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914A -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914A
KR20150113914A KR1020150044895A KR20150044895A KR20150113914A KR 20150113914 A KR20150113914 A KR 20150113914A KR 1020150044895 A KR1020150044895 A KR 1020150044895A KR 20150044895 A KR20150044895 A KR 20150044895A KR 20150113914 A KR20150113914 A KR 2015011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cale
medical image
display
needl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마스다
쇼우이치 나카우치
도미오 나바타메
다카시 고야쿠마루
도모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메디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메디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11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1Determining position of a probe within the body employing means separate from the probe, e.g. sensing internal probe position employing impedance electrod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41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3Tomography
    • A61B8/14Echo-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1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74Interface softw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61B2034/252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indicating steps of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8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천자 바늘의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 및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는, 의료용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 측정 수단과, 가이드선 생성 수단과, 표시 처리부를 갖는다. 위치 정보 측정 수단은, 대상 부위에 자입된 천자 바늘의 위치 정보를 얻는다. 가이드선 생성 수단은, 위치 정보 측정 수단에서 얻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천자 바늘의 대상 부위에 이르는 자입 경로를 나타내고,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이 부여된 가이드선을 생성한다. 표시 처리부는, 가이드선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가이드선을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MEDICAL IMAGE DIAGNOSIS APPARATUS}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2014-072507(출원일:3/31/2014)을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누린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medical image diagnosis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는, 피검체를 촬영하여 의료용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수단(capturing part)을 갖는다.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초음파 진단 장치(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X선 촬영 장치(X-ray diagnosis apparatus), X선 CT 장치(X-ray CT system), MRI 장치(MRI equipment) 등이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초음파 프로브(ultrasound probe)로부터 피검체에 초음파를 송수신함으로써, 의료용 화상으로서의 에코 화상(echo images)[초음파 화상(ultrasound images)]이 취득된다.
에코 화상에 천자(穿刺) 바늘이 묘출(描出)되는 에코 가이드(ulrasound-guided)하에서 천자하는 천자술이, 많은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2007-21567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
천자 기법의 일례로서, 라디오파 소작 요법(radio frequency ablation: RFA)이 있다. RFA에 의한 치료의 일례로는, 전극이 설치된 천자 바늘(전극 바늘)이 사용된다. 에코 가이드하에서, 천자 바늘이 피검체에 자입(刺入)되어, 천자 바늘의 선단(바늘 끝)이 소작(燒灼; cauterization) 대상에 도달되고, 라디오파라고 하는 전류를 통전시켜, 바늘의 주위에 열을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소작 대상이 소작된다. 여기서, 소작 대상이 소작되는 것을 「본소작」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늘 끝이 소작 대상에 도달하였을 때를 「본소작시」, 그때의 바늘 끝의 위치를 「본소작시의 위치」라 하는 경우가 있다.
본소작 후,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바늘 끝은, 본소작시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1㎝ 정도)만큼 이동하여, 약간 소작한다고 하는 처치가 반복된다. 이 처치를 「확산 방지 처치」 또는 단순히 「처치」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처치에 있어서 약간 소작하는 것을 「소소작」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늘 끝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였을 때를 「소소작시」, 그때의 바늘 끝의 위치를 「소소작시의 위치」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확산 방지 처치시」라고 할 때에는, 소소작시를 포함한다. 또한, 「천자술중」이라고 할 때는, 「본소작시」 및 「확산 방지 처치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천자 기법에 있어서, 에코 가이드하에서는, 소정의 거리(1cm 정도)의 길이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천자 바늘의 이동 거리의 판단이 곤란해진다. 또한, 시술자가 거리 계측 기구를 사용하여, 천자 바늘을 따라 거리 계측을 행하고, 이것을 가이드로 하여 소정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 계측 기구를 사용한 작업은 매우 손이 많이 가고, 작업 시간이 길어져, 시술자 및 환자 모두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실시 형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천자 바늘의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 및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는, 피검체의 원하는 대상 부위를 촬영하여 의료용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 측정 수단과, 가이드선 생성 수단과, 표시 처리부를 갖는다. 위치 정보 측정 수단은, 대상 부위에 자입된 천자 바늘의 위치 정보를 얻는다. 가이드선 생성 수단은, 위치 정보 측정 수단에서 얻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천자 바늘의 대상 부위에 이르는 자입 경로를 나타내고,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이 부여된 가이드선을 생성한다. 표시 처리부는, 가이드선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가이드선을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 블록(block)도.
도 2는 산출 수단 등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에코 화상에 겹쳐 표시된 본소작시의 바늘 가이드 라인(needle-stick guidelin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이전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진 본소작시의 스케일(scale)(눈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0번 내지 7번 중 1번째의 소소작시의 위치로 그 선단이 이동된 바늘 가이드 라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일례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마크가 부여된 스케일(눈금)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변형예이며,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스케일(눈금)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변형예이며, 하나의 선 종류로 그려진 원과 다른 선 종류로 그려진 원이 조합된 동심원의 스케일(눈금)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변형예이며, 소작 대상에 도달한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부여된 스케일(눈금)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변형예이며, 그리드 형상(grid shape)을 갖는 스케일(눈금)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미소소작(未少燒灼)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형태 및 소소작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바늘 길이를 산출할 때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
도 13은 바늘 길이가 산출되고 나서 바늘 끝의 위치 등을 구할 때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확산 방지 처치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전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후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바늘 끝의 이동 정보 관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소소작시의 강도 관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마크 표시 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처리부 등의 기능 블록도.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눈금)의 표시 형태의 일례이며,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된 스케일(눈금) 및 확산 방지 처치시에 이동하는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된 스케일(눈금)의 복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처리부 등의 기능 블록도.
(구성)
〔제1 실시 형태〕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천자 바늘의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해, 실시 형태의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구성은, (1)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을 행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소정의 거리를 소정의 간격으로 하고, 소정의 간격을 나타내는 스케일(눈금이라고도 함)을 기억부에 기억시켜 둔다. (2) 천자 바늘에 있어서의 바늘 끝과는 반대측에 위치 센서(locate sensor)를 설치한다. (3) 천자술 전에, 위치 측정 시스템에 의해 센서가 설치된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측정한다. (4) 센서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길이인 바늘 길이를 취득한다. (5) 취득한 바늘 길이, 본소작시에 측정된 센서가 설치된 위치,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한다. (6) 스케일(눈금이라고도 함)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
여기서, 「센서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길이인 바늘 길이를 취득한다」에는, 시술자에 의한 입력부(21)(후술함)의 조작에 의해 바늘 길이를 입력하는 방법(이것을 「수동 입력 방법」이라 함) 및 바늘 끝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바늘 끝의 위치 및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기초하여, 바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이것을 「자동 입력 방법」이라 함)의 양쪽이 포함된다.
또한,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는」이라 함은,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을 포함하는 천자 바늘의 기준 위치에 맞추는」것을 말한다. 기준 위치는, 천자 바늘의 종류[예를 들어, 모노폴라형(mono-polar type), 바이폴라형(bi-polar type)]에 대응하여 다르다. 모노폴라형에서는, 기준 위치는 바늘 끝의 위치가 된다. 바이폴라형에서는, 기준 위치는 천자 바늘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가 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위치를 바늘 끝의 위치로 하여 설명한다.
자동 입력 방법에 있어서는, 천자 바늘 이외의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부위(이것을 「촬영 수단」이라 함)에 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촬영 수단에 있어서, 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를 갖는 위치(후술하는 「제3 위치」를 말함)를 설치하고, 그 위치에 바늘 끝을 맞춤으로써, 바늘 길이를 측정한다.
이하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입력 방법에 의해 천자술 전에 취득한 바늘 길이, 본소작시에 측정한 센서[여기서는, 자력 센서(magnetic sensor)]가 설치된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하고, 구한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스케일을 맞추어,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천자 바늘에 자력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제1 위치」, 촬영 수단에 자력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제2 위치」, 제2 위치와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를 갖는 위치를 「제3 위치」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 외에,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연결하고, 또한 제1 위치로부터 바늘 끝의 위치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직선인 바늘 가이드 라인을 표시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스케일 및/또는 바늘 가이드 라인이 「가이드선」의 일례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에 추가하여, 스케일의 복제를 설치하여,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바늘 끝의 위치에 따라서, 스케일의 복제를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의 렌즈(eyeglass lens)가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display)가 탑재된 안경형 디바이스(eyeglasses-type wearable device)를 사용하여, 스케일을 표시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으로,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진단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 장치는, 초음파 프로브(20), 위치 측정 시스템(position measurement system)(300), 산출 수단(100), 자입 위치 산출 수단(14), 기억부(16), 표시 처리부(18), 강도 산출 수단(19), 입력부(21) 및 표시부(40)를 갖는다. 초음파 프로브(20)가 「촬영 수단」의 일례이다. 또한, 위치 측정 시스템(300)이 「측정 수단」의 일례이다.
[천자 시술 전에 바늘 길이를 구하기 위한 수단]
(위치 측정 시스템(300))
위치 측정 시스템(300)은, 자계 발생원[트랜스미터(transmitter)](30)과, 자계의 변화를 받는 자력 센서(31, 32)와, 그들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34)을 갖는다. 또한,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한 측정은, 유저가 수동에 의해, 바늘 끝(천자 바늘의 선단)을 제3 위치에 접촉시켜, 입력부(21)의 조작에 의해 측정을 지시하였을 때에 실행된다. 바늘 길이는,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자계 발생원(30)은 초음파 진단 장치의 주변에 설치된다. 자계 발생원(30)이 설치된 위치가 XYZ 좌표의 원점 위치가 된다. 자계 발생원(30)은, 3방향의 직교 코일(orthogonal 3 axis coil)을 갖는다. 자력 센서(31, 32)는, 3방향의 직교 코일을 갖는다. 자계 발생원(30)의 3개의 코일을 차례로 여자하면, 자력 센서(31, 32)의 3개의 코일에 차례로 기전력이 발생한다. 자력 센서(31)는, 어댑터(adapter)(도시 생략)를 통해 천자 바늘의 제1 위치에 설치된다. 자계 발생원(30)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받은 자력 센서(31)로부터의 신호(상술한 기전력)를 기초로, 제1 위치의 XYZ 좌표(x1, y1, z1)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λ, μ, ω)이 측정된다. 여기서, λ, μ, ω는, X축, Y축, Z축에 대한 천자 바늘의 경사각이다.
자력 센서(32)는, 초음파 프로브(20)의 제2 위치에 설치된다. 자계 발생원(30)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받은 자력 센서(32)로부터의 신호(상술한 기전력)를 기초로, 제2 위치의 XYZ 좌표(x2, y2, z2) 및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θ, δ, φ)이 측정된다. 초음파 프로브(20)에서 제2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를 UVW 좌표라 한다. 여기서,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이라 함은, XYZ 좌표에 대한 UVW 좌표의 기울기를 말한다. 또한, UVW 좌표를 XYZ 좌표에 맞추기 위해서는, UVW 좌표를 U축, V축, W축 주위로 각각 θ, δ, φ 회전시키는 것으로 한다. 「촬영 수단의 경사각」의 일례가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이다.
이상과 같이,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해, 천자 바늘의 제1 위치 및 경사각, 및 초음파 프로브(20)의 제2 위치 및 경사각이 측정된다. 초음파 프로브(20)에는, 제2 위치와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를 갖는 제3 위치가 설치된다.
기억부(16)에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위치 관계가 기억된다. 여기서, 위치 관계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각(α, β, γ), 직선의 길이 R1이다. 여기서, α, β, γ는, UVW 좌표계에 있어서의 U축, V축, W축에 대한 직선의 경사각이다. 또한 기억부(16)에는,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을 나타내는 스케일이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16)에는, 천자술중에 있어서의 바늘 끝의 위치, 천자 바늘의 경사각이 차례로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16)에는,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시마다, 바늘 끝의 위치를 이동해야 할 소정의 거리가 기억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는 소정의 간격(스케일이 나타내는 간격)과 동일하며, 예를 들어 1㎝이다. 또한, 기억부(16)에는, 천자 바늘이 자입된 피부의 위치로부터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거리 D와 소소작시의 강도(예를 들어, 전류값 I)의 대응 관계가 기억된다.
〔산출 수단(100)〕
다음으로, 산출 수단(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산출 수단(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출 수단(100)은 제1 산출 수단(11), 제2 산출 수단(12), 제3 산출 수단(13) 및 판단부(17)를 갖는다. 산출 수단(100)은,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측정 지시를 하고, 위치 측정 시스템(300)으로부터 측정값[제1 위치의 XYZ 좌표, 천자 바늘의 경사각, 제2 위치의 XYZ 좌표,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을 취득한다.
(제1 산출 수단(11))
다음으로, 제1 산출 수단(11)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산출 수단(11)은, 자력 센서(32)가 설치된 제2 위치의 XYZ 좌표(x2, y2, z2), 및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각(α, β, γ), 이 직선의 길이 R1을 다음 식(1)에 대입함으로써, 제3 위치의 XYZ 좌표(x3, y3, z3)를 구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θ, δ, φ는, UVW 좌표를 XYZ 좌표에 맞추도록, UVW 좌표를 U축, V축, W축 주위로 각각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 각도(촬영 수단의 경사각)이다.
(제2 산출 수단(12))
다음으로, 제2 산출 수단(12)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산출 수단(12)은, 구해진 제3 위치의 3차원 좌표(x3, y3, z3) 및 측정된 제1 위치의 3차원 좌표(x1, y1, z1)에 의해, 다음 식(2)에 대입함으로써, 천자 바늘의 선단으로부터 제2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인 바늘 길이 L을 구한다.
Figure pat00002
이상과 같이,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한 측정은, 바늘 끝이 제3 위치에 접촉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바늘 길이 L은,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천자술을 위해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하기 위한 수단]
(제3 산출 수단(13))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위치 측정 시스템(300) 및 제3 산출 수단(13)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3 산출 수단(13)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바늘 길이 L은 천자술 전에 구해진다. 다음으로, 천자술을 위해, 바늘 끝은 제3 위치로부터 벗어나, 피검체에 자입되어, 그 소작 대상에 도달한다. 도달 후, 소작 대상이 소작되고(본소작), 그 후,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소소작이 반복되는 확산 방지 처치가 된다. 천자술중에, 즉, 천자 바늘에 의한 자입이 개시되고 나서 소작 대상의 소작을 거쳐, 확산 방지 처치가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해, 바늘 길이 L을 구할 때 제1 위치를 구하였을 때와 동일 방법으로 제1 위치의 XYZ 좌표, 천자 바늘의 경사각이 측정된다.
제3 산출 수단(13)은, 천자술중에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해 측정된 제1 위치의 XYZ 좌표(x11, y11, z11), X축, Y축, Z축에 대한 천자 바늘의 경사각 λ, μ, ω 및 바늘 길이 L을 다음 식(3)에 대입함으로써, 바늘 끝의 위치(x4, y4, z4)를 구한다.
Figure pat00003
〔표시 처리부(18)〕
표시 처리부(18)는, 묘화용 소프트웨어를 갖고, 천자술중에, 묘화용 소프트웨어를 계속적으로 실행하여, 제1 위치의 XYZ 좌표(x11, y11, z11), 천자 바늘의 경사각(λ, μ, ω), 바늘 길이 L 및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진 함수를 사용하여 구해진 천자술중의 바늘 끝의 위치를 이용하여,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연결하고, 또한 제1 위치로부터 바늘 끝의 위치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직선인 천자술중의 바늘 가이드 라인을 구하고, 천자술중의 바늘 가이드 라인의 화상을, 촬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에코 화상에 겹쳐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 천자술중의 바늘 가이드 라인의 선단 위치가 천자술중의 제3 산출 수단(13)에서 산출된 「바늘 끝의 위치」(x4, y4, z4)에 상당한다.
도 3은 촬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에코 화상 EG에 겹쳐 표시된 본소작시의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에코 화상 EG 중에 묘출된 천자 바늘의 화상을 백색 부분으로 나타내고, 에코 화상 EG에 겹쳐 표시된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표시 처리부(18)는,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에코 화상 EG에 겹쳐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 그것에 의해, 천자 바늘을 소작 대상에 자입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처리부(18)는, 본소작 후, 확산 방지 처치가 개시되기 전에, 시술자에 의한 입력부(21)의 조작을 받아, 또한 본소작의 종료의 정보를 받아, 묘화용 소프트웨어를 기동하고, 기억부(16)로부터 판독된, 소정의 간격을 나타내는 스케일을, 천자 바늘이 소작 대상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구해진 본소작시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이 도달하였을 때에 측정된 본소작시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촬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에코 화상에 겹쳐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
도 4는, 본소작시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진 스케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케일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부여된 마크 MK를 갖는다. 마크 MK는 소정 폭을 갖는 선을 포함한다. 스케일과 에코 화상이 겹쳐 표시되어 있을 때, 초음파 프로브(20)의 움직임에 따라서 표시상의 에코 화상이 움직이는데, 표시상의 스케일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면, 에코 화상에 있어서의 천자 바늘이 스케일에 대해 어긋난다. 그러나, 마크 MK가 소정 폭을 가지므로, 에코 화상에 있어서의 천자 바늘이 스케일의 마크 MK의 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선과 교차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스케일에 대한 바늘 끝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의 개수는, 예를 들어 7개이며, 미리 정해진다. 7개로 한 것은, 피검체의 피부로부터 소작 대상에 천자 바늘이 도달하였을 때의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미리 정해진 최대 거리가 6㎝(=(7-1)개×1cm/개)이기 때문이다. 마크 MK의 일례는, 눈금이다.
표시 처리부(18)는, 복수의 위치 중 일단부의 위치를 본소작시의 위치에 맞춤으로써, 스케일을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춘다. 그 결과, 일단부의 위치에 부여된 마크 MK가, 바늘 끝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표시 처리부(18)는 복수의 위치가 설치된 방향을 본소작시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춤으로써, 스케일을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춘다. 그 결과, 복수의 위치(및, 그것에 부여된 마크)가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따라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위치에 대해 그 중 일단부의 위치로부터 차례로, 0번 내지 7번을 부여하였 때, 표시 처리부(18)가 0번의 위치를,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춘다. 그 결과, 1번 내지 6번의 각 위치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한 소소작시의 각 위치에 맞추어진다. 바늘 끝의 위치가 0번의 위치에 있을 때,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본소작된다. 본소작 후의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천자 바늘이 빠질 때, 바늘 끝의 위치를, 1번 내지 6번의 각 위치의 순으로 이동시켜, 각 위치에서 소소작하면 되므로, 확산 방지 처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는, 0번 내지 7번 중 1번째의 위치의 바늘 가이드 라인 NL의 선단이 이동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의 최초의 소소작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바늘 끝의 위치를 1번째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후의 소소작시에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바늘 끝의 위치를 2번째 이후의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키면 된다.
(스케일의 일례)
도 6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마크가 부여된 스케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케일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을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그 형태는 상관없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마크 MK로서 단순히 점(도트)이 부여된 스케일이어도 된다. 표시 처리부(18)는,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스케일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 중 단부의 위치를 맞추고,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도록 하여, 스케일을 표시시킨다. 그것에 의해, 복수의 위치 중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도트(dot)]이 본소작시의 위치를 나타내고, 복수의 위치 중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점(도트)이 소소작시의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스케일의 변형예)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의 변형예로,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스케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8)는 반경이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씩 서로 다른 동심원의 중심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어, 스케일을 표시시킨다.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바늘 끝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바늘 끝의 위치가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서서히 이격되어 가는 것처럼 보이므로,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기 쉽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의 변형예로, 하나의 선 종류로 그려진 원과 다른 선 종류로 그려진 원이 조합된 동심원의 스케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바늘 끝의 위치가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서서히 이격되어 갈 때, 실선의 원이나 파선의 원을 가로지르게 되어,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기 쉽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의 변형예로, 소작 대상에 도달한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부여된 스케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케일에 문자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바늘 끝의 위치 이동 거리를 파악하기 쉽다. 또한, 0㎝, 1㎝의 문자 대신에, A, B의 알파벳(alphabet)을 사용해도 된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일의 변형예로, 그리드 형상을 갖는 스케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리드의 선종은 파선이지만, 어떠한 것이어도, 예를 들어 실선이어도 된다.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바늘 끝의 위치가 이동할 때, 그리드의 선을 가로지르게 되어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스케일의 일례 및 변형예를 나타냈지만, 표시 처리부(18)는, 이들 2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부(40)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0번 내지 7번의 위치 중 0번의 위치가 본소작시의 위치이고, 1번 내지 4번의 위치가 소소작시의 위치이고, 5번 및 6번의 위치는 소소작이 행해지지 않는 비소소작시의 위치이다[이 판단은, 후술하는 강도 산출 수단(19)에서 판단됨]. 확산 방지 처치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1) 소소작시의 위치와 비소소작시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킨다. 또한, 2) 소소작시의 위치에 있어서, 소소작 완료인지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킨다. 또한, 3) 소소작 가능 상태와, 소소작 불가 상태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시킨다. 소소작시의 위치와 비소소작시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피부에 천자 바늘이 자입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소정의 거리로 나눔으로써,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이 필요한 횟수를 산출한다.
표시 처리부(18)는, 확산 방지 처치가 개시되기 전에, 1번 내지 4번의 소소작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제1 형태(소작이 가능하지만 미소소작 상태의 형태)로 표시시킨다. 표시 처리부(18)는, 소소작 완료 정보를 받아, 소소작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소작이 완료된 소소작 완료 상태의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시킨다.
도 11은 미소소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형태 및 소소작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표시 처리부(18)는 소작 완료 정보 및 소작 완료의 횟수를 판단부(17)로부터 받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8)는 소소작 완료된 횟수의 "1"을 받아, 그 횟수에 상당하는 1번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MK를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시킨다. 제1 형태의 일례는, "○"로 나타내어진 1중 원이고, 제2 형태의 일례는, "◎"로 나타내어진 2중 원이다.
(자입 위치 산출 수단(14))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이 필요한 횟수를 산출하기 위해,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구할 필요가 있다.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구하기 위해, 확산 방지 처치 전에 있어서, 촬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의료용 화상(여기서는, 에코 화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피검체의 피부 라인이 추출된다. 자입 위치 산출 수단(14)은, 추출된 피부의 라인과, 본소작시의 바늘 가이드 라인 NL에 기초하여,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구하여,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강도 산출 수단(19))
소소작시의 강도(예를 들어, 전류값)는 일정해도 되지만, 소소작시의 위치가 피부에 가까울수록, 소소작시에 발생하는 열이 피부까지 전달되어, 피검체에 열감을 느끼게 한다. 열감을 느끼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소소작시의 위치가 피부에 가까울 때, 소소작시의 강도를 떨어뜨리면 된다. 그러기 위해, 강도 산출 수단(19)은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고,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고,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로부터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거리 D1을 산출한다. 또한, 강도 산출 수단(19)은, 구한 거리 D1에 기초하여, 기억부(16)로부터 판독한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소소작시의 강도를 구한다.
대응 관계의 일례로서는, 소소작시의 강도를, 거리 D1이 소정값을 초과할 때보다 거리 D1이 소정값 이하일 때의 쪽을 낮게 한다. 강도를 낮은 일정한 값으로 해도 되고, 서서히 낮은 값으로 해도 된다. 또한, 확산 방지 처치에 필요한 소소작의 횟수를 N이라 하였을 때, 소소작시의 강도를, 1 내지 k(2≤k≤(N-1))회까지보다, (k+1) 내지 N회의 쪽을 낮게 한다. 강도를 낮은 일정한 값으로 해도 되고, 서서히 낮은 값으로 해도 된다.
소소작의 횟수 N을 구하기 위해, 강도 산출 수단(19)은, 확산 방지 처치 중에, 제3 산출 수단(13)에 의해 구해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와, 자입 위치 산출 수단(14)에 의해 구해진,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에 의해, 양자간의 거리 D(≥D1)를 구하여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또한, 강도 산출 수단(19)은 구한 거리 D를,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시마다 이동하는 바늘 끝의 이동량인 소정의 거리에 의해 제산함으로써, 확산 방지 처치에 필요한 소소작의 횟수 N을 구하여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판단부(17))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시마다, 바늘 끝의 위치를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1cm)씩 이동시킬 때,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된, 소정의 간격(소정의 거리와 동일한, 예를 들어 1㎝)을 나타내는 스케일을 표시(目印)로 한다. 그것에 의해, 확산 방지 처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확산 방지 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판단부(17)는, 확산 방지 처치중에, 제3 산출 수단(13)에 의해 구해진 직전의 소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와,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에 기초하여, 양자간의 거리를 구하여, 구한 거리가 소정의 거리(기억부(16)에 기억됨)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처리부(18)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가 소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또한 도달한 소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가 소소작 완료 위치인지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
[동작]
다음으로, 바늘 길이를 취득하고, 또한 천자술중에 있어서의 바늘 끝의 위치 등을 구할 때의 일련 동작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바늘 길이를 취득할 때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바늘 끝을 제3 위치에 접촉시킨다(스텝 S101). 이때, 한쪽 손으로 초음파 프로브(20)을 잡고, 다른 쪽 손으로 천자 바늘을 잡고, 초음파 프로브(20)와 천자 바늘을 서로 접근시키면서, 제3 위치에 바늘 끝을 접촉시키면 되므로, 접촉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위치 측정 시스템(300)이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초음파 프로브(20)(촬영 수단)의 경사각을 측정한다(스텝 S102).
이상의 제1 위치, 제2 위치,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의 측정은, 그 순서는 상관없다. 이들이 측정된 후에, 바늘 끝을 제3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해도 되고,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을 바꾸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산출 수단(11)이 제2 위치에 대한 제3 위치의 위치 관계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03). 다음으로, 제1 산출 수단(11)이 제2 위치 및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을 취득한다(스텝 S104).
다음으로, 제1 산출 수단(11)이 제2 위치에 대한 제3 위치의 위치 관계, 제2 위치 및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을 상기 식(1)에 대입하여, 제3 위치를 구한다(스텝 S105).
다음으로, 제2 산출 수단(12)이 제1 위치를 취득한다(스텝 S106). 다음으로, 제2 산출 수단(12)이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상기 식(2)에 대입하여, 바늘 길이를 구한다(스텝 S107).
바늘 길이를 구하는 천자 시술 전에는, 바늘 끝을 제3 위치에 접촉시켜,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해 제1 위치, 제2 위치,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이 측정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바늘 길이를 구하였다. 그러나, 천자술에서는, 바늘 끝은 제3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천자술에서는, 위치 측정 시스템(300)에 의해, 제1 위치, 천자 바늘의 경사각이 측정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바늘 끝의 위치가 구해지고, 표시 처리부(18)에 의해 스케일 및 바늘 가이드 라인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바늘 길이가 산출되었을 때로부터 바늘 끝의 위치 등을 구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바늘 길이가 산출되고 나서 바늘 끝의 위치 등을 구할 때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 길이가 산출되고(스텝 S201), 그 후에, 위치 측정 시스템(300)이 제1 위치의 XYZ 좌표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측정한다(스텝 S202). 산출 수단(100)은, 측정된 천자술중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기억부(16)에 차례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제3 산출 수단(13)은 바늘 길이, 제1 위치의 XYZ 좌표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상기 식(3)에 대입함으로써,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한다(스텝 S203). 산출 수단(100)은, 구해진 천자술중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에 차례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자입 위치 산출 수단(14)은, 구해진 바늘 끝의 위치 및 제1 위치의 XYZ 좌표에 기초하여, 바늘 가이드 라인을 구하고, 구한 바늘 가이드 라인과, 의료용 화상의 화소값에 의해 구해진 피부의 라인에 기초하여,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구한다(스텝 S204).
다음으로, 강도 산출 수단(19)은,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로부터 본소작시의 위치까지의 거리 D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고, 거리 D를 소정의 거리에 의해 제산함으로써,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이 필요한 횟수 N을 구한다(스텝 S205). 산출 수단(100)은, 소소작에 필요한 횟수 N을,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확산 방지 처치의 일련 동작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확산 방지 처치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 방지 처치는, 본소작 후에 확산 방지 처치의 지시를 받아 스케일을 표시할 때까지의 전처리(스텝 S301) 후에, 바늘 끝의 이동 정보의 관리로부터 소소작시의 강도 계산을 거쳐, 마크의 표시 처리를 할 때까지의 후처리(스텝 S302)가 행해진다.
도 15는 전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산출 수단(100)은 확산 방지 처치의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1). 산출 수단(100)은, 기억부(16)로부터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취득한다(스텝 S402). 다음으로, 산출 수단(100)은 기억부(16)로부터 본소작시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취득한다(스텝 S403). 다음으로, 산출 수단(100)은 기억부(16)로부터 소소작에 필요한 횟수 N을 취득한다(스텝 S404). 또한, 스텝 S402 내지 스텝 S404의 순서는 동일하지 않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처리부(18)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0번 내지 7번의 위치)에 마크 MK가 부여된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스텝 S405). 본소작 후이며, 소소작 전일 때, 표시 처리부(18)는 0번의 본소작시의 위치에 부여하는 마크 MK를 제2 형태(2중 원 "◎")로 하고, 1번부터 N번까지의 소소작시의 위치에 부여하는 마크 MK를 제1 형태(1중 원 "○")로 한다. 다음으로, 후처리 스텝 S30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후처리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후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을 변수 i에 대입한다(스텝 S501).
다음으로, 판단부(17)는, 확산 방지 처치중에, 바늘 끝의 이동 정보를 관리한다(스텝 S502). 다음으로, 강도 산출 수단(19)은, 소소작시의 강도를 관리한다(스텝 503). 다음으로, 표시 처리부(18)는 마크 MK의 표시 처리를 한다(스텝 S504). 다음으로, 판단부(17)는, 전부의 소소작의 종료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505). 예를 들어, 전부의 소소작 종료의 신호를 받고, 또한 i=N의 정보를 받아, 전부의 소소작의 종료 정보가 있다고 판단부(17)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505: "예"), 확산 방지 처치는 종료된다. 전부의 소소작의 종료 정보가 없다고 판단부(17)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505: "아니오"), 바늘 끝의 이동 정보 관리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바늘 끝의 이동 정보 관리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바늘 끝의 이동 정보 관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단부(17)는 직전의 소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601). 다음으로, 판단부(17)는,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602). 다음으로, 판단부(17)는, 취득한 직전의 소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를 감산한 값과, 소정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3).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었다고 판단부(17)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603: "예"), 변수 i에 "1"을 가산한다(스텝 S604).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부(17)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603: "아니오"),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는 스텝 S602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소소작시의 강도 관리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소소작시의 강도 관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도 산출 수단(19)은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고,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여, 천자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위치로부터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거리 D1을 산출한다(스텝 S701). 다음으로, 강도 산출 수단(19)은 거리 D1과 소소작시의 강도의 대응 관계를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702). 다음으로, 강도 산출 수단(19)은 거리 D1에 기초하여,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소소작시의 강도를 정한다(스텝 S703).
다음으로, 마크의 표시 처리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마크 표시 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8)는 소소작 가능 상태를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스텝 S801). 다음으로, 표시 처리부(18)는 소소작 완료된 정보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2). 소소작 완료된 정보를 받았다고 표시 처리부(18)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802: "예"), 표시 처리부(18)는 i번째의 위치에 부여하는 마크 MK를 제1 형태(도 11에 나타내는 1중 원)로부터 제2 형태(도 11에 나타내는 2중 원)로 변경하여 표시시킨다(스텝 S803). 그것에 의해, 소소작 완료 위치와 미소소작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시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처리부(18)는 소소작 불가 상태를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스텝 S804). 소소작 완료 정보를 받지 않았다고 표시 처리부(18)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802: "아니오"), 표시 처리부(18)는 확산 방지 처치의 종료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5). 확산 방지 처치의 종료 지시를 받았다고 표시 처리부(18)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805: "예"), 확산 방지 처치를 종료한다. 확산 방지 처치의 종료 지시를 받지 않았다고 표시 처리부(18)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805: "아니오"), 소소작 완료 정보를 받았는지 여부를 표시 처리부(18)가 판단하는 스텝 S802로 되돌아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처리부(18)가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표시부(40)에 표시시키는 것을 나타냈다.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소소작시마다, 바늘 끝의 위치를 소정의 거리씩 이동시킬 때, 소정의 거리와 동일한 소정의 간격을 나타내는 스케일을 마크로 함으로써, 확산 방지 처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처리부 등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확산 방지 처치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케일의 표시 외에, 표시 처리부(18)가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 및 본소작시의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하고, 스케일의 복제를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표시부(40)에 표시시킨다. 바늘 끝의 위치와 함께, 스케일의 복제가 이동하므로,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알기 쉬워진다. 또한,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때, 스케일의 마크 MK와 스케일의 복제 마크 MK가 일치하므로,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더욱 알기 쉬워진다.
도 21은,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된 스케일 및 확산 방지 처치시에 이동하는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된 스케일의 복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8)는 본소작시의 위치에 맞추어 스케일을 표시시키고, 또한 바늘 끝(바늘 가이드 라인 NL의 선단으로 나타냄)의 위치와 함께 본소작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스케일의 복제를 표시시킨다. 도 21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스케일의 마크 MK와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스케일의 복제 마크 MK가 일치하지 않는 어긋난 상태를 나타낸다. 어긋난 상태가 나타내어짐으로써,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지 않는 것을 시인할 수 있으므로, 바늘 끝의 위치 이동을 더욱 알기 쉬워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18)가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부(40)에 표시시키는 것을 나타냈다.
스케일과 의료용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은, 동일한 표시부(40)여도 되고, 각각의 표시부여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40)가 제1 표시부(40A)와 제2 표시부(40B)를 갖는다. 제1 표시부(40A)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갖는다. 제2 표시부(40B)는, 안경의 렌즈가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안경형 디바이스를 갖는다. 표시 처리부(18)는, 제1 표시부(40A)에 천자 바늘의 화상을 포함하는 의료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제2 표시부(40B)에 스케일 및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표시시킨다. 그러나, 천자술중에 있어서는, 제1 표시부(40A)에 표시된, 천자 바늘의 화상에 있어서의 바늘 끝의 위치에, 제2 표시부(40B)에 표시된, 스케일 및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맞출 필요가 있다. 양자를 맞추기 위해, 위치 관계 측정부(50)는, 제2 표시부(40B)에 있어서의 시계와 제1 표시부(40A)의 화면의 위치 관계를 측정한다.
표시 처리부(18)는, 제2 표시부(40B)에 있어서의 시계와 제1 표시부(40A)의 화면이 일치하였다는 위치 관계 측정부(50)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의료용 화상을 표시시킬 때의 좌표와 스케일 등을 표시시킬 때의 좌표를 일치시켜, 제1 표시부(40A)에 천자 바늘의 화상을 포함하는 의료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제2 표시부(40B)에 스케일 및 바늘 가이드 라인 NL을 표시시킨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18)가 의료용 화상을 제1 표시부(40A)에 표시시키고, 제2 표시부(40B)에 스케일 등을 표시시켰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경형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스케일 등을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추었지만, 스케일을 맞추는 위치는 바늘 끝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자 바늘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에 스케일을 맞추면 된다. 기준 위치는, 시술자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스케일을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에 맞춘 후에는 스케일을 고정하였지만, 스케일이 맞추는 위치를 본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천자술에 있어서 1개의 천자 바늘이 사용될 때, 표시 처리부(18)가 스케일로 표시시킴으로써,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의 소소작시의 위치를 시술자에게 시인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천자술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천자 바늘이 사용될 때가 있다. 이때, 복수의 천자 바늘 중 입력부(21)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천자 바늘에 대해, 표시 처리부(18)가 스케일을 표시시킴으로써, 선택에 관한 천자 바늘에 대해, 확산 방지 처치에 있어서의 소소작시의 위치를 시술자에게 시인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의료용 화상의 2차원 좌표에 스케일의 2차원 좌표를 맞춤으로써, 스케일을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켰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촬영 수단에 의해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가 취득된다. 표시 처리부(18)는,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를 회전시켜 표시시킬 때, 그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에 스케일의 3차원 좌표를 맞춤으로써, 스케일을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켜도 된다. 그것에 의해, 시술자가 현 시점의 바늘 끝의 위치에 가까운 부호 MK일수록 가깝게 느끼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 처리부(18)는 의료용 화상을 확대/축소 표시시킬 때, 그 확대/축소의 비율에 따라서, 스케일을 확대/축소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형태를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다르게 함으로써, 바늘 끝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시술자에게 통지하도록 하였지만, 색의 변화나 소리나 진동에 의해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시술자가 장착하고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를 통해 시술자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진단 장치의 예를 나타내고, 촬영 수단으로서 초음파 프로브(20)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의 다른 예로서 X선 CT 장치가 있다. X선 CT 장치에 있어서의 촬영 수단의 예로서, 피검체가 적재되는 침대 장치가 있다. 이때, 침대 장치에, 제2 위치 및 제3 위치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천자 바늘에 설치된 제1 위치 및 초음파 프로브(20)에 설치된 제2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의 일례로서, 위치 측정 시스템(300)을 나타냈지만,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3차원 좌표 및 초음파 프로브(20)의 경사각을 측정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위치와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를 갖는 제3 위치에 바늘 끝을 접촉시켰지만, 제2 위치에 바늘 끝을 접촉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제3 위치는 제2 위치와 동등해진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5)

  1. 피검체의 원하는 대상 부위를 촬영하여 의료용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수단을 갖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로서,
    상기 대상 부위에 자입(刺入)된 천자(穿刺) 바늘의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정보 측정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 측정 수단에서 얻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천자 바늘의 상기 대상 부위에 이르는 자입 경로를 나타내고,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이 부여된 가이드선을 생성하는 가이드선 생성 수단과,
    상기 가이드선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가이드선을 상기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눈금을 상기 천자 바늘의 기준 위치에 맞추어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측정 수단은,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천자 바늘에 있어서의 바늘 끝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천자 바늘의 경사각을 측정하고, 상기 산출 수단이 상기 측정된 결과 및 상기 센서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바늘 끝의 위치까지의 직선의 길이인 바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함으로써 상기 천자 바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선 생성 수단은, 천자 바늘이 대상 부위의 소작(燒灼) 대상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기준 위치로서의 바늘 끝의 위치 및 상기 도달하였을 때 상기 위치 정보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상기 눈금을 맞춤으로써 상기 눈금이 상기 자입 경로를 따라 설치된 상기 가이드선을 생성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서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바늘 끝의 위치를, 상기 눈금 및 상기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마크가 부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는, 안경의 렌즈가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안경형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눈금을 상기 의료용 화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는, 상기 의료용 화상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갖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안경의 렌즈가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안경형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제2 표시부에 있어서의 시계와 상기 제1 표시부의 화면의 위치 관계를 측정하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계와 상기 화면이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로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눈금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천자 바늘이 빠질 때의 상기 바늘 끝의 위치를 차례로 구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눈금의 복제를 상기 차례로 구해진 상기 바늘 끝의 위치 및 상기 천자 바늘의 경사각에 맞추어, 상기 맞춘 눈금의 복제를, 상기 눈금 및 상기 의료용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직전에 소작되었을 때의 상기 바늘 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천자 바늘이 빠지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바늘 끝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바늘 끝의 위치와 상기 기억된 바늘 끝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 상기 구한 거리가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갖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구한 거리가 상기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소작이 가능한 취지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소작이 가능한 취지를 표시시킨 후에, 상기 소작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받아, 소작이 완료된 취지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위치에 부여하는 마크를 인식 가능한 서로 다른 형태로, 상기 소작이 가능한 취지의 표시와, 상기 소작이 완료된 취지의 표시를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상기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가 취득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를 회전시켜 표시시킬 때, 상기 의료용 화상의 3차원 좌표에 상기 눈금의 3차원 좌표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의료용 화상을 확대/축소 표시시킬 때, 그 확대/축소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눈금을 확대/축소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화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피검체의 피부에 천자 바늘이 자입된 위치를 구하는 수단과,
    소작시의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피부까지의 거리와 소작시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바늘 끝의 위치로부터 상기 구해진 자입된 위치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소작시의 강도를 정하는 강도 산출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KR1020150044895A 2014-03-31 2015-03-31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KR20150113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2507A JP6305810B2 (ja) 2014-03-31 2014-03-31 医用画像診断装置
JPJP-P-2014-072507 201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914A true KR20150113914A (ko) 2015-10-08

Family

ID=5415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95A KR20150113914A (ko) 2014-03-31 2015-03-31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0728B2 (ko)
JP (1) JP6305810B2 (ko)
KR (1) KR20150113914A (ko)
CN (1) CN104939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2369A1 (en) * 2015-12-16 2017-06-22 Koninklijke Philips N.V. Interventional device recognition
EP3515311A4 (en) 2016-09-20 2020-06-24 Kornerstone Devices Pvt. Ltd. LIGHT AND SHADOW GUIDED NEEDL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WO2018098196A1 (en) * 2016-11-23 2018-05-31 Clear Guide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navigating interventional instrumentation
CN109029212B (zh) * 2018-08-06 2023-12-05 广州复大医疗有限公司 用于经皮消融术中的探针定位及针间距测量装置
CN112533540A (zh) * 2018-08-13 2021-03-19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超声成像的方法、超声成像设备以及穿刺导航系统
KR20200071392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20148937A1 (ja) 2019-01-17 2020-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穿刺針、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方法
JP7267160B2 (ja) * 2019-09-17 2023-05-01 株式会社菊池製作所 鍼刺用エコーガイドシステム
EP4362830A1 (en) * 2021-07-02 2024-05-08 Ultrasertion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directed to ultrasonic needle positioning apparatus
CN114027877A (zh) * 2021-11-30 2022-02-11 深圳迈瑞动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设备及超声图像的测量标尺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3558B2 (de) 1974-09-11 1979-01-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orrichtung zum Punktieren von körperinternen Organen und Gefäßen
AU722539B2 (en) * 1995-07-16 2000-08-03 Ultra-Guide Ltd. Free-hand aiming of a needle guide
JP2000107178A (ja) * 1998-09-30 2000-04-18 Olympus Optical Co Ltd 超音波ガイド下穿刺システム
US7663333B2 (en) * 2001-06-12 2010-02-16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coverage for an autonomous robot
JP2003126093A (ja) * 2001-10-23 2003-05-07 Olympus Optical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JP4828802B2 (ja) * 2004-05-12 2011-11-30 株式会社東芝 穿刺治療のための超音波診断装置
US8123691B2 (en) 2003-08-19 2012-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for fixedly displaying a puncture probe during 2D imaging
US20080015664A1 (en) * 2004-10-06 2008-01-17 Podhajsky Ronald J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ly profiling radiofrequency electrodes
EP3162318B1 (en) * 2005-10-20 2019-10-1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uxiliary image display and manipulation on a computer display in a medical robotic system
JP4812458B2 (ja) 2006-02-15 2011-11-09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治療支援装置
US20070279436A1 (en) * 2006-06-02 2007-12-06 Hern Ng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with 3D image data, in a tunnel viewer
JP4841323B2 (ja) * 2006-06-13 2011-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成形装置
US8401620B2 (en) * 2006-10-16 2013-03-19 Perfint Healthcare Private Limited Needle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JP5274854B2 (ja) 2008-02-13 2013-08-28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9895135B2 (en) * 2009-05-20 2018-02-20 Analogic Canada Corporation Freehand ultrasound imaging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position quality feedback
US9282947B2 (en) * 2009-12-01 2016-03-15 Inneroptic Technology, Inc. Imager focusing based on intraoperative data
JP5394299B2 (ja) 2010-03-30 2014-0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JP5575534B2 (ja) 2010-04-30 2014-08-20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JP5337782B2 (ja) 2010-10-13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JP2014028125A (ja) 2012-06-29 2014-02-1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92776A (ja) 2015-11-05
US10390728B2 (en) 2019-08-27
JP6305810B2 (ja) 2018-04-04
US20150272700A1 (en) 2015-10-01
CN104939865A (zh) 2015-09-30
CN104939865B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3914A (ko)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JP5830576B1 (ja) 医療システム
EP2769689B1 (en) Computer-implemented technique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a surgical device
JP5188879B2 (ja) 医療機器
JP5137033B2 (ja) 手術支援情報表示装置、手術支援情報表示方法及び手術支援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4875416B2 (ja) 医用ガイドシステム
US1164806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blation treatment and visualization
JP5417609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7483668B2 (ja) 器具を視覚化するための座標系の間の位置合せ
JP2007000226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537715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医用診断システム
JP2005535382A (ja) 医用デバイス位置決め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93570B1 (ko) 자기 공명 영상 방법 및 장치
CN111031886A (zh) 用于自动探测外科器械的探测系统和方法
CN109298358B (zh) 在成像模态的主磁体内直接定位患者的感兴趣区域的方法
JP2017113559A (ja) ツールを可視化するための位置及び配向の確認
JP2002253480A (ja) 医療処置補助装置
JP2018134197A (ja) 医用手技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058779A (ja) ユーザーを支援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製品、データ記憶媒体、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6280921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0051615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N108135577B (zh) 医疗系统
US20220370155A1 (en) Surgica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854399B2 (ja) 医用システム
JP2017169910A (ja) 内視鏡形状把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