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952A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952A
KR20150114952A KR1020157020729A KR20157020729A KR20150114952A KR 20150114952 A KR20150114952 A KR 20150114952A KR 1020157020729 A KR1020157020729 A KR 1020157020729A KR 20157020729 A KR20157020729 A KR 20157020729A KR 20150114952 A KR20150114952 A KR 2015011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leaning
sheet
longitudinal direction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025B1 (ko
Inventor
도모카즈 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청소 시트(100)와,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구(200)로 이루어지는 청소구(A)에 관한 것이다. 청소 시트(100)는, 솔부(110)와, 기부(120)와, 유지구(200)의 유지부(220)가 삽입되는 삽입부(130)를 가지고, 솔부(110)는 복수의 스트립(150)을 가지고, 스트립(150)은, 제1 스트립(151)과, 제1 스트립(151)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스트립(152)을 가지고, 제2 스트립(152)은,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낼 수 있는 긁어냄부(152A)를 갖는다.

Description

청소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 대상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에는, 손잡이 삽입부와,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층과 긁어냄용 시트를 형성한 청소용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손잡이 삽입부는 한쌍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 청소용 물품은 손잡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에 기재된 청소용 물품의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는,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에 기재된 청소용 물품은,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내는 기능을 갖고 있었다. 한편, 섬유층의 섬유가 얽힌 경우에는, 긁어냄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솔부와, 상기 솔부가 접속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솔부는, 스트립 형상(短冊狀)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낼 수 있는 긁어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스트립은 고강성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방향과,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강성 영역은,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트립과 상기 제2 스트립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기부는 상기 제1 시트체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입부를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복수의 절입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상기 일방측과 대향하는 쪽인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스트립이 갖는 긁어냄부에 의해,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 용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체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청소체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솔부측에서 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시트체측에서 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트립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스트립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의 IX-IX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청소체 홀더를 청소체에 걸어맞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IIX-IIX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청소 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청소 용구의 개략)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청소구」의 일 실시형태인 청소 용구(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 청소 용구(A)를 이용하여 청소되는 청소 대상으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창, 천장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조명,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 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면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용구(A)는,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체 홀더(200)는, 청소체(100)에 착탈 가능하고, 청소체(1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청소 용구(A)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구」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 홀더(200)가 본 발명에서의 「유지구」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10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청소체(100)는, 청소체 길이 방향(Y)과, 청소체 길이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청소체 길이 방향(Y)은, 청소체(100)에 청소체 홀더(200)를 삽입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이 청소체(100)에 청소체 홀더(200)를 삽입하는 방향은, 삽입 방향(Y1)이 된다. 이 삽입 방향(Y1)과 반대의 방향은 발출 방향(Y2)이 된다.
청소체 길이 방향(Y) 및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의 각각과 교차하는 방향은, 두께 방향(Z)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교차」란 「직교」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청소체 길이 방향(Y)이, 본 발명에서의 「청소 시트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이, 본 발명에서의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또, 청소체(100)는, 청소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와,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를 갖는다. 단부(100B)는, 그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중앙 영역(100BC)을 갖는다. 단부(100A)는, 그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중앙 영역(100AC)을 갖는다.
청소체(100)에 있어서, 길이 교차 방향(X)의 중심이 되는 점을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으로 규정한다. 또,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형성하기 위한 길이 교차 방향(X)은, 청소체(100) 상에서의 임의의 개소의 길이 교차 방향(X)을 적절히 채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Y)과 평행한 직선을 길이 방향 중심선(YCL)으로 규정한다.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으로부터 청소체(10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외측 방향(100D1)으로 규정한다. 또한, 청소체(10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방향(100D2)으로 규정한다.
(청소체 홀더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체 홀더(200)는, 핸들부(210) 및 청소체 유지부(220)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핸들부(210)는,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청소시에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부재이다. 핸들부(210)는, 핸들(211)과 핸들 접합부(212)를 갖고 있다. 핸들 접합부(212)는 청소체 유지부(220)의 연접부(230)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211)은 핸들 접합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부(210)가 본 발명에서의 「파지부」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 유지부(220)가 본 발명에서의 「유지부」의 일례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청소체(100)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장척형으로 형성된 2개의 유지 부재(221), 볼록부(260) 및 누름판(270) 등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체 유지부(220)는, 폴리프로필렌(PP)이 사용되고 있다. 또, 청소체 유지부(220)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유지 부재(221)는, 연접부(230)로부터 핸들(211)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221)는, 연접부(230)와, 선단부(240)와, 연접부(230)로부터 선단부(240)를 향해 연장된 중간부(250)를 갖는다. 2개의 유지 부재(221)의 선단부(240)는 각각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볼록부(260)는, 중간부(250)에서의 외측 방향(100D1)으로 형성된다. 볼록부(260)는, 연접부(230)측에 형성된 제1 볼록부(261)와, 선단부(240)측에 형성된 제2 볼록부(262)로 이루어진다.
누름판(270)은, 연접부(2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270)은, 한쌍의 유지 부재(221) 사이에, 유지 부재(221)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270)은, 하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판형 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하면에 걸림 돌기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체의 구성)
다음으로 도 3∼도 5를 참조하면서, 청소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청소체(100)는, 청소 대상의 진개 등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염물 포집 기능을 갖는 시트형의 청소체이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청소체(100)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일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 대상의 피청소면으로부터 제거한 쓰레기나 먼지를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일회용 타입이 것이어도 좋고, 혹은 세탁 등을 행한 후에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청소체(100)에 있어서, 기부(120)는 제1 시트체(1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부(120)는,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20A)와,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20B)와, 한쪽 면(120C)과, 다른쪽 면(120D)을 갖는다. 이 기부(120), 제1 시트체(121), 한쪽 면(120C), 다른쪽 면(120D)이, 본 발명에서의 「기부」, 「제1 시트체」, 「일방측」, 「타방측」의 각각 일례이다.
기부(120)의 한쪽 면(120C)에는 섬유 집합체(110GF)가 배치된다.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에는 제2 시트체(122)가 배치된다.
이들 적층된 기부(120), 섬유 집합체(110GF), 제2 시트체(122)는, 모두 청소체(100)의 길이 방향(Y)으로 장척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섬유 집합체(110GF)는, 후술하는 스트립(150)과 함께, 오염물 포집 기능을 갖는 솔부(110)를 형성한다. 이 섬유 집합체(110GF)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집합체」의 일례이다. 이 솔부(110)가 본 발명에서의 「솔부」의 일례이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섬유(110SF)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110SF)란, 전형적인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전형적인 섬유가 길이 방향 및/또는 직경 방향으로 정렬된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재 등), 내지 상기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된다. 여기서 「전형적인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 단위이고, 굵기에 비해 충분한 길이를 갖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섬유(110SF)는 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각각의 섬유(110SF)가 융착(「용착」이라고도 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소정의 섬유 배향 방향(110D)에서 병렬로 배열됨과 동시에, 두께 방향(Z)으로 적층된 복수의 섬유(110SF)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배향 방향(110D)은 길이 교차 방향(X)과 대략 합치된다. 한편, 섬유(110SF)는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굴곡, 변형된다. 따라서, 섬유(110SF)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이란 제품 설계상의 섬유 배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섬유 집합체(110GF)의 섬유(110SF)는, 중앙 접합부(140)와 용착되는 단부인 접속 단부(110SFA)를 갖는다. 그리고, 섬유(110SF)는, 접속 단부(110SFA)와 반대측의 단부인 개방 단부(110SFB)를 갖는다. 이 개방 단부(110SFB)는 자유단이 된다.
또, 도 3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110GF)는, 3개의 섬유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섬유층의 수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110GF)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지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입체 형상으로서, 혹은 박육 시트 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으로는 토우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어(core) 부분이 폴리프로필렌(PP) 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이 코어 부분의 외면을 덮는 시스(sheath) 부분이 폴리에틸렌(PE)의 복합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 집합체(110GF)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섬유 집합체(110GF)를 형성하는 섬유(110SF)의 섬도는 1∼50 dtex의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10 dtex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섬유 집합체는 대략 동일한 섬도의 섬유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각 섬유 집합체가 상이한 섬도의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청소시의 오염물 포집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 집합체(110GF)에는, 오일제가 공급된다. 이 오일제는 유동 파라핀을 주성분으로 한다.
또한, 청소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섬유(110SF), 즉 섬도가 높은 섬유(110SF)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110GF)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집합체(110GF)는, 권축 섬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권축 섬유는, 주지된 권축 처리가 부여된 섬유로서 구성되고, 섬유끼리가 얽히기 쉬운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권축 섬유를 이용하면, 섬유 집합체(110GF)가 청소체 홀더(200) 장착 전의 상태보다 벌키해져, 더욱 권축 부분에 쓰레기를 받아들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본 구조는, 특히 토우 섬유로부터 형성된 권축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체(122)는, 길이 방향(Y)에서, 기부(120)보다 짧은 직사각형의 부직포로 형성된 시트이다.
기부(120)(제1 시트체(121)) 및 제2 시트체(122)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모두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이들 기부(120) 및 제2 시트체(122)는, 「부직포 시트」라고도 불린다. 또, 청소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부직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 섬유가 사용된다. 또한, 부직포의 형태로는, 에어 스루법이나, 스펀 본드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한편, 부직포 이외에도, 포백이나, 합성 수지에 의한 필름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는, 청소체(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YCL)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접합부(140)와, 중앙 접합부(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접합부(141)에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와, 섬유 집합체(110GF)가, 중앙 접합부(140)에 있어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또한,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와,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가 제1 접합부(141)에 있어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또, 길이 방향(Y)에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141)는 제2 시트체(122)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Y)에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141)는 기부(120)와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만을 접합한다.
중앙 접합부(140)와 제1 접합부(141) 사이에 끼워진 영역 중,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 사이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유지 공간(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공간(130)에서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는, 개구(131)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공간(130)이, 본 발명에서의 「삽입부」의 일례이다.
또, 바꿔 말하면, 유지 공간(130)은, 길이 교차 방향(X)에서의 한쌍의 제1 접합부(141)끼리의 사이에서의 기부(120)의 소정 영역과, 제2 시트체(122)의 소정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접합부(141)는, 길이 방향(Y)을 대략 따라서 복수 연속하여 형성된다. 한편, 길이 방향(Y)에서 인접하는 제1 용착 접합부(141)가, 반드시 길이 방향(Y)에 일치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제1 용착 접합부(141)의 배치 형태는, 디자인성이나, 청소체 유지부(220)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1 용착 접합부(141)를 연속한 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전술한 중앙 접합부(140), 제1 접합부(141)는, 열에 의한 용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는, 초음파 용착, 봉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한 점착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소체(100)는 스트립(150)을 갖는다. 스트립(150)은, 기부(120)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입선 사이에 형성된 스트립(121S)과, 제2 시트체(122)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입선 사이에 형성된 스트립(122S)으로 이루어진다. 또, 기부(120) 및 제2 시트체(122)에서의 절입선은, 지그재그형이 된다. 스트립(150)을 지그재그형으로 함으로써, 쓰레기를 걸어서 포착하기 쉬운 청소 기능이 높은 구조가 실현된다. 또, 스트립의 형상에 관해서는, 지그재그형, 직선형, 곡선형 등 중의 단일 종류 혹은 복수 종류의 형상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150)은, 섬유 집합체(110GF)와 함께 솔부(110)를 형성한다. 스트립(150)으로는, 기부(120)의 스트립(121S) 혹은 제2 시트(122)의 스트립(122S) 중 어느 한쪽이어도 좋다. 즉, 스트립(150)은, 청소체(100)를 형성하기 위한 어느 시트형체에 형성되어 있으면 족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트립(150)을 형성하기 위한 절입은, 절입부(150A)라고 한다.
이 스트립(150)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일례이다.
스트립(15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5∼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는, 편의상, 절입부(150A)를 직선형으로 하여 기재한다.
스트립(150)은, 제1 스트립(151)과, 제1 스트립(151)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스트립(152)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스트립(152)에는 열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트립(151)의 강성은 51.2(mm/25 mm)이고, 제2 스트립(152)의 강성은 67.6(mm/25 mm)이다. 또, 이 강성의 측정은, JIS/L1096의 캔틸레버법으로 측정했다. 제2 스트립(152)은,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낼 수 있는 긁어냄부(152A)를 갖는다.
이 제1 스트립(151)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스트립」의 일례이다. 이 제2 스트립(152)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스트립」의 일례이다. 이 긁어냄부(152A)가 본 발명에 따른 「긁어냄부」의 일례이다.
제2 스트립(152)은 고강성 영역(152B)을 갖는다. 이 고강성 영역(152B)은, 제2 스트립(152)에 대하여,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여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스트립(152)은, 전술한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고강성 영역(15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강성 영역(152B)은, 그 밖의 구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트립(152)에 대하여, 핫멜트형 접착제를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제2 스트립(152)에 대하여, 부직포를 첩부하는 것이나, 열용융 가공을 행하는 것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 고강성 영역(152B)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영역」의 일례이다.
스트립(150)은, 스트립(150)이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방향(150Y)과, 스트립 길이 방향(150Y)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150X)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트립 길이 방향(150Y)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이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150X)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제1 스트립(151)은, 스트립 길이 방향(150Y) 상의 단부인 단부(151Y)와,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인 단부(151X)를 갖는다. 제2 스트립(152)은, 스트립 길이 방향(150Y) 상의 단부인 단부(152Y)와,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인 단부(152X)를 갖는다.
그리고, 고강성 영역(152A)은, 스트립 길이 방향(150Y)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제2 스트립(152)이, 그 스트립 길이 방향(Y)에 대하여 강화된다.
또, 긁어냄부(152A)는 고강성 영역(152B)의 단부에 형성된다.
즉, 도 6에 있어서는, 고강성 영역(152B)은, 제2 스트립(152)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긁어냄부(152A)는, 제2 스트립(152)의 단부(152X), 단부(152Y)와 일치한다.
한편, 도 7에 있어서는, 고강성 영역(152B)은 제2 스트립(152)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긁어냄부(152A)는 제2 스트립(152)의 영역 상에서의 고강성 영역(152B)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 청소체(100)에 있어서는,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은 청소체(100)에서의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트립(151)과 상기 제2 스트립(152)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청소체 홀더와 청소체의 걸어맞춤)
다음으로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21)는 각각, 유지 공간(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부재(221)가 삽입 방향(Y1)을 따라 유지 공간(130)에 삽입됨으로써, 청소체(100)가 청소체 홀더(200)에 유지된다. 한편, 걸어맞춰져 있는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청소체 홀더(200)를, 발출 방향(Y2)을 따라 유지 공간(130)으로부터 발출한다.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볼록부(260)는, 인접하는 제1 접합부(141)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누름판(270)은, 유지 부재(221)와 함께 제2 시트체(122)를 협지한다.
(작용)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A)의 작용에 관해,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 11에 있어서는, 편의상, 절입부(150A)를 직선으로서 기재한다.
사용자가, 청소체(100)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를 청소 대상에 접촉시킨다. 그렇게 하면, 제2 스트립(152)의 긁어냄부(152A)가, 청소 대상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 용구(A)의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진개가 긁어냄부(152A)에 의해 긁어내어진다. 이 때, 제2 스트립(152)은 고강성 영역(152B)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긁어냄 작업에 크게 지장을 초래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더욱 청소 용구(A)의 조작을 계속하면, 제1 스트립(151)이 청소 대상에 접촉하여, 변형된다. 더욱 사용자가 청소 용구(A)의 조작을 계속하면, 다른 제2 스트립(152)이 청소 대상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2 스트립(152)을 연속하여 청소 대상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긁어내어진 진개는, 섬유 집합체(110GF)에 의해 포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A)에서는, 진개를 효율적으로 긁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A)는,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 용구(A)에서는, 유지구(200)의 유지 부재(211)가 2개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대응하여 청소체(100)의 유지 공간(130)도 2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유지 부재(211)에 대하여, 단일의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유지 부재(211)에 대하여, 단일의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을 하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청소 용구(A)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
도 12에 기초하여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1)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1)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를 구성하는 제1 시트체(121)만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시트체(121)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121A)을 형성한다. 이 접합 시트 영역(121A)에서의 소정 영역을 용착하여, 제2 접합부(14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1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솔부(110)만을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부(110)와 기부(120)는 접착제(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이 제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1)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2 변형예)
도 13에 기초하여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2)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2)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3 시트체(123)와, 제4 시트체(124)를 중첩한다. 그리고, 제3 시트(123)와 제4 시트(124)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양단부 근방의 영역을, 길이 방향(Y)을 따라 용착하여, 제4 접합부(144)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3 시트(123)와 제4 시트(124) 사이에,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2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솔부(110)와 기부(120)만을 접합한다. 제3 시트(123)는, 접착제 등에 의해 기부(120)와 접합되어, 제5 접합부(145)를 형성한다.
이 제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1)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3 변형예)
도 14에 기초하여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3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3)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3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3)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5 시트체(125)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125A)을 형성한다. 이 접합 시트 영역(125A)에서의 소정 영역을 용착하여, 제6 접합부(14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3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솔부(110)와 기부(120)만을 접합한다. 제5 시트(125)는, 접착제 등에 의해 기부(120)와 접합되어, 제7 접합부(147)를 형성한다.
이 제3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3)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4 변형예)
도 15에 기초하여 제4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4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4)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에는 섬유 집합체(110GF)가 중첩된다.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에는, 제2 시트(122)와 섬유 집합체(110GF)가 중첩된다. 즉, 2개의 섬유 집합체(110GF) 사이에,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가 협지된 적층체가 된다. 이 적층체에 있어서, 기부(120) 및 제2 시트체(122)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 영역이 용착되어, 한쌍의 제8 접합부(148)를 형성한다. 또한, 한쌍의 제8 접합부(148) 사이에서의 영역에서, 적층체가 용착되어, 제9 접합부(14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4)가 형성된다.
이 제4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4)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5 변형예)
도 16에 기초하여 제5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5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5)는, 전술한 제1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1)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유지 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시트체(121)에, 섬유 집합체(110GF)가 접합되는 것이다.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의 섬유 집합체(110GF)는, 중앙 영역에서 용착된다. 이 중앙 영역에서의 용착 개소는, 제10 접합부(1410)를 형성한다. 이 제10 접합부(1410)를 갖는 섬유 집합체(110GF)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등에 의해, 유지 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시트체(121)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5)가 형성된다.
이 제5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5)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1)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6 변형예)
도 17에 기초하여 제6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6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6)는, 전술한 제2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2)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섬유 집합체(110)와, 제6 시트체(126)를 중앙 영역에서 용착하여, 제11 접합부(14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6 시트체(126)에서의 섬유 집합체(11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제4 시트체(124)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제12 접합부(14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6)가 형성된다.
이 제6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6)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2)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7 변형예)
도 18에 기초하여 제7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7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7)는, 전술한 제3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3)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섬유 집합체(110)와 제7 시트체(127)를 중앙 영역에서 용착하여, 제13 접합부(14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7 시트체(127)에서의 섬유 집합체(11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제5 시트체(125)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제14 접합부(141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7)가 형성된다.
이 제7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7)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솔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3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3)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8 변형예)
도 19에 기초하여 제8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8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8)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에서의 중앙 영역(100AC)에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제1 스트립(151)은,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단부(100A)와, 청소체 길이 방향 단부(100B)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8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8)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제8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8)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비해 제2 스트립(152)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한 청소 대상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보다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변형예)
도 20에 기초하여 제9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9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9)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에서의 중앙 영역(100AC)에 제1 스트립(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제2 스트립(152)은,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단부(100A)와, 청소체 길이 방향 단부(100B)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9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9)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제9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09)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비해 제2 스트립(152)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한 청소 대상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보다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트립(150)은, 청소체에서의 청소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1∼도 23에 기초하여, 청소체에서의 청소체 길이 방향 상의 단부(100B)에 스트립(150)을 형성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이 도 21∼도 23에 따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편의상,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에서의 스트립(150)에 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21∼도 23에 따른 변형예에 있어서도,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의 스트립(150)에 대하여,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0 변형예)
도 21에 기초하여 제10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10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0)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청소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10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0)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제10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0)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비해 제2 스트립(152)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한 청소 대상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보다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1 변형예)
도 22에 기초하여 제11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1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1)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청소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서의 중앙 영역(100BC)에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제1 스트립(151)은,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단부(100A)와, 청소체 길이 방향 단부(100B)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1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1)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제11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1)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비해 제2 스트립(152)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한 청소 대상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보다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2 변형예)
도 23에 기초하여 제12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1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2)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청소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서의 중앙 영역(100BC)에 제1 스트립(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제2 스트립(152)은,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단부(100A)와, 청소체 길이 방향 단부(100B)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1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2)여도, 제1 스트립(151)과 제2 스트립(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제12 변형예에 따른 청소체(1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비해 제2 스트립(152)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한 청소 대상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보다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에 따른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층 더 형태를 추가·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에 관해)
청소구(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일례이다. 청소체(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청소체 홀더(2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구」의 일례이다. 청소체 길이 방향(Y)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X)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부」의 일례이다. 핸들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일례이다. 솔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솔부」의 일례이다. 기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일례이다. 유지 공간(130)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의 일례이다. 스트립(15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일례이다. 제1 스트립(15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스트립」의 일례이다. 제2 스트립(152)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스트립」의 일례이다. 긁어냄부(152A)는 본 발명에 따른 「긁어냄부」의 일례이다. 고강성 영역(152B)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영역」의 일례이다. 스트립 길이 방향(150Y)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150X)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제1 시트(12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2 시트체(1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3 시트체(123)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4 시트체(1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5 시트체(1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시트체」의 일례이다. 한쪽 면(120A)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방측」의 일례이다. 다른쪽 면(120D)은 본 발명에 따른 「타방측」의 일례이다.
이상의 발명의 취지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는, 하기의 양태를 구성할 수 있다.
(양태 1)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솔부와, 상기 솔부가 접속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솔부는, 스트립 형상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낼 수 있는 긁어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2)
양태 1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고강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3)
양태 2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방향과,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강성 영역은,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4)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5)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6)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7)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8)
양태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과 상기 제2 스트립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9)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0)
양태 9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1 시트체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입부를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복수의 절입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1)
양태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2)
양태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3)
양태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4)
양태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5)
양태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6)
양태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7)
양태 1∼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긁어냄부는, 상기 고강성 영역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8)
양태 1∼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체의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와, 상기 청소체의 상기 청소체 길이 방향 단부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A: 청소구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청소 시트(청소체)
100B: 단부
100A: 단부
100BC: 중앙 영역
100AC: 중앙 영역
110: 솔부
110GF: 섬유 집합체
110GF1: 제1 섬유 집합체
110GF2: 제2 섬유 집합체
110SF: 섬유
110SFA: 접속 단부
110SFB: 개방 단부
110D: 섬유 배향 방향
111: 제1 솔부
112: 제2 솔부
112A: 단부
120: 기부
120A: 길이 방향 상의 단부
120B: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120C: 한쪽 면(일방측)
120D: 다른쪽 면(타방측)
121: 제1 시트체
121A: 접합 시트 영역
121S: 스트립
122: 제2 시트체
122S: 스트립
123: 제3 시트체
124: 제4 시트체
125: 제5 시트체
126: 제6 시트체
127: 제7 시트체
130: 삽입부
131: 개구부
140: 전층 접합부
141: 제1 접합부
142: 제2 접합부
143: 제3 접합부
144: 제4 접합부
145: 제5 접합부
146: 제6 접합부
147: 제7 접합부
148: 제8 접합부
149: 제9 접합부
1410: 제10 접합부
1411: 제11 접합부
1412: 제12 접합부
1413: 제13 접합부
1414: 제14 접합부
150: 스트립
150A: 절입부
150Y: 스트립 길이 방향
150X: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
151: 제1 스트립
151Y: 단부
151X: 단부
152: 제2 스트립
152A: 긁어냄부
152B: 고강성 영역
152Y: 단부
152X: 단부
200: 유지구(청소체 홀더)
210: 핸들부(파지부)
211: 핸들
212: 핸들 접합부
220: 청소체 유지부(유지부)
221: 유지 부재
230: 연접부
240: 선단부
250: 중간부
260: 볼록부
261: 제1 볼록부
262: 제2 볼록부
270: 누름판
Y: 청소체 길이 방향
X: 청소체 길이 교차 방향
Z: 청소 시트 두께 방향

Claims (16)

  1.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솔부와, 상기 솔부가 접속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솔부는, 스트립 형상(短冊狀)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낼 수 있는 긁어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고강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방향과,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립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강성 영역은, 상기 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상기 청소 시트 길이 교차 방향 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과 상기 제2 스트립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1 시트체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입부를 가지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복수의 절입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상기 일방측과 대향하는 쪽인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KR1020157020729A 2013-02-07 2014-01-24 청소구 KR102175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2762 2013-02-07
JP2013022762A JP6323981B2 (ja) 2013-02-07 2013-02-07 清掃具
PCT/JP2014/051587 WO2014123012A1 (ja) 2013-02-07 2014-01-24 清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52A true KR20150114952A (ko) 2015-10-13
KR102175025B1 KR102175025B1 (ko) 2020-11-05

Family

ID=5129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729A KR102175025B1 (ko) 2013-02-07 2014-01-24 청소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83503B2 (ko)
EP (1) EP2954825B1 (ko)
JP (1) JP6323981B2 (ko)
KR (1) KR102175025B1 (ko)
CN (1) CN104981191B (ko)
TW (1) TWI618520B (ko)
WO (1) WO2014123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78B (zh) * 2015-03-12 2020-08-0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清扫片材及清扫用具
US10694915B2 (en) * 2017-04-06 2020-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with tow fiber and movable strips
US11253128B2 (en) * 2017-09-11 2022-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pitch tow tufts
US11950737B2 (en) 2017-09-11 2024-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EP3777634B1 (en) * 2018-04-10 2024-06-05 Kikuo Yamada Cleaning sheet
WO2019240280A1 (ja) * 2018-06-15 2019-1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及び清掃シート用資材を連続で製造する方法
USD923895S1 (en) * 2019-03-05 2021-06-29 Tyroler Ltd. Rubber mop
JP7002490B2 (ja) * 2019-03-08 2022-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
WO2024120965A1 (en) * 2022-12-07 2024-06-13 Carl Freudenberg Kg Cleaning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566A (ja) 2005-11-16 2007-06-07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KR20090063253A (ko) * 2006-09-12 2009-06-17 유니 참 코포레이션 청소체 및 청소용구
US20110219559A1 (en) * 2008-03-31 2011-09-15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tool and cleaning element
JP4845525B2 (ja) * 2006-02-08 2011-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64435A1 (en) * 1996-09-27 1999-04-27 Uni Charm Corp Disposable wipe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60144496D1 (de) * 2000-07-10 2011-06-01 Uni Charm Corp Gegenstand zum Reinigen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CN2712262Y (zh) * 2004-03-29 2005-07-27 富雅乐企业股份有限公司 擦拭用布
JP4004508B2 (ja) * 2005-02-23 2007-11-07 山崎産業株式会社 払拭材
JP4675218B2 (ja) * 2005-11-15 2011-04-2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8311B2 (ja) * 2006-06-01 2011-08-03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34464B2 (ja) * 2007-03-05 2012-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清掃用具
JP5048375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171347B2 (ja) * 2008-03-31 2013-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
JP3148559U (ja) * 2008-12-05 2009-02-19 憲子 藤巻 埃取り掃除具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JP5685093B2 (ja) * 2011-01-20 2015-03-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用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566A (ja) 2005-11-16 2007-06-07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4845525B2 (ja) * 2006-02-08 2011-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KR20090063253A (ko) * 2006-09-12 2009-06-17 유니 참 코포레이션 청소체 및 청소용구
US20110219559A1 (en) * 2008-03-31 2011-09-15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tool and clean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4825B1 (en) 2020-01-15
US20150359404A1 (en) 2015-12-17
CN104981191B (zh) 2017-07-28
US10383503B2 (en) 2019-08-20
WO2014123012A1 (ja) 2014-08-14
TW201507677A (zh) 2015-03-01
EP2954825A4 (en) 2016-09-07
KR102175025B1 (ko) 2020-11-05
EP2954825A1 (en) 2015-12-16
TWI618520B (zh) 2018-03-21
JP6323981B2 (ja) 2018-05-16
CN104981191A (zh) 2015-10-14
JP2014150975A (ja)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4952A (ko) 청소구
JP6323980B2 (ja) 清掃具
JP4823105B2 (ja) 清掃用具及び清掃体
US9668632B2 (en) Cleaning tool
JP6208949B2 (ja) 清掃具
JP5503640B2 (ja) 清掃用具、清掃体
JP6126398B2 (ja) 清掃具
JP5637875B2 (ja) 清掃用具、清掃用物品
US10098517B2 (en) Cleaning tool
JP6239828B2 (ja) 清掃具
JP6126399B2 (ja)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TWI616176B (zh) 清掃具
JP2014150965A5 (ko)
JP2014150965A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