접 경로로 용접되는 다양한 피용접부재에 대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맞춤식 재단 용접강판(Tailor Welded Blanks: TWB)은 자동차의 경량화에 목적을 둔 기술이다.
즉, 맞춤식 재단 용접강판은 충격력에 대한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에는 고강도의 소재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저강도를 가진 소재를 사용한 강판이나, 서로 두께가 다른 소재를 용접한 강판을 의미한다.
이러한 맞춤식 재단 용접강판은 형상을 가진 형 틀에서 프레스작업을 하여 최종적인 제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특히, 사용하는 소재의 형태는 충격력이 가해지는 형태에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지도록 절단가공된 소재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경우도 있다. 즉, 용접부가 일자형일 때도 있지만 특별한 용접 경로를 가지는 모형(C형, ㄷ형, ㄴ형 등)으로 용접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는 도 1a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도 1a는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가 C형인 경우의 지지대로써, 기존의 용접용 지지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일정한 베이스판에 용접 경로에 따른 간극홈을 형성해야 하는데,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가 항상 동일한 것이 아니어서, 피용접부재의 경로가 달라질 때마다, 용접용 지지장치(1')를 새로 제작해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용접공정의 생산속도를 저하시키고, 공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용접부재(2')가 용접용 지지장치(1')에 완전히 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접부에서 양측의 피용접부재(2')가 서로 삐뚤어지게 용접되는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용접용 지지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용접부재를 밀착하여 제공함으로써 용접불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가변적인 지지대로써의 역할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용접 경로로 용접되는 다양한 피용접부재에 대한 지지대를 별도 제작 없이도 제공할 수 있는 용접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는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자력에 의해 피용접부재가 탈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돌출 높이가 조정되게 상기 베이스부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쿠션부 및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용접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접 경로를 따라 간극홈이 형성된 용접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쿠션부는 상기 피용접부재가 탈착되는 대경부와, 폭이 상기 대경부보다 작게 형성된 소경부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상하이동되게 연계되는 지지탭,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소경부에 장착되는 탭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홀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의 걸림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을 관통한 상기 소경부와 결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바디판 및 상기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와 접촉하여 자력을 공급하는 자력공급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일면에 상기 바디판이 결합된 상기 자력공급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레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쿠션부는 상기 피용접부재가 탈착하는 상기 대경부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피용접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감소유닛은 상기 대경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볼안착홈과 상기 볼안착홈보다 폭이 작은 노출홀이 형성된 단부판 사이에 삽입되는 접촉볼 및 상기 접촉볼과 상기 볼안착홈 사이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볼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노출홀의 주변에는 상기 접촉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테이퍼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의 상기 용접가이드부는 상기 간극홈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홀을 관통하며, 상기 쿠션부가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디판에 형성된 고정홈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는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에 복수 개의 쿠션부가 탄성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용접가이드부가 상기 쿠션부가 연계되는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다양한 용접 경로를 가지는 피용접부재에 대한 지지대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제단가공되어 제공되더라도, 형태가 다른 피용접부재로 변경될 때마다 지지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생산속도 상승 및 공정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용접부재를 밀착 고정한 후에 용접할 수 있어,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피용접부재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스크래치 등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용접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피용접부재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에 피용접부재가 안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에서 쿠션부와 용접가이드부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에서 마찰저감유닛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는 자력을 제공하여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용접 경로로 용접되는 다양한 피용접부재(2)에 대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는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00)에 복수 개의 쿠션부(200)가 탄성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정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제단가공되어 제공되더라도, 형태가 다른 피용접부재(2)로 변경될 때마다 지지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생산속도 상승 및 공정비용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용접부재(2)를 밀착 고정한 후에 용접할 수 있어,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피용접부재(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스크래치 등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용접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에 피용접부재(2)가 안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는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00), 자력에 의해 피용접부재(2)가 탈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돌출 높이가 조정되게 상기 베이스부(100)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쿠션부(200) 및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용접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접 경로를 따라 간극홈(310a)이 형성된 용접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는 상기 간극홈(310a)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1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에 형성된 프레임홀을 관통하며, 상기 쿠션부(200)가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디판(110)에 형성된 고정홈(110b)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용접되는 피용접부재(2)가 여러가지 형상으로 재단된 후에 상기 피용접부재(2)끼리 용접할 때마다 상기 용접용 지지장치(1)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만을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에 따라 변형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후술할 쿠션부(200), 용접가이드부(300)가 제공될 수 있는 바디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쿠션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쿠션부(200)에 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100)는 바디판(110), 자력공급판(120), 레그부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 상에 상하이동할 수 있게 돌출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후술할 용접가이드부(300)가 결합되어 간극홈(310a)을 제공할 때, 상기 용접가이드부(300)와 결합되는 부분이 함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쿠션부(200)에서는 지지탭(210), 탭탄성부재(220), 걸림부재(2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는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부에 간극홈(310a)을 제공하여 용접장치(3)에 의해 용접할 때의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는 상기 피용접부재(2)가 서로 강도가 다른 부분을 제공하거나, 성질이 다른 부분의 제공이 필요한 제품에 대하여 재단을 하여 형성되면 서로 다른 강도 또는 성질 등의 피용접부재(2)들이 안착되어 용접을 할 때, 그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용접 경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는 이러한 용접 경로에 대응되게 간극홈(310a)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용접 경로에 대응되게, 용접에 필요한 간극을 그 용접 경로를 따라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용접가이드부(300)가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피용접부재(2)가 상기 용접가이드부(300)의 간극홈(310a) 상에 위치하기 위해서, 상기 쿠션부(20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접가이드의 역할을 위해서, 상기 용접가이드부(300)는 가이드프레임(310), 고정부재(320)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은 상기 간극홈(310a)이 형성되며,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으로써, 그 소재는 강제로 제공되어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시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은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가 변경될 때마다 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때에도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시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의 성질을 동시게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을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상기 쿠션부(200)의 압착에 의해 상기 쿠션부(200)를 상측으로 돌출시키려는 탄성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부재(320)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에 형성된 프레임홀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디판(110)에 형성된 고정홈(110b)과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제공되어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 경로에 따라서 형상을 변화시키는 경우에, 상기 용접 경로에 대응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홀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판(110)의 고정홈(110b)도 상기 프레임홀과 대응되게 제공되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에서 쿠션부(200)와 용접가이드부(300)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피용접부재(2)가 탈착되는 대경부(211)와, 폭이 상기 대경부(211)보다 작게 형성된 소경부(212)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삽입홀(110a)에 상하이동되게 연계되는 지지탭(210),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소경부(212)에 장착되는 탭탄성부재(220) 및 상기 삽입홀(110a)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100)의 걸림홀(120a)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120a)을 관통한 상기 소경부(212)와 결합되는 걸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삽입홀(110a)이 형성된 바디판(110) 및 상기 걸림홀(120a)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판(110)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200)와 접촉하여 자력을 공급하는 자력공급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베이스부(100)는 일면에 상기 바디판(110)이 결합된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타면에 결합되는 레그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100)는 자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쿠션부(200), 용접가이드부(300)가 제공될 수 있는 바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바디판(110), 자력공급판(120), 레그부재(13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 상에 상하이동할 수 있게 돌출되어 제공되어 상기 용접가이드부(300)와 결합되는 부분이 함몰되어 결합되기 위해서 지지탭(210), 탭탄성부재(220), 걸림부재(230), 마찰감소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상기 바디판(110)은 상기 쿠션부(200)가 연계될 수 있는 삽입홀(110a)이 형성되며, 상기 용접가이드부(30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110b)이 형성되는 바디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자력공급판(120)은 상기 바디판(1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200)와 접촉할 수 있게 연계되어 상기 쿠션부(200)에 자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력공급판(12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공급판(120)에는 상기 쿠션부(200)의 걸림홀(120a)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부(200)의 지지탭(2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쿠션부(200)의 걸림부재(230)와 접촉에 의해 자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자력공급판(120)이 상기 걸림부재(230)와 접촉하고 있으면, 상기 쿠션부(200)로 자력이 전달되지만, 상기 걸림부재(230)와 비접촉시에는 자력을 전달하지 않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그부재(130)는 상기 쿠션부(200)의 지지탭(210)이 하방이동하면 하측에 상기 지지탭(210)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부재(130)는 상기 바디판(110) 또는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탭(210)의 하방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다리(leg)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부재(130)는 상기 바디판(110)이 결합된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상면의 반대면인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지지탭(210)의 하방이동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200)에서 상기 지지탭(210)은 상기 피용접부재(2)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피용접부재(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탭(210)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공급하는 자력에 의해서 상기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피고정부재(320)가 수평하게 고정되지 않아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탭(210)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삽입홀(110a)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탭탄성부재(220)가 결합되기 위해서 대경부(211)와 소경부(21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경부(211)는 상기 소경부(212)보다 폭이 큰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탭탄성부재(220)가 상기 소경부(212)에 삽입되어 제공되면, 상기 탭탄성부재(2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경부(212)에는 후술할 걸림부재(230)고 결합되어 상기 탭탄성부재(2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경부(211)의 상면은 상기 삽입홀(1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대경부(211)에는 상기 피용접부재(2)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감소유닛(240)이 더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대경부(211)는 상기 마찰감소유닛(240)과의 결합을 위해서, 볼안착홈(211a)과 단부판(211b), 노출홀(211c)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도 상기 마찰감소유닛(240)에 대한 설명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탭탄성부재(220)는 상기 소경부(212)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자력공급판(120)이 지지점이 되어 상기 지지탭(2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탭탄성부재(220)가 상기 소경부(212)에 삽입된 후에, 상기 소경부(212)는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걸림홀(120a)을 관통한 후에 상기 걸림부재(2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탭(21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230)는 상기 지지탭(210)의 소경부(212)와 결합되어 상기 탭탄성부재(220)가 상기 소경부(212)에서 이탈하지 않게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소경부(212)는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걸림홀(120a)을 관통후에 상기 걸림부재(2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탭(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재(230)는 상기 소경부(212) 및 상기 자력공급판(120)의 걸림홀(120a)의 폭보다 큰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엔느 상기 걸림홀(12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지장치(1)에서 마찰저감유닛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피용접부재(2)가 탈착하는 상기 대경부(211)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피용접부재(2)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유닛(2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감소유닛(240)은 상기 대경부(211)의 일단부에 형성된 볼안착홈(211a)과 상기 볼안착홈(211a)보다 폭이 작은 노출홀(211c)이 형성된 단부판(211b) 사이에 삽입되는 접촉볼(241) 및 상기 접촉볼(241)과 상기 볼안착홈(211a) 사이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볼탄성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지장치(1)의 상기 노출홀(211c)의 주변에는 상기 접촉볼(241)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테이퍼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피용접부재(2)와 상기 대경부(21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대경부(211)의 일단부에 마찰감소유닛(24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찰감소유닛(240)은 접촉볼(241), 볼탄성부재(242)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경부(211)와 상기 피용접부재(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경부(211)에는 상기 접촉볼(241)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볼안착홈(211a)이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하게 제공되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볼(2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볼안착홈(211a)과 상기 접촉볼(241) 사이에는 단부판(211b)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판(211b)은 상기 접촉볼(241)을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하게 노출시키기 위해서 노출홀(211c)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노출홀(211c)은 상기 접촉볼(2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접촉볼(241)의 직경보다 작게 혀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노출홀(211c)은 상기 접촉볼(241)이 상처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변에 상기 접촉볼(241)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노출홀(211c)이 형성된 부분에 모서리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볼(241)이 상기 모서리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볼탄성부재(242)는 상기 접촉볼(241)을 상기 피용접부재(2)로 밀어 올려 접촉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볼탄성부재(242)는 상기 접촉볼(241)과 상기 볼안착홈(211a)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볼(241)이 상기 피용접부재(2)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용접용 지지장치 2 : 피용접부재
3 : 용접장치 100: 베이스부
110: 바디판 120: 자력공급판
130: 레그부재 200: 쿠션부
210: 지지탭 211: 대경부
212: 소경부 220: 탭탄성부재
230: 걸림부재 240: 마찰감소유닛
241: 접촉볼 242: 볼탄성부재
300: 용접가이드부 310: 가이드프레임
320: 고정부재

Claims (7)

  1. 자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자력에 의해 피용접부재가 탈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돌출 높이가 조정되게 상기 베이스부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쿠션부; 및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 경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용접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접 경로를 따라 간극홈이 형성된 용접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피용접부재가 탈착되는 대경부와, 폭이 상기 대경부보다 작게 형성된 소경부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상하이동되게 연계되는 지지탭;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소경부에 장착되는 탭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홀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의 걸림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을 관통한 상기 소경부와 결합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바디판; 및
    상기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와 접촉하여 자력을 공급하는 자력공급판;
    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일면에 상기 바디판이 결합된 상기 자력공급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레그부재;
    를 더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피용접부재가 탈착하는 상기 대경부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피용접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감소유닛은,
    상기 대경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볼안착홈과 상기 볼안착홈보다 폭이 작은 노출홀이 형성된 단부판 사이에 삽입되는 접촉볼; 및
    상기 접촉볼과 상기 볼안착홈 사이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볼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홀의 주변에는 상기 접촉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테이퍼진 형상이 형성된 용접용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이드부는,
    상기 간극홈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홀을 관통하며, 상기 쿠션부가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디판에 형성된 고정홈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지장치.
KR1020140040294A 2014-04-04 2014-04-04 용접용 지지장치 KR10158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94A KR101585765B1 (ko) 2014-04-04 2014-04-04 용접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94A KR101585765B1 (ko) 2014-04-04 2014-04-04 용접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57A true KR20150116057A (ko) 2015-10-15
KR101585765B1 KR101585765B1 (ko) 2016-01-15

Family

ID=5435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94A KR101585765B1 (ko) 2014-04-04 2014-04-04 용접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61B1 (ko) * 2015-10-21 2017-02-17 경성산업(주) 스터드 자동용접장치용 지그유니트
CN109048173A (zh) * 2018-10-12 2018-12-21 上海嘉堃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薄板零部件的柔性焊接定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74B1 (ko) * 2017-12-29 2020-10-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트림 스태킹용접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767A (ja) * 1986-08-20 1988-03-05 Kubota Ltd 薄板の溶接方法
KR200437643Y1 (ko) * 2007-08-24 2007-12-14 재성정밀주식회사 Pcb용 수평 지그 장치의 백업핀 설치 구조
KR101166966B1 (ko) * 2010-03-03 2012-07-20 한국기계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1318977B1 (ko) * 2012-04-09 2013-10-17 한성웰텍 (주) 철판모서리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767A (ja) * 1986-08-20 1988-03-05 Kubota Ltd 薄板の溶接方法
KR200437643Y1 (ko) * 2007-08-24 2007-12-14 재성정밀주식회사 Pcb용 수평 지그 장치의 백업핀 설치 구조
KR101166966B1 (ko) * 2010-03-03 2012-07-20 한국기계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1318977B1 (ko) * 2012-04-09 2013-10-17 한성웰텍 (주) 철판모서리 면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61B1 (ko) * 2015-10-21 2017-02-17 경성산업(주) 스터드 자동용접장치용 지그유니트
CN109048173A (zh) * 2018-10-12 2018-12-21 上海嘉堃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薄板零部件的柔性焊接定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765B1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70362B (zh) 机壳打孔攻丝装置
KR101585765B1 (ko) 용접용 지지장치
KR101271919B1 (ko) 용접 소재 고정장치
KR101245174B1 (ko) 볼트압입용 프레스기
JP2017087311A (ja) 位置決め装置
KR101814863B1 (ko) 노칭 금형
KR101418538B1 (ko) 레이저 절단기용 가공대상물 지지플레이트
TW200714384A (en) Punching apparatus
CN202877337U (zh) 冲头机构及具有该冲头机构的冲压装置
JP2018058152A (ja) ワーク固定装置
CN204035297U (zh) 一种冲裁模
CN203707545U (zh) 一种电缆组件气动铆压机
CN202934293U (zh) 直三角焊接治具
CN106425588B (zh) 多件合装紧固铣削定位装置
JP2017013239A (ja) 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US20200156135A1 (en) Mold for press brake
JP2016043376A (ja) 芯合わせ治具及び芯合わせ方法
KR101567149B1 (ko) 턴브로치 장치
CN103418702B (zh) 弹性定位装置及具有该弹性定位装置的模具
CN202824999U (zh) 模具激光焊机
CN104779509A (zh) 一种电缆组件气动铆压机
KR101394599B1 (ko) 금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가공장치
CN203323639U (zh) 轿车中立柱内蒙皮上边梁焊接总成检具
KR101562358B1 (ko) 프레스의 경사캠 장치
KR101149471B1 (ko) 너트용접기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