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52A -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 Google Patents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52A
KR20150113652A KR1020140037951A KR20140037951A KR20150113652A KR 20150113652 A KR20150113652 A KR 20150113652A KR 1020140037951 A KR1020140037951 A KR 1020140037951A KR 20140037951 A KR20140037951 A KR 20140037951A KR 20150113652 A KR20150113652 A KR 2015011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guage
text
translation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128B1 (ko
Inventor
박효석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주) 아시아커뮤니케이션
박효석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시아커뮤니케이션, 박효석, 이재홍 filed Critical (주) 아시아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4003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번역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다른 언어권 사용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제공함으로써, 언어가 다를 경우에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smart device easy to convert of Multilingual.}
본 발명은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번역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다른 언어권 사용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제공함으로써, 언어가 다를 경우에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정보 통신의 발달로 현재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등이 널리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의 경우는 예를 들어 특정 언어로 각종 정보를 주고 받고자 하면 해당 언어의 자판 배열을 제공해야 가능하였으며, 특정 언어의 자판에서 자신이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작 과정을 거치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번역기의 경우에는 사용어플리케이션 종료 -> 번역기어플리케이션 실행 -> 텍스트 입력 -> 번역 -> 선택 복사하기 -> 번역기 어플리케이션 종료 -> 사용어플리케이션 실행 -> 붙여넣기와 같이 총 8단계 이상의 조작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시, 메시지를 이용한 대화시 스마트폰을 이용한 번역은 사용상에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단말기는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뿐만 아니라,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모바일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들끼리 편리하게 대화가 가능한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어느 한 국가에서의 사용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국적을 가진 사용자들간의 채팅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국적을 가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이용자들 간에 서로 의사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는 번역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메신저 서비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그대로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만 하였다.
이러한 메신저는 동일한 언어권의 사용자들끼리의 사용에 적합한 형태이며, 사용하는 언어가 다를 경우에 양자간의 대화가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사람과 일본사람이 대화를 한다면, 어느 한쪽은 한국어나 일본어를 할 줄 알아야 서로 간의 대화가 가능할 것이다.
혹은 별도의 번역 프로그램(웹,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여 상대방이 입력한 텍스트를 번역 프로그램으로 옮겨 번역하여 내용을 이해한 후 전달할 내용을 번역 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다시 번역되어 나온 데이터를 메신저에 넣은 후 전송하는 불편한 방법으로 대화를 하고 있기 때문에 채팅시 한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시간이 과다하여 다른 언어권의 사람들과 채팅은 거의 하지 않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까지의 번역기는 원문의 입력창과 번역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며, 별도의 버튼등을 이용하여 언어를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8-0000948호(2008. 01. 03)
본 발명인, 다국어 변환이 용이한 스마트기기는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번역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다른 언어권 사용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제공함으로써, 언어가 다를 경우에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언어의 입력 방법으로 키보드 입력과 음성 인식, 필기인식 등의 입력을 사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는 번역되어 전송된 후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화면 출력과 동시에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거나, 텍스트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어느 한 사용자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된 번역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재번역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원본 언어에 발음기호를 포함하여 메신저 창에 제공함으로써, 알 수 없는 언어라 할지라도 발음기호로 읽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대화형태의 다국어 음성 통역 기능을 제공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창 혹은 음성 입력을 위한 인풋박스와 아이콘을 한 개 이상 배치하여 양자간 혹은 다자간의 대화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다국어 메신저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제공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다른 언어권에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설정 언어로 번역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정보획득부(210), 상기 사용자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디비(220),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대화상대정보추출부(230), 상기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기 위한 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25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처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번역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다른 언어권 사용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제공함으로써, 언어가 다를 경우에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메신저 혹은 메시지 사용시 다른 언어를 모르는 사용자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번역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언어의 입력 방법으로 키보드 입력과 음성 인식 입력을 사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는 번역되어 전송된 후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화면 출력과 동시에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거나, 텍스트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어느 한 사용자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된 번역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재번역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원본 언어에 발음기호를 포함하여 메신저 창에 제공함으로써, 알 수 없는 언어라 할지라도 발음기호로 읽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대화형태의 다국어 음성 통역 기능을 제공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창 혹은 음성 입력을 위한 아이콘을 한 개 이상 배치하여 양자간 혹은 다자간의 대화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다른 언어와의 소통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전송서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1 : 1 대화 예시도이며, 도 7은 단체 대화 예시도이며, 도 8은 텍스트창 및 음성 인식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대화형태의 다국어 음성 통역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기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도면을 인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다국어 메신저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제공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다른 언어권에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설정 언어로 번역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중 어느 하나이며, 이를 통해 자동 번역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기기의 경우에 언어를 변환함에 있어 앱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켜 앱을 통해 실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의 경우에 언어를 변환함에 있어 앱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켜 앱을 통해 실행하게 되거나 별도의(인터넷,메모리카드 등)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앱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앱은 스마트기기에서 마켓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아 탑재시키게 되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때,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는 기존의 메신저 서비스에 번역서비스를 추가한 형태로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인과 일본인 간의 대화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보면 기존의 메신저 서비스의 경우에 일본어를 표시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일본어를 표시하고, 하단에 번역된 한국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번역 프로그램으로 해당 일본어를 옮겨 번역하여 내용을 이해한 후 전달할 내용을 번역 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다시 번역되어 나온 데이터를 메신저에 삽입한 후 전송하는 불편함을 일거에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한 문장을 추가하기 위하여 최소 1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시간으로 번역되어 메신저에 제공하게 되어 동일 언어권에서 채팅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국 사람은 한국어로 텍스트를 입력 후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텍스트 데이터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되어 일본어로 번역된 후, 일본사람의 메신저에 원본 한국어와 함께 번역된 일본어가 함께 표시된다.
반대로 일본사람은 일본어로 입력 후 전송을 클릭하면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된 후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사람의 메신저에 일본어 원문과 함께 번역된 한국어텍스트가 출력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인, 일본인, 미국인, 중국인이 한 채팅방에서 채팅시, 한국인이 한국어로 '안녕하세요'를 입력하게 되면 일본인에게는 일본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미국인에세는 영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중국인에게는 중국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각각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국인은 한국어로 텍스트를 입력 후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된 후 일본어, 영어, 중국어로 번역된 후 각각의 언어에 맞게 전송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원문 한국어와 함께 표시된다.
각각의 언어권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로 텍스트를 입력 후 전송하면 해당 텍스트를 받아보는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로 변역된 후 원문과 함께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는,
텍스트 입력창을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입력창제공부(110),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설정언어저장부(120),
상기 텍스트입력창제공부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언어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언어 정보를 획득하여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텍스트정보송출부(130),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설정언어표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들과 메신저 혹은 메시지를 통해 대화(채팅)시, 각각 사용자의 사용언어 판단은 사용자가 최초 이용 시, 자신의 사용언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설정 등의 페이지에서 사용언어를 변경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용 기기에 따라 사용자의 언어를 미리 알 수 있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언어로 설정한다.
이렇게 선택된 언어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설정언어저장부에 저장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되어 최초 가입 절차를 완료한다.
이후에, 전송되어 지는 텍스트는 해당 정보를 근거하여 번역하게 된다.
만약, 언어값을 획득할 수 없을 경우에는 언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텍스트입력창제공부(110)는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메신저 사용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창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설정언어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예를 들어, 회원이름, 아이디, 닉네임, 아이피 어드레스, 맥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텍스트정보송출부(130)는 텍스트입력창제공부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언어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언어 정보를 획득하여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설정언어표출부(140)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국인이며, 대화 상대자가 일본인일 경우에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인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정보획득부(210),
상기 사용자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디비(220),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대화상대정보추출부(230),
상기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기 위한 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25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처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2의 서버는 도 1에 도시한 서버로서,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번역을 수행하는 것이다.
사용자1이 텍스트를 입력한 후 전송하게 되면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사용자2에게 전달할 내용을 번역하여 사용자2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정보획득부(210)에서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사용자정보디비(220)에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대화상대정보추출부(230)는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인과 채팅 중인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1과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의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는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 텍스트를 입력하면 입력된 텍스트를 중국어로 변환하며, 영어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250)는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게 된다.
즉, 중국어를 설정 언어로 지정한 사용자에게 번역된 중국어로, 영어를 설정 언어로 지정한 사용자에게 번역된 영어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업로드처리부(260)는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게 되어 실시간으로 채팅 중인 텍스트들을 사용자들의 스마트기기에 표출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 전송서버(300),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전송서버로 제공하며, 전송서버로부터 다른 언어권에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의 언어로 번역한 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아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게 된다.
상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는,
전송서버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번역용사용자정보디비(270),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징적인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1이 텍스트 입력한 후 전송하게 되면 전송서버를 거쳐 사용자2에게 그대로 사용자1의 언어로 전달되며, 전달된 텍스트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전송하여 번역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2의 스마트기기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서버(300)는 전송용사용자정보획득부(310), 전송용대화상대정보추출부(320), 전송용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330), 전송용업로드처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송용사용자정보획득부(310)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전송용대화상대정보추출부(320)는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전송용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330)는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용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어느 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전송용업로드처리부(340)는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실시예의 구성은 서버에서 번역하는 방식이고,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클라이언트에서 재전송하여 번역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100)는,
음성 인식창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창제공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인식창제공부(150)는 음성 인식창(10)을 제공하게 된다.
'공항에 내일 아침 9시 도착합니다'라는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텍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며, 이를 클릭하게 되면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언어의 입력 방법으로는 키보드 입력과 음성 인식 입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된 데이터는 번역되어 전송된 후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화면 출력과 동시에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기도 하며, 텍스트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화면에 필기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필기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화면에 필기를 하게 되면 해당 필기 내용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다.
도 8의 예시는 화면 출력과 음성 출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예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는,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재번역하기 위한 다국어 선택자 버튼을 생성하기 위한 다국어선택자버튼생성부(160),
상기 다국어 선택자 버튼에서 특정 언어를 특정 언어를 대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에 해당 언어의 고유키 값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송출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제공되는 재번역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재번역정보처리부(1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국어선택자버튼생성부는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재번역하기 위한 다국어 선택자 버튼을 생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일본어로 번역된 텍스트를 다시 영어로 재번역하고 싶을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번역하기 위한 다국어 선택자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재번역정보처리부(165)는 다국어 선택자 버튼에서 특정 언어를 대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에 해당 언어의 고유키 값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송출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제공되는 재번역된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에서 사용자2에게 전달된 번역된 데이터는 사용자2가 원하는 언어로 재번역이 가능하며, 번역되어 전송되어진 데이터를 클릭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권의 코드 혹은 해당 언어를 대표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을 선택하면 선택된 언어로 재번역하여 표시하여 준다.
한편, 도 8과 같이, 원본 언어의 어느 일측에 발음기호를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알 수 없는 언어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음기호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 발음기호로 읽을 수 있어 어학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텍스트에 부합되는 발음기호를 표출하기 위한 발음기호처리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 및 응용 범위는 모든 메시전 및 메시지 전송기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메신저, 휴대폰 문자메시지, 컴퓨터 메신저 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사용될 것이다.
한편, 종래의 번역기는 원문의 입력창과 번역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며, 별도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언어를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대화형태의 다국어 음성 통역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대화형설정언어획득부, 음성인식창제공부(150), 음성텍스트변환부(180), 대화형번역정보요청부(181), 대화형통역처리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화형설정언어획득부는 대화 사용자들의 설정 언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텍스트변환부(180)는 음성 인식창을 선택하여 음성 입력시,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게 되며, 대화형번역정보요청부(181)는 대화 사용자들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언어값과 함께 상기 텍스트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화형통역처리부(182)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원본 텍스트 정보와 함께 텍스트로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해당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다시 음성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즉, 텍스트를 입력하는 창 혹은 음성 입력을 위한 아이콘(90)을 한 개 이상을 배치하여 양자 혹은 다자간의 대화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자국이 아닌 타국에 거주할 경우에 해당 언어를 모를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최초 사용자1(한국어)과 사용자2(일본어)는 자신의 언어를 선택하면, 선택한 만큼의 입력창(여기서는 텍스트 및 음성 입력창)이 나타나며, 사용자1은 한국어 입력창의 음성인식버튼을 클릭한 후 음성으로 전달할 내용을 말하면 해당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 후,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사용자2의 언어값과 함께 전송한다.
이때, 번역되어진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함께 텍스트로 출력되며, 해당 번역 텍스트는 다시 음성으로 출력된다.
한번 출력되어진 번역과 원본 데이터를 한번 더 클릭하면 음성으로 다시 한번 출력되어 진다.
한편, 음성으로 입력하는 방법 이외에 텍스트를 직접 입력해 넣어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한 대화형 다국어 음성 통역 기능을 이용하면 상당히 빠른 시간에 타언어와의 소통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본 언어에 발음기호를 포함하여 표시함으로써, 알 수 없는 언어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음기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발음기호로 읽을 수 있어 어학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스마트기기(100)에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대화상대자가 무엇을 썼는지를 알 수 있으며, 번역된 정보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일본인에게 '안녕하세요'라는 한국어를 번역한 일본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안녕하세요'라는 한국어와 번역한 일본어를 동시에 화면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번역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다른 언어권 사용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1:1 대화 혹은 단체 대화에 제공함으로써, 언어가 다를 경우에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메신저 혹은 메시지 사용시 다른 언어를 모르는 사용자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번역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 스마트기기
200 :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
300 : 전송서버

Claims (7)

  1.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다국어 메신저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제공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다른 언어권에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설정 언어로 번역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정보획득부(210),
    상기 사용자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디비(220),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대화상대정보추출부(230),
    상기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기 위한 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250),
    상기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에 의해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처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2.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전송서버로 제공하며, 전송서버로부터 다른 언어권에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의 언어로 번역한 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아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송용사용자정보획득부(310),
    어느 한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 혹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 중인 다른 언어권의 사용자 정보와 설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전송용대화상대정보추출부(320),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용대화상대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어느 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기 위한 전송용번역텍스트정보송출부(330),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업로드하기 위한 전송용업로드처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송서버(300);
    상기 전송서버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설정 언어 정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번역용사용자정보디비(270),
    다른 언어권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설정 언어의 번역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설정언어번역정보텍스트변환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텍스트 입력창을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입력창제공부(110),
    사용자의 설정 언어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설정언어저장부(120),
    상기 텍스트입력창제공부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설정언어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언어 정보를 획득하여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텍스트정보송출부(130),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설정언어표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 인식창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창제공부(150),
    화면에 필기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필기인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메신저 창 화면 혹은 메시지 창 화면에 재번역하기 위한 다국어 선택자 버튼을 생성하기 위한 다국어선택자버튼생성부(160),
    상기 다국어 선택자 버튼에서 특정 언어를 대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에 해당 언어의 고유키 값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 송출하며,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제공되는 재번역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재번역정보처리부(16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텍스트에 부합되는 발음기호를 표출하기 위한 발음기호처리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대화 사용자들의 설정 언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대화형설정언어획득부,
    음성 인식창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창제공부(150),
    상기 음성 인식창을 선택하여 음성 입력시,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텍스트변환부(180),
    상기 대화 사용자들의 설정 언어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언어값과 함께 상기 텍스트 정보를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대화형번역정보요청부(181),
    다국어번역인스턴트메시지서버에서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원본 텍스트 정보와 함께 텍스트로 출력시키거나, 해당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다시 음성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대화형통역처리부(1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메신저 창 혹은 메시지 창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KR1020140037951A 2014-03-31 2014-03-31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KR10160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1A KR101606128B1 (ko) 2014-03-31 2014-03-31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1A KR101606128B1 (ko) 2014-03-31 2014-03-31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52A true KR20150113652A (ko) 2015-10-08
KR101606128B1 KR101606128B1 (ko) 2016-03-24

Family

ID=5434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51A KR101606128B1 (ko) 2014-03-31 2014-03-31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9963A (zh) * 2018-03-02 2018-09-11 山东科技大学 一种将流程模型自动转换为多语言文本的方法
KR20190049665A (ko) * 2019-04-29 2019-05-09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CN110347904A (zh) * 2019-05-28 2019-10-18 成都美美臣科技有限公司 一个多语言电子商务网站处理语言搜索方法
KR20200064972A (ko) * 2018-08-01 2020-06-08 김민철 번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37517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자동 번역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다국어 다중 번역 채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663B1 (ko) * 2019-03-29 2020-07-2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47B1 (ko) * 2013-08-07 2014-03-25 박효석 다국어 변환이 용이한 스마트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9963A (zh) * 2018-03-02 2018-09-11 山东科技大学 一种将流程模型自动转换为多语言文本的方法
KR20200064972A (ko) * 2018-08-01 2020-06-08 김민철 번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49665A (ko) * 2019-04-29 2019-05-09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CN110347904A (zh) * 2019-05-28 2019-10-18 成都美美臣科技有限公司 一个多语言电子商务网站处理语言搜索方法
KR20210037517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자동 번역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다국어 다중 번역 채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128B1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128B1 (ko)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US10817678B2 (en) Customized multi-device translated conversations
US8473555B2 (en) Multilingual support for an improved messaging system
US9063931B2 (en) Multiple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20090248392A1 (en) Facilitating language learning during instant messaging sessions through simultaneous presentation of an original instant message and a translated version
KR101406981B1 (ko)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86416A1 (ja) 翻訳処理方法、翻訳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200469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on
CN107943798A (zh) 检查输入文本语言并自动同步翻译的系统及方法
CN111554280A (zh) 对利用人工智能的翻译内容和口译专家的口译内容进行混合的实时口译服务系统
JP5856708B1 (ja) 翻訳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1753649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실시간 자동 번역 및 통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1264B1 (ko) 음성인식 기반의 메시징 통역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051A (ko)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emni et al. Sign Language MMS to Make Cell Phones Accessible to the Deaf and Hard-of-hearing Community.
TW201346597A (zh) 多語言即時翻譯系統
KR102542362B1 (ko) 자동 번역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다국어 다중 번역 채팅 방법
US20180300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essage translations
US20230274101A1 (en) User terminal, broadcasting apparatus,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066908A (zh) 用户终端及其控制方法
CN116134803A (zh) 交流系统
KR102248701B1 (ko) 다국어 음성 자동 통역 채팅시 통역의 시점과 종점과 소정 정보 제공을 소정의 음성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1675049B1 (ko) 글로벌 소통시스템
US20140129208A1 (en) Electronic translating system
Ansari et al. Multilingual speech to speech translation system in bluetooth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