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380A - 결속구 - Google Patents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380A
KR20150114380A KR1020147001068A KR20147001068A KR20150114380A KR 20150114380 A KR20150114380 A KR 20150114380A KR 1020147001068 A KR1020147001068 A KR 1020147001068A KR 20147001068 A KR20147001068 A KR 20147001068A KR 20150114380 A KR20150114380 A KR 2015011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engaging portion
binding
wir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미츠 노무라
도모히로 후지이
마사히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5011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8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sheets or plates mut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94Crossed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각 선재의 견고한 결속이 도모되는 결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평판 형상의 제1 결속 부재(10a)와, 평판 형상의 제2 결속 부재(20a)를 구비하고, 제1 결속 부재(10a) 및 제2 결속 부재(20a)가 복수의 선재를 덮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1 걸림부(11, 21)와, 상기 중앙부의 제1 측부와는 반대측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2 걸림부(12, 22)를 각각 갖고,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그들 사이에 복수의 선재를 끼우고 코킹될 때에,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및 상기 제2 걸림부(11, 12)가 그들의 단부에 있어서 제2 결속 부재(20a)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고, 제1 결속 부재(10a)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어, 복수의 선재가 압착된다.

Description

결속구 {BINDING TOOL}
본 발명은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선재의 교차 부위를 결속하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결속구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4개의 설(舌) 형상 편을 갖는 대략 십자형의 결속구가 개시되고, 교차하여 배치되는, 예를 들어 2개의 선재의 교차 부위에, 상기 결속구를 접하는 동시에 각 설 형상 편의 굴곡에 의해 상기 교차 부위를 둘러쌈으로써, 각 선재의 결속을 도모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4236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결속구는 각 선재의 일측으로부터 접하고, 각 선재의 반대측에 있어서 각 설 형상 편을 코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선재의 결속 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각 선재의 상기 결속구에 의한 견고한 결속을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각 선재의 견고한 결속이 도모되는 결속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파악된다.
(1) 본 발명의 결속구는 복수의 선재를 교차 부위에 있어서 결속하는 결속구이며, 평판 형상의 제1 결속 부재와,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대향하고, 서로 협동하여 상기 복수의 선재를 끼워 넣는 평판 형상의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각각, 상기 선재를 덮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1 걸림부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1 측부와는 반대측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2 걸림부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각각, 그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선재를 끼우고 코킹될 때에,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그들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고,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어, 상기 복수의 선재가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 각각의 상기 중앙부이며,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부 및 상기 제3 측부와는 반대측의 제4 측부에 면하는 개소의 외측의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의 면에 상기 오목부의 형성에 의해 반영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를 갖고,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굴곡되었을 때에, 그들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외측의 상기 오목부에 각각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굴곡되었을 때에, 그들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외측의 상기 오목부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의 결속구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 각각의 상기 중앙부가, 그 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내측의 상기 볼록부의 이외의 개소에 상기 선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있어서,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상기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있어서,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에 대해 180%에서 220%의 범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복수의 상기 선재를 압착하였을 때에,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에 대해 50%에서 150%의 범위의 거리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결속구는, (1) 또는 (6)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복수의 상기 선재를 압착하였을 때에,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거리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각각,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부 또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접촉하는 개소에 있어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본 발명의 결속구는,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압착 전의 1개의 상기 선재의 직경보다도 가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결속구에 의하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각 선재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적층 전의 제1 결속 부재, 제1 선재, 제2 선재, 제2 결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적층 후이며 결속 전의 제1 결속 부재, 제1 선재, 제2 선재, 제2 결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결속 후의 제1 결속 부재, 제1 선재, 제2 선재, 제2 결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의 형성 전의 제1 부재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의 형성 전의 제1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이며 제1 선단부와 제2 선단부를 절곡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2 결속 부재의 형성 전의 제2 부재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2 결속 부재의 형성 전의 제2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결속구의 제1 결속 부재이며 제1 선단부와 제2 선단부를 절곡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대응하여 도시되고, 제1 결속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결속구를 복수의 선재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1)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구비하고, 예를 들어 철이나 스테인리스제의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를 이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결속하게 되어 있다.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로서는, 예를 들어 낙석 방호 네트를 구성하는 와이어나, 철근 구조물의 철근 등이 사용된다.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결속시에 있어서의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 제1 중앙부(13), 제2 걸림부(12)가 배열되는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하고, x방향에 수직이고, 결속시에 있어서의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걸림부(21), 제2 중앙부(23), 제2 걸림부(22)가 배열되는 방향을 y방향이라고 하고, x방향, y방향과 수직이고, 제1 결속 부재(10a),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제2 결속 부재(20a)가 쌓아 올려지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한다.
제1 결속 부재(10a)는 제1 부재(10)의 단부[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고, 제2 결속 부재(20a)는 제2 부재(20)의 단부[제1 걸림부(21), 제2 걸림부(22)]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는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를 이들이 교차한 상태로 사이에 끼우고, 또한, 코킹함으로써,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를 결속한다(도 1∼도 3 참조).
여기서,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구조는 동일하고, 도 4∼도 9를 사용하여, 우선, 제1 부재(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부재(10)는 스테인리스제의 평판 형상 부재이며,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와, 제1 중앙부(13)를 갖는다. 제1 중앙부(13)는, 제1 걸림부(11)와 제2 걸림부(12) 사이에 위치 부여된다.
제1 중앙부(13)의 y방향의 폭은, 제1 걸림부(11)나 제2 걸림부(12)의 y방향의 폭보다도 길고, 제1 중앙부(13)의 y방향의 중간으로부터, x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12)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12)는 각각,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중 어느 1개의 직경에 대해 180%에서 220%의 범위의 길이를 갖게 되어 있다.
제1 걸림부(11)의 선단[제1 중앙부(13)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y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제1 선단부(11a)가 설치된다. 제2 걸림부(12)의 선단[제1 중앙부(13)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y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제2 단자부(12a)가 설치된다.
제1 선단부(11a)를 제외한 제1 걸림부(11)의 x방향의 길이[제1 선부(11)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x방향의 길이], 제2 선단부(12a)를 제외한 제2 걸림부(12)의 x방향의 길이[제2 걸림부(12)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x방향의 길이]는 제1 선재(100)의 직경이나, 제2 선재(200)의 직경보다도 길고,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직경의 합계보다도 짧다.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의 외측면(절곡하였을 때에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볼록부(11b), 제2 볼록부(12b)가 형성되고(도 4 참조), 내측면(절곡하였을 때에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부(11c), 제2 오목부(12c)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제1 중앙부(13)에 있어서의 y방향의 단부에는, y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x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갖고, 외측면이 오목해지고, 내측면이 융기된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가 형성된다.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의 외측면이 오목해진 부분(오목부)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치수는, 제2 부재(20)의 제2 선단부(22a), 제1 선단부(21a)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 부분과 동일하거나 이들보다도 조금 커지도록, 설정된다.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의 내측면의 융기된 영역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크기는, 제1 요철부(13a)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13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2 걸림부(12)측의 변(1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1 선재(1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수용되도록), 또한, 제1 요철부(13a)의 제2 걸림부(12)의 변(1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1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2 선재(2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수용되도록), 설정된다.
제1 걸림부(11)와 제2 걸림부(12)는 제1 오목부(11c)와 제2 오목부(12c)가 대향하고 또한 제1 걸림부(11)와 제2 걸림부가 대략 평행한 위치 관계로 되고, 제1 부재(10)가 y방향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되도록, 각각, 제1 중앙부(13)와 접하는 부분에서 절곡되어, 제1 결속 부재(10a)가 형성된다(도 6∼도 8 참조).
제2 부재(20)는 스테인리스제의 평판 형상 부재이며, 제1 걸림부(21)와, 제2 걸림부(22)와, 제2 중앙부(23)를 갖는다. 제2 중앙부(23)는 제1 걸림부(21)와 제2 걸림부(22) 사이에 위치 부여된다(도 9, 도 10 참조).
제2 중앙부(23)의 y방향의 폭은, 제1 걸림부(21)나 제2 걸림부(22)의 x방향의 폭보다도 길고, 제2 중앙부(23)의 x방향의 중간으로부터, y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1 걸림부(21)나 제2 걸림부(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걸림부(21) 및 제2 걸림부(22)는 각각,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중 어느 1개의 직경에 대해 180%에서 220%의 범위의 길이를 갖게 되어 있다.
제1 걸림부(21)의 선단[제2 중앙부(23)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x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제1 선단부(21a)가 설치된다. 제2 걸림부(22)의 선단[제2 중앙부(23)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x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제4 단자부(22a)가 설치된다.
제1 선단부(21a)를 제외한 제1 걸림부(21)의 y방향의 길이[제3 선부(21)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y방향의 길이], 제2 선단부(22a)를 제외한 제2 걸림부(22)의 y방향의 길이[제2 걸림부(22)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y방향의 길이]는 제1 선재(100)의 직경이나, 제2 선재(200)의 직경보다도 길고,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직경의 합계보다도 짧다.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22)의 외측면(절곡하였을 때에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볼록부(21b), 제2 볼록부(22b)가 형성되고(도 9 참조), 내측면(절곡하였을 때에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부(21c), 제2 오목부(22c)가 형성된다(도 10 참조).
제2 중앙부(23)에 있어서의 x방향의 단부에는, x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y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갖고, 외측면이 오목해지고, 내측면이 융기된 제1 요철부(23a), 제2 요철부(23b)가 형성된다.
제1 요철부(23a), 제2 요철부(23b)의 외측면이 오목해진 부분(오목부)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치수는, 제1 부재(10)의 제2 선단부(12a), 제1 선단부(11a)의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 부분과 동일하거나 이들보다도 조금 커지도록, 설정된다.
제1 요철부(23a), 제2 요철부(23b)의 내측면의 융기된 영역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크기는, 제1 요철부(23a)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2 걸림부(22)측의 변(2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1 선재(1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수용되도록), 또한, 제1 요철부(13a)의 제2 걸림부(22)의 변(2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2 선재(2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수용되도록), 설정된다.
제1 걸림부(21)와 제2 걸림부(22)는 제1 오목부(21c)와 제2 오목부(22c)가 대향하고 또한 제1 걸림부(21)와 제2 걸림부(22)가 대략 평행한 위치 관계로 되고, 제2 부재(20)가 x방향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되도록, 각각, 제2 중앙부(23)와 접하는 부분에서 절곡되어, 제2 결속 부재(20a)가 형성된다.
이어서, ㄷ자 형상으로 된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를 코킹하고, 제1 결속 부재(10a),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제2 결속 부재(20a)를 밀착시키고,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교차 부위를 결속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제1 결속 부재(10a) 상에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제2 결속 부재(20a)를 적층한다(도 1 참조).
제1 선재(100)는 제1 결속 부재(1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13a)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13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2 걸림부(12)측의 변(1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들어가고, 제2 결속 부재(2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23a)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2 걸림부(22)측의 변(2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들어가는 위치 관계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선재(100)는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걸림부(22a) 사이 및 제1 결속 부재(10a)의 제2 걸림부(12)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걸림부(2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선재(200)는 제1 결속 부재(1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13a)의 제2 걸림부(12)측의 변(1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1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들어가고, 제2 결속 부재(2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23a)의 제2 걸림부(22)측의 변(2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들어가는 위치 관계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선재(200)는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걸림부(21) 사이 및 제1 결속 부재(10a)의 제2 걸림부(12)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걸림부(2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교차 부위는, 제1 걸림부(11)와 제2 걸림부(12) 사이에 끼인 위치에서, 제1 걸림부(21)와 제2 걸림부(22) 사이에 끼인 위치에서, 제1 중앙부(13)와 제2 중앙부(23) 사이에 끼인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가 교차한 상태에서,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 사이에 끼이게 된다(도 2 참조). 도 2의 상태에서, 코킹을 행하고,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를 상하 방향(z방향)에서 압착하고, 제1 선단부(11a), 제2 선단부(12a), 제1 선단부(21a), 제2 선단부(22a)를 내측으로 절곡한다(도 3 참조).
이 경우,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12)의 판 두께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요철부(23a), 제2 요철부(23b)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와 대략 동등하고,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걸림부(21) 및 제2 걸림부(22)의 판 두께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와 대략 동등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면에 있어서 기복이 적은 결속구(1)를 얻을 수 있다.
압착에 의해,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는 이들의 교차하는 부분 주변이 z방향으로 눌러 압착된다. 제1 걸림부(11)의 제1 선단부(11a)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에 상당하는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선단부(11a)를 제외한 높이의 범위 내에,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가 들어간다(수용된다).
이 경우, 제1 결속 부재(10a) 및 제2 결속 부재(20a)가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를 압착하였을 때에, 그들의 거리가, 압착 전의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중 어느 1개의 직경에 대해 50%에서 150%의 범위의 치수에서 배치되는 것에 이르기까지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압착 전의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중 어느 1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치수에서 배치되는 것에 이르기까지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재(100) 및 제2 선재(200)의 결속의 강화가 도모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1 선재(100)는 제1 결속 부재(1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13a)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2 걸림부(12)측의 변(1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압입되고, 제2 결속 부재(2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23a)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a1)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2 걸림부(22)측의 변(23b2)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압입된다.
또한, 제2 선재(200)는 제1 결속 부재(1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13a)의 제2 걸림부(12)측의 변(1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13b)의 제1 걸림부(11)측의 변(1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압입되고, 제2 결속 부재(20a)에 있어서, 제1 요철부(23a)의 제2 걸림부(22)의 변(23a2)을 포함하는 직선과 제2 요철부(23b)의 제1 걸림부(21)측의 변(23b1)을 포함하는 직선 사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일부가 압입된다.
제1 선단부(11a) 등의 절곡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선단부(11a)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요철부(23b)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고, 제2 선단부(12a)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요철부(23a)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고, 제1 선단부(21a)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제2 요철부(13b)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고, 제2 선단부(22a)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요철부(13a)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된다.
즉, 제1 선단부(11a), 제2 선단부(12a), 제1 선단부(21a), 제2 선단부(22a)가 제1 중앙부(13)나 제2 중앙부(23)와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된다. 도 11은, 제2 결속 부재(20a),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가 없는 상태에서, 제1 선단부(11a) 등이 결속용으로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압착과 절곡은, 별도의 공정에서 해도 되지만, 하나의 압착 공구를 사용하여, 코킹의 일 공정 중에서 행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코킹에 의해,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의 사이에 교차한 상태의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를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압착시에,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는 교차한 부분의 주변이 눌러 압착되어 변형되어 있으므로, 결속 후에는 축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해도, 이들을 눌러 압착하지 않는 상태에서 결속한 형태에 비해, 빠져버릴 가능성이 낮다.
또한, 제1 선단부(11a) 등을 절곡하여 대향하는 결속 부재의 외측의 오목부 부분과 맞물리게 하여 대향하는 결속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결속 후에 z방향에서, 또한 제1 결속 부재(10a)와 제2 결속 부재(20a)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해져도, 결속이 풀어질 가능성이 낮다.
특히,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선단부(11a)와 제2 선단부(12a)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선단부(21a)와 제2 선단부(22a)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교차 부위를, 편측으로부터 제1 결속 부재(10a)가 둘러싸고, 반대측으로부터 제2 결속 부재(20a)가 둘러싸게 된다. 이로 인해, 편측으로부터만 교차 부위를 둘러싸는 형태에 비해, 장기간,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어느 한쪽의 둘러쌈이 누락되었다고 해도,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는, 동일한 형상의 평판 형상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1종류의 부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결속구(1)의 결속 부재를 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복잡한 형상의 결속구를 사용하여 결속을 행하는 형태에 비해, 결속 부재의 제조시의 공정수도, 결속을 행할 때의 공정수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단부(11a), 제2 선단부(12a) 등의 형상이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인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결속 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다른 형상(예를 들어, 반원 또는 반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도 12는, 도 4와 대응시켜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선단부(11a), 제2 선단부(12a)가, 예를 들어 반원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도 반원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경우도, 제1 요철부(13a), 제2 요철부(13b)의 내측면의 융기된 영역의 크기는, 제1 중앙부(13)의 내측면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1 선재(100)나 제2 선재(2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1 요철부(23a), 제2 요철부(23b)의 내측면의 융기된 영역의 크기는, 제2 중앙부(23)의 내측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1 선재(100)나 제2 선재(2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제1 선단부(11a)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요철부(23b)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고, 제2 선단부(12a)가 제2 결속 부재(20a)의 제1 요철부(23a)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므로, 이러한 오목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절곡한 형태에 비해, 결속 후에, 절곡한 제1 선단부(11a), 제2 선단부(12a)의 제2 중앙부(23)의 외측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제1 선단부(21a)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제2 요철부(13b)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고, 제2 선단부(22a)가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요철부(13a)의 오목 영역(외측)과 대향하도록 절곡되므로, 이러한 오목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절곡한 형태에 비해, 결속 후에, 절곡한 제1 선단부(21a), 제2 선단부(22a)의 제1 중앙부(13)의 외측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들 돌출량이 적으면, 다른 부재에 접하여, 절곡을 되돌리는 방향의 힘을 받을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중앙부(13)의 내측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나, 제2 중앙부(23)의 내측의 융기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1 선재(100)나 제2 선재(200)의 일부가 들어가고, 제1 중앙부(13)의 내측의 융기되어 있는 영역이나, 제2 중앙부(23)의 내측의 융기되어 있는 영역에서, 제1 선재(100)나 제2 선재(200)의 x방향이나 y방향의 움직임을 막아,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결속구(1)에 의하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각 선재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선재(100) 및 제2 선재(200)를 제1 결속 부재(10a) 및 제2 결속 부재(20a)에 의해 제1 선재(100) 및 제2 선재(200)를 비교적 강하게 압착시켜 결속시킨 것이다. 그러나 제1 선단부(11a)를 제외한 제1 걸림부(11)의 x방향의 길이[제1 걸림부(11)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x방향의 길이], 제2 선단부(12a)를 제외한 제2 걸림부(12)의 x방향의 길이[제2 걸림부(12)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x방향의 길이], 제1 선단부(21)를 제외한 제1 걸림부(21)의 y방향의 길이[제1 걸림부(21)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y방향의 길이], 제2 선단부(22a)를 제외한 제2 걸림부(22)의 y방향의 길이[제2 걸림부(22)의 직사각형 형상 부분의 y방향의 길이]를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직경의 합계와 대략 동일하게 하고, 압착 정도를 느슨하게, 또는 압착 공정을 생략하고,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교차한 부분의 주변을 거의 눌러 압착하지 않고, 제1 결속 부재(10a)를 코킹하여,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를 결속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결속 부재[제1 결속 부재(10a), 제2 결속 부재(20a)]를 제1 선재(100)와 제2 선재(200)의 교차 부위의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한쪽의 결속 부재의 양쪽 선단부를 절곡하여, 다른 쪽의 결속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고, 다른 쪽의 결속 부재의 양쪽 선단부를 절곡하여, 한쪽의 결속 부재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으면, 결속 부재의 형상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0), 제2 부재(20)가 모두 직사각형 형상인 형태도 생각된다.
(제4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 형상의 제1 부재(10)나 제2 부재(20)를 절곡하여, 제1 결속 부재(10a)나 제2 결속 부재(20a)를 형성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결속 부재는, 평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이외의 방법으로 준비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5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선재(100) 및 제1 선재(200)를 끼움 지지하여 제1 결속 부재(10a)나 제2 결속 부재(20a)를 코킹한 후에는, 그 상태로 한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12)가 각각,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걸림부(22) 또는 제1 걸림부(21)와 접촉하는 개소에 있어서 용접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1 결속 부재(10a)의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12), 또는 제2 결속 부재(20a)의 제2 걸림부(22) 또는 제1 걸림부(21)의 코킹의 어긋남 방지를 위해서이다.
(제6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제1 결속 부재(10)의 제1 걸림부(11) 및 제2 걸림부에 있어서, 및 제3 결속 부재(20a)의 제1 걸림부(21) 및 제2 걸림부(22)에 있어서, 압착 전의 제1 선재(100), 제2 선재(200) 중 어느 1개의 직경보다도 가는 폭을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1 선재(100) 및 제2 선재(200)의 교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1 : 결속구
10 : 제1 부재
10a : 제1 결속 부재
11 : 제1 걸림부
12 : 제2 걸림부
11a : 제1 선단부
12a : 제2 선단부
11b : 제1 볼록부
11b : 제2 볼록부
11c : 제1 오목부
12c : 제2 오목부
13 : 제1 중앙부
13a : 제1 요철부
13b : 제2 요철부
13a1, 13a2 : 제1 요철부의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는 변
13b1, 13b2 : 제2 요철부의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는 변
20 : 제2 부재
20a : 제2 결속 부재
21 : 제1 걸림부
22 : 제2 걸림부
21a : 제1 선단부
22a : 제2 선단부
21b : 제1 볼록부
22b : 제2 볼록부
21c : 제1 오목부
22c : 제2 오목부
23 : 제2 중앙부
23a : 제1 요철부
23b : 제2 요철부
23a1, 23a2 : 제1 요철부의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는 변
23b1, 23b2 : 제2 요철부의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는 변
100 : 제1 선재
200 : 제2 선재

Claims (9)

  1. 복수의 선재를 교차 부위에 있어서 결속하는 결속구이며,
    평판 형상의 제1 결속 부재와,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대향하고, 서로 협동하여 상기 복수의 선재를 끼워 넣는 평판 형상의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각각, 상기 선재를 덮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1 걸림부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1 측부와는 반대측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가능한 제2 걸림부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각각, 그들 사이에 상기 복수의 선재를 끼우고 코킹될 때에,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그들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고,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외측의 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굴곡되어, 상기 복수의 선재가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 각각의 상기 중앙부이며,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부 및 상기 제3 측부와는 반대측의 제4 측부에 면하는 개소의 외측의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의 면에 상기 오목부의 형성에 의해 반영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를 갖고,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굴곡되었을 때에, 그들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외측의 상기 오목부에 각각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굴곡되었을 때에, 그들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외측의 상기 오목부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 각각의 상기 중앙부가, 그 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내측의 상기 볼록부의 이외의 개소에 상기 선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있어서,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상기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있어서,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에 대해 180%에서 220%의 범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복수의 상기 선재를 압착하였을 때에,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에 대해 50%에서 150%의 범위의 거리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복수의 상기 선재를 압착하였을 때에, 압착 전의 상기 선재의 1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거리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각각,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부 또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접촉하는 개소에 있어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압착 전의 1개의 상기 선재의 직경보다도 가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KR1020147001068A 2013-02-14 2013-02-14 결속구 KR20150114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3560 WO2014125601A1 (ja) 2013-02-14 2013-02-14 結束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80A true KR20150114380A (ko) 2015-10-12

Family

ID=5135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068A KR20150114380A (ko) 2013-02-14 2013-02-14 결속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30388A1 (ko)
JP (1) JPWO2014125601A1 (ko)
KR (1) KR20150114380A (ko)
WO (1) WO2014125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5869B (zh) * 2016-07-29 2018-04-17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设备
CN108006029A (zh) * 2017-12-29 2018-05-08 无锡星亿智能环保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连接结构
FR3085449B1 (fr) 2018-08-29 2020-11-27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connexion d'elements tubulair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2071A (en) * 1969-11-24 1972-01-04 Panduit Tinley Park Mount for receiving and retaining a strap
US4136423A (en) * 1977-11-07 1979-01-30 Eby Company Cable clamp and bracket
US4215463A (en) * 1978-06-15 1980-08-05 American Hoist & Derrick Company Method of field forming a loop splice for wire rope
US5127759A (en) * 1989-04-20 1992-07-07 Orbom Eric W Continuous connector
US5013176A (en) * 1989-04-20 1991-05-07 Orbom Eric W Continuous connector
JPH0464607U (ko) * 1990-10-16 1992-06-03
US5954302A (en) * 1995-04-25 1999-09-21 Robertson; George B. Multi-positionable cable spacer
ITTO20011148A1 (it) * 2001-12-10 2003-06-10 Legrand Spa Morsetto di giunzione per passerelle portacavi a rete.
US7143563B1 (en) * 2003-05-20 2006-12-05 Palmer Douglas A Tie and tie method for binding together adjacent support elements
US7861981B2 (en) * 2008-10-22 2011-01-04 Pratt & Whitney Canada Corp. Protective saddle mount for cable tie
JP4682288B1 (ja) * 2010-04-30 2011-05-11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結束具
US8272184B2 (en) * 2010-09-03 2012-09-25 Cech Donald E Grips for associating concrete reinforcement b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25601A1 (ja) 2017-02-02
US20150030388A1 (en) 2015-01-29
WO2014125601A1 (ja)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4249B1 (en) Pin contact comprising a contact body produced as a stamped bent part and a solid contact pin
JP4790851B2 (ja) アルミニウム体の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5815352B2 (ja) 雌端子
US20140235118A1 (en) Two-part crimp contact element
EP2495813A1 (en) Crimp terminal
JP2010003467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6536368B2 (ja) 接合部を含む金属線製帯状部材の製造方法、端子付金属線製帯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接合部を含む金属線製帯状部材
KR20150114380A (ko) 결속구
JP5567930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の連結工法
CN103457127B (zh) 电子部件用插座
JP4682288B1 (ja) 結束具
US8534111B2 (en) Metho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and mol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US9496636B2 (en) Female terminal having opposed first and second pluralities of resilient pieces, with each resilient piece having a free end and a contact portion near the free end
JP2015032542A (ja) アルミニウム電線の接続構造
JP5198186B2 (ja) 鉄筋の結束具
JP5889547B2 (ja) 金属接合体
JP7075266B2 (ja) 電線固定具
JP5552450B2 (ja) アルミニウム体の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WO2018110371A1 (ja) 固定具
JP5691203B2 (ja) 補強パネル
KR102109311B1 (ko) 접촉 요소 및 접촉 시스템
EP2923779A1 (en) Fence panel
JP2007267721A (ja) 金網フェンスの構造
JP3891409B2 (ja) 鉄筋連結金具
JP5750144B2 (ja) Usbオスコネクタ及びその随伴電子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