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28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28A
KR20150116028A KR1020140040071A KR20140040071A KR20150116028A KR 20150116028 A KR20150116028 A KR 20150116028A KR 1020140040071 A KR1020140040071 A KR 1020140040071A KR 20140040071 A KR20140040071 A KR 20140040071A KR 20150116028 A KR20150116028 A KR 2015011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attern
light
dummy wir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594B1 (ko
Inventor
김래영
손명석
신택선
오선희
최광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94B1/ko
Priority to US14/478,883 priority patent/US9341764B2/en
Publication of KR2015011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204Dummy component, dummy PCB or template, e.g. for monitoring, controlling of processes, comparing, scan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54Vertically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인쇄회로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광형 방식을 채택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외부 케이스와 연결되는 액정표시모듈을 포함한다. 액정표시모듈은 액정층을 개재하는 두 장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액정층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제공받은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 방식과 측광형 방식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직하형 방식에서는 광원이 표시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며, 측광형 방식에서는 광원이 표시 패널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다.
측광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인도하는 도광판을 필요로 한다. 도광판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광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쇄회로기판과 도광판의 접착 성능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인쇄회로기판과 도광판의 접착 성능이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인쇄회로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인쇄회로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과 도광판의 접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과 도광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인쇄회로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발광 패키지(750)은 인쇄회로기판, 배선 패턴, 광원부 및 더미 배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후술하는 광원부(300), 배선 패턴(500), 더미 배선 패턴(400)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도 1에서 x축 양의 방향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인쇄회로기판(200)은 x축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장변과 y축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00)은 가요성을 가지며, 벤딩(bending) 되거나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의 가요성은 그 재질이나 두께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은 박형 필름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박형 필름 상에 각종 칩 들이 실장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 상에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후술하는 광원부(300)이 배치되는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일정 간격 이격되며,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2)는 제1 영역(A1)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00) 상에는 제1 영역(A1) 과 제2 영역이(A2)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 상에는 광원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00)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을 향해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부(300)는 바디부(300_1)와 바디부(300_1)로부터 돌출 형성된 발광부(300_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00_1)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00_1)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독립한 별개의 구성으로서, 인쇄회로기판(200)에 체결될 수도 있다. 바디부(300_1)의 체결 방식으로, 예컨대, 억지 끼움 방식 등이 채택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바디부(300_1)의 체결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300_1)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바디부(300_1)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300_1)는 원형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300_1)는 인쇄회로기판(2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디부(300_1)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이 바디부(300_1)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 상에는 복수개의 바디부(300_1)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300_1)는 서로 이격되며,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300_1)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장변, 즉, x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300_1) 상에는 발광부(300_2)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00_2)는 광원부(300) 중 직접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구성으로서, 발광부(300_2)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 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300_2)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발광부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광부(300_2)는 바디부(300_1)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부(300_2)는 바디부(300_1)의 일측벽에 배치되며, 일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00_2)는 후술하는 도광판(100)을 향해 배치되며, 도광판(100)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은 도광판(100)에 전달되며, 도광판(100)에서 산란 또는 반사되어 표시 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300_2)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바디부(300_1)에 하나의 발광부(300_2)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하나의 바디부(300_1)에 하나 이상의 발광부(300_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200) 상에는 복수개의 배선 패턴(500)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패턴(500)은 광원부(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원부(300)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선 패턴(50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 패턴(500)은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배선 패턴(5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배선 패턴(500)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 패턴(500)은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 및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은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광원부(500)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배선 패턴을 의미한다.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는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과 연결되고, 타단이 커넥터(600)와 연결된다. 즉,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과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접점에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광원부(300)에 두 개의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이 연결되고, 복수개의 광원부(300)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인 배선 패턴과 연결되는 하나의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1)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 및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의 개수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광원부(3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패턴 라인(500_1)이 연결될 수 있으며, 광원부(300) 구동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6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단 및/또는 타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500)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라인 배선 패턴(500_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A2) 상에는 더미 배선 패턴(400)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 패턴(400)은 제2 영역(A2), 즉, 하나의 광원부와 인접하는 다른 광원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더미 배선 패턴(400)은 하나의 광원부와 연결된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과 인접하는 다른 광원부와 연결된 제1 라인 배선 패턴(500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 패턴(400)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미 배선 패턴(400)의 돌출 두께는 배선 패턴(500)의 돌출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미 배선 패턴(400)은 배선 패턴(500)으로 인한 단차를 일정 부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미 배선 패턴(40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더미 배선 패턴(400)은 구리(Cu)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더미 배선 패턴(4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미 배선 패턴(400)은 배선 패턴(5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 패턴(400)은 배선 패턴(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더미 배선 패턴(400)은 배선 패턴(50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며, 따라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발광 패키지(750)의 일측에는 도광판(1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은 측광형 방식을 채택한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도광판(100)은 발광 패키지(750)으로부터 전달 받은 빛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광판(100)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클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광판(100)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도광판(100)의 가요성은 두께, 형상, 재질 등에 기인하여 부여될 수 있다.
도광판(100)의 하면에는 산란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광판(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산란 패턴은 기 공지된 다수의 산란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가 모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광판(100)과 발광 패키지(750)의 결합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가 참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광판(100) 하면의 일부는 인쇄회로기판(200) 상면의 일부와 대향할 수 있다. 즉, 도광판(100)의 일측면은 인쇄회로기판(200)의 광원부(300)과 대향하고, 도광판(100)의 하면의 일부는 인쇄회로기판(200) 상면의 일부와 대향할 수 있다.
도광판(100)과 인쇄회로기판(200)을 결합시키기 위해, 도광판(100)과 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는 접착층(700)이 개재될 수 있다.
접착층(700)은 도광판(100)과 인쇄회로기판(2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층(700)은 점착 시트나 접착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0)은 광학투명양면테이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접착제(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접착제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접착층(7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접착층(7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700)은 도포되거나,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접착층(700)의 형성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700)은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층(700)은 더미 배선 패턴(4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0)은 더미 배선 패턴(400)과 완전하게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가 참조된다.
도 4는 도 2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서 접착층(700)은 인쇄회로기판(400)과 도광판(100) 사이에 개재되며, 인쇄회로기판(400)의 배선 패턴(500)과 더미 배선 패턴(400)을 덮을 수 있다.
즉, 접착층(400)은 배선 패턴(500) 및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패턴(500) 및 더미 배선 패턴(400)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접착층(700) 상면의 일부, 즉, 접착층(700) 중 배선 패턴(500) 및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는 영역만이 도광판(100)의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 즉, 접착층(700) 중 배선 패턴(500) 및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는 영역은 도광판(100) 하면에 직접적으로 접하고, 접착층(700) 중 배선 패턴(500) 및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은 도광판(100)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 패턴(400) 없이 배선 패턴(500) 만이 존재하는 경우, 도광판(100)과 접착층(700)의 접촉 면적이 작아 접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배선 패턴(50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더미 배선 패턴(400)이 배치되는 경우, 도광판(400)과 접착층(700)의 접촉 면적을 넓혀 도광판(400)과 인쇄회로기판(200)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접착층은 더미 배선 패턴(40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더미 배선 패턴(400)에만 중첩되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1)은 더미 배선 패턴(400)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착층(701)은 더미 배선 패턴(400)만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더미 배선 패턴(4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1)은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미 배선 패턴(4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접착층(701)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접착층(701)이 더미 배선 패턴(400)에만 중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 패턴(500)은 도광판(100)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이는 접착층(701)의 단차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은 더미 배선 패턴(401)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인 점이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미 배선 패턴(401)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더미 배선 패턴(401)의 폭은 광원부(300)에서 도광판(100)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더미 배선 패턴(401)의 밑변은 광원부(300)와 인접하고, 더미 배선 패턴(401)의 꼭지점(P)은 도광판(100)과 인접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 패턴(401)의 평면 형상은 광원부(300)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일정하게 좁아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착층(702)은 더미 배선 패턴(401)과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702)은 더미 배선 패턴(4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더미 배선 패턴(401)과 중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층(702)은 더미 배선 패턴(40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2)의 평면 형상은 더미 배선 패턴(401)의 평명 형상과 닮은 형상을 가지며, 더미 배선 패턴(401)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패턴(500)은 도광판(100)의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더미 배선 패턴(401)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더미 배선 패턴(401) 밑변의 폭을 제1 거리(d1), 더미 배선 패턴(401)의 밑각을 제1 각(θ1),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선의 최대 방사각을 제2 각(θ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는 하나의 광원부와 인접하는 다른 광원부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미 배선 패턴(401)의 밑면의 양단은 광원부(300)와 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부(300)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인 최대 방사각이 정의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를 제2 각(θ2)으로 지칭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각(θ2)은 더미 배선 패턴(401)과 대응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즉, 제2 각(θ2)의 최대값은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 광선이 더미 배선 패턴(401)의 꼭지점(P)를 지날 때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선은 더미 배선 패턴(400)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더미 배선 패턴(401)과 접할 경우, 더미 배선 패턴(401)의 영향을 받아 빛이 산란되거나, 반사되어, 빛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더미 배선 패턴(401)에 접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빛샘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최대 방사각에 대응되도록 더미 배선 패턴(401)의 밑각을 조절함으로써, 발광 패키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더미 배선 패턴(401)의 양측변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게 진행하는 점이 도 9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더미 배선 패턴(401)의 양측변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제2 각(θ2)이 90도에서 제1 각(θ1)을 뺀 값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300_2)에서 나오는 광선은 더미 배선 패턴(401)과 접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더미 배선 패턴(401)에 의해, 발광부(300_2)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산란되거나 반사되어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배선 패턴이 광원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점이 도 7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 패턴(501)은 광원부(3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원부(300)의 전방측에는 발광부(300_2)가 배치되고, 광원부(300)의 후방측에는 배선 패턴(501)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패턴(501)은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 및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은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광원부(501)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배선 패턴을 의미한다.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는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과 연결되고, 타단이 커넥터(600)와 연결된다. 즉,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과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접점에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하나의 광원부(300)에 두 개의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이 연결되고, 복수개의 광원부(300)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인 배선 패턴과 연결되는 하나의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제1 라인 배선 패턴(501_1) 및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의 개수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광원부(3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패턴 라인(501_1)이 연결될 수 있으며, 광원부(300) 구동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인 배선 패턴(501_2)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패턴(501)이 광원부(3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경우, 배선 패턴(501)은 도광판(100)과 중첩되지 않으며, 배선 패턴(501)에 의한 단차가 소멸됨으로써, 도광판(100)과 인쇄회로기판(200)의 접착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면이 제1 평탄면(120_1), 경사면(120_2) 및 제2 평탄면(120_3)을 갖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도광판(100)의 하면(110)은 도광판(100)의 상면(120)과 대향한다. 도광판(100) 하면(110)의 폭은 도광판(100) 상면(120)의 수평 방향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광판(100)의 하면(110)은 복수의 산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란 패턴은 기 공지된 다수의 산란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광판(100)의 일측면에는 입광면(130)이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대광면(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광면(130)의 높이는 대광면(140)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입광면(130)의 높이가 대광면(140)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는 도광판(10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00)의 크기에 기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광판(100)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입광면(13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00)의 두께는 도광판(100)의 두께만큼 얇아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입광면(130)의 높이를 광원부(300)의 크기에 대응시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입광면(130)의 높이를 대광면(140)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판(100)의 상면(120)은 제1 평탄면(120_1), 제1 경사면(120_2) 및 제2 평탄면(120_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평탄면(120_1)은 도광판(100) 일측면에 구비되는 입광면(13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입광면(130) 상단으로부터 도광판(100)의 타측을 향해, 즉,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입광면(130)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경사면(120_2)은 제1 평탄면(120_1)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하향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탄면(120_3)은 제1 경사면(120_2)의 하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되, 입광면(130)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대광면(14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평탄면(120_3)의 타단과 대광면(140)의 상단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0)은 더미 배선 패턴(400)에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700)에서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는 영역은 도광판(101)의 하면과 접하고, 더미 배선 패턴(400)과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도광판(101)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0)이 배치되지 않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 및 배선 패턴(500)은 도광판(101)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층(700)은 제1 평탄면(120_1) 및 경사면(120_2)의 경계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층(700)은 제1 평탄면(120_1)과 중첩되며, 경사면(120_2)과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광판의 양측에 두 개의 발광 패키지가 배치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발광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광판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 패키지를 제1 발광 패키지(751), 도광판 타측에 배치되는 발광 패키지를 제2 발광 패키지(752)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발광 패키지(751) 및 제2 발광 패키지(752)는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설명한 발광 패키지(7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인쇄회로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0)는 표시 패널(730), 탑샤시(540) 및 바텀 샤시(54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20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 패널(730)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패널(730)은 제1 기판(731), 제1 기판(731)에 대향하는 제2 기판(732), 액정층, 및 제1 기판(731)에 부착된 구동부(134)와 연성회로기판(137)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730)의 표시 영역은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표시 패널(730)의 비표시 영역은 화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패널(730)의 평면도에서, 후술하듯이, 표시 영역은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중첩되는 영역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은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중첩되는 영역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730)과 탑 샤시(54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고, 비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730)과 탑 샤시(540)가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730)의 평면도에서, 표시 영역의 형상은 제2 기판(732)의 형상과 유사하되, 내부 면적은 작을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730)의 평면도에서,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선들은 각각에 대향하는 제2 기판(732)의 변들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선이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기판(73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판(732)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중첩되는 영역의 중앙 부분이 표시 영역일 수 있고,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중첩되는 영역의 테두리 부분이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구동부(734)와 연성회로기판(737)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판(732)은 제1 기판(731)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 사이에는 액정층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 사이에는 실런트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제1 기판(731) 및 제2 기판(732)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을 상호 합착하고 밀봉할 수 있다.
제1 기판(731) 및 제2 기판(732)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판(731) 및 제2 기판(732)의 형상을 직육면체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730)의 형상에 따라 제1 기판(731) 및 제2 기판(73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동부(734)는 표시 영역에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동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737)은 구동부(734)로 각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 패널(730)의 타면 상에는 백라이트 유닛(1000)이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0)는 빛을 출사시키는 광원부(300) 및 광원부(300) 출사된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0)에서 도광판(100) 하측에는 도광판(100)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 시트(70), 도광판(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출사된 빛의 광학적 특성을 변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시트(121), 및 이들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5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541)은 표시 패널(730)의 타면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하여, 표시 패널(730)을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730)의 타면의 테두리 부분은 표시 패널(730)의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즉, 몰드 프레임(541)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패널(730)의 비표시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탑 샤시(540)는 표시 패널(730)의 테두리를 덮으며, 표시 패널(730) 및 광원부(3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바텀 샤시(542)는 광학 시트(121), 도광판(100), 백라이트 유닛(1000), 및 반사 시트(70)를 수납할 수 있다. 탑 샤시(540) 및 바텀 샤시(542)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백라이트 유닛
300: 광원부
200: 인쇄회로기판
500: 배선 패턴
400: 더미 배선 패턴
100: 도광판
700: 접착층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2000: 액정 표시 장치
731: 제1 기판
732: 제2 기판
734: 구동부
737: 연성회로기판
541: 몰드 프레임
121: 광학 프레임
100: 확산판
70: 반사시트
542: 바텀 샤시
600: 커넥터

Claims (20)

  1. 발광 패키지 및 상기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사이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은 일단이 상기 광원부와 접하며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라인 배선 패턴과 일단이 상기 제1 라인 배선 패턴과 접하며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라인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의 돌출 두께는 상기 배선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상기 배선 패턴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상기 배선 패턴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완전하게 중첩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접하고,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인 제2 각이 정의되고,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은 삼각형 형상을 갖되, 상기 제2 각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이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의 꼭지점을 지날 때 최대값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인 제2 각이 정의되고,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은 삼각형 형상을 갖되,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은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의 양측변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게 진행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패키지 및 상기 발광 패키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패키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사이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패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접하고,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더미 배선 패턴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인 제2 각이 정의되고,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은 삼각형 형상을 갖되, 상기 제2 각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이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의 꼭지점을 지날 때 최대값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인 제2 각이 정의되고,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은 삼각형 형상을 갖되,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광선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선은 상기 더미 배선 패턴의 양측변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게 진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40040071A 2014-04-03 2014-04-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17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71A KR102171594B1 (ko) 2014-04-03 2014-04-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4/478,883 US9341764B2 (en) 2014-04-03 2014-09-05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71A KR102171594B1 (ko) 2014-04-03 2014-04-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28A true KR20150116028A (ko) 2015-10-15
KR102171594B1 KR102171594B1 (ko) 2020-10-30

Family

ID=5421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071A KR102171594B1 (ko) 2014-04-03 2014-04-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41764B2 (ko)
KR (1) KR102171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594265U (zh) * 2016-05-11 2016-09-2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193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모듈
KR20120126823A (ko) * 2011-05-13 2012-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525B2 (ja) * 1995-03-27 2001-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気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3531633B2 (ja) * 2000-09-1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102238A (ko) 2006-04-14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128693A (ko) 2008-06-11 2009-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31010B1 (ko) 2008-10-29 2011-04-2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피씨비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브
KR101007328B1 (ko) 2009-05-12 2011-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 모듈
KR20110014033A (ko) 2009-08-04 2011-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5545B1 (ko) 2009-12-16 2012-04-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193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모듈
KR20120126823A (ko) * 2011-05-13 2012-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89367A1 (en) 2015-10-08
US9341764B2 (en) 2016-05-17
KR102171594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8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61312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02563451B (zh) 背光组件和装配显示设备的方法
CN110058452B (zh) 照明装置和显示装置
US898579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20150253484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551556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source unit comprising the same
JP677980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EP2875401B1 (en)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20160062034A1 (en) Display device
US20120206942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JP201808832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20150070736A (ko) 도광판,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342731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1018794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1020545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517592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10170020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802632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217159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92391A (ko) 도광판,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US9946103B2 (en) Display apparatus
CN115016167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10705289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10176064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